KR101433614B1 -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614B1
KR101433614B1 KR1020110095150A KR20110095150A KR101433614B1 KR 101433614 B1 KR101433614 B1 KR 101433614B1 KR 1020110095150 A KR1020110095150 A KR 1020110095150A KR 20110095150 A KR20110095150 A KR 20110095150A KR 101433614 B1 KR101433614 B1 KR 10143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derground
unit
posi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523A (ko
Inventor
김성모
Original Assignee
덕성씨앤에스 주식회사
(주)코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씨앤에스 주식회사, (주)코아텍 filed Critical 덕성씨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6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생성을 지원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A) 상기 지하 매설물에 관한 3차원 기준 위치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지하 매설물에 지표 위치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및 (C) 상기 3차원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지표 위치 정보로 상기 지하 매설물의 현재 깊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정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지하 매설물과 관련하여 지표상의 지형과 표고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경되더라도 측정 시점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지표로부터의 지하 매설물의 실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지하 매설물의 실제 위치를 3D로 모델링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주어 공사 주체가 지하 매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게 되어 체계적으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단말기나 측정 기구가 지하 매설물과 특정한 위치 관계를 가질 때 알람을 해 줄 수 있어, 지하 매설물의 발견이 용이하게 되고, 지하 매설물의 현황 파악과 정보 업데이트가 편리하게 된다.

Description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n Buried Structure}
본 발명은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매설물의 현재 깊이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기반하여 3차원 지하 매설물 모델링 정보를 제공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 매설물은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되어, 공사 중에 실수로 파괴되는 등 실제 공사 현장에서 지하 매설물과 관련된 사건 사고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국가기반시설의 경우 사고발생시 단전, 단수, 교통 혼잡 등 국민의 불편을 초래하고 사망을 비롯한 각종 인명사고와 막대한 재산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94.12의 서울 아현동 도시 가스 폭발 사고로, 사망 12명, 부상 101명, 건물 145동이 파손되었으며, '95. 4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로, 사망 101명, 부상 201명, 건물 195동 파손되었으며, '98. 9 서울 홍재동 가스 누출 사고로, 가스 공급 중단 3시간 30분이 발생하였으며, '00. 2 서울 여의도 공동구 화재 사고로 2,300가구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고, 전화 33,000회선이 불통되었으며, '09.12 서울 숭인동 수도관 파열 사고로 교통 마비 및 300가구 단수된 적이 있는데, 이들 모두는 지하 매설물이 공사 중에 파괴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급속한 도시화로 지하 매설물의 양적 증가와 관리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시설물 노후화에 따른 자원 낭비가 된다. 지하 매설물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 업그레이드가 되지 않고 지하 매설물 관리주체가 달라 관로 동파 시 타 관리 주체 직원 입회 등에 시간이 소요되고 지하 매설물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자재 준비도 미비할 수 있어 관로 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수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거나 타관로를 손상시켜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상·하수도관의 경우 해당 지자체가 설치 관리하고 전기, 가스, 통신, 지역 난방 등은 한국전력공사, 도시가스회사, KT등 통신회사와 지역난방공사 등이 자체 관리하기 때문에 도로 내 지하 매설물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신설관을 매설하고자 할 때 도로에 매설되어 있는 기존관의 종류와 위치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1) 해당 지자체를 방문하여 상하수도 관로의 위치를 파악하여야 하고 2) 전기, 가스, 통신, 지역난방공사를 방문하여 관 매설 위치 및 깊이 등을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3차원이 아닌 2차원 도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매설 상황과 불일치 할 가능성이 많다.
이에 따라, 도로를 굴착할 때 해당 관리 주체가 입회하게 되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입회만 할 뿐 자기가 관리하는 관로의 위치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며, 공사로 인해 관로를 파손시킬 경우 그 책임은 시공 회사 또는 감독 기관이 부담하게 된다. 또한 관로 매설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 너무 길기 때문에 차량을 통제하는 시간이 길어져 그 부담은 국민이 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존 지하 매설물의 경우 초음파, 초단파 등을 이용하여 지하 매설물 위치를 추정하여 지하 매설물도를 만들고 있으나 분기관 등이 포함되지 않았고 부정확한 부분들이 많으며, 상·하수도관에 그치기 때문에 현실성이 떨어지고 업그레이드가 어렵다. 또한 택지 개발과 도시 개발, 재개발, 재건축, 도시 재생, 추가 관로공사 등이 무수히 시행되고 있는데도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되지 않을 경우 값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구축한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무용지물이 된다.
지하 매설물을 찾아가기 위해서는 관로 번호로 찾아갈 수 있는데, 관로 번호, 지번으로 찾아간다고는 하지만 지번으로 찾아가는 것은 지형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탐지기를 통하여 지하 매설관로의 깊이를 알아낼 수 있다고 하나 실제는 자석을 관에 설치하고 측량하고 도로 포장 완료 후에 그 지점에서 다시 측량을 실시하여 깊이를 알 수 있도록 탐지기에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포장 두께가 달라질 경우 등 깊이의 변화가 발생될 경우 깊이의 정확도는 알 수 없거나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지하 매설물의 측량된 지점이 아닌 임의 구간에서는 관로 깊이를 파악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지하 매설물과 관련하여 지표 상의 지형과 표고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시점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지표로부터의 지하 매설물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3D로 모델링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주어 공사 주체가 지하 매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게 되어 체계적으로 사고를 예방하도록 지원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실시간으로 지표로부터의 지하 매설물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3D로 모델링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주어 공사 주체가 지하 매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도록 지원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실시간으로 지표로부터의 지하 매설물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3D로 모델링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주어 공사 주체가 지하 매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도록 지원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번째 과제는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번째 과제는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생성을 지원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A) 상기 지하 매설물에 관한 3차원 기준 위치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지하 매설물에 지표 위치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및 (C) 상기 3차원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지표 위치 정보로 상기 지하 매설물의 현재 깊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인트 정보인 것이며, 상기 포인트 정보는 상기 포인트의 기준 수평 위치 정보와 상기 포인트의 기준 수직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상기 지하 매설물의 매설 시에 상기 지하 매설물에 부여된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지하 매설물 정보 관리 서버에 조회화여 입수하는 제1 방법,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운용되는 시스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하 매설물 관리 DB로부터 입수 받는 제2 방법 및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운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수하는 제3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입수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표 위치 정보는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인트의 수직 위치에 대한 지표 표고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표 표고 정보는 상기 기준 위치 정보에 포함된 기준 수평 위치에 대응되는 지표 상 위치에서의 지표 표고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표 표고 정보는 상기 기준 위치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기준 수평 위치가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성 기준 수평 위치에 대응되는 지표 상 위치에서의 지표 표고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B-1) 지표 상의 특정 위치의 측정을 위한 측정 기구를 통하여 상기 특정 위치 또는 상기 측정 기구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 단계; (B-2)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하여 기준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 단계; 및 (B-3) 상기 (B-1) 단계의 상기 특정 위치나 상기 측정 기구의 위치의 이동국 위치 정보데이터를 상기 (B) 단계의 기준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입수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3) 단계는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의 Z값을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Z값의 보정은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의 Z값을 기준점의 위치 정보 데이터의 Z값을 참조하여 보정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인트 정보별로 상기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지표 위치 정보에서 수직 위치 정보의 차이를 통해서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D)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되는 현재 깊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포인트 별로 지하 매설물 모델링 기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하 매설물 모델링 기초 정보는 상기 포인트 별로의 기준 위치 정보, 현재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E) 상기 지하 매설물 모델링 기초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반경 또는 기 설정되는 공간에 대응되는 지표면 표고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지표면 표고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모델링 정보는 상기 2 이상의 포인트 별 연결 관계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2 이상의 포인트는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높이에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하 매설물에서 꺾임이 있는 경우에는 꺾임부마다 기준 위치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3차원 모델링 정보는 상기 꺾임부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G) 상기 생성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기 설정된 서버나 기 설정된 시스템,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기 설정된 화면 표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에 존재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는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수 방법 제1 방법 및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단말기에 존재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작동하며, 상기 제2 방법으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지하 매설물 정보 관리 서버에 조회하여 입수하는 방식으로 상기 (A) 단계를 실시하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 관리 서버에서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입수하는 방식으로 상기 (A) 단계를 실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H) 상기 지표 위치 정보를 입수하기 위한 측정 기구와 상기 지하 매설물 간의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 상기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측정 기구가 상기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 또는 기 설정된 근접 거리 이상에 들어 오는 경우,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제1 방법,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명령을 내렸을 때 생성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측정 기구는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장착된 것인 것이며,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는 단말부와 통신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알람부가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부에 알람 지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부는 상기 알람 지시 정보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방법 및 상기 단말부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한 지하 매설물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이상을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 받고,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기 설정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J) 상기 생성된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를 기 설정된 서버나 기 설정된 시스템,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기 설정된 화면 표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는 수평 위치 관계 정보 및 수직 위치 관계 정보인 것이며, 상기 전송되거나 출력되는 정보에는 시각화된 정보나 시각화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시각화된 정보나 상기 시각화될 수 있는 정보에는 상기 지하 매설물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측정 기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측정 기구나 상기 측정 기구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단말부를 중심으로 지하 매설물 정보를 제공하는 지하 매설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측정 기구는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장착된 것인 것이며,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는 단말부와 통신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단말부의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 제공부가 지하 매설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부에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한 지하 매설물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부는 전송된 지하 매설물 정보를 기 설정된 표시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 측에 표시하는 제1 방법 및 상기 단말부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한 지하 매설물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이상을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 받고,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된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관련된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부는 상기 관련된 지하 매설물 정보를 기 설정된 표시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 측에 표시하는 제2 방법 및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측정 기구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이상의 포인트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생성하는 2차원 투영 가상선 위에 있을 경우, 상기 측정 기구의 수평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현재 깊이 정보인 것이며, 상기 현재 깊이 정보는 상기 측정 기수의 지표 위치에서 상기 2이상의 포인트가 생성하는 3차원 가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의 길이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측정 기구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이상의 포인트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생성하는 2차원 투영 가상선 밖에 있을 경우, 상기 측정 기수의 지표 위치에서 상기 2이상의 포인트가 생성하는 3차원 가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시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시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하 매설물과 관련하여 지표 상의 지형과 표고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경되더라도 측정 시점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지표로부터의 지하 매설물의 실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지하 매설물의 실제 위치를 3D로 모델링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주어 공사 주체가 지하 매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게 되어 체계적으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셋째, 단말기나 측정 기구가 지하 매설물과 특정한 위치 관계를 가질 때 알람을 해 줄 수 있어, 지하 매설물의 발견이 용이하게 되고, 지하 매설물의 현황 파악과 정보 업데이트가 편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3D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측정 기구가 지하 매설물과의 관계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3차원 기준 위치 정보와 지표 위치 정보로 지하 매설물의 현재 깊이 정보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지하 매설물이 측정 기구의 수평 위치 정보가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이상의 포인트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생성하는 2차원 투영 가상선 위에 있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공간 관계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지하 매설물이 측정 기구의 수평 위치 정보가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이상의 포인트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생성하는 2차원 투영 가상선 밖에 있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공간 관계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알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알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정보 표시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정보 표시 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물의 위치 정보 측정부의 위치 정보 측정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3차원 모델부의 구성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지하 매설물 정보부가 지하 매설물 정보를 입력 받는 것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3차원 모델의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위치 정보와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지하 매설물의 위치 측정 및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 매설물의 시공 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시공 위치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해 3차원 모델부(200)에서 알고리즘을 통해 3차원 모델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3차원 모델을 통해 상기 지하 매설물의 위치 및 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차이가 나는 부분은 별도로 설명한다.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지하 매설물의 위치 정보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측정부(100),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의 위치 정보 데이터와 지하 매설물에 관련된 각종 메타 정보(위치 정보, 종류 정보, 속성 정보, 분기 정보, 연결 정보 등과 같이 지하 매설물에 부가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모델부(200),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및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하에 위치 정보 측정부(100)와 3차원 모델부(20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500)(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유선 네트워크가 대체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면 부호 500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취급되는 것이 더욱 더 타당하다. 이하 같다.)를 통하여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위치 정보 측정부(100)와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단일한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와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90)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기능적 의미로 별도의 하드웨어일 경우, 휴대형 단말기(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PDA, 스마트 폰 등이 그 예가 된다.)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는 상기 3차원 모델부(200)가 되는 하드웨어에 부착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장비가 될 수도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 제3의 장비(예를 들면, 위치 정보 pole)등에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이 상기 3차원 모델 단말 내에 부설되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 도 2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3차원 모델링 단말(20)에는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이 포함되어 있고, 이 경우에는 하나의 단말이므로, 도 1에서와는 달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90)나 무선 통신부(150)는 필수 요소가 아닐 수도 있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독립적인 통신 기능을 보유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위치 정보 수신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휴대형 단말기의 경우, 본 발명의 위치 정보 측정부(100)로 기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3차원 모델링 단말(20)에서 상기 위치 정보 보정부(121)는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모델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와 연결된다.
도 3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에 위치 정보 측정부(100), 상기 3차원 모델부(200),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가 포함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3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하나의 휴대형 단말의 형태를 가지면서 본 발명의 단말부(400)에 대해서는 일종의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부(400)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가 된다.
도 4는 하나의 동일한 휴대형 단말로 위치 정보 측정, 3차원 모델 생성, 지하 매설물 데이터의 저장과 송수신과 생성된 3차원 모델을 사용하거나, 알람 정보를 처리하거나, 지하 매설물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형태가 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물리적일 수도 있지만, 개념적일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그 범위에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의 기능, 상기 3차원 모델부(200)의 기능,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의 기능, 상기 단말부(400)의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이어, 도 1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기능을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지하 매설물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기준점과 이동 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계측하는 위치 정보 측정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시스템을 활용한 위치 정보일 수 있으나, 정확성을 위하여,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 측위 시스템)을 활용하여 생성되는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와 기준국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지하 매설물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기준국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설치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의 시공 시 측정 위치에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를 설치하여 위치 정보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를 계측한다.
이때 기준국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의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오차의 보정은 위치 정보 보정부(121)가 수행한다.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는 위치 정보 Pole(130)에 설치되어 지하 매설물의 위치 측정 시 측정 위치에 위치 정보 Pole(130)을 위치해 기준점의 위치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 Pole(130)을 이동할 포인트에 위치하여 이동한 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측정하며 Z값은 상기 위치 정보 Pole(130)의 길이를 통해 보정하여 정확한 지하 매설물의 위치 데이터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에서 측정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90)를 통하여 3차원 모델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국 위치 정보 수신부(120)와 위치 정보 보정부(121)중 어느 하나 이상은 도 1과 같이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3차원 모델부(200)가 포함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3차원 모델부(200)가 기준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위치 정보 보정부(121)는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 받고, 기준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서 예시되듯이,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지하 매설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입수해 올 수 있거나, 사전에 입수해 놓아, 단말기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지하 매설물에 관한 3차원 기준 위치 정보를 입수(S11)한다. 입수되는 3차원 기준 위치 정보는 도 8에서 예시되듯이,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각 지점에 관련된 3차원 좌표 정보로, 예시적으로는 P1(X1,Y1,Z1), P2(X2,Y2,Z2), P3(X3,Y3,Z3)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각 지점별로 과거의 지형을 기준으로 한 높이 정보(h1, h2, h3 등)가 있는 경우, 그 높이 정보도 아울러 입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P1(X1,Y1,Z1), P2(X2,Y2,Z2), P3(X3,Y3,Z3)에 대응되는 수평(X-Y 평면) 관점에서의 지표 상의 각 지점인 P1(X1,Y1), P2(X2,Y2), P3(X3,Y3)에서의 지표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지표 위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로 입수(S12)한다. 상기 지표 위치 정보는 P1'(X1,Y1,Z1'), P2'(X2,Y2,Z2'), P3'(X3,Y3,Z3')가 될 것이다. 지표 위치 정보의 측정은 전술한 바의 방법(기준국 위치 정보 및 이동국 위치 정보를 활용하고, 위치 정보 보정하여 생성함)과 같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지하 매설물과 관련된 적어도 2 이상의 지점 Pi별로, Pi(Xi,Yi,Zi)를 입수하고, Pi'(X1,Y1,Z1')를 측정하고, Pi'(X1,Y1,Z1')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로 입수한다. 상기 Pi와 Pi'의 집합을 통하여, 현재 지형 상태를 반영한 현재 지표면을 기준으로 한 지하 매설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Pi별 깊이 정보는 Zi-Zi'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3차원 기준 위치 정보(Pi)와 지표 위치 정보(Pi')로 지하 매설물의 현재 깊이 정보를 생성(S13)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Pi와 Pi'를 사용하여, 상기 3차원 모델 생성부(250)는 현재 지형 상태를 반영한 지하 매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하 매설물에 관한 위치 정보인 Pi들로만 3차원 모델링을 생성하거나, Pi와 hi(h1, h2, h3 등이 예시가 됨)로 3차원 모델링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지하 매설물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 생성되는 3차원 모델이 되거나, 현재 지형을 반영하지 못하고 과거의 지형을 기준으로 한 3차원 모델이 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재 지형 지물이나 지표면의 변경 사항을 반영하지 못한 3차원 모델이 생성되는 경우, 이러한 불완전한 3차원 모델에 근거하여 건설 공사 등을 수행하게 되고, 이는 관로의 파손 등과 같은 심각한 사건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도 6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현재 깊이 정보를 사용하여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포인트 별로 지하 매설물 모델링 기초 정보를 생성(S21)한다. 상기 현재 깊이 정보는 Zi'-Zi가 되며, 상기 포인트는 Pi 또는 Pi에 대응되는 Pi'가 되며, 상기 지하 매설물 모델링 기초 정보는 Pi(Xi,Yi,Zi) 및 Pi'(Xi',Yi',Zi')가 된다.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지하 매설물 모델링 기초 정보를 사용하여 지하 매설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S22)한다. 이때 생성되는 지하 매설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는 상기 지하 매설물의 각 포인트에 대응되는 현재 지표의 높이 정보가 시각적으로 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생성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기 설정된 서버나 기 설정된 시스템,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기 설정된 화면 표시에 출력(S23)되도록 정보 처리할 수 있다.
도 9에서 예시되는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상기 단말기(410) 또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가 지하 매설물의 수직 상방에 있을 경우에 현재 깊이 정보(Zi'-Zi)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상기 단말기(410) 또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의 현재 위치인 Pi'의 (X,Y)좌표가 지하 매설물의 임의의 지점 의 (X,Y)좌표와 일치하거나, 지하 매설물의 (X,Y)좌표로 연결하는 가상선 위에 있는 경우(도 9에서의 Pi(Xi,Yi,Zi)는 P2와 P3의 가상선 위에 있게 된다.)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Pi'에서 상기 가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현재 깊이 정보(hi)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Pi'와 Pi 및 P2와 P3 정보로,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며, 이 때, Pi'라는 현재 지표 상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 지형을 기준으로 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서 점선으로 관로를 표시하는 것은 생성되는 3차원 모델링 정보임을 예시하는 것이다.
도 10에서 예시되는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상기 단말기(410) 또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의 현재의 위치 정보 Pn(X,Y,X)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상기 Pn(X,Y,X)과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지하 매설물과 관련된 위치 정보(P1, P2, P3 등)를 입수하고, Pn과 P1~P3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P1~P3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하 매설물에 대한 가상선 또는 가상 선로(관 등의 두께 정보를 반영함)를 생성하고, 상기 Pn에서 상기 가상선 또는 가상 선로에 내리는 수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서 Pn에서 상기 가상선 또는 가상 선로에 내린 수선의 발은 Pi로 표시되게 된다. 상기 Pi(Xi,Yi,Zi)에 대응되는 지표 상의 위치는 Ps(Xi,Yi,Zi')이 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410) 또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의 현재 위치가 Pn이므로, Pn의 Z좌표는 알 수 있어도, Ps의 Zi'는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기 기 설정된 반경이 크지 않은 경우 또는 (X,Y)와 (Xi,Yi)의 거리가 가깝다면 Z와 Zi'의 차이는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Pn의 Z값으로 Ps의 Zi'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단말부 알람 처리부(340)는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가 Pn을 측정한 다음, 상기 Pn과 관련되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가상선 또는 가상 선로가 있는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해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Pn 주위에 있는 P1~P3와 생성되는 가상선 또는 가상 선로 상의 Pi와 지표 상의 위치인 Ps 중 어느 2 이상을 활용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며, 상기 Pn 또는 Ps와 상기 3차원 모델링화된 지하 매설물 간의 위치 관계를 3차원으로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측정 기구가 지하 매설물과의 관계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측정 기구의 수평 위치 정보가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이상의 포인트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생성하는 2차원 투영 가상선 위에 있는 지 파악(S31)하고, 가상선 위에 있는 경우 측정 기수의 지표 위치에서 2이상의 포인트가 생성하는 3차원 가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의 길이로 깊이 정보 생성을 포함하는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를 생성(S33)하고, 가상선 위에 있지 않은 경우, 측정 기수의 지표 위치에서 2이상의 포인트가 생성하는 3차원 가상선에 내린 수선의 발로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를 생성(S34)한다.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지형 정보를 입수하거나, 관리하는 지형 정보부(210), 도로 정보를 입수하거나 관리하는 도로 정보부(220)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에는 관 등의 지하 매설물의 직경을 측정하거나, 지하 매설물의 크기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지하 매설물의 직경이나 소재나 속성(관의 종류 등)은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정보부(230)를 통하여 입수 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는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230)가 입수하는 지하 매설물의 메타 데이터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3차원 모델부(200)의 3차원 모델 생성부(250)는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한 보정된 위치 정보 데이터와 상기 지하 매설물의 메타 데이터를 통하여 3차원 모델링 알고리즘을 통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도 21 내지 도 23은 상기 생성된 3차원 모델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 고정국 위치 정보 데이터 및 보정된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본 발명의 위치 정보 입수부(260)가 입수한다. 상기 3차원 모델부(200)에서 보정을 수행할 때는 본 발명의 3차원 모델부측 위치 정보 보정부(270)가 그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3차원 모델부(200)에는 생성된 3차원 모델 및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3차원 모델부측 데이터 저장부(280)와 상기 3차원 모델부측 데이터를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나 상기 단말부(400)에 전송하는 3차원 모델부측 데이터 전송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와 무선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에는 상기 3차원 모델부측 데이터 전송부(290)가 전송해 온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측 데이터 저장부(310),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측 데이터 저장부(310)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단말부(400)에 전송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측 데이터 전송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부(400)를 위한 알람 서비스 또는 지하 매설물 정보의 표시 서비스를 위하여, 상기 단말부(400)의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420)가 수신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받는 단말부 위치 정보 수신부(33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부(400)가 위치하고 있는 현재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부(400)에게 알람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단말부 알람 처리부(340)또는 상기 단말부(400)에게 상기 단말부(400)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지하 매설물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부(400)지하 매설물 정보 처리부(35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부(400)는 하드웨어적인 개념인 단말기(4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로부터 지하 매설물 데이터를 입수하는 지하 매설물 데이터 입수부(440)및 상기 단말부(4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입수하는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420)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단말부(400)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부(400)가 위치하는 위치와 기 설정된 반경, 또는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지하 매설물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부(430)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부(400)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부(400)가 위치하는 위치와 기 설정된 반경, 또는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지하 매설물에 대한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부(400)측 지하 매설물 정보 제공부(450)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부(400)에는 상기 지하 매설물 데이터 입수부(440)가 입수하는 지하 매설물 데이터(지하 매설물의 위치 정보 및 메타 데이터)로 기 설정된 3차원 모델 생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3차원 모델을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말부(400)측 3차원 모델 생성부(460)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측정 대상물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의 측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S41)하고,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하여 기준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S42)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의 이동국 위치 정보데이터를 기준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정(S43)한다. 이어,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보정된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와 상기 지하 매설물의 시설 정보를 결합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3차원 모델링 알고리즘으로 3차원 모델을 생성(S44)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에서의 알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420)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에 전송(S51)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가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420)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400)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S52)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부(400)에 알람 지시 정보를 전송(S53)하고, 상기 단말부(400)가 상기 알람 지시 정보로 알람 정보를 생성(S54)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알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단말부(400)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230)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 지하 매설물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이상을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 받고(S61),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420)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400)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S62)한 다음,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기 설정된 알람 정보를 생성(S63)한다.
도 14은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지하 매설물 정보 표시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420)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에 전송(S71)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가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420)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400)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S72)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부(400)에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한 지하 매설물 정보를 전송(S73)하고, 상기 단말부(400)가 전송된 지하 매설물 정보를 기 설정된 표시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410)측에 표시(S74)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정보 표시 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단말부(400)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230)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 지하 매설물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이상을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 받고(S81),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420)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400)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S82)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된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관련된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부(400)는 상기 관련된 지하 매설물 정보를 기 설정된 표시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410)측에 표시(S83)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물의 위치 정보 측정부(100)의 위치 정보 측정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와 기준국 위치 정보 수신부(120)와 위치 정보 Pole(130)과, 거리 측정부(140)와 무선 통신부(1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하 매설물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기준국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설치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의 시공 시 측정 위치에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를 설치하여 위치 정보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를 계측한다. 이때 기준국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의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는 위치 정보 Pole(130)에 설치되어 지하 매설물의 위치 측정 시 측정 위치에 위치 정보 Pole(130)을 위치해 기준점의 위치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 Pole(130)을 이동할 포인트에 위치하여 이동한 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측정하며 Z값은 상기 위치 정보 Pole(130)의 길이를 통해 보정하여 정확한 지하 매설물의 위치 데이터를 계측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3차원 모델부(200)의 구성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로부터 지하 매설물의 위치 데이터(특별한 경우에는 직경 데이터 등과 같은 지하 매설물 메타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를 저장하는 지하 매설물 정보부(23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지형의 위치와 높이, 속성 정보를 포함한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로 이루어진 지형 정보부(210)와, 도로의 형태 및 위치, 속성정보로 이루어진 도로 정보부(220)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230)는 상기 무선 통신부(240)에서 전송 받은 위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상기 3차원 모델부(200)를 사용하는 자로부터 상기 지하 매설물의 각종 메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저장하는 상기 지하 매설물의 종류와 위치,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3차원 모델부(200)는 상기 위치 정보 측정부(100)로부터 계측한 위치 데이터를 전송 받는 무선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230)를 통하여, 상기 3차원 모델부(200)의 사용자는 상수(231), 우수(232), 오수(233), 전기(234), 통신(235), 가스(236), 송유(237)와 같은 지하 매설물의 종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지하 매설물의 관 종류와 관의 이름을 입력하고, 상기 선택한 관의 위치 정보와 속성 정보 및 분기관, 연결된 등에 대한 지하 매설물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230)를 통하여, 상기 3차원 모델부(200)의 사용자는 맨홀에 대한 정보를 위치 정보 측정부(100)에서 전송 받은 데이터와 함께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3차원 모델 생성부(250)는 상기 지하 매설물 위치 정보와 상기 지하 매설물 메타 데이터로 기 설정된 3차원 모델 생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3차원 모델은 지하 매설물의 위치 및 속성 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3차원 모델부(200)에 저장하거나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측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다. 한편, 지하 매설물의 관 직경이나 거리 등은 줄자, 레이저 거리 측정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고, 이러한 측정 데이터는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230)에 저장된다.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110)에서 측정한 위치 데이터와 상기 지하 매설물 메타 데이터를 3차원 모델부(200)에 입수된다. 한편,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해서는 적어도 2 이상의 위치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관이 있을 때, 관의 시작점과 끝점 또는 다른 관과의 분기점 또는 다른 관과의 연결점 등 다양한 위치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하 매설물의 매설 길이에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 위치마다의 위치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다. 한편, 2 이상의 지하 매설물이 연결되거나 분기되는 경우, 상기 연결점이나 분기점마다 위치 데이터가 입수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위치 데이터가 있을 경우, 각각의 위치 데이터 중에는 연결된 관이나 기타 연결 매체(관이나, 선로가 대표적이다.)에 대한 메타 정보(속성 정보, 예를 들면 관의 종류, 직경, 재료 등)이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지하 매설물들과 메타 데이터들은 3차원 모델부(200)의 3차원 모델 생성부(250)에서 3차원 모델이 생성된다.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에 저장된 3차원 모델과 상기 지하 매설물의 정보는 지하 매설물의 시공 후 유지관리를 위해 상기 지하 매설물의 매설 위치를 관리자가 단말부(400)를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부(400)는 찾고자 하는 지하 매설물의 정보를 입력하여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말기(410)와, 상기 단말부(400)가 위치한 위치 정보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기(420)와, 상기 찾고자 하는 지하 매설물의 매설 위치와 단말부(400)가 위치한 위치 정보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부(400)가 찾고자 하는 지하 매설물 부근에 위치할 경우 알람음을 경보해주거나 일정거리를 설정하여 설정한 일정거리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지하 매설물을 구분하게 표시해주는 알람부(430)로 이루어져 상기 지하 매설물의 매설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상기 단말부(400)를 통해 지하 매설물의 매설 위치를 찾는 방법은 상기 지하 매설물의 3차원 모델 이름을 선택하여 관리자가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기(420)가 설치된 단말기(410)를 들고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단말기(410)에 표시된 현 위치의 좌표와 찾고자 하는 지하 매설물의 좌표를 비교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410)가 찾고자 하는 지하 매설물의 매설 위치에 근접하였을 경우 알람을 경보해주거나 관리자가 일정거리를 설정하여 일정거리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지하 매설물을 구분하도록 표시해주어 상기 지하 매설물의 매설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3차원 모델을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300)를 통해 불러와 상기 지하 매설물의 매설 위치 및 지하 매설물의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알람 경보를 해 주는 것에 대해서는 상기 도 12 내지 도 13에서, 지하 매설물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것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5에서 설명하다.
도 18 내지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10)의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 상수관 시공 시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실시 예이다.
상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관의 3차원 모델 생성은 지하 매설물의 종류(상수, 우수, 오수, 전기, 통신, 가스, 송유 등)중 상수를 선택하여 측량 준비를 한다. 상수관은 본관과 분기관, 맨홀로 분리되어 있으며 본관에 대한 관의 종류와 관의 이름을 입력하고, 위치 정보 측정부(100)를 통해 본관에 대한 기준점(P1)의 X, Y, Z 위치 정보와 이동 위치(P2)의 X, Y, Z 위치 정보를 입력하며, 재질 및 관경의 속성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본관에 대한 기본 DB 정보를 입력하여 본관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본관에 대한 3차원 모델 생성 후 상기 본관에 연결된 분기관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도 12과 같이 생성하며,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은 본관과 동일하다. 상기 분기관은 관이 꺾여 있는 경우 꺾이는 부분마다 이동하여 이동위치 데이터를 계측하고 상기 분기관의 위치, 속성, 기본 DB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한 후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본관 또는 분기관에 연결된 맨홀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의 종류 및 이름을 입력하고, 위치 정보 측정부(100)를 통해 X, Y, Z의 위치 정보를 계측하여 입력하며, 재질 및 가로, 세로, 높이를 입력하고, 기본 DB 정보를 입력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실시 예는 상수관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우수, 오수, 전기, 통신, 가스, 송유 등도 같은 방법으로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3차원 모델의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2은 3차원 모델부(200)이 가동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3차원 모델이 생성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한편, 도 22의 예시는 단말부측 3차원 모델 생성부(460)을 포함하는 단말부(400)에서의 3차원 모델이 생성되는 모습의 예도 될 수 있다. 도 22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상에 3차원 모델이 생기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의 배경에는 지하 매설물의 실제 공사 현장이 보여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2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공사 현장에서 휴대용 단말기 등으로 지하 매설물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3차원 모델과 실제 공사 현장의 지하 매설물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해 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지하 매설물의 매설 시 위치 정보 측정부(100)를 이용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의 위치를 오차가 1cm 이내로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 데이터를 상기 3차원 모델부(200)에 전송해 3차원 모델 알고리즘을 통해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복잡한 교차로 등에서 신속 정확하게 지하 매설물의 위치 및 타 지하 매설물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지하 매설물의 유지관리 시 관리자가 단말부(400)를 통해 쉽게 지하 매설물이 매설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 산업, 건설 정보 처리 산업, 건설 관련 IT 산업에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하다.
10 :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100 : 위치 정보 측정부
110 :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
120 : 기준국 위치 정보 수신부
121 : 위치 정보 보정부
150 : 무선 통신부
190 : 무선 네트워크
20 : 3차원 모델링 단말
200 : 3차원 모델부
210 : 지형 정보부
220 : 도로 정보부
230 : 지하 매설물 정보부
240 : 무선 통신부
250 : 3차원 모델 생성부
260 : 위치 정보 입수부
270 : 3차원 모델부측 위치 정보 보정부
280 : 3차원 모델부측 데이터 저장부
290 : 3차원 모델부측 데이터 전송부
300 :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
310 :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측 데이터 저장부
320 :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측 데이터 전송부
330 : 단말부 위치 정보 수신부
340 : 단말부 알람 처리부
400 : 단말부
410 : 단말기
420 :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
430 : 알람부
440 : 지하 매설물 데이터 입수부
450 : 단말부측 지하 매설물 정보 제공부
460 : 단말부측 3차원 모델 생성부
500 : 무선 네트워크

Claims (2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생성을 지원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A) 상기 지하 매설물에 관한 3차원 기준 위치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지하 매설물에 지표 위치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및
    (C) 상기 3차원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지표 위치 정보로 상기 지하 매설물의 현재 깊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지표 위치 정보를 입수하기 위한 측정 기구와 상기 지하 매설물 간의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측정 기구가 상기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 또는 기 설정된 근접 거리 이상에 들어 오는 경우,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제1 방법 및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명령을 내렸을 때 생성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1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측정 기구는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장착된 것인 것이며,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는 단말부와 통신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알람부가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부에 알람 지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부는 상기 알람 지시 정보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방법 및
    상기 단말부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한 지하 매설물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이상을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 받고,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기 설정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인트 정보인 것이며,
    상기 포인트 정보는 상기 포인트의 기준 수평 위치 정보와 상기 포인트의 기준 수직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상기 지하 매설물의 매설 시에 상기 지하 매설물에 부여된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지하 매설물 정보 관리 서버에 조회화여 입수하는 제1 방법,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운용되는 시스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하 매설물 관리 DB로부터 입수 받는 제2 방법 및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이 운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수하는 제3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입수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위치 정보는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인트의 수직 위치에 대한 지표 표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표고 정보는 상기 기준 위치 정보에 포함된 기준 수평 위치에 대응되는 지표 상 위치에서의 지표 표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표고 정보는 상기 기준 위치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기준 수평 위치가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성 기준 수평 위치에 대응되는 지표 상 위치에서의 지표 표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지표 상의 특정 위치의 측정을 위한 측정 기구를 통하여 상기 특정 위치 또는 상기 측정 기구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 단계;
    (B-2)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하여 기준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 단계; 및
    (B-3) 상기 (B-1) 단계의 상기 특정 위치나 상기 측정 기구의 위치의 이동국 위치 정보데이터를 상기 (B) 단계의 기준국 위치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입수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데이터의 Z값을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Z값의 보정은 상기 이동국 위치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의 Z값을 기준점의 위치 정보 데이터의 Z값을 참조하여 보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인트 정보별로 상기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지표 위치 정보에서 수직 위치 정보의 차이를 통해서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되는 현재 깊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포인트 별로 지하 매설물 모델링 기초 정보를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매설물 모델링 기초 정보는 상기 포인트 별로의 기준 위치 정보, 현재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E) 상기 지하 매설물 모델링 기초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F)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반경 또는 기 설정되는 공간에 대응되는 지표면 표고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지표면 표고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링 정보는 상기 2 이상의 포인트 별 연결 관계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2 이상의 포인트는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높이에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매설물에서 꺾임이 있는 경우에는 꺾임부마다 기준 위치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3차원 모델링 정보는 상기 꺾임부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G) 상기 생성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기 설정된 서버나 기 설정된 시스템,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기 설정된 화면 표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에 존재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는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수 방법 제1 방법 및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단말기에 존재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작동하며,
    상기 제2 방법으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지하 매설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지하 매설물 정보 관리 서버에 조회하여 입수하는 방식으로 상기 (A) 단계를 실시하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 관리 서버에서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입수하는 방식으로 상기 (A) 단계를 실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항에 있어서,
    (J) 상기 생성된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를 기 설정된 서버나 기 설정된 시스템,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기 설정된 화면 표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는 수평 위치 관계 정보 및 수직 위치 관계 정보인 것이며,
    상기 전송되거나 출력되는 정보에는 시각화된 정보나 시각화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시각화된 정보나 상기 시각화될 수 있는 정보에는 상기 지하 매설물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측정 기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은 측정 기구나 상기 측정 기구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단말부를 중심으로 지하 매설물 정보를 제공하는 지하 매설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측정 기구는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장착된 것인 것이며,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는 단말부와 통신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단말부의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 제공부가 지하 매설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부에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한 지하 매설물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부는 전송된 지하 매설물 정보를 기 설정된 표시 방식으로 상기 단말부에 표시하는 제1 방법 및
    상기 단말부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부가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로 전송한 지하 매설물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이상을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 받고, 상기 휴대용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단말부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된 지하 매설물과 기 설정된 반경에 도달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거나, 상기 관련된 지하 매설물의 부근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부는 상기 관련된 지하 매설물 정보를 기 설정된 표시 방식으로 상기 단말부에 표시하는 제2 방법 및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측정 기구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이상의 포인트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생성하는 2차원 투영 가상선 위에 있을 경우, 상기 측정 기구의 수평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현재 깊이 정보인 것이며,
    상기 현재 깊이 정보는 상기 측정 기수의 지표 위치에서 상기 2이상의 포인트가 생성하는 3차원 가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의 길이로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측정 기구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상기 지하 매설물에 대응되는 적어도 2이상의 포인트의 수평 위치 정보가 생성하는 2차원 투영 가상선 밖에 있을 경우, 상기 측정 기수의 지표 위치에서 상기 2이상의 포인트가 생성하는 3차원 가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26. 제 1항 내지 제 18항 및 제22항 내지 2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시하는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27. 제 26항의 상기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8. 삭제
KR1020110095150A 2011-09-21 2011-09-21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143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150A KR101433614B1 (ko) 2011-09-21 2011-09-21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150A KR101433614B1 (ko) 2011-09-21 2011-09-21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523A KR20130031523A (ko) 2013-03-29
KR101433614B1 true KR101433614B1 (ko) 2014-08-25

Family

ID=4818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150A KR101433614B1 (ko) 2011-09-21 2011-09-21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8583A1 (en) 2019-06-04 2020-12-09 My Virtual Reality Software AS Subsurface utility visualization
KR20220091716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에이알미디어웍스 혼합 현실을 이용한 지하 매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3423A (ja) * 2015-10-23 2017-05-18 清水建設株式会社 移動局及びこれを用いた埋設物可視化システム
KR102248019B1 (ko) 2021-02-08 2021-05-04 (주)브리콘랩 지하 매설 시설물에 대한 3d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094A (ko) * 2005-08-26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fid 태그 및 이를 이용한 지중 매설물 관리 시스템
KR100777921B1 (ko) * 2006-02-24 2007-11-2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하매설관로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00008863A (ko) * 2008-07-17 2010-01-27 (주)한국공간정보통신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3차원 지리정보데이터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094A (ko) * 2005-08-26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fid 태그 및 이를 이용한 지중 매설물 관리 시스템
KR100777921B1 (ko) * 2006-02-24 2007-11-2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하매설관로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00008863A (ko) * 2008-07-17 2010-01-27 (주)한국공간정보통신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3차원 지리정보데이터 생성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8583A1 (en) 2019-06-04 2020-12-09 My Virtual Reality Software AS Subsurface utility visualization
KR20220091716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에이알미디어웍스 혼합 현실을 이용한 지하 매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39740B1 (ko) * 2020-12-24 2023-06-05 주식회사 에이알미디어웍스 혼합 현실을 이용한 지하 매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523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8993A1 (en) Design engineering tools for visualizing existing utility lines within a land area and validating placement of new utility lines
CA2574595C (en) Precision gps driven utility asset management and utility damag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80811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utility assets
US9471835B2 (en) Electronic manifest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marks
KR101179001B1 (ko) 지하 매설물의 위치 측정 및 관리 시스템
AU2009226068B2 (en) Virtual white lines for indicating planned excavation sites on electronic images
US20120330849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erforming installations of engineered systems and generating site visit manifests for same
US9552669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KR100814642B1 (ko) 지중매설 관로 탐지 시스템
US20160071059A1 (en) Infrastructure management, model, and deliverable cre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701613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and correlation of gis data
KR101122185B1 (ko)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9280269B2 (en) Electronic manifest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marks
Yan et al. From underground utility survey to land administration: An underground utility 3D data model
KR101433614B1 (ko)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및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almaki et al. Geometric modeling of geospatial data for visualization-assisted excavation
CN111274683B (zh) 一种油气管线数据对齐管理方法
KR20190127516A (ko) 전기비저항을 이용하여 복합관로를 탐사하기 위한 지하매설 정보의 고정밀 증강현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Sterling et al. Encouraging innovation in locating and characterizing underground utilities
KR100883794B1 (ko) 관로 측량장치, 이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 및 이를 이용한관로 측량 시스템
JP2004109084A (ja) 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方法並びに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10858006A (zh) 一种基于gis的地下管网物探系统及其方法
KR102259515B1 (ko) 지하관로 유지보수를 위한 증강현실시스템
US9086441B2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Patel et al. Integrating GPS and laser technology to map underground utilities installed using open trench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