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141B1 -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3141B1 KR101433141B1 KR1020130130154A KR20130130154A KR101433141B1 KR 101433141 B1 KR101433141 B1 KR 101433141B1 KR 1020130130154 A KR1020130130154 A KR 1020130130154A KR 20130130154 A KR20130130154 A KR 20130130154A KR 101433141 B1 KR101433141 B1 KR 1014331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sludge
- oil
- drying
- fuel
- slud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3473 refuse derived fuel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449 solid propel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802 bituminous co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RHZUVFJBSILHOK-UHFFFAOYSA-N anthracen-1-ylmethanolate Chemical compound C1=CC=C2C=C3C(C[O-])=CC=CC3=CC2=C1 RHZUVFJBSILHO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830 anthrac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RQNWIZPPADIBDY-UHFFFAOYSA-N arsenic Chemical compound [As] RQNWIZPPADIBD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85 arseni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FXPMWWXUTWYJX-UHFFFAOYSA-N cyanide Chemical compound N#[C-] XFXPMWWXUTWYJ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95 fuel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2
- JOPOVCBBYLSVDA-UHFFFAOYSA-N chromium(6+) Chemical compound [Cr+6] JOPOVCBBYLSVDA-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199 base oil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2
- 239000011812 mixed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63 carb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93 paper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1700031500 TECR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BDOSMKKIYDKNTQ-UHFFFAOYSA-N cadmium Chemical compound [Cd] BDOSMKKIYDKN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3 cad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70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09 ga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9 ir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법정 폐기물인 하수슬러지를 중화 처리함과 동시에 건조 처리된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하여 열량이 높은 고효율의 연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하수슬러지를 수거하여 열매체유를 고르게 혼합하면서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 열매체유가 혼합된 하수슬러지를 건조탱크에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 건조된 하수슬러지를 원심 분리하여 유분을 분리하는 단계; 수분과 유분이 분리된 하수슬러지 분말에 탄소 첨가제를 혼합하고, 물을 투입하여 반죽하는 단계; 반죽물을 압출성형기에 투입하고 스크루로 압축 · 이송하여 배출하면서 절단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고형연료를 건조하여 연료탄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하수슬러지를 수거하여 열매체유를 고르게 혼합하면서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 열매체유가 혼합된 하수슬러지를 건조탱크에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 건조된 하수슬러지를 원심 분리하여 유분을 분리하는 단계; 수분과 유분이 분리된 하수슬러지 분말에 탄소 첨가제를 혼합하고, 물을 투입하여 반죽하는 단계; 반죽물을 압출성형기에 투입하고 스크루로 압축 · 이송하여 배출하면서 절단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고형연료를 건조하여 연료탄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법정 폐기물인 하수슬러지를 중화 처리함과 동시에 건조 처리된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하여 열량이 높은 고효율의 연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은 약 11,798톤에 상당하여 전체 고형폐기물의 약 26.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는 수집 및 운반, 매립에 있어 부패, 악취, 침출수의 발생 등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가축분뇨, 동식물 잔재물 등의 유기성 폐기물은 주로 해양에 투기되고 있었으나, 런던협약에 의하여 하수슬러지와 가축분뇨는 2012년부터, 음식물쓰레기는 2013년부터 해양배출이 금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기성 폐자원을 2012년까지는 25%, 2020년까지 100% 바이오가스화 또는 고형연료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우리의 문화적 특성에 의해 그 발생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에너지 자원화로서의 이용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며, 생활폐기물은 1990년대에 들어서 정부의 각종 정책에 힘입어 감소하고 있으나,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에는 큰 변화가 없는 실정이며, 향후 인구증가와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량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전술한 폐기물들을 고형연료화 할 수 있는 처리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상기 고형연료 중에서 연료탄은 석탄이나 코크스와 같은 연료를 처리하여 탄소성분을 갖는 물질로 가공한 것으로서 연소시키면 용해하여 덩어리 모양으로 굳는 성질을 가진 연료탄의 일종으로 점결성(粘結性)의 정도에 따라서 발전용·제철용·주물용과 같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0770371호 "폐지를 이용한 고형 연료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형 연료탄"(선행기술1) 및 등록특허 제10-0979391호 "입자 왕겨 연료탄 및 그 제조방법"(선행기술2)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폐신문지류를 물에 담그고 부풀려 침상구조의 섬유질을 얻는 단계; 섬유질혼합물에 대하여 전분 3∼15중량%를 혼합하고 95℃∼100℃의 온도로 10분 이상 끓이는 단계; 섬유질과 전분의 혼합물 10∼40중량%와 미분탄 60∼9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압축하면서 압출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성형물에 진동을 부여하면서 구르게 하여 5∼30㎜의 직경을 갖는 구(球) 형상의 고형 연료탄을 형성하는 단계; 고형 연료탄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지를 이용한 고형 연료탄의 제조방법이고,
상기 선행기술2는 왕겨 속에 이물질을 망으로 걸러내는 이물질 선별 단계; 선별이 완료된 왕겨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건조단계; 코코넛 껍질, 팜 열매 껍질, 크리미 열매 껍질, 왕겨를 300∼45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각각 숯을 형성하는 탄화단계; 탄화된 각각의 숯을 분쇄하여 8∼20메시 입도를 갖는 망으로 걸러내어 분말 상태의 탄화촉진제를 형성하는 분쇄단계; 분쇄된 탄화촉진제와 왕겨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탄화촉진제와 왕겨의 혼합물을 55kg/㎠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200∼350mm 크기를 갖는 왕겨 연료탄을 성형하는 압축성형 단계; 압축성형이 완료된 왕겨 연료탄을 냉각하고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입자 왕겨 연료탄 제조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선행기술1,2들은 연료탄의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인 폐지와 왕겨는 쉽게 착화되어 연소되는 재질이므로 별도의 가공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난방연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타 자원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이므로 버려지는 폐기물을 고형연료화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폐지와 왕겨는 일반적인 처리시설에서 간단하게 소각하여 처리하거나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과 같이 버려지는 폐기물을 정화처리 함과 동시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찾아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수처리장에서 반입된 하수슬러지를 중화 처리하면서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하여 열량이 높은 고효율의 연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하수슬러지를 수거하여 열매체유를 고르게 혼합하면서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 열매체유가 혼합된 하수슬러지를 건조탱크에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 건조된 하수슬러지를 원심 분리하여 유분을 분리하는 단계; 수분과 유분이 분리된 하수슬러지 분말에 탄소 첨가제를 혼합하고, 미량의 수분을 투입하여 반죽하는 단계; 반죽물을 압출성형기에 투입하고 스크루로 압축 · 이송하여 배출하면서 절단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고형연료를 건조하여 연료탄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제조과정을 통해 완성된 본 발명의 연료탄은 수도권매립지에서 반입되는 하수슬러지를 정화 처리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한편,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열량이 높은 연료탄을 제조한 것이므로 발전용·제철용과 같은 산업연료의 대체연료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동시에 하수슬러지의 건조처리과정에서 열매체유를 혼합하여 비등점 차이를 이용한 건조가 진행되는 것이므로 적은 연료로 낮은 함수율까지 슬러지를 건조할 수 있어 에너지효율을 높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져 배기가스의 발생이 적게 이루어지면서도 소량으로 발생되는 악취는 보일러에서 연소되는 과정에서 처리되는 것이므로 대기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고효율·고기능성의 고형연료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탄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탄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장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탄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장치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의 제조공정도와 도 2의 개략적인 장치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수도권매립지에서 반입되는 하수슬러지를 수거하여 보관하는 슬러지 공급탱크(1)와 열매체유를 보관하는 기름 공급탱크(2)에서 하수슬러지와 열매체유를 각각 배출하여 혼합기(4)로 공급한 후 열을 가하면서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사용된 열매체유는 C중유(C fuel oil), 폐식용유, 폐광물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하수슬러지 40∼60중량%와 열매체유 40∼60중량%를 혼합기(4)에 투입하여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교반날개로 저어주면서 고르게 혼합하였다.
이때, 혼합기(4)의 내부온도를 70∼90℃로 가열하면서 약 20분간 하수슬러지를 1차 건조시켜 하수슬러지의 유동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하수슬러지에 열매체유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여 하수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증발시키고 열량을 높여 후술되는 2차 건조에서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열매체유가 혼합되어 1차 건조가 이루어진 하수슬러지를 건조탱크(4)에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를 실시하였다.
상기 단계에서는 건조탱크(4)의 내부에 투입된 슬러지를 -450torr의 진공(眞空) 상태에서 감압(減壓)하여 수분의 증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조탱크(4)의 내부온도가 80∼100℃가 유지되도록 가열하면서 40∼50분간 건조시켜 수분 함수율이 1%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였다.
이때,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가스는 기액분리기(5)를 통과시켜 수분과 가스를 분리한 후 응축하여 가스는 보일러 등의 연료로 연소시키고 수분은 오수 처리장치를 통해 정수(淨水) 처리하였다.
이어서, 건조된 하수슬러지를 원심분리기(6)에 투입하고, 내통을 고속 회전시켜 하수슬러지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시키는 원심분리 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하수슬러지에서 분리된 유분(oil)은 저장용기(2a)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폐기처리 하거나 기름 공급탱크(2)로 이송되어 재활용된다.
이어서, 수분과 유분이 분리된 하수슬러지 분말 75∼90중량%에 탄소 첨가제 10∼25중량%를 고르게 혼합하고 미량의 수분을 투입하여 반죽하는 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탄소 첨가제는 탄소질 함유량이 높은 무연탄, 유연탄, 열처리 유연탄, 페트로 코크스(Petro cokes)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하수슬러지와 탄소 첨가제 반죽물을 압출성형기(7)에 투입하여 바렐(barrel)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루(screw)로 압축 및 이송하여 컨베이어(Conveyer)를 통해 배출하면서 절단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성형이 완료된 고형연료를 함수율 10% 이하로 건조하여 연료탄(8)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연료탄(8)은 4,000Kcal/Kg 이상의 발열량을 갖는 고효율의 고형연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GR기준인 고정탄소 20%이상, 휘발성분 50%이하, 회분 35%이하, 수분 10%이하, 시안화합물 1.0mg/L이하, 구리 3.0mg/l이하, 카드뮴 0.3mg/l이하, 수은 0.005mg/l이하, 비소 1.5mg/l이하, 납 3.0mg/l이하, 6가크롬 1.5mg/l이하인 GR인증 기준을 충족하는 고효율 · 고기능성을 갖는 연료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전술한 제조과정을 통해 완성된 본 발명의 연료탄은 수도권매립지에서 반입되는 하수슬러지를 건조 및 정화 처리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한편,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열량이 높은 연료탄을 제조한 것이므로 발전용·제철용과 같은 산업연료의 대체연료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하수슬러지의 처리과정에서 열매체유를 혼합하여 비등점 차이를 이용한 건조가 진행되는 것이므로 적은 연료로 낮은 함수율까지 슬러지를 건조할 수 있고 생산된 건조슬러지를 연료탄으로 생산하여 공정에 재이용하여 공정에 사용되는 에너지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동시에 매체유를 사용하여 건조장치의 내구성이 높으면서도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감압상태에서 건조처리를 함으로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져 배기가스의 발생이 적게 이루어지면서도 소량으로 발생되는 악취는 보일러와 연계하여 산화처리하여 대기의 환경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효율·고기능성의 연료탄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슬러지 공급탱크
2 : 기름 공급탱크
2a : 저장용기
3 : 혼합기
4 : 건조탱크
5 : 기액분리기
6 : 원심분리기
7 : 압출성형기
8 : 연료탄
2 : 기름 공급탱크
2a : 저장용기
3 : 혼합기
4 : 건조탱크
5 : 기액분리기
6 : 원심분리기
7 : 압출성형기
8 : 연료탄
Claims (6)
- 하수슬러지를 수거하여 열매체유를 고르게 혼합하면서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
열매체유가 혼합된 하수슬러지를 건조탱크에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
건조된 하수슬러지를 원심 분리하여 유분을 분리하는 단계;
수분과 유분이 분리된 하수슬러지 분말에 탄소 첨가제를 혼합하고, 수분을 투입하여 반죽하는 단계;
반죽물을 압출성형기에 투입하고 스크루로 압축 · 이송하여 배출하면서 절단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고형연료를 건조하여 연료탄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슬러지와 열매체유의 혼합은 하수슬러지 40∼60중량%와 열매체유 40∼6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매체유는 C중유, 폐식용유, 폐광물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단계에서 혼합비율은 수분과 유분이 분리된 하수슬러지 분말 75∼90중량%에 탄소 첨가제 10∼2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소 첨가제는 무연탄, 유연탄, 열처리 유연탄, 페트로 코크스(Petro cokes)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슬러지에서 분리된 유분(oil)은 저장용기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기름 공급탱크로 공급되어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물을 성형하는 압출성형기는, 바렐(barrel)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루(screw)로 반죽물을 압축 및 이송하여 컨베이어(Conveyer)를 통해 배출하면서 절단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완성된 연료탄의 발열량은 4,000Kcal/Kg 이상이고, 고정탄소 20%이상, 휘발성분 50%이하, 회분 35%이하, 수분 10%이하, 시안화합물 1.0mg/L이하, 구리 3.0mg/l이하, 카드뮴 0.3mg/l이하, 수은 0.005mg/l이하, 비소 1.5mg/l이하, 납 3.0mg/l이하, 6가크롬 1.5mg/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0154A KR101433141B1 (ko) | 2013-10-30 | 2013-10-30 |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0154A KR101433141B1 (ko) | 2013-10-30 | 2013-10-30 |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3141B1 true KR101433141B1 (ko) | 2014-09-25 |
Family
ID=5175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0154A KR101433141B1 (ko) | 2013-10-30 | 2013-10-30 |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3141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410B1 (ko) * | 2015-08-19 | 2016-03-11 | 동원소텍주식회사 | 음식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방법 |
KR101605788B1 (ko) | 2015-07-02 | 2016-03-23 | 한태우 | 슬러지 펠렛화 장치 |
KR101656838B1 (ko) | 2016-02-04 | 2016-09-12 | 우인구 |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
KR101761372B1 (ko) * | 2015-03-06 | 2017-07-25 | 이경주 | 유기성 물질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형연료 |
KR20180025326A (ko) | 2016-08-29 | 2018-03-09 |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 하폐수 슬러지 처리 장치 및 하폐수 슬러지 처리 방법 |
CN107916155A (zh) * | 2017-11-23 | 2018-04-17 | 大连东泰产业废弃物处理有限公司 | 一种用废墨粉与废白油制备rdf的方法 |
KR102014980B1 (ko) | 2019-04-04 | 2019-08-27 | (주)엔키이앤씨 | 하수 슬러지를 포함하는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
CN110358581A (zh) * | 2019-08-16 | 2019-10-22 | 陕西延长石油(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含水油渣造粒再热解气化的装置及方法 |
KR102008106B1 (ko) | 2018-12-07 | 2019-10-23 | 장미희 | 하수슬러지 고형재 제조방법 |
KR102301690B1 (ko) | 2021-06-21 | 2021-09-13 | 케이씨그린에너지 주식회사 |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방법 |
KR102301692B1 (ko) | 2021-06-21 | 2021-09-14 | 케이씨그린에너지 주식회사 | 디스크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6883A (ko) * | 2005-12-21 | 2006-01-2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고체연료제조장치 |
KR101051093B1 (ko) | 2009-09-02 | 2011-07-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상압에서 유중증발기술을 이용한 고함수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
-
2013
- 2013-10-30 KR KR1020130130154A patent/KR1014331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6883A (ko) * | 2005-12-21 | 2006-01-2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고체연료제조장치 |
KR101051093B1 (ko) | 2009-09-02 | 2011-07-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상압에서 유중증발기술을 이용한 고함수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1372B1 (ko) * | 2015-03-06 | 2017-07-25 | 이경주 | 유기성 물질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형연료 |
KR101605788B1 (ko) | 2015-07-02 | 2016-03-23 | 한태우 | 슬러지 펠렛화 장치 |
KR101602410B1 (ko) * | 2015-08-19 | 2016-03-11 | 동원소텍주식회사 | 음식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방법 |
KR101656838B1 (ko) | 2016-02-04 | 2016-09-12 | 우인구 |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
KR20180025326A (ko) | 2016-08-29 | 2018-03-09 |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 하폐수 슬러지 처리 장치 및 하폐수 슬러지 처리 방법 |
CN107916155A (zh) * | 2017-11-23 | 2018-04-17 | 大连东泰产业废弃物处理有限公司 | 一种用废墨粉与废白油制备rdf的方法 |
KR102008106B1 (ko) | 2018-12-07 | 2019-10-23 | 장미희 | 하수슬러지 고형재 제조방법 |
KR102014980B1 (ko) | 2019-04-04 | 2019-08-27 | (주)엔키이앤씨 | 하수 슬러지를 포함하는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
CN110358581A (zh) * | 2019-08-16 | 2019-10-22 | 陕西延长石油(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含水油渣造粒再热解气化的装置及方法 |
KR102301690B1 (ko) | 2021-06-21 | 2021-09-13 | 케이씨그린에너지 주식회사 |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방법 |
KR102301692B1 (ko) | 2021-06-21 | 2021-09-14 | 케이씨그린에너지 주식회사 | 디스크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3141B1 (ko) |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
KR101539224B1 (ko) | 바이오메스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 |
CN101121905B (zh) | 利用食物垃圾和废合成树脂制造固体燃料的制造方法及其装置 | |
KR20100112802A (ko) |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신재생연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93642B1 (ko) |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014980B1 (ko) | 하수 슬러지를 포함하는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 |
KR100847247B1 (ko) |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 | |
JP2010534121A (ja) | 固形ごみを徹底してリサイクル利用する処理方法 | |
KR101592937B1 (ko) | 하수슬러지를 포함하는 연료탄 | |
KR101584621B1 (ko) | 하수슬러지를 연료화하기 위한 혼합건조장치 및 하수슬러지 연료탄의 제조방법 | |
JP4845423B2 (ja) | 廃棄物の炭化物と繊維含有バイオマス・プラスチックの混合燃料の製造方法及び装置 | |
JPH0543884A (ja) | ゴミ再生処理方法 | |
KR101860041B1 (ko) | 하이브리드 슬러지 연료탄 생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34667B1 (ko) |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화 보조연료의 제조방법 | |
CN101781594B (zh) | 一种将固体垃圾转变为燃料或能量的方法及装置 | |
CN206927865U (zh) | 基于高压挤压分离技术的rdf制作系统 | |
KR20130034555A (ko) |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화 보조연료의 제조방법 | |
KR101326223B1 (ko) | 팜 폐기물을 이용한 성형 탄 제조방법 | |
JP2013035919A (ja) | 固形燃料の製造方法 | |
JP2019147881A (ja) | 汚泥燃料化装置、汚泥燃料化システム、汚泥燃料活用型工場および固形燃料の製造方法 | |
KR20030076814A (ko) |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시스템 | |
KR100417983B1 (ko) |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 |
KR101530552B1 (ko) | 왕겨분말과 제지슬러지를 혼합하여 제조된 고형연료 | |
CN207918653U (zh) | 一种污泥干化热解的一体化无害化终极处置装置 | |
CN111548838A (zh) | 一种餐厨垃圾燃料球及其制作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