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788B1 - 슬러지 펠렛화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펠렛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788B1
KR101605788B1 KR1020150094575A KR20150094575A KR101605788B1 KR 101605788 B1 KR101605788 B1 KR 101605788B1 KR 1020150094575 A KR1020150094575 A KR 1020150094575A KR 20150094575 A KR20150094575 A KR 20150094575A KR 101605788 B1 KR101605788 B1 KR 10160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hot air
water content
pellets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우
Original Assignee
한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우 filed Critical 한태우
Priority to KR1020150094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B01F7/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펠렛 성형기에 커터를 결합하여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어긋나게 배열된 열풍기가 왕복 회전 운동하여 펠렛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가 개시된다.
일 예로,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하시키는 교반기,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를 펠렛으로 성형하는 성형기 및 펠렛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열풍을 방출하여 펠렛을 건조시키는 다수의 열풍기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슬러지 펠렛화 장치 {Pelletizing Sludge Machine}
본 발명은 회전하는 커터로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어긋나게 배열된 열풍기가 왕복 회전 운동하여 펠렛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는 하수 처리 또는 정수 과정에서 발생한 침전물이다. 이러한 슬러지는 높은 수분을 포함하고, 심한 악취를 발생시켜 보관이나 운송 등의 취급이 까다롭고 어렵다. 또한, 슬러지를 그대로 방출시킬 경우, 인근 지역의 수질이 심하게 오염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대부분의 슬러지는 매립, 소각 또는 해양 투기 등의 방법으로 폐기되고 있었다. 하지만, 슬러지를 매립하여 폐기할 경우, 우선 매립지 확보가 필수적인데, 지역 주민의 반대로 매립지 확보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매립 단가가 급격히 증가하고, 매립된 슬러지로부터 침출수가 누출되어 주변 토양이 황폐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러지를 소각하여 폐기할 경우, 슬러지 전용 소각로를 설치하기 위한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이 필요하고, 소각 장치의 운전 및 시설 관리를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소각 처리를 위해 석탄이나 석유 등 1차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므로, 많은 유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해수 및 해양 자원을 오염시켜 자연 생태계를 파괴하는 해양 투기가 법으로 금지됨으로써, 슬러지를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슬러지를 펠렛화 하여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하시키고,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슬러지의 보관 또는 운송을 용이하게 하고, 슬러지를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펠렛 성형기에 커터를 결합하여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어긋나게 배열된 열풍기가 왕복 회전 운동하여 펠렛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하시키는 교반기,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를 펠렛으로 성형하는 성형기 및 펠렛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열풍을 방출하여 펠렛을 건조시키는 다수의 열풍기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기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교차된 방향에서 나열되어 하나의 열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열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교차된 방향에서 평행이동된 형상인 다른 열이 상기 하나의 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서 이격된 배치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기는 상기 하나의 열에 나열된 각 열풍기 사이로 이송되어 열풍에 노출되지 못한 펠렛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상기 다른 열들의 열풍기에 의해 열풍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기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교차된 방향에서 나열되어 형성된 각 열의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왕복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함수율이 5 내지 15%인 슬러지를 교반하여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45 내지 50%로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기는 일면에 회전을 통해 펠렛을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는 회전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기는 목재의 연소에 의한 열을 공급받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는 하나의 건조기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서 평행이동된 형상이 좌우반전된 형상인 다른 건조기가 상기 하나의 건조기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배치가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펠렛화 장치는 성형기에 회전하는 커터를 결합함으로써,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고, 커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거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펠렛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펠렛화 장치는 건조기의 열풍기를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컨베이어 이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모든 펠렛이 열풍에 노출되도록 하고, 열풍기를 컨베이어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시켜, 펠렛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연속적으로 열풍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펠렛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교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성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성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열풍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열풍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열풍기의 초기 상태의 기어 결합 및 그에 따른 회전 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열풍기가 회전한 상태의 기어 결합 및 그에 따른 회전 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러지 펠렛화 장치(100)는 교반기(110), 성형기(120) 및 건조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기(110)는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에 함수율이 낮은 슬러지를 교반하여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교반기(110)에서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는 상기 성형기(120)로 이송된다. 상기 성형기(120)는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를 펠렛으로 성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성형기(120)에서 성형된 펠렛은 상기 건조기(130)로 이송된다. 상기 건조기(130)는 펠렛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슬러지가 펠렛화 된다.
이하, 상기 교반기(100), 성형기(120) 및 건조기(130)의 구성에 대해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교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기(110)는 상측의 교반기 투입구(111a)와 하측의 교반기 배출구(111b)를 구비한 교반기 하우징(111) 및 프로펠러(112)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기 투입구(111a)로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가 투입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교반기 투입구(111a)로 함수율이 낮은 슬러지도 투입된다.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는 함수율이 낮은 슬러지와 교반되어 함수율이 저하된다. 상기 프로펠러(112)는 회전을 통해 슬러지의 교반 작용을 촉진시키고, 슬러지가 균일하게 교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는 상기 교반기 배출구(111b)로 배출된다.
슬러지의 초기 함수율이 높은 경우, 수분에 의해 슬러지의 무게가 증가하고, 펠렛을 완전히 건조시키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교반기(110)는 슬러지의 초기 함수율을 저하시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슬러지의 초기 함수율을 저하시키기 위해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와 톱밥을 교반하는 방안이 있다. 다만, 이에 의하면 톱밥 처리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슬러지 이외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펠렛의 품질 또는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상기 교반기(110)는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와 함수율이 낮은 슬러지를 교반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의 함수율은 75 내지 85%일 수 있다. 이는, 하수 처리 또는 정수 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가 별도의 처리를 거치지 않은 경우의 평균 함수율이 약 80%이기 때문이다.
또한, 함수율이 낮은 슬러지의 함수율은 5 내지 15%일 수 있다. 함수율이 5% 이상인 경우, 낮은 함수율의 슬러지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함수율이 15% 이하인 경우, 동일한 함수율 저하 효과를 위해 투입해야 되는 슬러지의 양이 감소하여 이에 의한 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동일한 양의 슬러지를 투입하였을 때 함수율 저하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함수율이 낮은 슬러지의 함수율이 5 내지 15%인 경우, 비용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만큼의 함수율 저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의 함수율은 45 내지 50%일 수 있다. 함수율이 45% 이상인 경우,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하시키는 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수분에 의한 슬러지의 유동성 또는 변형률을 유지하여 펠렛으로 성형할 때 가공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함수율이 50% 이하인 경우, 초기 함수율을 저하시키는 본래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고, 펠렛을 완전히 건조시키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의 함수율이 45 내지 50%인 경우, 비용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만큼의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성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성형기(120)는 성형기 투입구(121a)와 성형기 배출구(121b)를 구비한 성형기 하우징(121) 및 프레서(122)를 포함하는 링 다이 펠렛 머신(Ring Die Pellet Machine)으로서, 커터(1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성형기 투입구(121a)로 상기 교반기(110)에서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가 투입된다. 상기 성형기 배출구(121b)는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의 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서(122)는 롤러 형상으로,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가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의 내측면과 상기 프레서(122) 사이에서 압착되어, 상기 성형기 배출구(121b)로 배출된다. 이때,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는 상기 성형기 배출구(121b) 형상을 단면 형상으로 갖도록 연장된 펠렛으로 성형된다.
상기 커터(123)는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커터(123)는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레서(122)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가 배출되면서 펠렛으로 성형되는 속도도 일정하며, 상기 커터(123)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결국 펠렛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다.
펠렛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펠렛을 건조시킬 때 균일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펠렛의 신뢰성도 일정하지 않아 펠렛의 품질 또는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성형기(120)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커터(123)를 통해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커터(123)는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펠렛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터(123)를 빠르게 회전시켜 펠렛의 길이를 짧게 절단할 수 있고, 상기 커터(123)를 느리게 회전시켜 펠렛의 길이를 길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123)의 개수를 조절하여 펠렛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커터(123)의 개수를 늘려 펠렛의 길이를 짧게 절단할 수 있고, 상기 커터(123)의 개수를 줄여 펠렛의 길이를 길게 절단할 수 있다. 이때, 펠렛의 길이를 일정하게 절단하기 위해 각 커터(123) 간의 각도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터(123)는 펠렛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성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성형기(220)는 플랫 다이 펠렛 머신(Flat Die Pellet Machine)으로서, 펠렛을 성형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의 성형기(120)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구성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성형기 배출구(221b)는 성형기 하우징(221)의 하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커터(223)는 상기 성형기 하우징(221)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커터(123)는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성형기 하우징(121)의 하면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펠렛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다.
상기 커터(223)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의 커터(123)와 같이 회전 속도 또는 개수를 조절하여 펠렛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펠렛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건조기(130)는 컨베이어(131) 및 열풍기(132)를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131)의 일측으로 상기 성형기(120)에서 성형된 펠렛이 이송된다. 상기 컨베이어(131)는 펠렛을 도 5를 기준으로 Y축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131)의 타측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열풍기(132)는 상단에 열풍 발생 장치, 열풍 호스 또는 열풍 분사 노즐 등(미도시)이 연결되어 열풍을 공급받고, 하단으로 열풍을 방출하여 펠렛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열풍기(132)는 상단으로부터 우드 펠렛(Wood Pellet)의 연소에 의한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펠렛을 건조하기 위해 전기로 열풍을 생성하거나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이용하는 방안 등이 있다. 다만, 전기로 열풍을 생성하면 전기 사용에 따른 비용에 의해 슬러지를 펠렛화 하는 전체 비용도 증가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면 슬러지가 금속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상기 열풍기(132)는 비교적 저렴한 우드 펠렛의 연소에 의한 열풍을 공급받아 방출하므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열풍기(132)는 Z축 방향에서 상기 컨베이어(13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열풍기(132)는 각 열풍기가 X축 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나열되어, 하나의 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열풍기(132)는 각 열풍기 열이 Y축 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하, 편의상 X축 방향에서 나열된 하나의 열을 제1열(132a)이라 하고, Y축 방향에서 상기 제1열(132a)로부터 이격된 인접한 다른 열을 제2열(132b)이라 하고, Y축 방향에서 상기 제2열(132b)로부터 이격된 인접한 또 다른 열을 제3열(132c)이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열풍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열(132a), 제2열(132b) 및 제3열(132c)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열(132b)은 상기 제1열(132a)을 X축 방향에서 D2만큼 평행 이동시킨 형상과 같다. 또한, 상기 제3열(132c)은 상기 제2열(132b)을 X축 방향에서 D3만큼 평행 이동시킨 형상과 같다. 이때, 상기 제1열(132a)의 각 열풍기 간의 인접 거리를 D1이라 하면, D2와 D3의 합은 D1과 같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열(132a)의 각 열풍기 사이(D1에 해당하는 구역)의 하단을 통과하여 상기 제1열(132a)로 부터 열풍에 노출되지 못한 펠렛이 상기 제2열(132b) 또는 제3열(132c)의 하단을 통과함으로써, X축 방향의 모든 펠렛이 빈틈없이 열풍에 노출될 수 있다.
각 열풍기 열이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된 경우, 각 열풍기 사이의 하단을 통과하여 한 번 열풍에 노출 되지 못한 펠렛은 계속 열풍에 노출되지 못하므로,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펠렛의 품질, 활용도 또는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상기 건조기(130)는 상기 열풍기(132)의 각 열(132a, 132b, 132c)을 X축 방향에서 평행 이동시킨 형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 내지 6에서는 상기 열풍기(132)의 각 열(132a, 132b, 132c)이 3개의 열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반복되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필요에 따라 2개, 4개 또는 5개 이상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반복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열풍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열풍기(232)는 각 열풍기 열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Y-Z평면상에서 θ만큼 좌우로 왕복 회전한다. 상기 열풍기(232)는 각 열풍기 열의 일단에 결합된 기어에 의해 좌우로 왕복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열풍기가 고정된 경우, 펠렛이 각 열풍기 열 사이(L에 해당하는 구역)의 하단을 통과할 때에는 열풍에 노출되지 못하므로, 펠렛이 단발적으로 열풍에 노출되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상기 열풍기(232)는 좌우로 왕복 회전하므로 펠렛이 연속적으로 열풍에 노출되어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펠렛이 연속적으로 열풍에 노출되기 위해 적정한 θ의 최소값은 tan-1([L/2]/[상기 열풍기(232)가 Z축 방향에서 이격된 높이])로 정해질 수 있으며, θ는 약 30°일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열풍기의 초기 상태의 기어 결합 및 그에 따른 회전 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열풍기가 회전한 상태의 기어 결합 및 그에 따른 회전 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각 열풍기 열의 일단에는 앵커(233)가 결합된다. 상기 앵커(233)의 일단은 기어(234)와 연결된다. 상기 기어(234)가 회전하면, 기어 이(teeth)(234a)가 상기 앵커(23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열풍기(232)가 회전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열풍기(232)는 지면과 수직인 선(V)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θ만큼 회전된 상태로 초기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어(23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기어(234)와 연결된 상기 앵커(23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233)와 결합된 상기 열풍기(2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234)가 회전하여 상기 기어 이(234a)의 일단과 상기 앵커(233)의 일단이 접할 때, 상기 앵커(233)는 최대 지점에 위치하고, 지면과 수직인 선(V)에서 시계 방향으로 2θ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풍기(232)는 초기에 지면과 수직인 선(V)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θ만큼 회전된 상태였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2θ만큼 회전한 결과, 지면과 수직인 선(V)에서 시계 방향으로 θ만큼 회전된다.
상기 기어(234)가 더 회전하여 상기 기어 이(234a)의 일단과 상기 앵커(233)가 더 이상 접하지 않게 되면, 상기 앵커(233) 및 열풍기(232)는 원위치된다. 즉, 상기 열풍기(232)는 지면과 수직인 선(V)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θ만큼 회전된 초기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다음 기어 이(234a)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이 반복되며, 이를 통해 상기 열풍기가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열풍기 열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Y-Z평면상에서 θ만큼 좌우로 왕복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향(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설정한 방향에 불과하며, 기어 결합 또한 상기 열풍기(232)의 왕복 회전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로서, 상기 열풍기(232)의 왕복 회전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의 구성으로 얼마든지 채택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에서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건조기(3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펠렛화 장치의 건조기(130)를 Y축 방향에서 평행 이동시킨 후 좌우를 반전시킨 형상이 Z축 방향에서 이격되어 반복하여 배치된 형상이다. 따라서, 하나의 건조기(130)에 의해 건조된 펠렛이 아래에 있는 다른 건조기(130)로 낙하하여 재차 건조된다.
상기 건조기(330)는 일정한 공간 내에서 펠렛을 열풍에 여러번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장의 공간 활용도 및 펠렛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펠렛화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슬러지 펠렛화 장치
110; 교반기
111; 교반기 하우징
112; 프로펠러
120, 220; 성형기
121, 221; 성형기 하우징
122; 프레서
123, 223; 커터
130, 330; 건조기
131; 컨베이어
132, 232; 열풍기

Claims (10)

  1.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하시키는 교반기;
    함수율이 저하된 슬러지를 펠렛으로 성형하는 성형기; 및
    펠렛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되는 면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열풍을 방출하여 펠렛을 건조시키는 다수의 열풍기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교차된 방향에서 나열되어 하나의 열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열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교차된 방향에서 평행이동된 형상인 다른 열이 상기 하나의 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서 이격된 배치가 반복되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는 상기 하나의 열에 나열된 각 열풍기 사이로 이송되어 열풍에 노출되지 못한 펠렛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상기 다른 열의 열풍기에 의해 열풍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슬러지 펠렛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교차된 방향에서 나열되어 형성된 각 열의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왕복회전하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함수율이 5 내지 15%인 슬러지를 교반하여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하시키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45 내지 50%로 저하시키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는 일면에 회전을 통해 펠렛을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회전 속도가 가변되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는 목재의 연소에 의한 열을 공급받아 방출하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하나의 건조기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서 평행이동된 형상이 좌우반전된 형상인 다른 건조기가 상기 하나의 건조기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배치가 반복되는 슬러지 펠렛화 장치.
KR1020150094575A 2015-07-02 2015-07-02 슬러지 펠렛화 장치 KR10160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75A KR101605788B1 (ko) 2015-07-02 2015-07-02 슬러지 펠렛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75A KR101605788B1 (ko) 2015-07-02 2015-07-02 슬러지 펠렛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788B1 true KR101605788B1 (ko) 2016-03-23

Family

ID=5564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575A KR101605788B1 (ko) 2015-07-02 2015-07-02 슬러지 펠렛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7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41B1 (ko) 2013-10-30 2014-09-25 주식회사 건민이앤씨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KR101481947B1 (ko) * 2014-10-29 2015-01-14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형연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41B1 (ko) 2013-10-30 2014-09-25 주식회사 건민이앤씨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KR101481947B1 (ko) * 2014-10-29 2015-01-14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형연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69743A1 (en) Methods for removing overspray from air flow exiting painting booths
KR10059120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101870548A (zh) 一种污泥搅拌造粒回转干燥装置
KR101814123B1 (ko) 폐기물 복합 자원화 방법과 장치
KR101481947B1 (ko)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형연료
CN103570214A (zh) 移动型螺杆脱水设备
JP2010203660A (ja) 連続式乾燥装置
KR101387011B1 (ko)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KR101261021B1 (ko)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JP2009216351A (ja) 木屑と有機廃棄物を燃料とする熱風発生装置
KR101865670B1 (ko) 정수 및 하수오니 건조시스템
KR101605788B1 (ko) 슬러지 펠렛화 장치
KR20150111125A (ko) 슬러지의 자원화 시스템 및 자원화 방법
KR101765117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1656838B1 (ko)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KR102071788B1 (ko) 슬럿지 처리장치
CN102211846A (zh) 干燥机
CN208120979U (zh) 一种新型组合式高效生石灰消化装置
CN102728265B (zh) 一种振动混合筛及使用该振动混合筛的混合系统
KR102055099B1 (ko) 저온열풍과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방법
KR101413641B1 (ko) 화력발전소의 과열 증기를 활용한 석탄 건조시스템
JP6527014B2 (ja) 汚泥脱水乾燥システム
KR101555575B1 (ko) 슬러지의 연소열을 이용한 슬러지의 자원화 시스템 및 자원화 방법
KR101638476B1 (ko) 탈수식 분뇨 연료화 장치
KR20120126830A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