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247B1 -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7247B1 KR100847247B1 KR1020070019324A KR20070019324A KR100847247B1 KR 100847247 B1 KR100847247 B1 KR 100847247B1 KR 1020070019324 A KR1020070019324 A KR 1020070019324A KR 20070019324 A KR20070019324 A KR 20070019324A KR 100847247 B1 KR100847247 B1 KR 1008472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sewage
- wastewater sludge
- wastewater
- solid fue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449 solid propel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099 solid for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HGUFODBRKLSHSI-UHFFFAOYSA-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Chemical compound O1C2=CC(Cl)=C(Cl)C=C2OC2=C1C=C(Cl)C(Cl)=C2 HGUFODBRKLSHSI-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abstract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01 petroleum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2—Molding or moul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탈수하여 730~750℃ 온도에서 건조하여 악취를 제거한 연소열량 1000~2000㎉/㎏ 의 분말슬러지 50~60중량% 와 연소열량 3000㎉/㎏ 인 목재분쇄물, 파쇄한 농업부산물 30~35중량% 에 연소열량 9,900㎉/㎏ 인 석유피치 10~15중량% 를 가열하여 용융상태에서 혼합하여 연소열량 6000~7000㎉/㎏ 의 고열량인 고형연료로 성형시켜서 된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하여 목재분쇄물 및 파쇄된 농업부산물과 석유피치를 혼합하여 고열량의 고형연료로 제조 할 수가 있는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하수처리장에서 하루평균 7.052톤의 하수슬러지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중 대부부분인 77%를(5.423톤/일) 해양에 배출하고 있고 소각 11%, 재활용 11%, 육상매립 1%로 처리하고 있다. 해양배출과 육상매립을 대체할 처리공법으로 소각, 토지개량제, 시멘트원료화, 비료화가 있으나 소각은 기술적 안정성은 있으나 공해요인으로 인해 민원발생과 처리비용이 고가이고, 토지개량제는 부숙토, 녹생토 등으로 토지개량제, 도로경사면 등 녹화에 쓰이고 있으나 수요처 확보에 한계가 있고, 시멘트원료화는 시멘트소성로에서 대량처리가 가능하나 인접지역 주민의 민원이 크고, 비료화는 비료관리법에 의해 하수슬러지의 비료화가 원천금지 되 고 있어서 대량처리가 곤란한 실정이다.
또한 하수 및 폐수슬러지는 악취가 나고 하수의 지역과 폐수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수분을 제거한 건조슬러지의 연소열량이 1000~2000㎉/㎏ 정도로 낮아서 건조슬러지 만으로는 연료로 사용하기가 비효율적이고 또한 하수 및 폐수슬러지에는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어서 연소시에는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 및 폐수슬러지의 연소열량을 대폭 높여서 연소시의 연소온도를 1100℃ 이상이 되게 연소시키면 슬러지 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중금속이 완전 연소가 되어 다이옥신이 발생하지 아니한다는데 착안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연소열량을 최대한으로 높이고져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탈수하여 730~750℃ 온도에서 건조하여 악취를 제거한 연소열량 1000~2000㎉/㎏ 의 분말슬러지 50~60중량% 와 연소열량 3000㎉/㎏ 인 목재분쇄물, 파쇄한 농업부산물 30~35중량% 에 연소열량 9,900㎉/㎏ 인 석유피치 10~15중량% 를 가열하여 용융상태에서 혼합하여 연소열량 6000~7000㎉/㎏ 의 고열량인 고형연료로 성형하는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탈수하여 수분을 최대한으로 걸러 낸후 건조기에서 730~750℃ 온도로 건조하여 악취를 제거한 분말슬러지 50~60중량% 와 톱밥, 폐목재를 분쇄한 목재분쇄물 또는 왕겨, 볏집 등을 파쇄한 농업부산물 30~35중량% 를 석유로부터 정제물을 빼낸 나머지 찌거기인 피치(Pitch) 10~15중량% 를 가열하여 용융상태에서 믹서기로 혼합하여 고형성형기로 일정크기의 고형연료를 성형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성형된 본 발명의 고형원료는 연소열량 1000~2000㎉/㎏ 으로 연소열량이 낮은 분말슬러지와 연소열량 3000㎉/㎏ 의 목재분쇄물 및 파쇄한 농업부산물에 연소열량 9,900㎉/㎏ 인 석유피치를 가열하여 용융상태에서 혼합하여 일정크기로 성형시키므로서 분말슬러지와 목재분쇄물, 농업부산물이 용융된 피치와 함께 균일하게 혼합이 되어 연소열량 6000~7000㎉/㎏ 인 고열량의 고형연료로 제조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소열량 6000~7000㎉/㎏ 의 고열량 고체연료에는 함량 50~60중량% 의 하수 및 폐수슬러지가 주원료로 존재하고 있고 이 하수 및 폐수슬러지에는 중금속이 함유하고 있어서 연소시 다이옥신이 발생 할수 있으므로 연소온도 1100℃ 이상으로 사용하는 공업용보일러 또는 소각로 등의 연료로 사용하면 다이옥신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고온연소용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악취가 나고 연소열량이 1000~2000㎉/㎏ 정도로 열량이 낮고 내부에는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어서 연료로 사용하기가 부적절한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탈수하여 730~750℃ 온도에서 건조하여 악취를 제거한 분말슬러지 50~60중량% 와 연소열량 3000㎉/㎏ 인 목재분쇄물, 파쇄한 농업부산물 30~35중량% 에 연소열량 9,900㎉/㎏ 인 석유피치를 10~15중량% 를 가열하여 용융상태에서 혼합하여 연소열량 6000~7000 ㎉/㎏ 의 고열량 고형원료로 제조하는 것이다.
Claims (1)
-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탈수하여 수분을 최대한으로 걸러 낸후 건조기에서 730~750℃ 온도로 건조하여 악취를 제거한 분말슬러지 50~60중량% 와 톱밥, 폐목재를 분쇄한 목재분쇄물 또는 왕겨, 볏집 등을 파쇄한 농업부산물 30~35중량% 를 석유로부터 정제물을 빼낸 나머지 찌거기인 피치(Pitch) 10~15중량% 를 가열하여 용융상태에서 믹서기로 혼합하여 고형성형기로 일정크기의 고형연료를 성형시켜서 된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9324A KR100847247B1 (ko) | 2007-02-27 | 2007-02-27 |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9324A KR100847247B1 (ko) | 2007-02-27 | 2007-02-27 |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7247B1 true KR100847247B1 (ko) | 2008-07-18 |
Family
ID=3982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9324A KR100847247B1 (ko) | 2007-02-27 | 2007-02-27 |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7247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37784B (zh) * | 2010-01-08 | 2011-06-29 | 东南大学 | 利用炉排炉混合焚烧农林废弃物、污泥及生活垃圾的方法 |
EP2514806A1 (en) * | 2011-03-28 | 2012-10-24 | Uniwersytet Technologiczni-Przyrodniczy Im. Jana I Jedrzeja Sniadeckich W Bydgoszcz | The way of thermal utilization of mixture of dried sewage sediment with biomass through gasification |
KR101227952B1 (ko) * | 2011-05-31 | 2013-02-07 |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 유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및 방법 |
KR101279045B1 (ko) | 2012-04-19 | 2013-07-02 |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 왕겨와 염색슬러지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 및 그 제조방법 |
KR101279043B1 (ko) | 2012-04-19 | 2013-07-02 |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 왕겨숯과 염색슬러지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106563A (ko) * | 2014-03-12 | 2015-09-22 | 김장섭 | 하수슬러지를 포함하는 연료탄 |
KR101801346B1 (ko) * | 2015-07-30 | 2017-11-27 | 민영린 | 유기성 및 무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에너지 절약형 건축 및 건설자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이용된 제조시스템 |
CN109761470A (zh) * | 2017-11-06 | 2019-05-17 | 北京恒净新宇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含油污泥减量化处理方法 |
KR102014980B1 (ko) | 2019-04-04 | 2019-08-27 | (주)엔키이앤씨 | 하수 슬러지를 포함하는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
-
2007
- 2007-02-27 KR KR1020070019324A patent/KR1008472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37784B (zh) * | 2010-01-08 | 2011-06-29 | 东南大学 | 利用炉排炉混合焚烧农林废弃物、污泥及生活垃圾的方法 |
EP2514806A1 (en) * | 2011-03-28 | 2012-10-24 | Uniwersytet Technologiczni-Przyrodniczy Im. Jana I Jedrzeja Sniadeckich W Bydgoszcz | The way of thermal utilization of mixture of dried sewage sediment with biomass through gasification |
KR101227952B1 (ko) * | 2011-05-31 | 2013-02-07 |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 유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및 방법 |
KR101279045B1 (ko) | 2012-04-19 | 2013-07-02 |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 왕겨와 염색슬러지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 및 그 제조방법 |
KR101279043B1 (ko) | 2012-04-19 | 2013-07-02 |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 왕겨숯과 염색슬러지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106563A (ko) * | 2014-03-12 | 2015-09-22 | 김장섭 | 하수슬러지를 포함하는 연료탄 |
KR101592937B1 (ko) * | 2014-03-12 | 2016-02-11 | 김장섭 | 하수슬러지를 포함하는 연료탄 |
KR101801346B1 (ko) * | 2015-07-30 | 2017-11-27 | 민영린 | 유기성 및 무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에너지 절약형 건축 및 건설자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이용된 제조시스템 |
CN109761470A (zh) * | 2017-11-06 | 2019-05-17 | 北京恒净新宇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含油污泥减量化处理方法 |
KR102014980B1 (ko) | 2019-04-04 | 2019-08-27 | (주)엔키이앤씨 | 하수 슬러지를 포함하는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7247B1 (ko) | 하수 및 폐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고형원료의 제조방법 | |
KR101539224B1 (ko) | 바이오메스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 |
CN101503643B (zh) | 一种污泥干化固体燃料 | |
KR101433141B1 (ko) |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 |
KR101876555B1 (ko) | 제지슬러지와 커피찌꺼기를 주원료로 하는 고형연료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592937B1 (ko) | 하수슬러지를 포함하는 연료탄 | |
KR20070076557A (ko) | 하수 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 및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고체연료의 제조방법 | |
KR100918945B1 (ko) | 슬러지 연료화 촉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슬러지 고형연료 | |
CN101070219A (zh) | 一种淤泥处理方法 | |
KR101584621B1 (ko) | 하수슬러지를 연료화하기 위한 혼합건조장치 및 하수슬러지 연료탄의 제조방법 | |
KR101334667B1 (ko) |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화 보조연료의 제조방법 | |
KR100754440B1 (ko) | 유기슬러지와 폐유를 이용한 재생연료 제조장치 | |
KR20130034555A (ko) |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화 보조연료의 제조방법 | |
JP6025540B2 (ja) | りん酸肥料の製造方法 | |
KR101530552B1 (ko) | 왕겨분말과 제지슬러지를 혼합하여 제조된 고형연료 | |
KR100417983B1 (ko) |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 |
KR102018120B1 (ko) | 분진 및 비산재 처리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연료 | |
WO2009093926A1 (ru) | Переработка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в углеродсодержащие формовки | |
KR100319803B1 (ko) | 오니탄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042619B1 (ko) |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압축성형 숯연료 제조방법 | |
TWI604042B (zh) | Sludge derived fuel | |
CN101717679A (zh) | 污泥合成燃料的生产工艺 | |
KR20160096404A (ko) | 고체 연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JP5349786B2 (ja) | 脱水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 |
CN109504485A (zh) | 利用污水厂污泥制备的固体燃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