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020B1 -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020B1
KR101433020B1 KR20130097784A KR20130097784A KR101433020B1 KR 101433020 B1 KR101433020 B1 KR 101433020B1 KR 20130097784 A KR20130097784 A KR 20130097784A KR 20130097784 A KR20130097784 A KR 20130097784A KR 101433020 B1 KR101433020 B1 KR 101433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der
injection mold
sunroof frame
wi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 크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크라텍 filed Critical (주) 크라텍
Priority to KR2013009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020B1/ko
Priority to PCT/KR2014/007645 priority patent/WO2015026118A1/ko
Priority to US14/912,154 priority patent/US20160193762A1/en
Priority to CN201480056209.8A priority patent/CN10582905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2Wind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루프 프레임을 성형하는 사출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와이어파이프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사출금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후진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지지대와,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 각각의 후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전후진하면서 상부 및 하부지지대를 동시에 전후진 직선이동시키는 이동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전방 상측과 하측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서로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파이프의 단부가 끼워지는 파이프끼움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의 전후진 직선이동에 따라 상호 반대로 승강되면서 서로 이격되거나 밀착되는 상부 및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와어어파이프 단부가 노출되는 구조 등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선루프프레임을 용이하게 사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Pipe holding device for mold of sunroof frame}
본 발명은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선루프프레임을 사출 성형할 수 있게 하는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선루프프레임(F)에는 도어의 개폐 및 디플렉터의 작동을 위해서, 전동모터에 의해 전후진되는 구동와이어를 감싸 보호하는 와이어파이프(P)가 선루프프레임(F)에 일체로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파이프(P)를 선루프 프레임(F)에 구성하는 종래의 일 방식으로는 먼저 선루프 프레임에 와이어파이프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게 사출성형을 한 후에, 별도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 와이어파이프를 끼워서 조립시키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방식의 경우에는 프레임의 사출성형 공정 후에 와이어파이프를 별도로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조립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끼움홈에 와이어파이프가 끼워지는 조립구조이므로 끼움홈과 와이어파이프 사이에 유격이 생길 수 밖에 없어 고속주행시 와이어파이프의 떨림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방식으로는, 일 예로서 선행문헌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4954호를 통해 제안된 것과 같은 별도의 파이프 고정장치 등을 통해 사출금형에 와이어파이프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용융수지를 사출금형의 성형홈부에 주입함으로써 와이어파이프(P)가 일체화된 프레임을 사출 성형하는 방식이 있으며, 이와 같이 와이어파이프(P)와 프레임(F)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방식의 경우 전술한 조립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루프프레임에서 와이어파이프(P)의 단부가 도 8의 확대도에 일 예로서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F)의 외형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거나 또는 와어어파이프(P) 단부 주변형상이 상하 대칭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비대칭의 특정 형태인 경우 등에 있어서는, 와이어파이프(P)를 사출금형에 단순히 고정하는 구조만으로는 와이어파이프(P)와 프레임(F)을 일체로 사출성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 사출금형의 좌우 한 쌍의 금형 중 어느 한쪽 금형에 상기 와이어파이프(P)의 단부를 밀폐시키거나 특정형상으로 공간을 차지하는 구성부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부분이 어느 한쪽 금형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출 후 좌우 금형이 벌어지면서 사출된 선루프 프레임(F)을 밀어내 금형에서 이탈시킬 때 상기 와이어파이프(2)가 상기 구성부분에 걸리게 되면서 파손이 되므로 원활한 사출금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금형에 장착되어 사출성형시에는 금형에 고정된 와이어파이프의 단부를 밀폐시킴과 함께 성형 후 프레임을 금형에서 이탈시킬 때는 개방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선루프프레임을 용이하게 사출 성형할 수 있게 하는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선루프 프레임을 성형하는 사출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와이어파이프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사출금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후진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지지대와,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 각각의 후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전후진하면서 상부 및 하부지지대를 동시에 전후진 직선이동시키는 이동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전방 상측과 하측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서로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파이프의 단부가 끼워지는 파이프끼움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의 전후진 직선이동에 따라 상호 반대로 승강되면서 서로 이격되거나 밀착되는 상부 및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선루프 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대의 전단 하부와 상부홀더의 상부에는 전방쪽으로 상향 경사진 상향경사면이 각각 형성됨과 함께 상호 간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레일부가 형성되어, 상부지지대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따라 상부홀더가 하강 또는 상승되며, 상기 하부지지대의 전단 상부와 하부홀더의 하부에는 전방쪽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이 각각 형성됨과 함께 상호 간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레일부가 형성되어, 하부지지대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따라 하부홀더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되면서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와이어파이프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폐 구속하게 되므로 와어어파이프의 노출되는 단부의 길이나 그 주변의 형상 등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선루프프레임을 용이하게 사출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면,
도 3은 도 2에서 이동몸체가 후진되어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파이프개폐장치가 설치된 사출금형의 정면도로서,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파이프개폐장치가 설치된 사출금형의 측단면도로서,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파이프개폐장치가 설치된 사출금형의 정면도로서,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파이프개폐장치가 설치된 사출금형의 측단면도로서,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선루프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설치되어”,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설치, 고정,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이하, “파이프개폐장치”라 함.)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개폐장치는 고정몸체(10)와, 이동몸체(40)와, 상부지지대(20) 및 하부지지대(30)와, 상부홀더(50) 및 하부홀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10)는 선루프 프레임을 성형하는 사출금형(M)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는 상기 고정된 고정몸체(10)의 상면과 하면에 평행하게 구비되면서 또한, 상기 고정몸체(10)에 대해 각각 전후진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는 고정몸체(10)의 상하면을 따라 전후진 직선이동을 하면서 후술하는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부지지대(20)의 전단 하부에는 전방쪽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면(21)이 형성되고, 하부지지대(30)의 전단 상부에는 전방쪽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경사면(3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몸체(40)는 상기 고정몸체(10)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몸체(10)를 향해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40)는 상기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 각각의 후단부와 고정 결합되며, 따라서 전후진 이동하면서 전방에 결합된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를 동시에 전후진 직선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동몸체(40)는 사출금형(M)에 별도로 설치된 구동수단에 결합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는 공압실린더(S)가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는 상기 고정몸체(10)의 전방 상측과 하측에 각각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의 대면하는 일면, 즉 상부홀더(50)의 하면과 하부홀더(60)의 상면에는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가 밀착되었을 때 와이어파이프(P)의 단부가 끼워져 밀폐될 수 있는 파이프끼움부(53, 63)가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며, 또한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는 성형하고자 하는 와이어파이프(P)의 주변형상에 따라 전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는 전술한 것처럼 상기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의 전후진 직선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고정몸체(10)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홀더(5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지지대(20)의 상향경사면(21)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전방쪽으로 상향 경사진 상향경사면(5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홀더(6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지지대(30)의 하향경사면(31)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전방쪽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61)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지지대(20)와 상부홀더(50)의 상호 대응하는 각각의 상향경사면(21, 51)에는 상호 간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레일부가 형성되는데, 즉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홀더(50)의 상향경사면(51)에는 레일홈(5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20)의 상향경사면(21)에는 상기 레일홈(52)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레일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하게, 하부지지대(30)와 하부홀더(60)의 상호 대응하는 각각의 하향경사면(31, 61)에도 상호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홈(62)과 레일돌기(32)로 구성된 레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가 후진 이동하면, 상향경사면(21, 51)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이 되면서 상부홀더(50)는 상승함과 동시에 하향경사면(31, 61)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이 되면서 하부홀더(60)는 하강함으로써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는 상호 간에 이격되며, 그에 따라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에 각각 형성된 파이프끼움부(53, 63)는 벌어지면서 개방이 된다.
이와 반대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가 전진 이동하면, 상향경사면(21, 51)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이 되면서 상부홀더(50)는 하강함과 동시에 하향경사면(31, 61)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이 되면서 하부홀더(60)는 상승함으로써 이격되었던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는 상호 간에 밀착이 되며, 그에 따라 개방되었던 파이프끼움부(53, 63)는 밀폐가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개폐장치(100)는 선루프 프레임을 사출성형하는 사출금형(M)의 좌우 한 쌍의 금형 중에서 일측의 금형에 설치되어 작동이 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먼저 좌우 금형이 개방된 상태(형개 상태)에서 와이어파이프(P)를 일측 금형(M)에 끼움 장착하게 되는데, 이 때는 이동몸체(40)가 후진되어 이동몸체(40)와 고정몸체(10)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서, 상부홀더(50)는 상승되어 있음과 함께 하부홀더(60)는 하강되어 있어,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가 서로 벌어지면서 파이프끼움부(53, 63)가 개방이 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파이프(P)를 일측 금형에 장착하면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파이프(P)의 단부를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끼움부(53, 63)에 위치시키며, 이렇게 와이어파이프(P)의 단부가 위치되면 구동수단인 유압실린더(S)를 작동시켜 이동몸체(40)가 고정몸체(10)를 향해 전진 이동하도록 한다.
이렇게 이동몸체(40)가 전진 이동됨에 따라 이동몸체(40)에 고정된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가 고정몸체(10)의 상하측에서 동시에 전진 이동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하로 이격되어 있던 상기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도 상부지지대(20)의 상향경사면(21)과 하부지지대(30)의 하향경사면(31)을 따라 반대로 하강 및 상승되면서 상호 밀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벌어져 있던 파이프끼움부(53, 63)는 와이어파이프(P)의 단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의 파이프끼움부(53, 63)에 와이어파이프(P)가 밀폐되고 나면, 타측 금형을 이동시켜 좌우 한 쌍의 금형을 닫아준 상태(형폐 상태)에서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선루프 프레임을 사출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사출성형이 완료되면, 일측 금형의 밀대장치가 사출물인 선루프 프레임을 밀어주면서 금형이 개방되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와 같이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의 밀착에 의해 와이어파이프(P)가 밀폐된 상태에서 선루프 프레임을 밀어주게 되면 단부가 밀폐되어 구속되어 있는 와이어파이프(P)에서는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형개 과정 전에 유압실린더(S)가 재작동되어 다시 전진되었던 이동몸체(40)를 후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전술한 밀폐과정의 반대과정을 거쳐 밀착되었던 상기 상부홀더(50)와 하부홀더(60)가 상하방향으로 다시 이격이 되면서 밀폐되었던 파이프끼움부(53, 63)도 벌어져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파이프끼움부(53, 63)가 개방되고 나면, 와이어파이프(P)를 구속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형개하면서 밀대장치를 통해 와이어파이프(P)가 일체로 성형된 선루프프레임을 일측 금형에서 안전하게 이탈시킴으로써 사출성형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고정몸체 20: 상부지지대
30: 하부지지대 40: 이동몸체
50: 상부홀더 60: 하부홀더
21/51: 상향경사면 31/61: 하향경사면
53/63: 파이프끼움부

Claims (2)

  1. 선루프 프레임을 성형하는 사출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와이어파이프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사출금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후진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 각각의 후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전후진하면서 상부 및 하부지지대를 동시에 전후진 직선이동시키는 이동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전방 상측과 하측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서로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파이프의 단부가 끼워지는 파이프끼움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의 전후진 직선이동에 따라 상호 반대로 승강되면서 서로 이격되거나 밀착되는 상부 및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선루프 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의 전단 하부와 상부홀더의 상부에는 전방쪽으로 상향 경사진 상향경사면이 각각 형성됨과 함께 상호 간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레일부가 형성되어, 상부지지대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따라 상부홀더가 하강 또는 상승되며,
    상기 하부지지대의 전단 상부와 하부홀더의 하부에는 전방쪽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이 각각 형성됨과 함께 상호 간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레일부가 형성되어, 하부지지대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따라 하부홀더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KR20130097784A 2013-08-19 2013-08-19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KR101433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784A KR101433020B1 (ko) 2013-08-19 2013-08-19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PCT/KR2014/007645 WO2015026118A1 (ko) 2013-08-19 2014-08-19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US14/912,154 US20160193762A1 (en) 2013-08-19 2014-08-19 Pip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unroof frame injection mold
CN201480056209.8A CN105829055A (zh) 2013-08-19 2014-08-19 用于天窗框架的注射模具的管开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784A KR101433020B1 (ko) 2013-08-19 2013-08-19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020B1 true KR101433020B1 (ko) 2014-08-27

Family

ID=5175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7784A KR101433020B1 (ko) 2013-08-19 2013-08-19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93762A1 (ko)
KR (1) KR101433020B1 (ko)
CN (1) CN105829055A (ko)
WO (1) WO201502611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5528A (ja) * 1995-11-29 1997-06-17 Kanto Auto Works Ltd 金型段取り装置
JPH1012648A (ja) * 1996-06-27 1998-01-16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90094954A (ko) * 2008-03-04 2009-09-09 김현수 선루프 프레임 제작용 사출금형의 파이프 고정장치
KR20120035658A (ko) * 2010-10-06 2012-04-16 양순영 회전성형 방법 및 그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09172Y (zh) * 2007-09-28 2008-09-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顶出机构
CN202318779U (zh) * 2011-11-18 2012-07-1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底部进胶双斜开塑料模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5528A (ja) * 1995-11-29 1997-06-17 Kanto Auto Works Ltd 金型段取り装置
JPH1012648A (ja) * 1996-06-27 1998-01-16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90094954A (ko) * 2008-03-04 2009-09-09 김현수 선루프 프레임 제작용 사출금형의 파이프 고정장치
KR20120035658A (ko) * 2010-10-06 2012-04-16 양순영 회전성형 방법 및 그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6118A1 (ko) 2015-02-26
US20160193762A1 (en) 2016-07-07
CN105829055A (zh)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1158B2 (en) Sealing system for movable window of rear window assembly
US7464501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US10195928B2 (en) Quarter window assembly for a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king the assembly
JP6814792B2 (ja) 自動車の分割セット、分割セットと自動車の枠なし窓および別の隣接する窓とのアセンブリ、ならびにセットおよびアセンブリを製造するプロセス
US20170144512A1 (en) Slider window assembly with two piece end stop
US9550410B2 (en) Sunroof apparatus
US20190217692A1 (en) Sealing system for movable window of rear window assembly
KR20140013531A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파팅라인 조절 장치
KR101433020B1 (ko) 선루프프레임 사출금형의 파이프개폐장치
JP2015044543A (ja) ルーフ装置
CN103225474B (zh) 轨道车辆用内藏式密闭移门
WO2015040018A1 (en) Vehicle sunroof device
KR101352262B1 (ko) 플러그 아웃 도어 시스템
JP6416349B2 (ja) サンルーフ装置
US11358455B2 (en) Deflector device
KR101293973B1 (ko) 파워 윈도우 장치의 윈도우 고정용 클램프 장치
KR101362897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이중 슬라이딩 메커니즘 개폐장치
CN209799657U (zh) 具有锁定装置的推拉窗
CN110325387B (zh) 天窗装置的升降引导机构
CN107031355B (zh) 用于制造机动车门的方法
KR100969021B1 (ko) 자동차용 선루프 선세이드의 마운팅구조
KR102028629B1 (ko) 캠슬라이드 조립체를 구비한 금형
KR101571671B1 (ko) 선루프용 메커니즘커버
KR101282043B1 (ko) 선루프의 프론트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JP3878664B2 (ja) 車両用ドア及びそのシール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