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080B1 -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080B1
KR101431080B1 KR1020120142179A KR20120142179A KR101431080B1 KR 101431080 B1 KR101431080 B1 KR 101431080B1 KR 1020120142179 A KR1020120142179 A KR 1020120142179A KR 20120142179 A KR20120142179 A KR 20120142179A KR 101431080 B1 KR101431080 B1 KR 10143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
riding
course
obstacle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442A (ko
Inventor
김성훈
정성환
문석환
김동만
Original Assignee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080B1/ko
Priority to PCT/KR2013/010262 priority patent/WO2014088227A1/ko
Publication of KR2014007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7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daptively or by learning from player actions, e.g. skill level adjustment or by storing successful combat sequences for re-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와 상기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에 따라 승마 코스의 장애물을 자동 가변 배치함으로써 기승자가 탑승한 승마 로봇의 훈련도 및 기승자의 수준에 적합한 승마 코스를 편리하게 제공하도록 하여 기승자의 실제 승마 실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며, 단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장애물의 수 및 위치를 지정하고 이를 자동 배치함으로써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경기의 난이도에 따른 적합한 수준의 승마 코스를 자동 생성하도록 하여 승마 코스 생성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경기의 종류에 따른 장애물의 속성을 지정하고 이에 따라 자동 배치함으로써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코스의 배경 및 승마로 및 장애물이 실제 스포츠 승마와 동일하도록 하여 승마 게임의 몰입도를 증대시키며, 승마 게임에 참여한 각 기승자의 승마 실력 등급을 고려하여 해당 승마 로봇의 움직임을 상대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참여 기승자의 승마 실력에 관계없이 승마 코스의 난이도를 평준화하도록 하여 실력 차이가 있는 기승자 간에도 박진감 있는 승마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EQUESTRIAN COURSE SET UP SYSTEM}
본 발명은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마 로봇과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승마 게임 시스템에서 개인별 선택에 따라 승마 코스를 자동 설정하여 승마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말을 길들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000년 전부터이며, 마술이 스포츠로 시작한 때는 기원전 680년 제25회 고대올림피아 제전부터였다.
이후 유럽 각국에서 승마가 근대적으로 발전해왔으며 19C 중엽의 ‘보세’는 근대마술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유럽에서 승마는 일부 부유층의 스포츠로 성행되었지만 차츰 단순한 근대 스포츠로 발전하였고, 올림픽에 승마경기를 정식종목으로 채택시키기 위해 프랑스를 위시한 8개국이 주축으로 모임을 한 것이 계기가 되어 1912년 세계승마를 통합하는 단체인 국제승마연맹(FEI: Federation Equeste international)가 파리에서 창립되었다.
올림픽에서 승마가 채택된 것은 제 2회 파리대회(1900년)로 개인 장애물 경기가 실시되었고, 1912년 제 5회 스톡홀롬 대회에서 개인과 단체로 구분, 장애물 경기와 종합마술 경기가 벌어졌다. 이어 1928년 9회 암스테르담 대회에서 마장마술 경기가 추가되었고, 1952년 15회 헬싱키대회부터 남녀구분 없이 여자도 동등한 자격으로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마는 마장마술, 장애물 경기, 종합마술 등 다양한 종목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승마 종목은 기승자가 신호 체계를 제어하여 이에 따른 말이 운동을 얼마나 정확한 동작의 형태로 수행하느냐에 따라 그 점수가 매겨진다.
이처럼, 근본적으로 승마는 말에 탑승한 기승자가 단순히 말의 운동에 따라 몸의 균형을 잡아 자신의 몸을 제어하는 수동적인 운동이 아니라, 말에게 지시하는 신호 체계에 의한 말의 규칙적인 운동 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기승자가 말의 운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스포츠이다.
이와 같은, 기승자가 말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말에게 지시하는 신호나 수단의 체계를 부조(Aid)라고 칭하는데, 예를 들어, 고삐, 다리 및 체중의 이동 등을 통해 기승자의 의사를 말에게 감지시켜 복종케 하고 기승자의 의도를 말이 수행하는 것이다.
부조는 기승자의 다리(Leg), 손 또는 주먹, 음성(Voice), 체중 또는 기좌(weight 또는 Seat) 따위의 신체를 이용한 자연부조와 고삐(Rein), 채찍(Whip), 박차(spur) 등을 이용한 인위 부조로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부조를 통해, 기승자는 탑승한 말에 대해 일반적인 말의 전진운동 이외에도 다양한 말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데, 승마에서 말의 운동을 정확히 제어하기 위해서는 말을 기승자가 원하는 일정한 마체의 모양으로 만드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원(circle)운동을 예로 들면, 지름 10m의 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말의 몸(마체)을 옆으로 30°구부려야(bending) 정확한 10m 지름의 원(10°일 때는 지름 20m의 원)이 완성된다. 이 운동의 원리로 마체를 30° 구부린 상태에서 직진하면 솔드-인(shoulder-in: 어깨를 안으로)과 같은 운동으로 응용할 수 있다.
이처럼, 기승자는 일정한 마체의 모양을 우선적으로 만들어야 그에 따른 연속적인 승마 운동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승마 종목 중 장애물 경기는 그냥 달려가서 뛰어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높이를 넘기 위해 마체를 수축하여 접근하고 일정한 지점에서 스프링처럼 도약하여 비월하고 또 다른 일정지점에 착지하는 동작으로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일정한 모양의 마체와 장애물과의 높이 그리고 거리 등의 다양한 역학적 계산에 의한 연습을 필요로 하는 것이 승마에서 비월 운동이다.
이와 같이, 기승자가 말을 자신이 원하는 마체의 형태로 제어하면서 이를 연속적으로 변경하여 말의 다양한 규칙적인 운동을 만들어 점수로 계산하여 경쟁하는 것이 스포츠 승마경기의 기본원리이다.
이때, 기승자의 부조에 의한 말의 규칙적인 운동의 정확도에 따라 다득점 혹은 소실점 순으로 정하게 된다.
한편, 승마 종목을 상세히 분류해 보면, 마장마술경기(Dressage), 장애물 비월경기(Jumping), 종합마술경기(Three-Day Event), 지구력경기(Endurance),마차경기(Driving), 마상체조(Vaulting), 레인닝(Reining), 장애인 승마경기(Para-Equestrian), 크로스 컨트리(Cross Country)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승마 로봇과 사용자가 구사하는 부조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승마 로봇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영상을 스크린에 표시하는 승마 게임 시스템이 등장하여 실제의 말에 탑승하지 않고서도 승마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승마 로봇과 스크린을 이용한 승마 게임 시스템은 승마 경기의 기본 룰을 적용하여 승마 로봇에 탑재된 센서로부터 입력된 센서 값으로부터 사용자가 구사한 부조를 인식하고 이와 연동하는 승마 게임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승마 로봇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승마 게임의 예로서 장애물 비월 게임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장애물 비월 게임은 정해진 승마 코스 내에서 기승자가 승마 로봇을 제어하여 가상으로 설치된 수직 장애물, 폭 장애물, 복합 장애물 등을 일정한 시간 내에 넘어서 장애물처리에 대한 감점 여부와 시간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점수를 환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실제의 장애물 비월 경기 등에서 실제의 말은 경기의 시작 전까지 승마 코스를 볼 수 없도록 하여 말과 기승자의 승마 실력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승마 게임 시스템은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나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을 고려하지 않고 정형적으로 승마 코스의 장애물을 배치하여 승마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여 실제의 승마 경기와 현실적인 괴리감이 존재하게 되어 기승자의 실제 승마 실력을 점차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승마 게임 시스템은 실제와 흡사한 승마 코스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장애물의 속성 등으로 고려하지 않아 승마 게임의 몰입도를 반감시켰다.
더불어, 종래의 승마 게임은 승마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 간에 승마 실력의 차이가 많은 경우에 점수 차이가 크게 발생하여 박진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105315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와 상기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에 따라 승마 코스의 장애물을 자동 가변 배치함으로써 기승자가 탑승한 승마 로봇의 훈련도 및 기승자의 수준에 적합한 승마 코스를 편리하게 제공하도록 한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단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장애물의 수 및 위치를 지정하고 이를 자동 배치함으로써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경기의 난이도에 따른 적합한 수준의 승마 코스를 자동 생성하도록 한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경기의 종류에 따른 장애물의 속성을 지정하고 이에 따라 자동 배치함으로써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코스의 배경 및 승마로 및 장애물이 실제 스포츠 승마와 동일하도록 한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승마 게임에 참여한 각 기승자의 승마 실력 등급을 고려하여 해당 승마 로봇의 움직임을 상대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참여 기승자의 승마 실력에 관계없이 승마 코스의 난이도를 평준화하도록 한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은 제1 기승자가 탑승하는 제1 승마 로봇 및 상기 제1 기승자의 승마 영상을 제공하는 스크린을 이용한 승마 게임의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기승자의 승마 코스의 설정시에, 상기 승마 코스를 단위 지역을 구분하고 상기 각 단위 지역의 특성이 상기 승마 코스에 반영되도록 하며 상기 승마 코스에서 상기 단위 지역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단위 지역 관리부, 상기 각 단위 지역에 기 설정된 수 및 종류의 장애물 속성과 순서가 정해지면 기 설정된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와 상기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에 따라 상기 장애물들을 자동 배치하는 장애물 배치부, 배치된 상기 장애물을 상기 승마 코스에 등록하고 제2 승마 로봇에 탑승한 제2 기승자를 초대하여 상기 승마 코스에서 승마 게임을 실시하도록 하는 승마 코스 적용부 및 상기 제1 기승자 및 상기 제2 기승자의 승마 실력 등급에 따라 점수 계산을 달리하거나 또는 상기 승마 실력 등급에 따라 상기 승마 게임에서의 상기 승마 로봇의 제어 보정 정도를 가변하여 상기 제1 기승자와 상기 제2 기승자의 해당 승마 게임에서의 참여 조건을 평준화하는 평준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애물 배치부는 상기 장애물의 속성이 고정이면 해당 장애물과 우회로를 세트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애물의 종류는 통나무, 도랑, 둑, 수직 기둥, 플라이펜스, 폭 장애물, 제방, 오르막, 내리막, 복합 장애물, 개방 수호 장애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단위 지역의 특성은 장애물의 배치 유무, 야외 여부, 승마로 폭, 승마로 종류, 승마 로봇의 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마로의 종류는 숲, 산길, 경사면, 개울 길, 자갈길, 모래밭 길, 진흙탕 길, 들판, 언덕, 억새길, 꽃길, 다운타운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마 코스는 타임지정 방식으로 일부 구간의 날씨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마 코스는 상기 승마 게임의 시작 및 종료 지점에 스타디움을 구성하며, 상기 스타디움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마 코스는 상기 스타디움에서는 장애물 비월 경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승마 코스는 타 기승자가 자신의 것으로 등록 가능하며 수정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승마 코스는 기승자들로부터 만족도 평가나 실시 횟수에 따른 랭킹 등록이 가능하며 높은 랭킹의 승마 코스 제공자는 별도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승마 코스 적용부는 해당 승마 코스에 하나 이상의 뷰 포인트(View Point)를 통한 영상을 제공하거나 상기 승마 코스를 이용한 승마 게임의 참여 기승자 별로 각각 별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배치부는 해당 승마 코스의 참여 기승자 수에 따라, 배치하는 장애물의 개수 및 순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는 상기 제 1 기승자의 상기 승마 실력 등급에 따라 조정되어 설정되거나 또는 해당 승마 로봇의 종류에 따라 조정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배치부는 상기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는 기 설정된 해당 승마 로봇의 동작 한계치인 최소 반응 거리 및 최대 반응 거리로 관리하고, 상기 최소 반응 거리 및 최대 반응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장애물들을 자동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마 게임의 종류는 장애물 비월 경기 또는 크로스컨트리 경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은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와 상기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에 따라 승마 코스의 장애물을 자동 가변 배치함으로써 기승자가 탑승한 승마 로봇의 훈련도 및 기승자의 수준에 적합한 승마 코스를 편리하게 제공하도록 하여 기승자의 실제 승마 실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은 단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장애물의 수 및 위치를 지정하고 이를 자동 배치함으로써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경기의 난이도에 따른 적합한 수준의 승마 코스를 자동 생성하도록 하여 승마 코스 생성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은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경기의 종류에 따른 장애물의 속성을 지정하고 이에 따라 자동 배치함으로써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코스의 배경 및 승마로 및 장애물이 실제 스포츠 승마와 동일하도록 하여 승마 게임의 몰입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은 승마 게임에 참여한 각 기승자의 승마 실력 등급을 고려하여 해당 승마 로봇의 움직임을 상대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참여 기승자의 승마 실력에 관계없이 승마 코스의 난이도를 평준화하도록 하여 실력 차이가 있는 기승자 간에도 박진감 있는 승마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게임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의 제1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의 제2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의 제3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이도 레벨에 따른 승마 코스 생성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이도 레벨에 따른 장애물 생성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이도 레벨에 따른 승마 코스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지역으로 구분된 승마 코스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지역의 특성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지역을 포함하는 승마 코스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에 따른 조정의 예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의 블록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제1 기승자가 탑승하는 제1 승마 로봇 및 상기 제1 기승자의 승마 영상을 제공하는 스크린을 이용한 승마 게임의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기승자의 승마 코스의 설정시에, 상기 승마 코스를 단위 지역을 구분하고 상기 각 단위 지역의 특성이 상기 승마 코스에 반영되도록 하며 상기 승마 코스에서 상기 단위 지역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단위 지역 관리부(110), 상기 각 단위 지역에 기 설정된 수 및 종류의 장애물 속성과 순서가 정해지면, 기 설정된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와 상기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에 따라 상기 장애물들을 자동 배치하는 장애물 배치부(120), 배치된 상기 장애물을 상기 승마 코스에 등록하고 제2 승마 로봇에 탑승한 제2 기승자를 초대하여 상기 승마 코스에서 승마 게임을 실시하도록 하는 승마 코스 적용부(130) 및 상기 제1 기승자 및 상기 제2 기승자의 승마 실력 등급에 따라 점수 계산을 달리하거나 또는 상기 승마 실력 등급에 따라 상기 승마 게임에서의 상기 승마 로봇의 제어 보정 정도를 가변하여 상기 제1 기승자와 상기 제2 기승자의 해당 승마 게임에서의 참여 조건을 평준화하는 평준화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승마 게임 시스템(200)에 포함되는 일부 구성일 수 있음에 유의하며, 혹은 온라인으로 승마 게임 시스템(200)과 연결되어 상호 약속된 형식으로 승마 코스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분리된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상기 각 단위 지역에 기 설정된 수 및 종류의 장애물 속성과 순서를 자동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승자가 상기 각 단위 지역에 기 설정된 수 및 종류의 장애물 속성과 순서를 정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승마 게임에 참여한 각 기승자의 승마 실력 등급을 고려하여 해당 승마 로봇의 움직임을 상대적으로 보정하므로 참여 기승자의 승마 실력에 관계없이 승마 코스의 난이도를 평준화할 수 있어 실력 차이가 있는 기승자 간에도 박진감 있는 승마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상기 승마 게임의 종류는 장애물 비월 경기(Jumping) 또는 크로스컨트리 경기(Cross Country)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을 결합한 더비(Derby)나 크로스 컨트리 코스에 유동 장애물을 구성하는 게임만의 경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경기의 종류에 따른 장애물의 속성을 지정하고 이에 따라 자동 배치하여 기승자가 선택한 승마 코스의 배경 및 승마로 및 장애물이 실제 스포츠 승마와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승마 게임의 몰입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승마 코스 적용부(130)는 해당 승마 코스에 하나 이상의 뷰 포인트(View Point)를 통한 영상을 제공하거나 상기 승마 코스를 이용한 승마 게임의 참여 기승자 별로 각각 별도의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장애물 배치부(120)는 해당 승마 코스의 참여 기승자 수에 따라, 배치하는 장애물의 개수 및 순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게임의 예시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승마 로봇(2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승마 게임에서 승마 코스를 개인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장애물을 기승자(10)가 원하는 코스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되, 구체적인 배치 시 그 간격이나 설정 일부에 대한 조정은 시스템(100)에서 실제 승마 로봇(20)의 한계와 기승자(10)의 승마 등급 레벨을 고려하여 자동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기승자(10)의 승마 등급 레벨은 기 설정된 테스트 모드나 기 수행했던 승마 게임에서의 승률, 또는 상대 전적을 통해 부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승마 게임은 장애물 비월경기(Jumping), 종합마술경기(Three-Day Event), 크로스 컨트리(Cross Countr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승자(10)가 탑승하는 승마 로봇(20)과 기승자(10)의 부조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승마 로봇(20)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영상을 스크린(30)에 표시하는 승마 게임 시스템(200)에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승마 게임 시스템(200)은 승마 경기의 기본 룰을 적용하여 승마 로봇(20)의 각 부위 탑재된 센서(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센서 값으로부터 기승자(10)가 구사한 부조를 인식하고 이와 연동하는 승마 게임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승마 로봇(2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스크린(3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승마 로봇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승마로봇(20)은 각종 압력 센서와 터치 센서 또는 음성의 인식을 위한 부가 센서 등을 내장하고 기승자(10)가 구사하는 부조를 입력받아 속도를 늦추거나, 장애물을 넘거나 달리거나 구조물을 피하거나 멈추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기승자(10)의 체중을 측정하는 센서와 같은 단순한 센서 정도만 구비하면 승마 게임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데 무리가 없음에 유의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승마 로봇(20)은 압력 센서로 말의 고삐에 좌,우로 1쌍의 압력 센서, 안장의 허벅지 안쪽에 좌,우로 1쌍의 압력 센서, 안장의 종아리 안쪽에 좌,우로 1쌍의 압력 센서, 등자 바닥에 좌,우로 1쌍의 압력 센서, 박차에 좌,우로 1쌍의 압력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마체(20)의 목 부위에 좌,우로 1쌍의 터치 센서, 엉덩이 부분에 채찍 인식을 위한 좌,우 1쌍의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기승자(10)의 부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승마 게임으로서, 장애물 비월 게임을 예로 들면, 정해진 승마 코스 내에서 기승자(10)가 승마 로봇(20)을 제어하여 가상으로 설치된 수직 장애물, 폭 장애물, 복합 장애물 등을 일정한 시간 내에 넘어서 장애물처리에 대한 감점 여부와 시간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점수를 환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의 종류에는 구조에 관계없이 구성하는 모든 부분이 말이 도약하는 방향에서 동일한 수직면에 설치하는 수직장애물, 높이와 폭 모두의 비월을 요하도록 구성되는 폭 장애물, 2단, 3단 혹은 그 이상의 2개, 3개 혹은 여러 개의 장애물의 집합으로, 각 장애물 간의 거리는 7미터 이상 12미터 이하인 복합 장애물, 뚝, 급사면, 뛰어오르기 장애물, 폐쇄 복합 장애물, 일부 폐쇄 복합 장애물 및 일부 개방 복합 장애물 등을 포함하는 특수 장애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승마 게임에서의 장애물의 속성은 상기와 같은 장애물의 종류, 장애물의 높이, 장애물의 경사도, 장애물의 넓이, 장애물의 개수 등 장애물과 관련된 세부 특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승마 게임에서의 장애물 배치 정보는 해당 승마 코스에서의 장애물의 배치 순서, 장애물과 장애물 간의 배치 간격, 장애물의 배치 위치와 같은 장애물의 배치와 관련된 세부 정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승마 게임에서의 장애물 비월 규칙은 장애물의 비월을 위한 점프 속도, 점프 시간, 점프 타이밍, 점프 거리, 장애물의 넓이 등에 따른 비월(점프) 높이, 점프 지속 시간, 점프를 위한 각 세부 부조의 시간, 각 세부 부조 간의 순서, 세부 부조의 압박 정도, 세부 부조의 터치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서는 이와 같은 장애물의 속성, 장애물의 배치 정보, 장애물의 비월 규칙을 포함하여 해당 승마 게임의 승마 코스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이에 대응하여 승마 로봇(20)과 실제 말과의 상기와 같은 차이점을 스크린(30)에 제공하는 승마 영상에 반영하여 시각적인 강조나 영상 속도의 조절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서는 승마 게임의 종류에 따라 제한 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승마 게임의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순위나 점수에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승자(10)가 출발선을 통과한 순간부터 혹은 45초가 지나는 순간부터 1/100초 단위로 소요 시간을 측정하고 해당 기승자(10)가 마지막 장애물을 비월한 후 도착선을 통과하는 순간까지 지속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정의 또는 설정에 따라 가변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서는 제한 속도를 설정하고 승마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최저속도를 325미터/분, 최고속도 400미터/분으로 설정하여 그 사이에서 승마 게임을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이 설정된 장애물, 시간, 속도의 규칙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일부 이상 위반하면 실격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승마 로봇(20)의 반응 거리는 기승자(10)의 상기 승마 실력 등급에 따라 조정되어 설정되거나 또는 해당 승마 로봇의 종류에 따라 조정되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애물 배치부(120)는 상기 승마 로봇(20)의 반응 거리를 기 설정된 해당 승마 로봇의 동작 한계치인 최소 반응 거리 및 최대 반응 거리로 관리하고, 상기 최소 반응 거리 및 최대 반응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장애물들을 자동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의 예시도로서, 도 3a, 도 3b, 도 3c는 유동 장애물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a, 도 4b는 고정 장애물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a, 도 5b는 수호 장애물이나 석축 장애물 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애물 배치부는 상기 장애물의 속성이 고정 장애물이면 해당 장애물과 우회로를 세트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에서는 장애물의 선택 시 장애물마다 고유의 속성이 존재하는데 고정 장애물의 경우 우회로가 세트로 구성되며, 유동 장애물의 경우 비월 경기를 위한 승마 로봇의 동작 한계에 따라 배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장애물의 종류는 통나무, 도랑, 둑, 수직 기둥, 플라이펜스, 폭 장애물, 제방, 오르막, 내리막, 복합 장애물, 개방 수호 장애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와 상기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에 따라 승마 코스의 장애물을 자동 가변 배치할 수 있어 기승자(10)가 탑승한 승마 로봇(20)의 훈련도 및 기승자(10)의 수준에 적합한 승마 코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기승자(10)의 실제 승마 실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자동 설정 및 배치하는 승마 코스의 시작 및 종료 지점에 스타디움을 더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립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마 게임은 가상의 멀티 디멘젼(Multi Dimension) 경기장을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장애물 비월 경기는 상기 스타디움에서 수행하도록 승마 게임을 진행하며, 각 개인별 승마 코스에 대해 복수의 카메라를 별도로 구성하여 참여 기승자별로 독립된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승마 게임은 일반적으로 2D(Dimension)를 기반으로 한 영상을 제공하는 스크린(30)과 승마 로봇(20)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3D, 4D를 동시에 구성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구성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에서 생성한 승마 코스를 해당 가상 공간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후 이를 승마 게임에 적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3D인 경우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서 장애물의 높이, 거리 등 장애물의 속성과 장애물의 배치 정보 및 비월 규칙 등 공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면 구현하기가 어렵지 않다.
또한, 4D인 경우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서 승마 코스에 대한 바람, 우천과 같은 날씨, 온도, 음향, 음성, 비월시 함성, 냄새 등의 정보를 단위 지역이나 승마 코스에 대응하는 정보로 포함하여 구성하면 구현이 어렵지 않다.
더불어, 3D, 4D의 경우는 스크린 대신 전용 고글을 이용하여 입체감 있는 영상 및 음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이도 레벨에 따른 승마 코스 생성의 예시도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이도 레벨에 따른 장애물 생성의 예시도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승마 등급의 레벨을 고려하여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61)을 선택(62)하고 자동 생성(63)할 수 있으며 혹은 기승자(10)가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61)을 선택(62)하여 승마 코스를 선택(63)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시스템(100)은 기 설정된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61)에 따라 상, 중, 하로 구분(62)하고 그에 따른 승마 코스를 생성(63)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시스템(100)은 생성한 승마 코스에 배치할 각 단위 지역(구간)의 특성을 고려한 장애물의 종류(73)와 수를 설정(72)하여 해당 단위 지역별로 배치(71)하고 이를 각 단위 지역을 조합한 해당 승마 코스를 생성(74)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이도 레벨에 따른 승마 코스의 예시도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지역으로 구분된 승마 코스의 예시도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이 승마 코스의 난이도를 중급으로 선택하여 기본 설정된 복수의 승마 코스에서 기승자(10)가 선택한 승마 로봇(20)의 반응 거리를 고려하여 장애물을 자동 배치(81, 82, 83, 84, 85)한 후 이를 기승자(10)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다.
이때, 복수의 기승자가 서로 동일 승마 코스를 선택하여 점수로 경쟁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마 실력 등급에 따라 점수 계산을 달리하거나 또는 상기 승마 실력 등급에 따라 상기 승마 게임에서의 상기 승마 로봇(20)의 제어 보정 정도를 가변하도록 구성하여 각 기승자의 해당 승마 게임에서의 참여 조건을 평준화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참여 기승자의 승마 실력에 관계없이 승마 코스의 난이도를 평준화할 수 있어 실력 차이가 있는 기승자 간에도 박진감 있는 승마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승자(10)는 각 단위 지역(A구간, B구간, C구간, D구간, E구간 등)별 특성을 고려한 장애물의 종류 및 배치가 자동으로 반영되어 생성된 승마 코스(기승자는 말을 몰아 91, 92의 방향으로 코스를 이동하며 승마 게임을 진행한다)를 이용하여 승마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의 장애물 비월 경기 등에서 실제의 말은 경기의 시작 전까지 승마 코스를 볼 수 없도록 하여 말과 기승자의 승마 실력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에 비춰볼 때 매우 현실적인 승마 경기를 즐길 수 있게 되어 승마의 즐거움이 배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지역의 특성의 예시도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지역을 포함하는 승마 코스의 예시도다.
도 10을 참조하면, 크로스컨트리 게임에서의 승마 코스에서 난이도를 구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각 단위 지역의 특성으로 구분된 4구간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다만, 이것은 일 실시 예일 뿐임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승마 게임에서 A구간에서는 대로 및 소로에서 통상, 속보 또는 가벼운 구보로 주행하도록 하며, B구간에서는 장애물이 있는 장애물 경주장에서 통상,구보로 주행하도록 하고, C구간에서는 대로 및 소로에서 통상, 속보 또는 가벼운 구보로 주행하며, D구간에서는 장애물이 있는 야외 부정지에서 통상 구보로 주행하도록 각 단위 지역(구간)의 특성을 구분 설정하여 승마 코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간별 조합으로 구간별 조합으로 스크린 승마용 기본 크로스 컨트리 경기 야외 승마 코스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이러한 단위 지역(구간)의 조합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승마 코스를 생성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단위 지역의 기본적 조합 형태에 따라 한라코스, 설악코스, 태백코스, 백두 코스, 한강코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승마 코스별로 세부적 장애물의 속성 및 배치 특성에 따라 세부적 코스(코스명-1, 코스명-2,...)로 생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각 단위 지역의 특성은 장애물의 배치 유무, 야외 여부, 승마로 폭, 승마로 종류, 승마 로봇의 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마로의 종류는 숲, 산길, 경사면, 개울 길, 자갈길, 모래밭 길, 진흙탕 길, 들판, 언덕, 억새길, 꽃길, 다운타운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마 코스는 타임지정 방식으로 일부 구간의 날씨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단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장애물의 수 및 위치를 지정하고 이를 자동 배치하여 기승자(10)가 선택한 승마 경기의 난이도에 따른 적합한 수준의 승마 코스를 자동 생성할 수 있으므로 승마 코스 생성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단위 지역의 배치는 크로스 컨트리 구간(단위 지역)이나 비월 경기장의 구간(단위 지역)의 각 특징이 승마 경기의 종류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각 승마 경기의 종류에 따라 배치할 단위 지역을 선별적으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기승자(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을 통해 우선적으로 원하는 구간들을 배치한 승마 코스를 구성하고, 해당 코스에 장애물을 설치하며 이렇게 구성된 코스를 등록하여 자신만의 고유 코스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승마 코스에 친구(타 기승자)를 불러와서 함께 승마 게임을 즐기거나 개인의 고유 승마 코스를 아이템화하여 판매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을 통해 복수의 참여자가 동시에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설치 장애물은 참여자의 수에 따라 증가시키거나 연장되는 자동 배치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승마 코스는 상기 승마 게임의 시작 및 종료 지점에 스타디움을 구성하며, 상기 스타디움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승마 코스는 상기 스타디움에서는 장애물 비월 경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승마 코스는 타 기승자가 자신의 것으로 등록 가능하며 수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마 코스는 기승자들로부터 만족도 평가나 실시 횟수에 따른 랭킹 등록이 가능하며 높은 랭킹의 승마 코스 제공자는 별도의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에 따른 조정의 예시도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사용자(10: 기승자)의 선택(95)에 따라 각 장애물 또는 승마로의 위치를 일부 조정(96)하거나 재배치하는 등 해당 승마 코스의 각 객체의 일부 배치나 위치 또는 기타 속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에 의해 기 생성된 승마 코스에서 통나무나 도랑 또는 진흙길과 같은 장애물이나 승마로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재배치하여 사용자 정의에 의한 승마 코스를 완성(97)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100)은 타임지정 방식(time set)을 통한 날씨와 같은 단위 지역의 속성도 변경 가능한데, 예를 들어, 경기 시작 후 5킬로 이후부터 15킬로 구간까지 비가 내리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경기 시작 후 20킬로 이후부터 25킬로 구간까지 안개가 끼는 상황을 연출하도록 승마 코스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날씨와 같은 단위 지역의 속성도 사용자 정의(97)를 통해 변경(96)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기승자 20: 승마 로봇
30: 스크린 100: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110: 단위 지역 관리부 120: 장애물 배치부
130: 승마 코스 적용부 140: 평준화부
200: 승마 게임 시스템

Claims (15)

  1. 기승자가 탑승하는 승마 로봇 및 상기 기승자의 승마 영상을 제공하는 스크린을 이용한 승마 게임 시스템에서 승마 게임 시 상기 스크린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승마 코스를 설정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으로서,
    승마에 영향을 주는 상이한 지역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 지역을 구분하고, 상기 기승자의 승마 등급 정보나 상기 기승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승마 코스를 선택하고 해당 승마 코스에 상기 단위 지역을 조합하여 반영하는 단위 지역 관리부;
    상기 승마 코스에 반영된 각 단위 지역의 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수, 종류 및 속성의 장애물 정보를 얻어 기 설정된 상기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와 상기 승마 코스의 난이도 레벨에 따라 장애물들을 각 단위 지역에 자동 배치하는 것으로 상기 승마 코스에 대한 장애물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물 배치부; 및
    상기 승마 코스에 대한 상기 장애물 배치 정보를 상기 승마 게임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상기 승마 코스에 등록하는 승마 코스 적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물 배치부는
    상기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를 기 설정된 해당 승마 로봇의 동작 한계치인 최소 반응 거리 및 최대 반응 거리로 관리하고, 상기 최소 반응 거리 및 최대 반응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장애물을 자동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배치부는
    상기 장애물의 속성이 고정이면 해당 장애물과 우회로를 세트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의 종류는
    통나무, 도랑, 둑, 수직 기둥, 플라이펜스, 폭 장애물, 제방, 오르막, 내리막, 복합 장애물, 개방 수호 장애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배치부는
    해당 승마 코스의 참여 기승자 수에 따라, 배치하는 장애물의 개수 및 순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로봇의 반응 거리는
    상기 기승자의 승마 실력 등급에 따라 조정되어 설정되거나 또는 해당 승마 로봇의 종류에 따라 조정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지역의 특성은
    장애물의 배치 유무, 야외 여부, 승마로 폭, 승마로 종류, 승마 로봇의 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분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로의 종류는
    숲, 산길, 경사면, 개울 길, 자갈길, 모래밭 길, 진흙탕 길, 들판, 언덕, 억새길, 꽃길, 다운타운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코스는
    타임지정 방식으로 일부 구간의 날씨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코스는
    상기 승마 게임의 시작 및 종료 지점에 스타디움을 구성하며, 상기 스타디움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조립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코스는
    상기 스타디움에서는 장애물 비월 경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코스는
    타 기승자가 자신의 것으로 등록 가능하며 수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코스는
    기승자들로부터 만족도 평가나 실시 횟수에 따른 랭킹 등록이 가능하며 랭킹 순위에 따라 승마 코스 제공자는 별도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게임 시스템에서 상기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이 설정한 승마 코스를 이용하는 승마 게임의 종류는
    장애물 비월 경기 또는 크로스컨트리 경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KR1020120142179A 2012-12-07 2012-12-07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KR10143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179A KR101431080B1 (ko) 2012-12-07 2012-12-07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PCT/KR2013/010262 WO2014088227A1 (ko) 2012-12-07 2013-11-13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179A KR101431080B1 (ko) 2012-12-07 2012-12-07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442A KR20140074442A (ko) 2014-06-18
KR101431080B1 true KR101431080B1 (ko) 2014-08-22

Family

ID=5088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179A KR101431080B1 (ko) 2012-12-07 2012-12-07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1080B1 (ko)
WO (1) WO20140882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236B1 (ko) * 2019-10-04 2021-04-14 김동현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704A (ja) * 1999-10-25 2001-05-08 T & E Soft Inc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プレー環境自動生成装置、プレー環境自動生成方法及びそのプレー環境自動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224840A (ja) * 2000-02-15 2001-08-21 Konami Co Ltd ゲー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0607B2 (ja) * 1992-11-27 1998-09-21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通信機能付き電子遊戯機器におけるコース決定方法
JP4886114B2 (ja) * 2001-02-22 2012-02-29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704A (ja) * 1999-10-25 2001-05-08 T & E Soft Inc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プレー環境自動生成装置、プレー環境自動生成方法及びそのプレー環境自動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224840A (ja) * 2000-02-15 2001-08-21 Konami Co Ltd ゲーム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236B1 (ko) * 2019-10-04 2021-04-14 김동현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442A (ko) 2014-06-18
WO2014088227A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618B1 (ko)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US118758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irtual competition
US10591302B2 (en) Selecting routes
Brach et al. Modern principles of training in exergames for sedentary seniors: requirements and approaches for sport and exercise sciences
KR102146260B1 (ko) Vr을 이용한 보행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30100514A (ko) 스키 점프 시뮬레이터 및 스키 점프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JP5522573B2 (ja) 運動量計測装置を用いた現実の走行競技等への仮想参加における順位決定方法、及び風景画像表示方法
KR101431080B1 (ko) 승마 코스 설정 시스템
Bale Running: running as working
KR101431085B1 (ko) 승마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289804B1 (ko) 3d센서를 이용한 재활운동 분석시스템
KR101200000B1 (ko) 게이트볼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구현방법
KR101414799B1 (ko) 기승자 기반의 승마 게임 시스템 및 방법
Welters et al. Towards a Sustainable Philosophy of Endurance Sport
Schaeffer Training the event horse
Welters Cycling For Life: Towards a Sustainable Philosophy of Endurance Sport
KR102459520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등산 게임형 가상 체험 시스템
Warren 100 Greatest Cycling Climbs: A Road Cyclist's Guide to Britain's Hills
Wofford When the Best Riders Meet Great Course Design: How Derek di Grazia, designer of the Land Rover Kentucky Three-Day Event cross-country course, still stays a step ahead of elite competitors
Kelly Over & Above: Trampoline Gymnastics
Howe 14 Hitting a purple patch Building high performance runners at Runtleborough University
Hedenborg et al. Equestrian
Dikova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WORKING IN CYCLING ACADEMIES IN THE REPUBLIC OF GREECE FOR CHILDREN OF AGE 6-14 YEARS.
Ibrahim et al. The impacts of open space on urban population
Waterman As easy 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