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481B1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481B1
KR101430481B1 KR1020080045444A KR20080045444A KR101430481B1 KR 101430481 B1 KR101430481 B1 KR 101430481B1 KR 1020080045444 A KR1020080045444 A KR 1020080045444A KR 20080045444 A KR20080045444 A KR 20080045444A KR 101430481 B1 KR101430481 B1 KR 101430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broadcast
mobile terminal
frequency band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411A (ko
Inventor
김성남
조범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5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81B1/ko
Priority to US12/372,443 priority patent/US8260232B2/en
Priority to CN200910128732.8A priority patent/CN101582945B/zh
Priority to EP09004583A priority patent/EP2131576B1/en
Publication of KR2009011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3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return channel, e.g. for collecting users' opinions, for returning broadcast space/time information or for requesting data

Abstract

본 발명은, 국가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검색하여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로 방송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은, 국가마다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국가 이동시 이동된 국가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여야만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국가 이동시 이동된 국가에 적합한 방송 수신 및 출력 소프트웨어로 변경하지 않는 이상 이동된 국가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없다.
따라서, 국가 이동시 자유롭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국가 이동시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국가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의 검색에 성공한 경우 상기 검색된 방송 관련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방송 제어 방법은, 어느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기 저장된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의 검색에 성공한 경우, 상기 검색된 방송 관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국가 이동시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검색하여 설정할 수 있다.
둘째, 현재 위치한 국가에 대한 방송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검색 및 설정할 수 있으므로, 국가 이동시라도 사용자에게 방송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국가 이동시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기 저장된 국가별 설정 가능한 주파수 대역 단위로부터 신속하게 검색하여 설정할 있으므로,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파악하기 위한 절차 생략으로 인해 시간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 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 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센싱부(140) 내에 근접 터치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예를 설명하자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 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 및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 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바디(200)와, 제 1 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205)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일 수 있다.
제 1 바디(200)가 제 2 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200)가 제 2 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바디가 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가 언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대해 스윙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 2 바디가 스윙되어 제 1 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동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 1 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 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사용자 입력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연동하여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키와, 방향 지시 및 확인을 위한 네비게이션키(주로 4개의 방향키 및 중앙키로 구성됨)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사용자 입력부(245)는 이동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 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250)는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255)은 사용자가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바디(205)의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제 1 바디(200)의 음향 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60)는 제 2 바디(205)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 1 바디(200)와 제 2 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 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2 카메라(121)) 등이 제 2 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 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 2 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장치가 착탈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식별 장치는, SIM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장치(31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에는, 식별 장치가 교체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물론, 식별 장치(310)는, 인터페이스부(170)와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식별 장치(310)와의 결합을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커넥터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식별 장치(310)와 이동 단말기(1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측면, 정면 등 어느 부위라도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a 및 도 3b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장치가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식별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이동 단말기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 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이동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 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이동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방송 제어 방법을 각 단계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방송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방송 관련 정보가 주파수 대역 단위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방송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의 이동을 감지한다(S510, S610).
감지 단계(S510, S610)는, 국가별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 국가별 국가 코드, 국가별 국가 GPS 정보, 국가별 국가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국가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국가별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는, 모바일 상에서 국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써, DVB-H의 모바일 컨트리 코드(Mobile Contry Code; 'MCC')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국가별 국가 코드는,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국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국가별 국가 GPS 정보는, GPS 상에서 국가 위치를 이용하여 국가를 식별하기 위한 좌표 정보 등을 의미한다. 국가별 국가 명칭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국가 이름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술한 국가별 식별 정보를 메모리(160)에 기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방송망, 이동통신망,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 GPS 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각각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전후 각각의 식별 정보가 상이한 경우 국가간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각각의 식별 정보의 획득에 있어서,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는, 요청 신호를 송신함에 따라 수신될 수 있고(뒤에서 상세히 설명함), 국가 코드는, 국가 이동시 제어부(180)에 의해 메모리(160)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국가 GPS 정보는, 위치 정보 모듈(115)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국가 명칭은,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국가별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국가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단계(S510, S610)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감지 단계(S510, S610)는, 방송 모드 진입시, 이동 단말기 전원 온(ON)시, 사용자 선택 동작 입력시, 방송 시청 불가능 시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의하면 국가 이동을 전제로 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국가 이동을 포함하여 후술할 방송 관련 정보를 상이하게 사용하는 지역간의 이동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국가별 식별 정보는, 지역별 식별 정보로 대체되고, 후술할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는, 지역별 방송 관련 정보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감지 단계(S510, S610)에서 국가 이동이 감지됨에 따라,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한다(S520, S620). 특히, 검색 단계(S520, S620)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는, 국가별 설정 가능한 주파수 대역 단위, 국가별 방송 출력 필요 정보, 국가별 방송 사업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주파수 대역 단위는, 방송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할당된 주파수 대역의 스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대역 단위는, 국가별 또는 지역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또는 지역) 이동시, 방송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설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단위 '5Mhz'인 A 국가에서 주파수 대역 단위 '8Mhz'인 B 국가로 이동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B 국가에서 방송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주파수 대역 단위를 '8Mhz'로 변경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방송 출력 필요 정보는, 수신된 방송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출력 필 요 정보는, 국가별 또는 지역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또는 지역) 이동시, 방송 신호를 성공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출력 필요 정보를 설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방송 출력 필요 정보에는, 모듈레이션(modulation), 코드 레이트(code rate), 가이드 인터벌(guaid interval), 인뎁스 인터리버(in-depth interleav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모듈레이션은, 음성,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반송파에 전달하려는 저주파 신호를 담기 위해 크기, 주파수, 위상 등에 변형을 주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 QAM,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코드 레이트는, 신호의 에러율을 보정하기 위하여 전체 데이터 중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율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1/2, 2/3, 3/4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인터벌은, 한 주기 동안의 신호를 일정개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이 중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할당된 특정 구간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1/4, 1/8, 1//16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인뎁스 인터리버는, 인터리버의 용량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2k 모드, 4k 모드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사업자 정보는, 현재 위치한 국가에서 이동 단말기에 방송을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또 는 지역) 이동시, 이동된 국가에 적합한 방송 사업자를 설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방송 사업자 정보는, 방송 사업자를 각각 구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셀 아이디(cell ID), 플랫폼 아이디(platform ID), 네트워크 아이디(network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망, 이동통신망, 인터넷, 근거리 무선통신망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이동 단말기(100) 생산 단계에서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의해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에 착탈 가능한 식별 장치(31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는, 상술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 국가 코드, 국가 GPS 정보, 국가 명칭 각각에 대한 방송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감지 단계(S610) 및 검색 단계(S620)는,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가 국가별 주파수 대역 단위인 경우에 해당한다.
검색 단계(S520, S6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의 검색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식별 정보(상술한 '국가별 식별 정보' 참조)에 상응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식별 정보가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 국가 코드, 국가 GPS 정보, 국가 명칭 중 어느 하나인 경우, 해당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식별 정보가 국가 코드, 국가 GPS 정보 또는 국가 명칭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국가별 식별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식별 정보가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의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그 결과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식별 정보가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국가별 식별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국가 코드, 국가 GPS 정보 또는 국가 명칭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국가 코드, 국가 GPS 정보 또는 국가 명칭에 상응하는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그에 상응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술한 검색 단계(S520, S620)는, 방송 모드 진입시, 사용자 선택 동작 입력시, 방송 시청 불가능 시 또는 국가 이동 감지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단계(S520, S620)는, 국가 이동 감지시라도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국가 이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라도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검색 단계(S520, S620)는, 국가 이동이 감지된 경우라도, 방송 모드 진입, 사용자 선택 동작 입력, 방송 시청 불가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발생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검색 단계(S520, S620)는, 대기 상태 또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호 연결, MP3 재생, 동영상 재생, 전화번호부 검색, 방송 신호 수신/출력 등) 구동 상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검색 단계(S520, S620)는, 백그라운드 (background)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 및 도 6을 나누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의하면, 검색 단계(S520)의 수행 결과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의 검색에 성공한 경우('예'), 이동 단말기(100)는, 검색 단계(S520)에서 검색된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설정한다(S530). 설정 단계(S530)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된 방송 관련 정보가 방송 출력 필요 정보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하여 상기 검색된 방송 출력 필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된 방송 출력 필요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된 국가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신속하게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여, 국가 이동시에도 사용자에게 방송을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검색 단계(S520)의 수행 결과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의 검색에 실패한 경우('아니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S540), 상기 획득된 방송 관련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S550).
예를 들어, 방송 관련 정보가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방송 출력 필요 정보 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방송 출력 필요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방송 관련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함에 따라, 기 저장된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는 갱신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가 국가별 설정 가능한 주파수 대역 단위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6에 의하면, 검색 단계(S620)의 수행 결과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의 검색에 성공한 경우('예'), 이동 단말기(100)는, 검색 단계(S620)에서 검색된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설정한다(S630). 설정 단계(S630)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설정 단계(S630)에서 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로 주파수 대역을 스캔할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가 '5Mhz'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특히 방송 수신 모듈(111)을 이용하여, 5Mhz 단위로 주파수 대역을 스캔할 수 있다.
한편, 검색 단계(S620)의 수행 결과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의 검색에 실패한 경우('아니오'), 이동 단말기(100)는, 설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의 단위로 주파수 대역을 스캔할 수 있다(S650).
예를 들어, 설정 가능한 주파수 대역 단위가 '5Mhz, 6Mhz, 7Mhz, 8Mhz'인 경 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특히 방송 수신 모듈(111)을 이용하여, 5Mhz, 6Mhz, 7Mhz, 8Mhz를 각각 주파수 대역 단위로 하여 주파수 대역을 스캔할 수 있다. 물론, 스캔 순서는, 사용자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지정되거나, 임의로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스캔 순서가 5Mhz, 6Mhz, 7Mhz, 8Mhz라고 가정하면, 6Mhz 단위로 한 주파수 대역 스캔이 성공하였다면 나머지 7Mhz 및 8Mhz 각각을 단위로 한 주파수 대역 스캔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스캔 단계(S650)의 수행 결과 특정 주파수 대역 단위의 주파수 대역 스캔 동작이 성공한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 단위를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주파수 대역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S660).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설정 단계(S660)에서 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를 상기 이동된 국가에 대한 주파수 대역 단위로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S670).
또한, 상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 단위를 메모리(160)에 저장함에 따라, 기 저장된 국가별 설정 가능한 주파수 대역 단위는 갱신될 수 있다.
상술한 설정 단계(S530, S630)는, 방송 모드 진입시, 사용자 선택 동작 입력시, 방송 시청 불가능 시, 국가 이동 감지시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국가 이동시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 및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송 관련 정보를 설정 가능한 주파수 대역 단위로 한정하도록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국가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국가 이동이 감지됨을 알리면서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검색할 것인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하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a).
도 7a(a)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 명령이 선택되는 경우('예' 선택),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국가별 설정 가능한 주파수 대역 단위로부터 상기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검색하면서, 검색 중 또는 검색 정도를 알리는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예를 들어, 식별자는, 아이콘(icon), 이미지(image), 심볼(symbol), 텍스트(text), 프로그래시브 바(progressive bar)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국가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의 검색 명령이 선택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상술한 도 7a(b)의 상태로 곧바로 진입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의 검색에 성공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주파수 대역 단위 검색의 성공을 알리면서, 상기 검색된 주파수 대역 단위를 설정할 것인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하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a).
도 7b(a)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 명령이 선택되는 경우('예' 선택),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된 주파수 대역 단위를 상기 이동된 국가에서의 주파수 대역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b).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 검색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검색된 주파수 대역 단위의 설정 명령이 선택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상술한 도 7b(b)의 상태로 곧바로 진입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10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국가 이동시 주파수 대역 단위를 검색 및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송 관련 정보를 현재 위치한 국가(또는,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로 한정하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모드 진입의 일례로서 메뉴 검색을 통하여 'TV 시청'(801)이 선택되는 경우(도 8a), 사용자 선택 동작의 일례로서 메뉴 검색을 통하여 '주파수 대역 단위 검색/설정'(802)이 선택되는 경우(도 8b), 국가 이동 감지시 사용자에 의해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의 검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도 8c)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현재 위치한 국가(또는,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동작의 수행 이전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의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a), 그 결과 현재 위치한 국가의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b). 도 9(a)에서는,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의 요청 신호의 송신 중 및 송신 정도를 알리는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고, 도 9(b)에서는,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의 송신 중 및 송신 정도를 알리는 식별자를 디스플레 이할 수 있다.
현재 위치한 국가에 상응하는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검색하면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주파수 대역 단위의 검색 중 및 검색 정도를 알리는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주파수 대역 단위 검색에 성공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검색 완료 및 검색된 주파수 대역 단위를 설정함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b).
도 1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국가 이동시 주파수 대역 단위 검색에 성공한 경우의 화면 구성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국가 이동시 주파수 대역 단위 검색에 실패한 경우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의 검색에 성공함에 따라, 상기 검색된 주파수 대역 단위로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면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주파수 대역 스캔 중 및 스캔 정도를 알리는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의 검색에 실패함에 따라, 설정 가능한 모든 주파수 대역 단위로 각각 주파수 대역 스캔 동작을 수행하고(도 12a), 스캔 성공한 주파수 대역 단위를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도 12b).
도 13a 내지 도 14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국가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국가 이동시 방송 출력 필요 정보를 검색 및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송 관련 정보를 현재 위치한 국가(또는,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방송 출력 필요 정보로 한정하도록 한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모드 진입의 일례로서 메뉴 검색을 통하여 'TV 시청'(1301)이 선택되는 경우(도 13a), 사용자 선택 동작의 일례로서 메뉴 검색을 통하여 '방송 출력 필요 정보 검색/설정'(1302)이 선택되는 경우(도 13b), 국가 이동 감지시 사용자에 의해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방송 출력 필요 정보의 검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도 13c)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현재 위치한 국가(또는,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방송 출력 필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동작의 이전에,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한 국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 정보의 획득에 대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한 국가에 대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방송 출력 필요 정보를 검색하면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방송 출력 필요 정보의 검색 중 및 검색 정도를 알리는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출력 필요 정보의 검색에 성공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검색 완료 및 검색된 방송 출력 필요 정보를 설정함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b).
도 15a 내지 도 16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국가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국가 이동시 방송 사업자 정보를 검색 및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송 관련 정보를 현재 위치한 국가(또는,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방송 사업자 정보로 한정하도록 한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모드 진입의 일례로서 메뉴 검색을 통하여 'TV 시청'(1501)이 선택되는 경우(도 15a), 사용자 선택 동작의 일례로서 메뉴 검색을 통하여 '방송 사업자 정보 검색/설정'(1502)이 선택되는 경우(도 15b), 국가 이동 감지시 사용자에 의해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방송 사업자 정보의 검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도 15c)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현재 위치한 국가(또는, 이동된 국가)에 상응하는 방송 사업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동작의 이전에,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한 국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 정보의 획득에 대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한 국가에 대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방송 사업자 정보를 검색하면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방송 사업자 정보의 검색 중 및 검색 정도를 알리는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사업자 정보의 검색에 성공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검색 완료 및 검색된 방송 사업자 정보를 설정함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b).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설정 가능한 모든 주파수 대역 단위 각각에 상응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국가간 이동 히스토리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이동된 국가가 과거에 위치한 이력이 있는 국가인 경우 상기 이동된 국가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곧바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송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장치가 착탈되는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방송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방송 관련 정보가 주파수 대역 단위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방송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국가 이동시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 및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8a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국가 이동시 주파수 대역 단위를 검색 및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국가 이동시 주파수 대역 단위 검색에 성공한 경우의 화면 구성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국가 이 동시 주파수 대역 단위 검색에 실패한 경우의 화면 구성도.
도 13a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국가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국가 이동시 방송 출력 필요 정보를 검색 및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15a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국가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국가 이동시 방송 사업자 정보를 검색 및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

Claims (18)

  1.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 1 국가에서 제 2 국가로 이동되는지 감지하고, 상기 제 1 국가에서 제 2 국가로 이동됨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이동된 제 2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방송 관련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는, 국가별 설정 가능한 주파수 대역 단위, 국가별 방송 출력 필요 정보 및 국가별 방송 사업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국가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국가에서 제 2 국가로 이동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국가별 식별 정보는, 국가별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 국가별 국가 코드, 국가별 국가 GPS 정보 및 국가별 국가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된 제 2 국가에 대한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수신된 모바일 국가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이동된 제 2 국가에 대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모드 진입, 사용자 선택 동작 입력, 국가 이동 감지 및 방송 시청 불가능 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일 때, 상기 감지 동작, 검색 동작 및 설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관련 정보가 상기 이동된 제 2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이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파수 대역 단위로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관련 정보가 상기 이동된 제 2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이고, 상기 이동된 제 2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검색이 실패되면, 설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의 단위로 주파수 대역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스캔하고, 상기 스캔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된 제 2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된 제 2 국가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단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국가에서 제 2 국가로 이동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국가에서 제 2 국가로 이동됨이 감지되면, 기 저장된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된 제 2 국가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방송 관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국가별 방송 관련 정보는, 국가별 설정 가능한 주파수 대역 단위, 국가별 방송 출력 필요 정보 및 국가별 방송 사업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방송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80045444A 2008-05-16 2008-05-1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430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44A KR101430481B1 (ko) 2008-05-16 2008-05-1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US12/372,443 US8260232B2 (en) 2008-05-16 2009-02-1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broadcast therein
CN200910128732.8A CN101582945B (zh) 2008-05-16 2009-03-13 移动终端及控制其中的广播的方法
EP09004583A EP2131576B1 (en) 2008-05-16 2009-03-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broadcast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44A KR101430481B1 (ko) 2008-05-16 2008-05-1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11A KR20090119411A (ko) 2009-11-19
KR101430481B1 true KR101430481B1 (ko) 2014-08-18

Family

ID=4091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444A KR101430481B1 (ko) 2008-05-16 2008-05-1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60232B2 (ko)
EP (1) EP2131576B1 (ko)
KR (1) KR101430481B1 (ko)
CN (1) CN1015829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56A1 (ko) 2009-11-15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US9100848B2 (en) * 2010-09-17 2015-08-04 Nec Corporation Frequency determination for base stations installed in different locations under different operators
JP2012114574A (ja) * 2010-11-22 2012-06-14 Fujitsu Ltd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3906272B (zh) * 2012-12-25 2017-08-25 华为终端有限公司 无线局域网配置方法及无线终端
CN105282727A (zh) * 2014-06-11 2016-01-27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线通信信道调节方法、装置及终端
CN104902117A (zh) * 2015-05-26 2015-09-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提供健康服务的方法及装置
JP6579883B2 (ja) * 2015-09-24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095064B (zh) * 2016-06-16 2019-07-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禁止应用接收特定广播的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092A (ja) * 2000-03-29 2001-10-12 Pioneer Electronic Corp 移動体用受信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2526B1 (en) 1998-04-08 2006-05-09 Microsoft Corporation Worldwide television tuning system with country code based tuning
US6340997B1 (en) 1998-04-08 2002-01-22 Microsoft Corporation Worldwide television tuning system with object-based tuning control modules
WO1999066723A1 (fr) 1998-06-16 1999-1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cepteur
US7369825B2 (en) * 2001-08-06 2008-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ection of radio station based on preferred program content
KR20060044098A (ko) 2004-11-11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자동 선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BRPI0616157A2 (pt) 2005-09-21 2011-06-07 Sanyo Electric Co receptor de radiofusão digital
US20070226764A1 (en) 2006-03-23 2007-09-27 Tobias Melin Mobile communication based television standard selection apparatus
KR100800869B1 (ko) * 2006-08-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US20080055156A1 (en) * 2006-09-05 2008-03-06 Banerjee Debarag 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dapted to use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frequency channels and modes of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092A (ja) * 2000-03-29 2001-10-12 Pioneer Electronic Corp 移動体用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1576B1 (en) 2013-02-13
CN101582945A (zh) 2009-11-18
KR20090119411A (ko) 2009-11-19
US8260232B2 (en) 2012-09-04
EP2131576A3 (en) 2010-05-05
US20090286466A1 (en) 2009-11-19
CN101582945B (zh) 2014-07-23
EP2131576A2 (en)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78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리스트 관리 방법
KR10143048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55977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259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지오태깅 방법
KR10150420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94390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2072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KR10155613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174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모드 선택 방법
KR1014358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864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50779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표시 방법
KR101521910B1 (ko)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와 그 표시방법
KR20090056187A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기술 지원 방법
KR101540663B1 (ko)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방송제어 방법
KR1014638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KR101554181B1 (ko)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외부단말기 사용환경 설정방법
KR10149517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전달방법
KR1015269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KR101463823B1 (ko) 이동단말기의 방송정보 표시방법
KR10147445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장치 차단방법
KR10148046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제공방법
KR10153768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제공방법
KR10147619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02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