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288B1 - 방전 램프용 전극 구조 - Google Patents

방전 램프용 전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288B1
KR101429288B1 KR1020080051946A KR20080051946A KR101429288B1 KR 101429288 B1 KR101429288 B1 KR 101429288B1 KR 1020080051946 A KR1020080051946 A KR 1020080051946A KR 20080051946 A KR20080051946 A KR 20080051946A KR 101429288 B1 KR101429288 B1 KR 101429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cated cone
electrode
distal end
groove
discharg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941A (ko
Inventor
타케히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11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84Lamps with discharge constricted by high pressure
    • H01J61/86Lamps with discharge constricted by high pressure with discharge additionally constricted by close spacing of electrodes, e.g. for optical proj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5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732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735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84Lamps with discharge constricted by high pressure

Landscapes

  • Discharge Lamp (AREA)

Abstract

방전 램프의 양극의 방열용 홈부의 가장자리에 의한 램프 부재 손상을 방지한다. 양극의 선단면으로부터 동체면까지의 사이에, 2단계 또는 3단계의 테이퍼면을 형성한다. 축에 대한 테이퍼면의 경사 각도는 선단면으로부터 2단째가 가장 작고, 3단째가 가장 크다. 2단 째의 테이퍼면의 도중까지, 복수의 방사상 홈부를 설치한다. 홈부는 양극의 동체면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동체면에 홈부의 가장자리는 없다. 방전 램프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동체면이 램프 부재에 접촉하더라도 홈부의 가장자리가 램프 부재를 손상하는 일은 없다. 아크의 요동을 억제하는 것과 동시에, 방열 효과로 양극의 소모를 억제하여 램프의 흑화를 방지하고, 방전램프의 사용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한 홈부를 조립 공정에 있어서 안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방전 램프, 전극

Description

방전 램프용 전극 구조{ELECTRODE STRUCTURE FOR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쇼트 아크형 등의 방전 램프용 전극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전 램프의 전극의 선단 테이퍼부에 방열용의 방사상 홈을 갖는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쇼트 아크형 등의 방전 램프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반도체의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때에 사용되고 있다. 이 방전 램프는 양극이 전극봉을 통해 석영제의 봉지관에 의해 방전 공간 내에 보호 유지되어 양극을 위 또는 아래로 한 상태에서 수직 점등하여 사용되고 있다. 방전 램프를 점등 하면 음극에서 보내져 오는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여 고열이 되고, 양극은 증발하여 소모한다. 전극이 소모하면, 열대류에 의해 방전 램프의 내벽이 흑화하고, 발광관 중앙부에서 상부측 내관벽이 특히 흑화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극이나 양극의 선단부에 방사상의 홈을 설치해, 방열 효과를 높이고 있다. 또, 방사상의 홈을 따라 방전 가스가 흐르도록 하여 아크의 요동을 방지하고 있다. 이하에, 이에 관련하는 종래 기술의 예를 몇 가지 들어본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방전등용 전극은 에미터 물질의 기능이 장시간 유효하게 발휘되도록 한 것이다. 도 4a에 나타내듯이, 음극의 선단부에 특정의 홈을 형성한다. 전자 방사에 기여하는 전극 선단부의 실효 표면적이 증대한다. 에미터 물질의 표면 확산이 충분해진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방전등은 방전등에 있어서의 조사광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4b에 나타내듯이, 희가스가 봉입된 봉체에는 음극 및 양극이 대향배치되어 있다. 양극의 선단부에 축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뻗는 홈을 설치한다. 이 홈에 의해, 아크 발생 위치에서의 와류가 없어지므로, 와류에 기인하는 아크의 혼란이 없어지고, 조사광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쇼트 아크형 고압 방전 램프는 전극으로부터의 열방사특성을 개선하고, 전극의 온도를 효율 좋게 내려 방사광의 요동을 억제한 것이다. 도 4c에 나타내듯이, 전극의 동체부와 선단에 테이퍼부가 있다. 양극의 테이퍼부에는 양극축에 대해 90도 이하로 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방전 램프용 양전극은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극에 미세 가공으로 형성된 휜이 운반 시나 제조 시에 빠지거나 휘지 않게 한 것이다. 도 4d에 나타내듯이, 깊이(D)가 양전극의 직경의 12% 이내이며, 깊이 D와 피치 P와의 관계가, D/P≥2인 미세 홈이 동체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실개평 02-08287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 제 3327350호 공보 (특개평 06-267502 호공보)
[특허문헌 3] 특허 제 3846282호 공보 (특개 2003-157794 호공보)
[특허문헌 4] 특허 제 3838110호 공보 (특개 2003-223865 호공보)
그러나, 종래의 방전 램프의 전극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미세홈만으로는 방열 효과가 불충분하고 양극이 소모하여 방전 램프 내부가 흑화한다. 축방향에 방사상으로 뻗는 구형 모양의 홈을 다이아몬드 컷터에 의한 절삭 가공으로 전극의 선단부에 설치하면, 절삭한 흔적에 가시가 발생한다. 이러한 가시는 예리한 것으로, 홈의 모퉁이가 칼날모양이나 톱모양(끝이 예리한 것, 역벗겨짐)이나 줄모양이 된다. 이와 같이 홈의 모퉁이가 예리하면, 램프 제조 공정에 있어서, 램프를 구성하는 부재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방전 램프의 봉지 공정에 있어서, 봉지관 내에 전극을 넣을 때에 봉지관의 개홈부에 당접시키면 봉지관이 갈라져 버린다. 또, 봉지관 내에서 전극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하면, 봉지관 내면을 깎아, 미세한 유리파편이 램프 내에 이물질로서 침투한다. 또, 발광관의 내면에 닿으면, 발광 관 내면을 손상시켜 버린다. 이와 같이 발광관의 내면을 손상시킨 상태로 점등 하면, 이 상처를 기점으로 하여 램프가 파열될 우려가 있다.
계합부에 의해 양극을 보호 유지하는 경우에는 계합부에 의해 양극을 협지하는 때에, 홈의 모퉁이에서 계합부를 깍아내 버려, 양극에 계합부의 파편이 부착하고, 방전 램프 내에 이물질로서 반입될 우려가 있다. 그 외의 공정에 있어서도, 전극의 선단이 예리해져 있으므로, 전극을 이동한 것만으로도 제조 설비나 치구의 표면을 깎아 버린다. 게다가 톱모양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서 이물질 등을 포함하 여, 불순물로서 방전 램프 내에 반입될 우려가 있다. 방전 램프 내에 불순물을 반입함으로써, 램프의 수명이 짧아진다.
특히, 최근의 방전 램프의 대전력화에 수반하여, 전극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닿았을 때의 충격 에너지가 커지고 있다. 전극이 무거워짐에 따라, 충격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전극을 발광관의 소망하는 위치에 배설하는 작업은 신중하게 행할 필요가 있고, 현저하게 작업 효율이 나빠진다. 홈의 모퉁이가 예리해진 부분을 평활화하기 위해서 가시제거(모따기)를 행한다. 홈의 갯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 가공은 현저하게 번잡해 지고, 제조 효율이 나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아크의 요동 억제와 양극의 방열을 위한 홈부에 의한 램프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주상의 동체부와 원추대 모양의 선단부를 갖는 제1의 전극과, 제1의 전극과의 사이에 방전을 행하는 제2의 전극이 발광관 내에 대향하여 설치된 방전 램프의 선단부에 방전을 행하는 선단면과 동체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의 측면부와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측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동체부에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방사상의 복수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의 연장선은 동체부와도 선단부와도 엇갈리지 않는 구성을 하였다.
선단부는 선단면을 갖는 제1 원추대와 제1 원추대와 동체부에 연결되는 제2 원추대로 이루어지고, 제1 원추대는 상기 제2 원추대보다 축에 대한 측면부의 각도 가 크다. 또는 선단면을 갖는 제1 원추대와 제1 원추대로 연결되는 제2 원추대와, 제2 원추대와 동체부로 연결되는 제3 원추대로 이루어지고, 제1 원추대는 제2 원추대보다 축에 대한 측면부의 각도가 크다. 또는 선단면을 갖는 제1 원추대와 제1 원추대에 연결되는 제2 원추대와 제2 원추대와 동체부로 이어지는 제3 원추대로 이루어지고 제1 원추대와 제3 원추대는 제2 원추대보다 축에 대한 측면의 각도가 크다.
또는 선단부는 구 또는 회전 타원체 또는 회전 포물면을 원추대 모양으로 절단한 형상의 것이다. 또는 구 또는 회전 타원체 또는 회전 포물면을 원추대 모양으로 절단하여 동체부로 연결되는 부분을 넓힌 벨 형상의 것이다. 더욱이 선단부의 측면부에 원주상으로 미세홈을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양극의 방열 효과를 높이고, 아크의 요동을 억제하기 위한 홈부를 설치해도, 홈부의 가장자리에서, 방전 램프의 구성 부재나 램프 제조 설비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불순물을 방전 램프 내에 반입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 1 ~ 도 3 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단면으로부터 테이퍼부의 도중까지, 홈부의 연장선이 동체부와도 선단부와도 엇갈리지 않게, 동체부보다 가는 선단부의 측면에 방사상의 복수의 홈부를 설치한 양극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양극을 이용한 방전 램프의 외관도와 전극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방전 램프(1)은 내부의 전극사이에서 방전을 행하는 램프이다. 발광부(2)는 전극 사이의 방전에 의해 발광하는 부분이며, 전극을 밀봉하여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유리부재이다. 봉지관부(3)은 밸브를 기밀 봉지하는 부분이다. 꼭지쇠(4)는 램프를 기계적으로 보호 유지함과 함께 급전하기 위한 부재이다. 방전 램프(1)은 꼭지쇠(4)를 통해 광원장치에 고정 되어 있다. 봉지관부(3)에는 꼭지쇠(4)가 고정 되어 있다. 외부 리드봉(5)는 꼭지쇠로부터 금속박을 통해 전극으로 급전하는 부재이다. 금속박(6)은 내부 리드봉과 외부 리드봉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이다. 내부 리드봉(7)은 전극을 지지하여 급전하는 부재이다. 봉지관부(3) 은 내부 리드봉(7)과 외부 리드봉(5)를 도전성의 금속박(6)에 의해 접속하여 기밀로 봉지한다. 음극(9)는 마이너스측의 전극이다. 양극(10)은 플러스측의 전극이다. 양극(10)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홈부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양극(10)과 음극(9)는 발광부(2) 내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원추대에 가까운 형상의 전극 선단부를 단순히 테이퍼부나 테이퍼면이라 한다. 이것은 도 1b에 나타내듯이, 구면의 일부를 잘라내 원추대에 가까운 형상으로 한 것이나, 도 1c에 나타내듯이, 회전 포물면의 일부를 잘라내 원추대에 가까운 형상으로 한 것이나, 도 1d에 나타내듯이, 회전 타원체의 일부를 잘라내 원추대에 가까운 형상으로 한 것이나, 도 1e에 나타내듯이, 벨형으로 한 것도 포함한다. 또, 제1 테이퍼부와 제2 테이퍼부를 합쳐서, 테이퍼부라고 한다. 선단면은 평면의 원판상이어도 좋고, 원판에 가까운 곡면이어도 좋다.
도 2는 양극의 확대도이다. 도 2a는 양극의 측면측의 외관도이다. 도 2b는 양극의 선단측의 외관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C-C단면도이다. 도 2a, 2b, 2c에 있어서, 선단부(11)은 전극의 선단측의 원추대 모양의 부분이다. 동체부(12)는 선단부(11)에 이어지는 부분으로, 전극의 원주상 부분이다. 후단부(13)은 동체부(12)에 이어지는 부분으로, 전극의 후단측의 원추대 부분이다. 선단면(21)은 원주상의 전극의 전면이며, 음극(9)와의 사이에서 방전을 행하는 면이다. 제1 테이퍼부(22)는 선단면(21)에 이어지는 원추대의 부분이다. 제2 테이퍼부(23)은 제1 테이퍼부에 이어지는 원추대의 부분이다.
동체면(25)는 원주상의 전극의 측면이다. 후단면(27)은 원주상의 전극의 저면이다. 후단측 테이퍼부(26)은 후단면(27)에 이어지는 원추대인 부분이다. 테이퍼 종단부(28)은 동체면의 선단면측의 종단이 되는 원주 부분이다. 전극 유지공(14)는 후단면(27)에 설치한 구멍이다. 홈부(31)은 선단부의 선단면으로부터 제2 테이퍼부의 도중까지 걸쳐 설치한 구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 홈이다. 홈 저면(32)는 구형 모양의 홈의 바닥면이다. 홈 측면(33)은 구형 모양의 홈의 측면이 다. 홈둘레부(34)는 전극의 축에 평행한 면 내에 있고, 테이퍼부 또는 선단면과 홈부와의 경계인 가장자리의 모퉁이 부분이다. 홈단부(35)는 전극의 축과 비틀어진 직교관계에 있고, 선단면과 홈부와의 경계의 축측의 모퉁이 부분이다. D1은 원주상의 전극의 외경이다. D2는 복수의 홈부로 이루어지는 최대 지름이다. θ1은 제1 테이퍼부의 꼭지각 (축과 모선의 각도의 2배)이다. θ2는 제2 테이퍼부의 꼭지각이다.
도 2a, 2b, 2c에 나타내듯이, 양극(10)은 원주에 가까운 형상이다. 선단부(11)에는 선단면(21), 제1 테이퍼부(22), 제2 테이퍼부(23), 홈부(31)이 있다. 동체부(12)에는 동체면(25)가 있다. 후단부(13)에는 후단측 테이퍼상태부 (26), 후단면(27), 전극 보호 유지구멍(14)가 있다. 홈부(31)의 표면은 제1 테이퍼부(22)의 표면을 따라 설치한 홈 저면(32)와 이 홈 저면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고, 홈 저면에 수직인 홈 측면(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홈단부(35)는 선단면 또는 제2 테이퍼부와 홈 저면이 교차하는 모퉁이 부분이다. 홈둘레부(34)는 선단면 또는 테이퍼부와 홈 측면이 교차하는 모퉁이 부분이며, 선단면으로부터 제2 테이퍼부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고 있다. 홈 둘레부(34)의 양단은 선단면과 제2 테이퍼부에 형성된 홈단부(35)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홈부(31)은 홈 저면과 접하는 홈단부(35)와 홈 측면과 접하는 홈 둘레부(34)에 의해 둘러싸여진 상태이다.
테이퍼부에 있어, 제1 테이퍼부의 꼭지각을 θ1으로 하고, 제2 테이퍼부의 꼭지각을 θ2로 할 때, 0 < θ2 < θ1로 한다. 즉, 선단면에 가장 가까운 원추대는 그 다음의 원추대로부터 축에 대한 측면의 각도가 큰 테이퍼부로 한다. 제1 테이퍼부(22)의 테이퍼면을 따라 홈부(31)의 홈 저면(32)를 설치하면, 선단면(21)과 제2 테이퍼부(23)의 테이퍼면에 홈단부(35)가 형성된다. 홈부(31)의 홈 저면(32)에서 선단면(21)과 제2 테이퍼부(23)의 테이퍼면이 이어진다. 더욱이 원주상의 전극의 외경을 Dl으로 하고, 제2 테이퍼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단부로 이루어지는 최대 지름을 D2로 할 때, Dl > D2로 한다. 즉, 동체부(12)의 외경은 홈부(31)의 최대 외경보다 크다. 홈단부(35)와 홈 둘레부(34)는 테이퍼 종단부(28)를 넘는 동체면(25) 측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동체면(25)과 동일면 상에는 홈단부(35)와 홈둘레부(34)는 형성되지 않는다.
홈부는 방사상으로 4개 설치해 있지만, 방열성을 높이기 위해 40개 정도의 복수 홈을 방사상으로 설치해도 좋다. 구형 모양의 홈으로 했으나 V자상의 홈이나 U 자상 홈 등이어도 좋다. 더욱이 선단부의 홈부에 추가하여 선단부나 동체부에 미세홈을 전극의 원주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전극의 표면적을 크게 하여 방열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3은 양극의 다른 예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양극의 측면측의 외관도이다. 도 3b는 양극의 선단측의 외관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C-C 단면도이다. 도 3a, 3b, 3c에 있어서, 양극(110)은 플러스측의 전극이다. 단부(111)은 전극의 선단측의 원추대 부분이다. 선단면(121)은 원주상의 전극의 상면이며, 음극과의 사 이에서 방전을 행하는 면이다.
제1 테이퍼부(122)는 선단면(121)로 연결되는 포탄형상의 부분이다. 제2 테이퍼부(123)은 제1 테이퍼부(122)로 연결되는 원추대의 부분이다. 제3 테이퍼부(124)는 제2 테이퍼부(123)과 동체면(25)를 잇는 원추대의 부분이다. 홈부(131)은 선단부의 선단면으로부터 제2 테이퍼부에 걸쳐서 설치한 홈이다. 홈둘레부(134)는 전극의 축에 평행한 면 내에 있고, 테이퍼부 또는 선단면과 홈부와의 경계인 둘레의 모퉁이부분이다. 홈단부(135)는 전극의 축과 비틀어진 직교 관계에 있고, 선단면과 홈부와의 경계의 축측의 모퉁이부분이다.
3개의 테이퍼면은 원추대라도 좋고, 구나 회전 포물면이나 회전 타원체나 포탄형상의 일부를 절취해 원추대에 가까운 형태로 한 것도 좋고, 도 1e에 나타낸 것처럼, 3개의 원추대를 매끄러운 곡면으로 이어, 동체부측이 넓어진 벨형으로 한 것 등이어도 좋다. 도 3a , 3b , 3c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홈부(131)을 선단부(111)의 선단면(121)로부터 제2 테이퍼부(123)을 향해 방사상으로 설치한다.
제2 테이퍼부는 그 꼭지각 θ2 가 0이 되는 원주상이어도 좋다. 따라서, 제1 테이퍼부의 꼭지각을 θ1 으로 하고, 제2 테이퍼부의 꼭지각을 θ2 로 할 때, 0 ≤ θ2 < θ1으로 한다. 이러한 제2 테이퍼부의 도중까지, 홈부를 설치한다. 제2 테이퍼부(123)의 테이퍼면에 평행하게 홈부(131)의 홈 저면(132)를 설치한다. 선단면(121)과 제2 테이퍼부(124)의 테이퍼면에 홈단부(135)가 형성된다.
더욱이 방전 램프내의 가스의 선단면으로부터 동체면을 향하는 흐름을 정리 하기 위해 홈부가 선단면으로부터 제2 테이퍼부를 향해 개방될 필요가 있다. 제3 테이퍼부가, 방전 램프의 가스 흐름을 차단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홈 저면(132)의 연장면은 제3 테이퍼부와 교차하지 않게 한다. 더욱이 제2 테이퍼부와 제3 테이퍼부와의 경계에서 가스흐름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제2 테이퍼부의 꼭지각과 제3 테이퍼부의 꼭지각과의 차이를 작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3 테이퍼부의 꼭지각을 θ3 로 하면, 0 ≤ θ2 < θ3 ≤ θ1이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서, 양극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종래와 같이, 원추형의 선단부에 선단면으로부터 동체면까지 홈부를 방사상에 복수 설치한 후에, 선반을 이용해 제2 테이퍼부를 깎아내어 제작할 수 있다. 그 외의 방법으로서 미리 제2 테이퍼부를 깎아낸 전극의 선단부에 선단면으로부터 제2 테이퍼부까지 홈부를 방사상으로 복수 설치해도 제작할 수 있다. 이들 방법으로 제작된 홈부는 특히 홈단부나 홈둘레부가 예리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서, 다른 예의 양극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포탄상의 선단부에, 선단면으로부터 동체면에 걸쳐 홈부를 방사상으로 몇 개 새긴 후에, 선반을 이용해 제2 테이퍼부와 제3 테이퍼부를 깎기내어 제작할 수 있다. 그 외의 방법으로서 미리 제2 테이퍼부와 제3 테이퍼부를 깎아낸 전극의 선단부에, 선단면으로부터 제2 테이퍼부까지 홈부를 방사상으로 복수 새기는 방법도 있다.
다음으로, 양극의 홈부의 기능을 설명한다. 테이퍼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양극의 선단부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전극의 증발을 억제하여 램프의 흑화를 방지 하고, 램프의 수명을 늘리기 위한 홈부를 설치해도 홈부의 형상을 상기와 같이 했기 때문에, 램프 부재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홈단부와 홈둘레부는 테이퍼 종단부를 넘어 동체면측에는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램프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 등을 홈둘레부나 홈단부에서 파손하거나 닳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램프의 내부에 불순물이 반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홈부를 선단부의 도중까지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선단면으로부터 제2 테이퍼부에 향하는 홈부는 동체면 방향으로 개방되고 있으므로, 선단면으로부터 동체면으로 향하는 방전 가스의 흐름이 안정되어, 아크가 흐트러지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제3 테이퍼부에까지 홈부를 설치한 양극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0 < θ3 < θ2 < θ1 으로 한다. 즉, 3 단의 볼록형의 테이퍼부가 된다. 이 제3 테이퍼부의 도중까지 홈부를 설치한다. 제2 테이퍼부(123)의 테이퍼부(123)의 테이퍼면을 따라, 홈부(131)의 홈 저면(132)를 설치한다. 선단면(121)과 제3 테이퍼부(124)의 테이퍼면에, 홈단부(135)가 형성된다. 홈부 (131)의 홈 저면(132)에서 선단면(21)과 제3 테이퍼부(124)의 테이퍼면이 연결된다. 이 양극의 기능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극을 선단면으로부터 테이퍼부의 도중까지 홈부의 연장선이 동체부와도 선단부와도 교차하지 않게, 동체부보다 가는 선단부의 측면에 방사상의 복수의 홈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홈부의 가장자리에 의한 램프 구성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방전 램프는 전극의 온도 상승이 적게 수명이 긴 자외선 조사용 방전 램프로서 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양극을 이용한 방전 램프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양극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부에 있어서의 양극의 다른 예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방전 램프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전 램프 2 : 발광부
3 : 봉지관부 4 : 꼭지쇠
5 : 외부 리드봉 6 : 금속박
7 : 내부 리드봉 9 : 음극
10, 110 : 양극 11, 111 : 선단부
12, 112 : 동체부 13, 113 : 후단부
14 : 전극 보호 유지공 21, 121 : 선단면
22, 122 : 제1 테이퍼부 23, 123 : 제2 테이퍼부
24, 124 : 제3 테이퍼부 25, 125 : 동체면
26, 126 : 후단측 테이퍼부 27, 127 : 후단면
28, 128 : 테이퍼 종단부 31, 131 : 홈부
32, 132 : 홈 저면 33, 133 : 홈 측면
34, 134 : 홈 둘레부 35, 135 : 홈단부

Claims (7)

  1. 원주상의 동체부와 원추대 모양의 선단부를 갖는 제1의 전극과, 제1의 전극과의 사이에 방전을 행하는 제2의 전극이 발광관 내에 대향하여 설치된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방전을 행하는 선단면과 상기 동체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의 측면부와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측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동체부에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방사상의 복수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는 동체부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동체부는 상기 홈부의 연장선과 교차하지 않으며 상기 홈부의 연장선보다 전극의 축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선단면을 갖는 제1 원추대와, 상기 제1 원추대와 상기 동체부에 연결되는 제2 원추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추대는 상기 제2 원추대보다 축에 대한 측면부의 각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선단면을 갖는 제1 원추대와, 상기 제1 원추대로 연결되는 제2 원추대와, 상기 제2 원추대와 상기 동체부로 연결되는 제3 원추대로 이루어 지고, 상기 제1 원추대는 상기 제2 원추대보다 축에 대한 측면부의 각도가 크고, 상기 제2 원추대는 상기 제3 원추대보다 축에 대한 측면부의 각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선단면을 갖는 제1 원추대와, 상기 제1 원추대에 연결되는 제2 원추대와, 상기 제2 원추대와 상기 동체부에 연결되는 제3 원추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추대와 상기 제3 원추대는 상기 제2 원추대보다 축에 대한 측면의 각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구 또는 회전 타원체 또는 회전 포물면을 원추대 모양으로 절단한 형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구 또는 회전 타원체 또는 회전 포물면을 원추대 모양으로 절단하여 상기 동체부로 연결되는 부분을 넓힌 벨 형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측면부에 원주상으로 미세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KR1020080051946A 2007-06-22 2008-06-03 방전 램프용 전극 구조 KR101429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4578A JP5009062B2 (ja) 2007-06-22 2007-06-22 放電ランプ用の電極構造
JPJP-P-2007-00164578 2007-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941A KR20080112941A (ko) 2008-12-26
KR101429288B1 true KR101429288B1 (ko) 2014-08-11

Family

ID=4020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946A KR101429288B1 (ko) 2007-06-22 2008-06-03 방전 램프용 전극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09062B2 (ko)
KR (1) KR101429288B1 (ko)
CN (1) CN101329981B (ko)
TW (1) TWI4343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0573B2 (ja) * 2009-07-14 2013-03-27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
TWI412057B (zh) * 2009-07-14 2013-10-11 Ushio Electric Inc Short arc discharge lamp
DE102010001665A1 (de) * 2010-02-08 2011-08-11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81543 Reduktion der durch Rückreflektion in die Elektrode einer Entladungslampe eingetragenen Leistung
JP5278420B2 (ja) * 2010-12-20 2013-09-04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
DE112012000880B4 (de) 2011-02-18 2023-02-0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tromkollektor, elektrode, batterie mit nicht-wässrigem elektrolyt, kondensator und lithium-ionen-kondensator, die einen porösen aluminiumkörper mit dreidimensionalem netzwerk verwenden
JP6633826B2 (ja) * 2014-09-24 2020-01-22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放電ランプ
JP6564598B2 (ja) * 2015-03-31 2019-08-21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放電ランプ
JP6647678B2 (ja) * 2015-12-02 2020-02-14 岩崎電気株式会社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
KR102155100B1 (ko) * 2015-12-30 2020-09-14 베이징 이타운 세미컨덕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아크 램프용 전극 팁
CN114203520B (zh) * 2021-12-16 2024-03-12 深圳市利孚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低电磁干扰长弧气体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7502A (ja) * 1993-03-09 1994-09-22 Watanabe Shoko:Kk 放電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51877B (de) * 1961-11-27 1963-07-25 Patra Patent Treuhand Kathode fuer eine Hochdruckentladungslampe, vorzugsweise Edelgashochdrucklampe
BE636192A (ko) * 1962-08-17
GB2107921A (en) * 1981-10-15 1983-05-05 Emi Plc Thorn Discharge lamp electrode
CN2485790Y (zh) * 2001-06-27 2002-04-10 上海罗曼电光源有限公司 双钼筒气体放电灯
JP3846282B2 (ja) * 2001-11-21 2006-11-1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ショートアーク型高圧放電ランプ
JP3838110B2 (ja) * 2002-01-31 2006-10-2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放電ランプ用陽電極およびショートアーク放電ラ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7502A (ja) * 1993-03-09 1994-09-22 Watanabe Shoko:Kk 放電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03562A (en) 2009-01-16
CN101329981A (zh) 2008-12-24
KR20080112941A (ko) 2008-12-26
TWI434318B (zh) 2014-04-11
JP5009062B2 (ja) 2012-08-22
CN101329981B (zh) 2011-10-05
JP2009004242A (ja)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288B1 (ko) 방전 램프용 전극 구조
KR20020035884A (ko) 쇼트 아크형 고압 방전 램프
US7545087B2 (en) Light source device with cooling rib
JP4681668B2 (ja) 箔シールランプ
JP5036361B2 (ja) 階段状溝の放熱構造を有する電極を用いた放電ランプ
JP3838110B2 (ja) 放電ランプ用陽電極およびショートアーク放電ランプ
JP4714418B2 (ja) 放電ランプ
US7397191B2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having a conical part and a cylindrical body part
US8350476B2 (en) Short arc type discharge lamp
KR20030035920A (ko) 쇼트아크형 수은 램프
US20040075390A1 (en) Short arc discharge lamp and light source device
JP2010272307A (ja) 車輌用放電灯
JP6483020B2 (ja) 放電ランプ、放電ランプの製造方法、及び、放電ランプ用電極
JP3846282B2 (ja) ショートアーク型高圧放電ランプ
JP2010033864A (ja) 高圧放電ランプ
JP2010129498A (ja) 高圧放電ランプ
JP6707345B2 (ja) 放電ランプ
JP6570398B2 (ja) 放電ランプ
JP5276485B2 (ja)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
US20060202623A1 (en) Discharge tubes
JP2004119024A (ja)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
JP2008047548A (ja) ショートアーク型高圧放電ランプ
JP6562298B2 (ja) 放電ランプ
JP6153062B2 (ja) 放電ランプおよび放電ランプの製造方法
JP2011113820A (ja)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