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205B1 -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 Google Patents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205B1
KR101429205B1 KR1020120089708A KR20120089708A KR101429205B1 KR 101429205 B1 KR101429205 B1 KR 101429205B1 KR 1020120089708 A KR1020120089708 A KR 1020120089708A KR 20120089708 A KR20120089708 A KR 20120089708A KR 101429205 B1 KR101429205 B1 KR 10142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layer
scattering
guide
laying hen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622A (ko
Inventor
전중환
송준익
이준엽
박규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8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2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01K31/165Egg collecting or cou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01K31/17Laying batteri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산란계를 위한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이 제공된다.
산란계를 위한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은, 바닥으로부터 제1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급이기(21)가 설치되는 제1단층; 상기 제1단층으로부터 제2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음수기(22)와 복수의 산란상(30) 및 집란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제2단층; 상기 제2단층으로부터 제3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횃대(60)가 설치되는 제3단층;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1단층, 제2단층 및 제3단층으로 산란계들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각 단층의 외부 측 공간에 설치되는 층간 이동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Multistage aviary system for laying hens}
본 발명은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란계의 자유로운 운동여건을 제공할 수 있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에 관한 것이다.
세계 각국에서 동물복지가 이슈화되면서 동물복지를 고려한 산란계 사육시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대체 사육시설이 소개되고 이용되고 있다.
또한, 2012년부터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가 도입됨으로 인하여 기존에 케이지 사육시설을 대체할 수 있는 산란계 사육시설에 대한 요구 및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기존의 케이지 사육시설 농가가 동물복지 축산농장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고가의 사육장치나 많은 면적을 필요로 하는 방사 사육을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종래에 운동량을 늘리기 위한 사육시설로는 한국등록특허 제 1157787호(가금류 사육시설)에서, 파이프 위에 설치되는 그물망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가금류가 그물망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설은 육질계를 위한 것으로서 육질개선에는 효과적이나 이동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활동공간이 요구되는 산란계의 복지 개념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7787호, "가금류 사육시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육 닭들이 움직일 수 있는 자유로운 활동공간과 운동여건을 제공할 수 있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란계의 행동특성을 고려하여 하단부터 단계별로 최상단까지 이동하게 함으로써, 적은 사육면적에 비하여 자유로운 활동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란계가 스트레스를 적게 받으면서 건강하게 사육될 수 있도록 복지개념을 도입한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산란계를 위한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란계를 위한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은, 산란계를 위한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제1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급이기가 설치되는 제1단층;
상기 제1단층으로부터 제2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음수기와 복수의 산란상 및 집란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제2단층;
상기 제2단층으로부터 제3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횃대가 설치되는 제3단층;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1단층, 제2단층 및 제3단층으로 산란계들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각 단층의 외부 측 공간에 설치되는 층간 이동시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층간 이동시설은,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1단층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는 등반계단; 상기 제1단층과 제2단층 사이 및 상기 제2단층과 상기 제3단층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도약대; 상기 도약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사다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란상은 가변형의 산란상 바닥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의 산란상 바닥매트는 매트 구동장치의 제어부에 의하여 산란 시간대에는 수평면에서 일측으로 6 ~ 7도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제어되며, 취침 시간대에는 수평면에서 일측으로 60도 이상의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란이송장치는, 이송 롤러, 집란분리장치, 집란분배가이드 및 집란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가변형 산란상 바닥매트의 일측에서 계란을 집란분리장치의 일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상기 집란분배가이드는 상기 집란분리장치의 일측에서 좌, 우측으로 계란을 분배하며, 상기 집란분리장치는 일측 상부에 이동된 계란을 상기 집란벨트의 상부로 밀어주고, 상기 집란벨트는 상부에 올려진 계란들을 집란 집하장치(미도시)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에서 산란상의 가까운 곳에 음수기를 위치하도록 음수기와 산란상을 같은 단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 공간을 확보하면서 이에 따른 산란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리를 이용한 활동량이 많은 바닥이 가까운 최 하단에 급이기를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급이량 증가를 유도할 수 있고 원형 급이기를 채택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최상단층에 횃대를 설치함으로써, 높은 곳으로 오르려는 산란계의 본능적인 행동을 충족하고 산란계의 운동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층간에 도약대를 위치시키고 외부용 연결사다리를 설치하여 층간 이동이 용이하고 산란계의 운동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상 바닥을 6 ~ 7도의 경사를 유지함으로써, 낮 시간에는 산란이 용이하고 집란장치로의 계란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야간에는 산란상의 바닥을 60도 이상 세워 지도록 함으로써, 산란계가 안주하지 않도록 하여 산란상의 내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란상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란분리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란분배가이드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은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에 대한 기준에 부합하도록 산란계 500수를 기준으로 전체 길이 9m 이상, 폭 2m 이상 규모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은 산란상(30), 급이기(21), 음수기(22), 횃대(60), 층간 이동시설을 포함한다.
제1단층은 급이층(11)으로 급이기(21)가 위치하고 제2단층은 산란층(12)으로 산란상(30)이 위치하며 제3단층은 횃대층(14)으로 횃대(60)를 포함한다.
바닥 공간은 닭들의 주요 활동 공간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에서 닭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다가 먹이를 먹기 위해서는 제1 높이로 이격되는 제1단층으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제1단층인 급이층(11)은 바닥으로부터 약 0.5 ~ 0.7[m] 정도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높이는 적정 실시예에 의한 것이며, 장비를 사용하는 청소 작업 등을 위해서는 더 높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활동량이 많은 바닥에 가까운 제1단층인 급이층(11)에 급이기(21)가 위치하도록 하였다. 이로 통해 산란계의 먹이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켜 급이량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원형 급이기(21)를 채택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당 4cm의 원형 급이기(21)를 설치하여 동물복지를 감안하면서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형 급이기(21)는 하부의 사료 접시가 상부의 사료 배출구와 절첩식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서, 사료 접시 상부에는 다수개의 분리살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살 사이에는 급이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이용 공간 사이에는 내부 칸막이가 형성되어 닭들이 분리살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급이용 공간에 머리를 넣어 급이를 하게 되며, 칸막이 안쪽에서 먹이를 먹게 되어 다른 닭들과의 다툼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많은 닭이 먹이를 먹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닥과 층간 이동이 용이하고 활동량을 높이기 위하여 층간 이동시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층간 이동시설은 도약대(23, 24, 26, 28), 연결사다리(27), 등반계단(2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반계단(25)은 바닥의 중앙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등반계단(25)의 경사도는 45도 내외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등반계단(25)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양측의 경사도를 가진 사다리부와 상부에는 상기 급이층(11)으로 도약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평평한 상부층으로 형성된다.
산란계는 상기 등반계단(25)을 통하여 급이층(11)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등반계단(25)은 바닥으로부터 제1단층인 급이층(11) 이상의 높이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층간 이동과 운동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제1단 및 2단 사이 층간 부분에 도약대(23, 26)를 설치한다.
또한, 제2단과 3단 사이의 층간 부분에도 도약대(24, 28)를 설치한다.
상기 도약대(23, 26, 24, 28)는 청소 등 작업시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접이식으로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약대(26)는 도약대판의 양측이 연결프레임에 의해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의 벽면에 장착된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중간부에 접철이 가능한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도약대(26)를 수평으로 세웠다가 필요시 벽면에 수직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의 도약대(26)는 도약대 판이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청소 등 다른 작업시에는 도약대(23, 26, 24, 28)의 연결 프레임을 접어서 일측 벽면에 접이식으로 접어둘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도약대판 일측에 힌지와 고리를 장착하는 접이식이나, 또는 가이드 홈에 의하여 밀고 당기는 슬라이딩 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닭들이 층간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외부 측 공간에 상, 하 도약층으로 연결되는 연결사다리(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사다리(27)는 상기 도약대(23, 24)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도약대를 접을 때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 사다리(27)를 외부에 형성하는 것은, 내부에 사다리를 설치할 경우, 산란계의 습성상 상층부로의 좁은 이동로를 꺼리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외부에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의 제2단층은 제1단층과 제2 높이로 이격된 상부 측에 산란층(1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단층인 산란층(12)은 제1단층과 약 0.5 ~ 0.6[m]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높이는 산란계의 활동에 대한 최소한의 높이를 한정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격거리를 더 늘릴 수 있다.
도 3은 산란층(12)에 형성되는 산란상(30)에 대한 배치도이며,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란층(12)에 형성되는 집란분리장치(34)와 집란분배가이드(50)에 대한 개략도이다.
상기 산란층(12)에는 복수의 산란상(30)과 다수개의 음수기(22)가 설치된다.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에서 음수기(22)와 산란상(30)을 같은 층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산란율을 높이는 것에 기여하게 된다.
이는 음수기(22) 가까이 산란상(30)이 위치할 경우, 산란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산란층(12) 공간에 음수기를 위치하는 것에 의하여 산란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음수기(22)들은 산란층(12)의 중간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수기(22)는 닭의 머리 위에 위치하여 닭이 머리를 들고 음수기(22)의 니플을 건드리게 되면 밸브가 작동하여 물이 나오는 구조이며, 닭 10수당 1개 이상의 니플 급수기를 다수 개 제공하도록 시설된다.
산란계의 행동특성상 산란계는 머리를 숙이고 물을 먹는 것보다는 머리를 들고 생활을 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음수기(22)를 닭의 머리 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닭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편안하게 산란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산란상(30)은 집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변형 산란상 바닥 매트(31), 집란분리장치(34) 및 집란가이드(50)를 포함한다.
산란상(30)은 삼면이 격벽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며, 격벽의 상부에 지붕을 형성하고, 입구는 세로로 갈라진 검은 천 커튼을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외부 공간과 격리하도록 하였다.
산란계는 외부의 시선이 없는 안락한 장소에서 산란을 하는 행태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 위에 배치된 음수기(22) 및 외부와 격리된 산란상의 구조는 산란계가 쾌적하게 산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산란상 바닥 매트(31)는 산란층(12)의 바닥 골조 상부에 얹어 사용하며, 격자 형태로 된 내부 공간에 의해 이물질들이 바닥으로 쉽게 낙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계란의 이송시 파손을 방지하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철재 심재의 표면에 우레탄 및 고무재질로 코팅한 소재를 격자형으로 형성시킨 산란상 바닥 매트(3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연질 재료로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닭 발바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계란의 손상을 줄이며, 닭이 산란상 바닥 매트(31) 상에서 이동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암탉들에게 편안한 장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산란상(30)의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 산란이 끝난 암탉들이 산란시간 이외의 시간에도 장소의 편안함 때문에 오랜 시간 지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산란계는 대체로 밤에는 산란하지 않으나, 편안한 난상에서 밤잠을 자면서 오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날이 밝으면 그 자리에 알을 낳게 될 수 있어 계란의 표면에 닭의 오물이 묻게 되고 또한 산란상(30)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취침시간대인 밤 시간대에는 산란상 바닥매트(31)를 구동장치(미도시됨)에 의해 60도 이상의 경사를 가지도록 제어하여 산란상 바닥매트(31)를 보금자리(shelter)로 사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산란상(30)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산란시간인 낮 시간대에는 닭이 편안하게 산란을 할 수 있고, 산란된 계란이 산란상(30)에서 집란벨트(35) 측으로 굴러 내릴 수 있도록 산란상 바닥매트(31)는 6 ~ 7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제어된다.
즉, 산란상 바닥매트(31)는 일측에 타이머로 구동 제어되는 구동장치(미도시됨)에 의하여 산란시간인 낮 시간대의 정해진 시간대별로 산란계가 머무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물복지 개념을 감안하여 한층 전체를 산란층(12)으로 제공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120수당 1m2 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산란상(30)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3,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란분리장치(34)와 집란분배 가이드(50)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란이송장치는 이송 롤러(33), 집란분리장치(34), 및 집란분배 가이드(50)를 포함하게 된다.
산란상 바닥매트(31)에서 내려온 계란은 이송 롤러(33)와 집란분배 가이드(50)에 의해 집란분리장치(34)의 집란가이드홈(48)으로 안내를 하게 된다.
이송 롤러(33)는 회전하는 이송 롤러(33)에 의해 계란을 상기 가변형 바닥매트의 일측에서 계란을 집란분리장치(34)의 일측으로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집란분배가이드(50)는 이송된 계란이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 우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란분배 가이드(50)는 산란상 바닥매트(31)에서 집란벨트(35)로 이송될 때, 한 장소에 계란들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계란이 한 장소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 롤러(33)로부터 이송되는 계란을 집란분배가이드(50)의 지주(51, 52)의 하부에 형성된 분배바(53)가 구동장치(미도시됨)에 의해 주기적으로 좌, 우로 움직여서 계란이 한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균등하게 분배를 해주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집란분배가이드(50)는 지주 하부에 형성된 분배바(53)가 좌, 우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바뀌어 주어서 계란을 균등하게 분배시키고 계란이 서로 부딪혀 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집란분리장치(34)는 집란가이드홈부(48)에 이송된 계란을 집란벨트(35)로 옮겨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집란분리장치(34)는 반원 형상의 핑거바(41)를 포함하며, 핑거바(41)가 집란분리장치의 구동부(44)의 구동에 의하여 집란가이드홈부(48)에 이송된 계란을 집란벨트(35)로 밀어주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상기 집란분리장치(34)의 집란가이드홈부(48)는 계란의 짧은 측 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홈으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란가이드홈부(48)는 집란분리장치(34)의 베이스(47) 일측에 다수 형성된다.
집란분리장치(34)의 베이스(47) 하부에는 집란분리장치의 구동부(44)가 설치된다.
집란분리장치의 구동부(44)를 구성하는 구동부 치차(43)에는 반원 형상의 핑거바(41)의 일측이 연결되며, 반원 형상의 핑거바(41)의 다른 일측에는 타원구의 주걱 형태로 된 안내헤드(42)가 형성된다.
집란분리장치의 구동부(44)의 좌우회전에 의하여 상기 반원 형상의 핑거바(41)의 안내헤드(42)가 베이스(47) 하부로부터 집란가이드홈부(48)를 통과하여 집란벨트(35) 측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원운동에 의하여 안내헤드(42)가 집란가이드홈부(48)의 상부에 위치한 계란을 집란벨트(35)로 밀어주게 된다.
반원 형상의 핑거바(41)의 안내헤드(42)는 계란을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연질 재질의 타원구의 주걱형태로서 상기 집란가이드홈부(48)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헤드(42)의 지름은 상기 집란가이드홈부(48)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위와 같이 집란분리장치(34)는 수집된 계란을 집란벨트(35) 측으로 밀어줌으로써, 계란이 쌓이지 않고 안전하게 집란벨트(35)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란벨트(35)의 표면에는 계란 크기의 타원 반구형의 요홈(36)이 다수 개 형성되며, 집란벨트(35)의 표면에 올려진 계란이 타원 반구형의 요홈(36)에 안착되어 안전하게 계란을 계란 집하장으로 이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의 제3단층은 제2단층인 산란층(12)으로부터 제3 높이로 이격되는 횃대층(14)으로 형성된다.
제3단층은 제2단층인 산란층(12)과 약 0.5 ~ 0.6 [m]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높이는 산란계의 활동에 대한 최소한의 높이를 한정한 것이며 산란상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이격거리를 더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높은 곳에 오르려는 산란계의 본능적인 행동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최상층인 횃대층(14)에 횃대(6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물복지 개념을 감안하여 한층 전체를 횃대층(14)으로 제공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수당 15cm2 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횃대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각층은 지주(71, 72, 73, 74)에 의하여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것과 달리 산란계들이 3단층을 자유롭게 활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능적이 행동 표출이 가능하여 동물 복지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산란계 사육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에 의하여 활동량이 많은 낮 시간대에는 3단으로 분산하게 되어 닭들이 운동량을 유지하면서 안락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대지 공간 활용에 효율적이다.
따라서 방사사육에 비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아 동물복지 개념에 부합하면서도 사육면적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경제적이어서 양축 농가의 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급이층
12: 산란층
14: 횃대층
21: 급이기
22: 음수대
23, 24, 25, 26: 도약대
30: 산란상
31: 산란상 바닥매트
33: 이송 롤러
34: 집란분리장치
35: 집란벨트
41: 핑거바
43, 44: 집란분리장치의 구동부
48: 집란가이드홈
50: 집란분배 가이드
53: 분배바
60: 횃대
71, 72, 73, 74: 지주

Claims (11)

  1. 산란계를 위한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제1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급이기가 설치되는 제1 단층;
    상기 제1단층으로부터 제2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음수기와 복수의 산란상 및 집란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제2단층;
    상기 제2 단층으로부터 제3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횃대가 설치되는 제3단층;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1단층, 제2단층 및 제3단층으로 산란계들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각 단층의 외부 측 공간에 설치되는 층간 이동시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수기는 닭의 머리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단층의 상부공간에 설치되며, 닭이 머리를 들고 음수기의 니플을 건드리면 밸브가 작동되어 물이 나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이동시설은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1단층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는 등반계단;
    상기 제1단층과 제2단층 사이 및 상기 제2단층과 상기 제3단층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도약대; 및
    상기 도약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사다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대는,
    도약대판 및 상기 도약대판을 상기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의 벽면에 연결하여 장착시키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중간부에 접철이 가능한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란이송장치는, 상기 산란상의 바닥에 설치되는 산란상 바닥매트; 상기 산란상 바닥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 롤러; 집란분리장치; 집란분배가이드; 및 집란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롤러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산란상 바닥매트의 일측에서 계란을 집란분리장치의 일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상기 집란분배가이드는 상기 집란분리장치의 일측에서 분배바의 작동에 의하여 좌, 우측으로 계란을 분배하며,
    상기 집란분리장치는 베이스의 일측 상부에 이동된 계란을 상기 집란벨트의 상부측으로 밀어주고,
    상기 집란벨트는 상부에 올려진 계란들을 집란 집하장치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집란분리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일측에 형성된 집란가이드홈부, 상기 베이스 하부에 형성된 집란분리장치의 구동부 및 상기 집란분리장치의 구동부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타원구의 안내헤드가 형성된 반원 형상의 핑거바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좌우회전에 의하여 상기 안내헤드가 상기 집란가이드홈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집란가이드홈부를 통과하여 상기 집란가이드홈부의 상부에 위치한 계란을 상기 집란벨트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집란벨트의 표면에는 계란을 안착할 수 있는 다수개의 타원 반구형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는 0.5 ~ 0.7[m]이며, 상기 제2 높이 및 제3 높이는 0.5 ~ 0.6[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상의 바닥에 설치되는 산란상 바닥매트는 상기 제2단층의 바닥 골조 상부에 설치되며, 철재 심재의 표면에 우레탄 및 고무재질로 코팅한 소재를 이용한 격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집란분배가이드의 지주 하부에 형성된 상기 분배바가 집란분배가이드 구동장치에 의해 좌, 우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구동함으로써, 계란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KR1020120089708A 2012-08-16 2012-08-16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KR10142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708A KR101429205B1 (ko) 2012-08-16 2012-08-16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708A KR101429205B1 (ko) 2012-08-16 2012-08-16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22A KR20140023622A (ko) 2014-02-27
KR101429205B1 true KR101429205B1 (ko) 2014-08-13

Family

ID=5026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708A KR101429205B1 (ko) 2012-08-16 2012-08-16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585B1 (ko) * 2014-11-17 2016-06-07 대한민국 동물복지식 복층형 산란계 사육시설
US11185053B2 (en) * 2016-07-06 2021-11-30 Rose Acre Farms, Inc. Walkway and walkway system for an aviary
CN110896883B (zh) * 2019-12-10 2021-10-26 常德市中晟农牧有限公司 一种批量式且可避免鸡蛋损坏的鸡蛋自动取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597U (ko) * 1993-07-30 1995-02-16 김관식 학습용 이층 새장
KR200159463Y1 (ko) * 1997-09-08 1999-10-15 김순중 집난 시스템의 달걀 수직 전달장치
JP2002119168A (ja) * 2000-10-18 2002-04-23 Kyowa Kikai Kk 養鶏施設
KR20090068315A (ko) * 2009-06-08 2009-06-26 주식회사 에이케이 고상식 가금류 위생 사육시설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597U (ko) * 1993-07-30 1995-02-16 김관식 학습용 이층 새장
KR200159463Y1 (ko) * 1997-09-08 1999-10-15 김순중 집난 시스템의 달걀 수직 전달장치
JP2002119168A (ja) * 2000-10-18 2002-04-23 Kyowa Kikai Kk 養鶏施設
KR20090068315A (ko) * 2009-06-08 2009-06-26 주식회사 에이케이 고상식 가금류 위생 사육시설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22A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12994B (zh) 一种功能齐全的福利养殖系统
KR101628523B1 (ko) 육계사육장치
RU263222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грузки птицы из клетки
US10412936B2 (en) Resilient platform
CN201995448U (zh) 一种肉鸡饲养设备
KR101788289B1 (ko) 산란계 자동 사육장치
KR101630807B1 (ko) 산란계 퇴출장치를 포함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KR101429205B1 (ko)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WO1989003637A1 (en) Nest for egg-laying poultry
US20210235671A1 (en) Module for poultry farming cages
KR20100054738A (ko)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JPH06217661A (ja) 雛鶏飼養装置
US11213017B2 (en) Aviary arrangement for poultry animals and method of poultry husbandry
US9497935B2 (en) Modular transport system for animals
CN114208717B (zh) 一种慢速型黄羽肉鸡层叠式自动化福利养殖设备及肉鸡饲养管理方法
CN209995084U (zh) 移动产蛋窝、移动产蛋窝装置及水禽种蛋装置
KR101624585B1 (ko) 동물복지식 복층형 산란계 사육시설
CN202232530U (zh) 一种用于肉鸡重叠式笼养的自动送料系统
EP3720277B1 (en) Barn-type poultry farming system
CN218126286U (zh) 家禽饲养用福利笼
CN214853612U (zh) 一种蛋鸡福利化多层散养设备
US20210307299A1 (en) Feeding system for poultry
KR101472002B1 (ko) 산란계 퇴출장치를 가진 산란상
CN111280070A (zh) 移动产蛋窝、移动产蛋窝装置及水禽种蛋装置
CN214413818U (zh) 用于鸭笼养的饲料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