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755B1 -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755B1
KR101428755B1 KR1020120151697A KR20120151697A KR101428755B1 KR 101428755 B1 KR101428755 B1 KR 101428755B1 KR 1020120151697 A KR1020120151697 A KR 1020120151697A KR 20120151697 A KR20120151697 A KR 20120151697A KR 101428755 B1 KR101428755 B1 KR 10142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solar cell
amount
generation efficiency
weath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2876A (ko
Inventor
한창운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7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2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용량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하여 태양광 발전용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DEVICE WHICH FORECAST SOLAR POWER BASED ON METASTABILITY}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용량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태양광 발전 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한국공개특허 제 2012-0110769호)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날씨 정보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 용량을 예측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발전 용량 예측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태양광 발전 용량 예측 시스템은 선택부(10), 연산부(20) 및 출력부(30)를 포함한다.
선택부(10)는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설치 예정 위치, 용량, 구조물 형태, 방위각, 고도각, 설비, 단가 및 유지 보수 방법을 선택한다. 선택부(10)는 위치 선택부, 용량 선택부, 구조물 형태 선택부, 방위각, 고도각 선택부, 설비 선택부, 단가 선택부 및 유지 보수 방법 선택부 등을 포함한다.
연산부(20)는 선택된 자료들을 연산한다.
출력부(30)는 예상되는 태양광 발전 용량을 출력한다. 이 때, 출력부는 태양광 발전 용량을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방식 일 수 있다.
종래의 태양광 발전 용량을 예측하는 시스템은 현장에 최적화된 태양광 발전 용량을 예측하지만, 태양전지의 효율 특성이 단순한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종래의 태양광 발전 용량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으로는 정확하게 발전용량을 예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하여 태양광 발전용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날씨 정보를 단순하게 이용하지 않고, 박막태양전지가 가지는 준안정성을 고려한 모델링 결과를 이용하여 발전 효율을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용량 예측 장치는 태양전지 설치 예정 위치의 날씨 정보인 일사량 및 온도를 입력받는 날씨 정보 입력부; 상기 태양전지가 설치되어 햇빛에 노출되는 노출 시간을 입력받는 노출 시간 입력부; 및 상기 일사량, 상기 온도 및 상기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계산하는 발전 효율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효율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발전효율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ure 112012106877804-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2106877804-pat00002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03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04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05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06
이고, t는 온도, hour은 노출시간, sun은 일사량을 말한다.
상기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전지와 관련된 종합 발전량, 20년 수명 감쇄 곡선, 초기 발전 유지율, 연간 발전 금액 및 유효 태양전지 이용 시간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씨 정보 입력부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기상청으로부터 일사량 및 온도를 전달받아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날씨 정보 입력부는 풍속, 강수일, 강수량, 적설일, 적설량, 황사일, 유효 일조량 및 미세 먼지 농도를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서버가 태양전지 설치 예정 위치의 날씨 정보인 일사량 및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태양 전지가 태양에 노출되는 노출 시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일사량, 상기 온도 및 상기 노출 시간을 고려하여 발전효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효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발전 효율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ure 112012106877804-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12106877804-pat00008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09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0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1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2
이고, t는 온도, hour은 노출 시간, sun은 일사량을 말한다.
상기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전지에 관련된 종합 발전량, 20년 수명 감쇄 곡선, 초기 발전 유지율, 연간 발전 금액 및 유효 태양 전지 이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기상청으로부터 일사량 및 온도를 전달받아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날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풍속, 강속일, 강수량, 적설일, 적설량, 황사일, 유효 일조량 및 미세 먼지 농도를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하여 태양광 발전용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씨 정보를 단순하게 이용하지 않고, 박막태양전지가 가지는 준안정성을 고려한 모델링 결과를 이용하여 발전 효율을 예측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발전용량 예측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효율 예측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 효율 예측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CIGS 태양 전지의 준안정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a-Si 태양 전지의 준안정성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태양광 발전 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은 날씨 정보들을 고려하여 태양 전지의 발전용량을 계산한다. 그러나, 단순하게 날씨 정보 만을 고려한 경우, 결정질 실리콘 태양 전지의 발전 용량(효율)을 계산하는 데에는 적용가능하지만 CIGS 혹은 비결정질을 박막으로 사용하는 박막태양전지의 발전 용량(효율)을 계산하는 데에 적용할 경우,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 때문에 정확한 발전 효율을 계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태양전지의 경우 일사량 혹은 열 노출에 대해서 효율이 일시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를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metastability)이라고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효율 예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 효율 예측 장치는 날씨 정보 입력부(110), 노출 시간 입력부(120), 발전 효율 산출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날씨 정보 입력부(110)는 태양 전지가 설치되거나 앞으로 설치될 위치의 일사량 및 온도 정보를 입력 받는다. 날씨 정보 입력부(110)는 일사량, 온도 외에도 풍속, 강수일, 강수량, 적설일, 적설량, 황사일, 유효 일조량 및 미세 먼지 농도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날씨 정보에 대해서, 날씨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직접 입력 받거나, 통신부를 통해 취득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날씨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발전 효율을 계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노출 시간 입력부(120)는 태양 전지가 설치된 시간 혹은 설치될 시간인 노출 시간을 입력 받는다. 태양 전지의 발전 효율은 노출 시간에 비례하게 된다.
발전 효율 산출부(130)는 날씨 정보 입력부 및 노출 시간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노출 시간 및 온도, 일사량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의 발전 효율을 계산한다. 발전 효율 산출부(130)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의 발전 효율(E)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3
여기서,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4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5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6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7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8
이고, t는 온도, hour은 노출시간, sun은 일사량을 말한다.
제어부(140)는 발전 효율 산출부를 통해 계산된 발전 효율을 이용하여, 종합 발전량, 20년 수명 감쇄 곡선, 초기 발전 유지율, 연간 발전 금액 및 유효 태양전지 이용 시간을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날씨 정보 입력부(110), 노출 시간 입력부(120), 발전 효율 산출부(130), 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의 기상청, 포털 사이트 등으로부터 날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 효율 예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 효율 예측 방법의 순서도는 날씨 정보 입력 단계(S220), 노출 시간 입력 단계(S230), 발전 효율 산출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S220은 날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S220에서는 태양전지가 설치되거나 설치될 예정의 장소의 일사량, 온도, 풍속, 강수일, 강수량, 적설일, 적설량, 황사일, 유효 일조량, 및 미세 먼지 농도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S220에서는 날씨 정보를 직접 입력받거나, 기상청, 포털 사이트 등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S230은 노출 시간을 입력받는 단계이다. S230에서는 태양전지가 설치될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S240은 날씨 정보 및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계산한다. S240에서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metastability)을 고려하여 생성한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2106877804-pat00019
여기서,
Figure 112012106877804-pat00020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21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22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23
,
Figure 112012106877804-pat00024
이고, t는 온도, hour은 노출시간, sun은 일사량을 말한다.
도 4는 CIGS 태양 전지의 준안정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a-Si 태양 전지의 준안정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00: 발전 효율 예측 장치
110: 날씨 정보 입력부
120: 노출 시간 입력부
130: 발전 효율 산출부
140: 제어부
150: 통신부

Claims (10)

  1. 태양전지 설치 예정 위치의 날씨 정보인 일사량 및 온도를 입력받는 날씨 정보 입력부;
    상기 태양전지가 설치되어 햇빛에 노출되는 노출 시간을 입력받는 노출 시간 입력부; 및
    상기 일사량, 상기 온도 및 상기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계산하는 발전 효율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 효율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발전효율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효율 예측 장치.

    Figure 112014041415307-pat00025

    여기서,
    Figure 112014041415307-pat00026
    ,
    Figure 112014041415307-pat00027
    ,
    Figure 112014041415307-pat00028
    ,
    Figure 112014041415307-pat00029
    ,
    Figure 112014041415307-pat00030
    이고, t는 온도, hour은 노출시간, sun은 일사량을 말한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전지와 관련된 종합 발전량, 20년 수명 감쇄 곡선, 초기 발전 유지율, 연간 발전 금액 및 유효 태양전지 이용 시간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효율 예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씨 정보 입력부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기상청으로부터 일사량 및 온도를 전달받아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효율 예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씨 정보 입력부는 풍속, 강수일, 강수량, 적설일, 적설량, 황사일, 유효 일조량 및 미세 먼지 농도를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효율 예측 장치.
  6. 서버가 태양전지 설치 예정 위치의 날씨 정보인 일사량 및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태양 전지가 태양에 노출되는 노출 시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일사량, 상기 온도 및 상기 노출 시간을 고려하여 발전효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효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발전 효율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용량 예측하는 방법.

    Figure 112014041415307-pat00031

    여기서,
    Figure 112014041415307-pat00032
    ,
    Figure 112014041415307-pat00033
    ,
    Figure 112014041415307-pat00034
    ,
    Figure 112014041415307-pat00035
    ,
    Figure 112014041415307-pat00036
    이고, t는 온도, hour은 노출 시간, sun은 일사량을 말한다.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전지에 관련된 종합 발전량, 20년 수명 감쇄 곡선, 초기 발전 유지율, 연간 발전 금액 및 유효 태양 전지 이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용량 예측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날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기상청으로부터 일사량 및 온도를 전달받아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용량 예측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날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풍속, 강속일, 강수량, 적설일, 적설량, 황사일, 유효 일조량 및 미세 먼지 농도를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을 고려한 발전용량 예측하는 방법.
KR1020120151697A 2012-12-24 2012-12-24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42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97A KR101428755B1 (ko) 2012-12-24 2012-12-24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97A KR101428755B1 (ko) 2012-12-24 2012-12-24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876A KR20140082876A (ko) 2014-07-03
KR101428755B1 true KR101428755B1 (ko) 2014-08-11

Family

ID=5173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697A KR101428755B1 (ko) 2012-12-24 2012-12-24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7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499A (ko) * 1995-12-23 1997-07-29 전성원 솔라 셀의 발전 효율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66703A (ko) * 2010-09-30 2012-06-25 신효열 태양광 노출 시간 측정 방법
KR20120110769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 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499A (ko) * 1995-12-23 1997-07-29 전성원 솔라 셀의 발전 효율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66703A (ko) * 2010-09-30 2012-06-25 신효열 태양광 노출 시간 측정 방법
KR20120110769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 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876A (ko)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8577B2 (en) Electric power generation amount estimation device, electric power generation amount estimation system, electric power generation amount estim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hatib et al. A review of photovoltaic systems size optimization techniques
US94380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distribution
US201102762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ecasting solar power
KR101266110B1 (ko) 태양광 발전 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721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Distribution
WO2014143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distribution
US9535135B2 (en) Method for calculating solar radiation amou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to be supplied
JP2010249608A (ja) 太陽光発電状況予測装置及びシステム
JP5415507B2 (ja) 太陽光発電出力推定装置及び太陽光発電出力推定方法
JP6417063B1 (ja) 発電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18003947A1 (ja) 発電システム、発電制御装置、発電制御方法、および発電システムの連系発電電力の拡大方法
KR101733671B1 (ko) 태양광 발전 온라인 설계와 인허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JP2013258853A (ja) 太陽光発電における発電量予測方法及び装置
US20220407310A1 (en)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using machine learning
KR20190100800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Fernández-Pacheco et al. A new mobile application for maintenance tasks in photovoltaic installations by using GPS data
JP6313498B1 (ja) 発電システム、発電制御装置、発電制御方法、および発電システムの連系発電電力の拡大方法
KR101428755B1 (ko) 박막태양전지의 준안정성 현상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4462A (ko) 태양광 발전량 예측 방법
JP2015169620A (ja) 発電量予測装置
JP6683449B2 (ja) 独立電源システム及び独立電源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0210354A (ja) 気象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6452854B2 (ja) 発電量算出装置、発電量算出システム、発電量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Hilfi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correlational techniques in estimating the total generated power of neighboring photovoltaic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