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241B1 -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241B1
KR101428241B1 KR1020120139777A KR20120139777A KR101428241B1 KR 101428241 B1 KR101428241 B1 KR 101428241B1 KR 1020120139777 A KR1020120139777 A KR 1020120139777A KR 20120139777 A KR20120139777 A KR 20120139777A KR 101428241 B1 KR101428241 B1 KR 101428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element
antenna
mounting member
protective lay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788A (ko
Inventor
박동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2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 소자와, 안테나 소자가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안테나 소자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실장 부재와, 안테나 소자와 노출 영역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층을 안테나 소자와 실장 부재의 노출 영역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안테나 장치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multimedia)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방대한 용량의 데이터에 대한 고속의 전송률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통신 단말기에서 안테나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통신 단말기에서, 안테나 장치가 실질적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즉 안테나 장치는 해당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안테나 장치에서, 구성 요소들 간 접착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안테나 장치의 외관 불량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안테나 장치의 전기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안테나 장치를 제조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장치의 구성 요소들 간 접착 불량을 방지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고, 전기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 장치의 제조 시간을 절감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소자와, 상기 안테나 소자가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상기 안테나 소자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실장 부재와, 상기 안테나 소자와 상기 노출 영역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이 형성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자외선 경화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상기 안테나 패턴을 상기 실장 영역에 접착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열 융착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은, 안테나 소자를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소자를 실장 부재의 실장 영역에 실장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소자와 상기 실장 부재에서 상기 안테나 소자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 상에 일괄적으로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 제조 과정은, 안테나 패턴 상에 보호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자외선 경화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 제조 과정은, 접착부 상에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접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열 융착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안테나 소자와 실장 부재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안테나 소자에서 접착부를 열 융착 물질로 형성함에 따라, 안테나 소자와 실장 부재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테나 소자의 구성 요소들 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안테나 장치에서 구성 요소들 간 접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장치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고, 전기적 성능을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은, 보호층을 안테나 소자와 실장 부재의 노출 영역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안테나 소자에서 보호부를 자외선 경화 잉크로 형성함에 따라, 보호층을 보호부와 실장 부재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보호층을 안테나 소자의 보호부와 실장 부재에 개별적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하여, 보호층을 단일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장치의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장치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소자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조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소자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서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테나 소자(100)는 신호 송수신을 위해 제공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는 고유의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즉 안테나 소자(100)는 미리 정해진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00)의 전기적 특성은 안테나 소자(10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안테나 소자(100)는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를 포함한다.
접착부(110)는 안테나 소자(100)의 실장을 위해 제공된다. 이 때 접착부(110)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착부(110)는 열 융착(Thermal Bonding)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접착부(110)는 폴리머 에스테르(polymeres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접착부(110)는 융해되어,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110)는 필름(film) 타입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접착부(110)는 열 융착 필름(Thermal Bonding Film; TBF)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120)는 안테나 소자(100)에서 각종 보완을 위해 제공된다. 즉 부착부(120)는 보강재로서, 안테나 소자(100)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안테나 소자(100)의 전기적 특성을 보완할 수도 있다. 이 때 부착부(120)는 접착부(110)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부착부(120)는 접착부(110) 상에 장착된다. 그리고 부착부(120)는 접착부(110)에 밀착된다. 즉 부착부(120)는 접착부(110)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부착부(120)는, 내열성, 절연성, 기계 강도가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부착부(120)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실리콘(silicone; S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테나 패턴(130)은 안테나 소자(100)의 실질적인 동작을 위해 제공된다. 이 때 안테나 패턴(130)이 안테나 소자(100)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한다. 이러한 안테나 패턴(130)은 안테나 소자(100)에서 부착부(120) 상에 배치된다. 이 때 안테나 패턴(130)은 부착부(120)에 장착된다. 그리고 안테나 패턴(130)은 부착부(120)에 밀착된다. 즉 안테나 패턴(130)은 부착부(120)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이를 통해, 안테나 패턴(130)은 부착부(120)를 매개로, 접착부(110)에 접착된다. 여기서, 안테나 패턴(130)은 부착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부(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13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테나 패턴(130)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140)는 안테나 소자(100)에서 안테나 패턴(130)의 보호를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보호부(140)는 안테나 패턴(130)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140)는 안테나 패턴(130)에 결합된다. 그리고 보호부(140)는 안테나 패턴(130)에 밀착된다. 즉 보호부(140)는 안테나 패턴(130)에 직접접으로 접촉된다. 이 때 보호부(140)는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호부(140)는 자외선 경화 잉크(Ultraviolet Cure Ink; UV Ink)로 형성된다. 즉 보호부(140)는, 안테나 패턴(130) 상에 도포된 다음,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서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200)는, 실장 부재(210), 안테나 소자(100) 및 보호층(230)을 포함한다.
실장 부재(210)는 안테나 장치(200)에서 지지(支持)를 위해 제공된다. 즉 실장 부재(210)는 안테나 소자(100)를 지지한다. 이 때 실장 부재(210)는 외부 기기(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실장 부재(210)는 통신 모듈의 구동 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실장 부재(210)는 외부 기기에서 안테나 소자(100)를 지지한다.
이러한 실장 부재(210)는 실장 영역(211)과 노출 영역(213)을 포함한다. 실장 영역(211)은, 실장 부재(210)에서 안테나 소자(100)가 실장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즉 실장 부재(210)에서, 실장 영역(211)은 안테나 소자(100)에 밀착된다. 즉 실장 영역(211)이 안테나 소자(1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노출 영역(213)은, 실장 부재(210)에서 안테나 소자(100)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이 때 노출 영역(213)은, 실장 부재(210)가 외부 기기에 장착됨에 따라, 실장 부재(210)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노출 영역(213)은, 실장 부재(210)에서 안테나 소자(100) 및 외부 기기로부터 노출된다.
그리고 실장 부재(210)는 하부면(215), 상부면(217) 및 측부면(219)을 포함한다. 하부면(215)은, 실장 부재(210)가 안착되는 면이다. 즉 실장 부재(210)는 하부면(215)을 통해 외부 기기에 안착될 수 있다. 상부면(217)은 하부면(215)에 대향한다. 측부면(219)은 하부면(215)과 상부면(217)을 연결한다. 이 때 측부면(219)은 하부면(215)으로부터 상부면(217)으로 연장되거나, 상부면(217)으로부터 하부면(215)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측부면(219)은 하부면(215)으로부터 절곡 또는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면(219)은 상부면(217)으로부터 절곡 또는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즉 실장 부재(210)에서, 실장 영역(211)과 노출 영역(213)은 상부면(217) 또는 측부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하부면(215)과 상부면(217)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이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면(215)과 상부면(217)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하부면(215)이 지면에 나란한 경우, 측부면(219)이 지면에 직교하는 수직축에 나란할 수 있으며, 수직축으로부터 기울어질 수도 있다.
또한 실장 부재(210)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면(215), 상부면(217) 또는 측부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곡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면(215), 상부면(217) 또는 측부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일 곡면(22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부면(215), 상부면(217) 또는 측부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수개의 곡면(221)들을 포함하며, 곡면(221)들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하부면(215)과 측부면(219) 또는 상부면(217)과 측부면(219)의 연결 부분이 곡면(221)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실장 부재(210)는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장 부재(210)는 고손실율을 갖는 유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장 부재(210)의 도전율(conductivity)이 0.02일 수 있다. 그리고 실장 부재(210)의 유전율(permittivity)이 4.6일 수 있다.
안테나 소자(100)는 신호 송수신을 위해 제공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는 고유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동작한다. 즉 안테나 소자(100)는 미리 정해진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00)의 전기적 특성은 안테나 소자(10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안테나 소자(100)는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impedance)에서 동작한다. 또한 안테나 소자(100)는 해당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의 공진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공진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이 주파수 상에서 상호로부터 이격된 다중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이 주파수 상에서 상호 결합된 광대역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이러한 안테나 소자(100)는 실장 부재(210)에 실장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는 실장 부재(210)의 실장 영역(211)에 실장된다. 즉 안테나 소자(100)는 실장 부재(210)의 상부면(217) 또는 측부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00)는 상부면(217)에 장착되며, 상부면(217)으로부터 절곡 또는 만곡되어 측부면(219)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 소자(100)는 측부면(219)에 장착되며, 측부면(219)으로부터 절곡 또는 만곡되어 상부면(217)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안테나 소자(100)는 실장 부재(210)에 밀착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00)는 실장 부재(210)의 곡면(221)에 밀착된다.
그리고 안테나 소자(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안테나 소자(100)는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가 적층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에서, 접착부(110)가 실장 부재(210)에 접착된다. 여기서, 접착부(110)가 실장 부재(210)에 밀착된다. 즉 접착부(110)가 실장 부재(210)에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그리고 접착부(110)는 실장 부재(210)의 표면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접착부(110)는 실장 부재(210)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접착부(110)에 의해,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가 실장 부재(210)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보호층(230)은 안테나 장치(200)에서 안테나 소자(100)의 보호를 위해 제공된다. 이 때 보호층(230)은 실장 부재(210) 상에서 안테나 소자(100)를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의 노출 영역(213)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보호층(230)은 노출 영역(213)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보호층(230)은 노출 영역(213)에서 안테나 소자(100)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노출 영역(213)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와 노출 영역(213)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된다. 즉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와 노출 영역(213)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의 보호부(140)와 노출 영역(213)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보호부(140)가 자외선 경화 잉크로 형성됨에 따라, 보호층(230)이 보호부(140)와 노출 영역(213)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층(230)은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방식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보호층(230)은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층들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층(230)은 두 개의 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호층(230)은 노출 영역(213)과 안테나 소자(100) 상에 이중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에 일괄적으로 형성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의 보호부(140)와 실장 부재(210)에 공통적으로 형성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보호층(230)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실리콘(S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조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 장치(200)의 제조 절차는, 311단계에서 안테나 소자(100)가 제조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는,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가 적층되어, 제조된다. 여기서,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가 개별적으로 절단된 다음, 적층될 수 있다. 또는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가 적층된 다음, 일체로 절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테나 소자(100)가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는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는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 및 보호부(140)가 적층된 다음, 접착부(11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또는 접착부(110)와 부착부(120) 및 안테나 패턴(130)과 보호부(140)가 개별적으로 적층된 다음, 상호 적층될 수도 있다.
이 때 접착부(110)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착부(110)는 열 융착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접착부(110)는 폴리머 에스테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접착부(110)는 대략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융해되어,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110)는 필름타입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접착부(110)는 열 융착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110)는 일면에 양면 테이프(tape)가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양면 테이프는 일면에 테이프 페이퍼가 부착된 상태로, 타면을 통해 접착부(11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120)가 접착부(110)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부(120)는, 내열성, 절연성, 기계 강도가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부착부(120)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실리콘(silicone; S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부(110)와 부착부(120) 사이에 양면 테이프가 개재될 수 있다. 즉 부착부(120)는 양면 테이프를 매개로 접착부(1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130)이 부착부(12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패턴(13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테나 패턴(130)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120)와 안테나 패턴(130) 사이에 양면 테이프가 개재될 수 있다. 즉 안테나 패턴(130)은 양면 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부(120)에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보호부(140)가 안테나 패턴(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140)는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호부(140)는 자외선 경화 잉크(Ultraviolet Cure Ink; UV Ink)로 형성된다. 즉 보호부(140)는, 안테나 패턴(130) 상에 도포된 다음,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313단계에서 안테나 소자(100)가 실장 부재(210) 상에 실장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가 실장 부재(210)에서 실장 영역(211)에 접착된다. 즉 안테나 소자(100)의 접착부(110)가 실장 영역(211)에 접착된다. 그리고 안테나 소자(110)는 실장 부재(210)에서 노출 영역(213)을 노출시킨다. 여기서, 실장 부재(210)는 고손실율을 갖는 유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장 부재(210)의 도전율(conductivity)이 0.02일 수 있다. 또한 실장 부재(210)의 유전율(permittivity)이 4.6일 수 있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에 열이 인가됨에 따라, 안테나 소자(100)가 실장 부재(210) 상에 접착된다. 즉 안테나 소자(100)에서 접착부(110)가 열에 의해 융해되어,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안테나 소자(100)는 접착부(110)의 접착성에 의해, 실장 부재(210)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 사이에 압력이 추가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100)가 실장 부재(210)의 실장 영역(2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에서 접착부(210)는 일면의 양면 테이프를 통해 실장 영역(211)에 가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일면으로부터 테이프 페이퍼가 제거된 다음, 접착부(210)가 실장 영역(211)에 가접착될 수 있다. 이 후 안테나 소자(100)에 열이 인가됨에 따라, 안테나 소자(100)에서 접착부(110)가 융해될 수 있다. 여기서, 대략 80° 내지 120°의 열이 안테나 소자(100)에 인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부(110)가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 사이에 압력이 추가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이에, 안테나 소자(100)는 접착부(110)의 접착성에 의해, 실장 부재(210) 상에 본접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안테나 소자(100)는 접착부(110)에 의해, 안테나 소자(100)의 구성 요소들 간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접착부(110)의 접착성에 의해,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 사이에 압력이 추가적으로 인가됨에 따라, 접착부(110), 부착부(120), 안테나 패턴(130)의 접착력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315단계에서 보호층(230)이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의 노출 영역(213)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된다. 즉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와 노출 영역(213)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때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의 보호부(140)와 노출 영역(213)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보호부(140)가 자외선 경화 잉크로 형성됨에 따라, 보호층(230)이 보호부(140)와 노출 영역(213)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층(230)은 노출 영역(213)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층(230)은 노출 영역(213)에서 안테나 소자(100)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노출 영역(213)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보호층(230)은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방식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보호층(230)은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층들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층(230)은 두 개의 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호층(230)은 노출 영역(213)과 안테나 소자(100) 상에 이중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에 일괄적으로 형성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보호층(230)은 안테나 소자(100)의 보호부(140)와 실장 부재(210)에 공통적으로 형성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보호층(230)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실리콘(S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안테나 소자(100)에서 접착부(110)가 열 융착 물질로 형성됨에 따라,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테나 소자(100)의 구성 요소들 간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안테나 장치(200)에서 구성 요소들 간 접착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장치(200)의 외관 불량이 방지되고, 전기적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보호층(230)이 안테나 소자(100)와 실장 부재(210)의 노출 영역(213)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안테나 소자(100)에서 보호부(140)가 자외선 경화 잉크로 형성됨에 따라, 보호층(230)이 보호부(140)와 실장 부재(210)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보호층(230)이 안테나 소자(100)의 보호부(140)와 실장 부재(210)에 개별적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하여, 보호층(230)이 단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200)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장치(200)의 제조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장치(200)의 제조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안테나 소자 110: 접착부
120: 부착부 130: 안테나 패턴
140: 보호부 200: 안테나 장치
210: 실장 부재 211: 실장 영역
213: 노출 영역 215: 하부면
217: 상부면 219: 측부면
221: 곡면 230: 보호층

Claims (15)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안테나 소자가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상기 안테나 소자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실장 부재와,
    상기 안테나 소자와 상기 노출 영역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소자는,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이 형성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실장 부재와 상기 보호부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자외선 경화 잉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상기 안테나 패턴을 상기 실장 영역에 접착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열 융착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접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안테나 소자를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소자를 실장 부재의 실장 영역에 실장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 소자와 상기 실장 부재에서 상기 안테나 소자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 상에 일괄적으로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소자 제조 과정은,
    안테나 패턴 상에 보호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실장 부재와 상기 보호부 상에 일괄적으로 형성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자외선 경화 잉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 제조 과정은,
    접착부 상에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접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열 융착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 제조 과정은,
    부착부를 매개로, 상기 접착부 상에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20139777A 2012-12-04 2012-12-04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28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777A KR101428241B1 (ko) 2012-12-04 2012-12-04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777A KR101428241B1 (ko) 2012-12-04 2012-12-04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788A KR20140071788A (ko) 2014-06-12
KR101428241B1 true KR101428241B1 (ko) 2014-08-07

Family

ID=5112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777A KR101428241B1 (ko) 2012-12-04 2012-12-04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550B1 (ko) * 2018-03-06 2021-11-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8321A (ja) * 2005-07-19 2007-02-01 Keiyo Engineering:Kk 貼付回路及び貼付回路シート
JP2008072721A (ja) * 2006-09-15 2008-03-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アンテナ付きケース構造物の製造方法
KR20110005789U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모비텍 필름형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8321A (ja) * 2005-07-19 2007-02-01 Keiyo Engineering:Kk 貼付回路及び貼付回路シート
JP2008072721A (ja) * 2006-09-15 2008-03-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アンテナ付きケース構造物の製造方法
KR20110005789U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모비텍 필름형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788A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6492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884462B2 (en) Flexible middle layer for RFID patch on tires
KR102426308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
US7755484B2 (en) RFID t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34003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25704A (ja)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CN110062982B (zh) 天线基板及其制造方法
US1187521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9278617A5 (ko)
KR20200067621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
US11436464B2 (en) IC tag
JP4579924B2 (ja) デュアル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カードの生産方法と同方法から得られたマイクロ回路カード
JP5088544B2 (ja) 無線ic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428241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6016375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218990B1 (ko) 통신 단말기와 그 제조 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금형
KR101405707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26552B1 (ko) 안테나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470085B1 (ko) 안테나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14148078A1 (ja) 構造体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5116528B2 (ja) 非接触型データ受送信体の製造方法
JP6310104B2 (ja) 電子装置の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22525B1 (ko)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장치
KR20150024242A (ko) 솔더링이 가능한 인테나 및 그 제조방법
CN104425878A (zh) 具有柔韧性的内置型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