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124B1 -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124B1
KR101428124B1 KR1020097016956A KR20097016956A KR101428124B1 KR 101428124 B1 KR101428124 B1 KR 101428124B1 KR 1020097016956 A KR1020097016956 A KR 1020097016956A KR 20097016956 A KR20097016956 A KR 20097016956A KR 101428124 B1 KR101428124 B1 KR 101428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leeve
engagement
electrical connector
sub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610A (ko
Inventor
피터 에이. 왈츠
Original Assignee
후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후벨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0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83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we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one conductor screwing into an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는 결합 서브조립체 및 콜릿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결합 서브조립체는 결합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결합 슬리브를 포함한다. 결합 본체는 제1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갖춘 제1 단부를 포함한다. 결합 슬리브는 결합 본체에 대해 사실상 회전 운동만 가능하도록 결합 본체에 속박된다. 콜릿 리테이너는 나사 연결에 의해 결합 슬리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단부를 구비한다. 콜릿 리테이너는 제2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2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갖춘 제2 단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7016956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결합 서브조립체, 콜릿 리테이너, 결합 슬리브

Description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ELECTRICAL SPLICE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스플라이스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전기 도전체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종래 기술에 잘 공지되어 있다. 고압 지상 송전선(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의 영역에서, 도전체들은 서로 접속될 필요가 있고, 도전체들을 접속 또는 결합하기 위해 도전체들의 단부들 간의 거리는 서로 근접된다.
종래에는 두 개의 고압 지상 송전선들을 함께 접속하기 위한 턴버클 결합기(turnbuckle coupler)가 사용되었는데, 턴버클 결합기의 결합 슬리브를 턴버클 결합기의 제1 콜릿 리테이너에서 회전시키면 턴버클 결합기의 제2 콜릿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 슬리브로부터 풀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적인 턴버클 결합기는, 콜릿 리테이너들 중 하나를 도전체 접촉 웨지에 대해 의도치않게 조여 도전체를 압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또는 콜릿 리테이너들 중 하나의 도전체 접촉 웨지에 대한 가압 접촉을 의도치않게 줄여 도전체상에 파지되는 웨지를 헐겁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조정시 커넥터의 도전체 파지 웨지가 움직일 위험이 없는, 또는 움직이지 않으려는 커넥터의 결합기가 의도치않게 움직일 위험이 없 는, 전기 커넥터들의 단부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소망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는 결합 서브조립체 및 콜릿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갖춰진다. 결합 서브조립체는 결합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결합 슬리브를 포함한다. 결합 본체는 제1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갖춘 제1 단부를 포함한다. 결합 슬리브는 결합 본체에 대해 사실상 회전 운동만 가능하도록 결합 본체에 속박된다. 콜릿 리테이너는 나사 연결에 의해 결합 슬리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단부를 구비한다. 콜릿 리테이너는 제2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2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갖춘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는 제1 결합 본체, 결합 슬리브, 체결구, 및 제2 결합 본체를 포함하여 갖춰진다. 제1 결합 본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제1 단부는 제1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표면 및 나사 섹션을 포함한다. 결합 슬리브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제2 단부는 나사 섹션을 포함한다. 체결구는 결합 슬리브의 제1 단부를 제1 결합 본체의 제2 단부에 연결한다. 결합 슬리브는 결합 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체결구에 의해 사실상 결합 본체로부터 멀리 이동하지 못한다. 제2 결합 본체는 결합 슬리브의 제2 단부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단부와, 제2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구비한 제2 단부를 갖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결합 본체에 결합 슬리브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로서, 결합 슬리브는 제1 결합 본체로부터 사실상 멀리 이동하지 못하고, 제1 결합 본체는 제1 전기 커넥터 웨지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구비한 제1 단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연결 단계와, 나사 연결에 의해 제2 결합 본체의 제1 단부를 결합 슬리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로서, 제2 결합 본체는 제2 전기 연결 웨지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갖춘 제2 단부를 구비한, 이동식 연결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슬리브는 제1 결합 본체 및 제2 결합 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제1 결합 본체와 제2 결합 본체의 서로에 대한 거리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제1 단부 서브조립체 및 제2 단부 서브조립체를 포함하여 갖춰진다. 제1 단부 서브조립체는 제1 전기 도전체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부 서브조립체는 제1 전기 도전체 케이블의 단부 둘레를 압착하도록 구성된 제1 웨지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부 서브조립체는 제2 전기 도전체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단부 서브조립체는 제2 전기 도전체 케이블의 단부 둘레를 압착하도록 구성된 제2 웨지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부 서브조립체와 제2 단부 서브조립체는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제1 단부 서브조립체의 제1 부분이 제1 단부 서브조립체의 제2 부분에 대해, 또한, 제2 단부 서브조립체에 대해 회전될 수 있어, 제1 단부 서브조립체의 제1 부분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웨지 세트와 제2 웨지 세트가 서로를 향해 움직인다.
본 발명의 전술된 태양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두 개의 전기 도전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에 사용된 웨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에 사용된 두 개의 서브조립체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브조립체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두 개의 전기 도전체 케이블에 각각 연결된,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두 개의 단부 조립체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두 개의 전기 도전체(12, 14)를 서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되지만, 많은 다른 형태의 예시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또한, 임의의 적절한 크기, 형상 또는 형태의 요소 또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체(12, 14)가 고압 지상 송전선일 때, 고압 지상 송전선 영역에는 커넥터(1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상 송전선은 보강 코어 및 포위 도전체 스트랜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10)는 일반적으로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16), 두 개의 하우징 또는 콜릿 하우징(18, 20) 및 두 개의 웨지 조립체(콜릿)(22, 24)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콜릿 하우징(18, 20)은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콜릿 하우징들은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콜릿 하우징(18, 20)은 테이퍼링된 내부 채널 및 나사식 내부 단부(25)를 갖추어 대체로 튜브의 형상을 갖는다. 테이퍼링된 내부 채널은 콜릿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 단부(25)로부터 대향 단부까지 내향으로 테이퍼진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웨지 조립체(22, 24)는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웨지 조립체들은 상이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웨지 조립체는 세 개의 웨지(26), 신장 스프링 부재(28) 및 연동 리테이너(30)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적절한 웨지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웨지만이 제공될 수 있다. 신장 스프링 부재(28)는 외향으로 탄성 팽창할 수 있고 내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신장 스프링 부재(28)는 웨지에 의해 형성된 외부 환형 리세스 내에 위치되어 웨지(26)들을 서로 함께 보유시키며,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 또는 14)가 웨지들 사이에 최초 삽입될 때 웨지가 외향으로 팽창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콜릿 하우징(18 또는 20) 중 하나에 삽입되기 전 웨지(26)들을 함께 보유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스프링 시스템 또는 부재가 갖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장 스프링 부재는 (예를 들어 고무 밴드와 유사한) 탄성 신장 스프링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스프링 클립, 또는 가터 스프링 또는 O-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연동 리테이너(30)는 통상적으로 링형 섹션(32) 및 외부 돌출부 또는 키 섹션(34)을 포함한다. 링형 섹션(32)은 웨지(26)의 리세스(36)에 의해 형성된 환형 리세스 내에 위치된다. 링형 섹션(32) 내의 구멍(38)은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 또는 14)가 관통하기에 용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34)는 웨지(26) 내의 포켓(40)으로 연장한다. 웨지(26)는 링형 섹션(32)에 대해 방사상 내향 및 외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포켓(40)은 외향 돌출부(34)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조립체가 하우징(18 또는 20)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웨지(26)를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정렬시켜 유지하기 위해 연동 리테이너(30)가 갖춰진다. 따라서, 웨지들이 하우징 내의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인출되거나 하우징(18 또는 20)으로 가압됨에 따라, 3개의 모든 웨지가 연동 리테이너에 의해 함께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웨지들 서로가 일제히 종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연동 리테이너가 웨지(26)들을 서로 연동시키기만 한다면, 연동 리테이너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장 스프링 부재(28)는, 하우징(18 또는 20) 내로의 조립 전 및 조립시 웨지(26)와 연동 리테이너(30)가 함께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두 리테이너(28, 30)들의 기능은 단일 부재로 합쳐질 수 있거나 또는 신장 스프링 부재(28)가 갖춰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16)는 통상적으로 제1 결합 본체(44), 결합 슬리브(46) 및 체결구(48), 그리고 제2 결합 본체 또는 콜릿 리테이너(50)를 구비한 결합 서브조립체(42)를 포함한다. 상기 부재들은 예를 들 어 강철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결합 서브조립체(42)는 제1 콜릿 하우징(18) 및 제1 웨지 조립체(22)에 연결되어 제1 도전체(12)상에 제1 단부 서브조립체(100)가 형성되게 하고, 제2 결합 본체(50)는 제2 콜릿 하우징(20) 및 제2 웨지 조립체(24)에 연결되어 제2 도전체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4)상에 제2 단부 서브조립체(102)가 형성되게 한다(도 5 참조). 두 개의 단부 서브조립체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도전체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 14)가 기계적,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게 한다.
제1 결합 본체(44)는 제1 단부(52) 및 제2 단부(54)를 포함한다. 제1 단부(52)는 나사 섹션(56) 및 제1 단부면(58)을 갖춘 나사식 샤프트를 형성한다. 제2 단부(54)는 제1 단부(52)의 나사식 샤프트와 정렬되는 나사식 구멍(60)을 구비한다. 제1 결합 본체(44)의 외부면은 평평한 섹션(62)을 구비한다. 평평한 섹션(62)은, 제1 결합 본체(44)의 축방향 회전을 위해 또한 제1 결합 본체(44)의 축방향 회전을 막기 위해 렌치와 같은 도구의 제1 결합 본체(44)에의 부착을 허용한다.
결합 슬리브(46)는 중심 채널(68)을 갖추어 대체로 튜브의 형상을 갖는다. 결합 슬리브(46)는 제1 단부(64) 및 제2 단부(66)를 갖는다. 제1 단부(64)는 제1 결합 본체(44)의 제2 단부(54)에 대항하여 위치된다. 중심 채널(68)은 제1 단부(64)의 평활할 섹션, 제2 단부(66)의 나사 섹션, 및 나사 섹션과 평활한 섹션 사이의 레지를 구비한다. 결합 슬리브(46)의 외부면도 평평한 영역(70)을 갖는다. 평평한 영역(70)은, 결합 슬리브(46)의 축방향 회전을 위해 렌치와 같은 도구의 결 합 슬리브(46)에의 부착을 허용한다.
체결구(48)는 제1 결합 본체(44)에 결합 슬리브(46)를 연결한다. 이 실시예에서, 체결구(48)는 헤드(72) 및 나사식 샤프트(74)를 갖추어 대체로 볼트의 형상을 갖는다. 헤드(72)는 원형이며, 결합 슬리브(46)의 중심 채널(68)의 제2 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맞춰진다. 헤드(72)는 결합 슬리브(46)의 중심 채널(68) 내부의 레지에 대항하여 위치할 수 있다. 헤드(72)의 단부면은, 예를 들어 결합 서브조립체(42)의 초기 조립시 체결구를 회전시키기 위해, 앨렌 렌치(Allen wrench)와 같은 도구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식 샤프트(74)는, 결합 슬리브(46)의 제1 단부(64)에서, 결합 슬리브(46)의 중심 채널(68)의 바깥으로 연장한다. 나사식 샤프트(74)는 제1 결합 본체(44)의 나사식 구멍(60) 내로 나사결합된다. 체결구(48)는 결합 슬리브(46)를 제1 결합 본체(44)에 회전가능하게 부착시키지만, 결합 슬리브(46)가 제1 결합 본체(44)로부터 사실상 멀리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결합 서브조립체(42)가 제1 콜릿 하우징(18)에 연결될 때, 나사 섹션(56)은 나사식 내부 단부(25)에서 콜릿 하우징의 나사부 내로 나사결합된다. 제1 결합 본체(44)가 콜릿 하우징(18) 내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단부면(58)이 웨지(26)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여 웨지 조립체(22)를 콜릿 하우징(18) 내로 가압한다. 콜릿 하우징(18)에 걸친 채널의 테이퍼진 형상은,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상에 웨지(26)를 고정시킨다. 고정력(clamping force)의 크기는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를 압착할 정도로 크지 않고, 또한 커넥터로부터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를 용이하게 인출할 정도로 작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부재의 치수는 제1 결합 본체(44)가 바닥부에서 콜릿 하우징(18)과 연결을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어 상기 미리 결정된 고정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한다. 결합 슬리브(46)를 갖춘 제1 결합 본체(44)가 제1 웨지 조립체(22)를 갖춘 제1 콜릿 하우징(18) 및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에 연결된 후, 제1 단부 서브조립체(100)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제2 결합 본체(50)는 일반적으로 제1 단부(76) 및 제2 단부(78)를 포함한다. 제1 단부(76)는 나사식 샤프트를 포함한다. 제2 단부(78)는 제2 웨지 조립체(24)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고 이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단부면(80) 및 나사식 샤프트를 포함한다. 제1 단부(76)는 결합 슬리브(46)의 제2 단부(66) 내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단부(78)는 콜릿 하우징(20)의 후방 단부(25) 내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결합 본체(50)가 제2 콜릿 하우징(20)에 연결될 때, 나사 섹션(78)은 나사식 내부 단부(25)에서 콜릿 하우징의 나사부 내로 나사결합된다. 제2 결합 본체(50)의 외부면은 평평한 섹션(82)을 구비한다. 평평한 섹션(82)은, 제2 결합 본체(50)의 축방향 회전을 위해, 또한 제2 결합 본체(50)의 축방향 회전을 막기 위해 렌치와 같은 도구의 제2 결합 본체(50)에의 부착을 허용한다. 제2 결합 본체(50)가 콜릿 하우징(20) 내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단부면(80)이 웨지(26)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여 웨지 조립체(24)를 콜릿 하우징(20) 내로 가압시킨다. 콜릿 하우징(20)에 걸친 채널의 테이퍼진 형상은,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4)상에 웨 지(26)를 고정시킨다. 고정력의 크기는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4)를 압착할 정도로 크지 않고, 또 커넥터로부터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4)를 용이하게 인출할 정도로 작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부재의 치수는 제2 결합 본체(50)가 바닥부에서 콜릿 하우징(20)과 연결을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어 상기 미리 결정된 고정력을 제공하거나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한다. 제2 결합 본체(50)가 제2 웨지 조립체(24)를 갖춘 제2 콜릿 하우징(20) 및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4)에 연결된 후, 제2 단부 서브조립체(102)가 형성된다(도 5 참조).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두 개의 단부 서브조립체(100, 102)가 두 개의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 14)에 연결되면서, 두 개의 서브조립체(100, 102)가 서로 연결될 수 있어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 14)가 기계적,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제2 결합 본체(50)의 제1 단부(76)는 결합 슬리브(46)의 제2 단부(66) 내로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부착시, 제1 결합 본체(44)나 제2 결합 본체(50)가 축방향으로 회전할 필요는 없다. 대신, 결합 슬리브(46)가 제2 결합 본체(50)의 제1 단부(76)를 결합 슬리브(46)의 제2 단부(66) 내로 나사결합되도록 축방향 회전된다. 결합 슬리브(46)의 제1 결합 본체(44)로의 연결은, 결합 슬리브(46)가 제1 결합 본체(44)로부터 멀리 이동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런 식으로, 제2 결합 본체(50)는 제1 결합 본체(44)를 향해 당겨질 수 있어서, 두 개의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 14)를 서로를 향해 움직이게 하고, 결국 라인(12, 14)들 간의 느슨함을 조인다. 결합 슬리브(46)는 제1 결합 본체(44)에 대한 축방향 회전에 대해 자유롭기 때문에, 결합 슬리브(46)가 제2 결합 본 체(50)에 나사결합될 때 제1 결합 본체(44)는 제1 콜릿 하우징(18)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풀리지 못하게 된다. 도 1은 완성된 조립체를 도시한다.
케이블(12, 14)을 서로 연결해제할 필요가 있을 경우, 서브조립체(100, 102)로부터 두 개의 결합 본체(44, 50)를 풀지 않으면서, 결합 슬리브(46)를 제2 결합 본체(50)로부터 풀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 14)상의 서브조립체에 의해 제공되는 클램핑(clamping)을 저촉 또는 방해할 필요는 없다. 이후,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상의 서브조립체의 클램핑을 재설정할 필요 없이 서브조립체(100, 102)가 재조립될 수 있다.
통상적인 턴버클 설계는 고객이 사전 조립된 부품(결합 슬리브에 나사결합 및 접착된 결합 본체)을 분리한 후 부정확하게 재조립하여 우측편을 미리 맞물리게 한다는 점에서 약간의 문제를 야기해 왔다. 그래서 좌측의 나사식 부분은 남아 있는 우측의 나사식 부품과 맞물리지 않아 혼란을 야기했었다. 턴버클 설계는, 턴버클 슬리브가 공장에서 부정확하게 조립될 경우, 또는 고객이 도전체 세그먼트를 결합하기 전, 슬리브를 좌측의 나사부로 꽤 많이 돌릴 경우, 두 세그먼트가 완전히 결합될 때, "완전한 장력(full tension)"하에 있는 두 개의 케이블 세그먼트를 적절히 보유하기에는 맞물린 나사부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관이음형 결합 설계는 네 개의 부품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이음형 결합기는 (통상적인 턴버클 설계에서 소비자가 관이음형 결합기를 분리한 후 분리된 상태의 구성을 재조립하려할 때 고객을 혼란시키는) 좌측의 나사 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가설공(lineman)이 견부 볼트(48)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로하는 특정 도구를 구비할 가망은 희박하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 본 발명의 관이음형 결합기를 분리하기란 매우 곤란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품(46)은 견부 볼트(48)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기 때문에, 부품(46)이 회전될 때, 콜릿 리테이너(50)만이 부품(46) 내로 당겨지게 된다. 유사하게, 부품(44)이 회전될 때, 부품(44, 58)들은 회전하지만, 부품(46, 50)들은 고정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부품(44, 50)이 콜릿 하우징 내로 나사결합될 때 웨지 형상의 커넥터 단부 서브조립체는 두 케이블 단부에 부착될 수 있어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12, 14)상에 웨지를 가압시키고, 계속해서, 어느 쪽의 웨지 형상의 커넥터 단부 서브조립체에서도 웨지 및 케이블상의 압력을 증감시키지 않고 케이블의 단부가 본체(46)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독립적인 결합은 보다 우수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콜릿 조립체(22, 24)가 제거될 수 있고 콜릿 하우징(18 및/또는 20)은 나사식 크림프 슬리브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특징부(52, 78)가 나사식 샤프트 대신 크림프 튜브로 변경되는 것과 같이 부품(44, 50)이 변경될 수 있다.
전술된 기재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양한 대체물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유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의 모든 대체물,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20)

  1.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이며,
    결합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결합 슬리브를 구비한 결합 서브조립체로서, 상기 결합 본체는 제1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갖춘 제1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슬리브는 결합 본체에 대해 회전 운동만 가능하도록 결합 본체에 속박되는, 결합 서브조립체와,
    나사 연결에 의해 결합 슬리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단부를 구비한 콜릿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콜릿 리테이너는 제2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2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갖춘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 서브조립체는 결합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면서 결합 본체에 고정 부착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리브는 상기 볼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 슬리브는 결합 슬리브를 관통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의 제1 단부는 평활하고, 상기 채널의 제2 단부는 나삿니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결합 슬리브의 제1 단부는 결합 본체의 제2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결합 슬리브의 제2 단부는 콜릿 리테이너의 제1 단부를 수용하는 나사식 구멍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결합 서브조립체는 제1 결합 본체의 제2 단부에 결합 슬리브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결합 슬리브는 결합 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체결구에 의해 결합 본체로부터 이동하지 못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결합 슬리브, 결합 본체 및 콜릿 리테이너 각각은, 결합 슬리브, 결합 본체 및 콜릿 리테이너를 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도구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외부 도구 장착 표면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7. 제1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와,
    결합 본체의 나사 섹션에 연결된 제1 콜릿 하우징과,
    제1 콜릿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결합 본체의 제1 표면에 접촉하는 제1 웨지 세트와,
    콜릿 리테이너의 나사 섹션에 연결된 제2 콜릿 하우징과,
    제2 콜릿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콜릿 리테이너의 제2 표면에 접촉하는 제2 웨지 세트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8.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이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제1 결합 본체로서, 상기 제1 단부는 제1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구비한, 제1 결합 본체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결합 슬리브로서, 상기 제2 단부는 나사 섹션을 포함하는, 결합 슬리브와,
    제1 결합 본체의 제2 단부에 결합 슬리브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체결구로서, 상기 결합 슬리브는 결합 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체결구에 의해 결합 본체로부터 이동하지 못하는, 체결구와,
    결합 슬리브의 제2 단부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및 제2 전기 커넥터 웨지 세트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갖춘 제2 단부를 구비한 제2 결합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체결구는 제1 결합 본체의 제2 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볼트를 포함하고, 결합 슬리브를 제1 결합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결합 슬리브는 결합 슬리브를 관통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의 제1 단부는 평활하고, 상기 채널의 제2 단부는 나삿니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결합 슬리브, 제1 결합 본체 및 제2 결합 본체 각각은, 결합 슬리브, 제1 결합 본체 및 제2 결합 본체를 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도구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외부 도구 장착 표면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12. 제8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와,
    제1 결합 본체의 제1 단부상의 나사 섹션에 연결된 제1 콜릿 하우징과,
    제1 콜릿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제1 결합 본체의 제1 단부상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 웨지 세트와,
    제2 결합 본체의 제2 단부상의 나사 섹션에 연결된 제2 콜릿 하우징과,
    제2 콜릿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제2 결합 본체의 제2 단부상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2 웨지 세트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3.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제1 결합 본체에 결합 슬리브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로서, 결합 슬리브는 제1 결합 본체로부터 이동하지 못하고, 제1 결합 본체는 제1 전기 커넥터 웨지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구비한 제1 단부를 포함하는, 연결 단계와,
    나사 연결에 의해 제2 결합 본체의 제1 단부를 결합 슬리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로서, 제2 결합 본체는 제2 전기 연결 웨지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표면 및 나사 섹션을 갖춘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연결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슬리브는 제1 결합 본체와 제2 결합 본체의 서로에 대한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제1 결합 본체 및 제2 결합 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결합 본체에 결합 슬리브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는, 결합 슬리브를 통해 볼트를 삽입하고 제1 결합 본체에 볼트를 고정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리브는 볼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2 결합 본체의 제1 단부를 결합 슬리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는, 제2 결합 본체의 제1 단부를 결합 슬리브의 나사식 구멍에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제조 방법.
  16.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이며,
    제1 전기 도전체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1 전기 도전체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의 단부 둘레를 압착하도록 구성된 제1 웨지 세트를 포함하는 제1 단부 서브조립체와,
    제2 전기 도전체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2 전기 도전체 케이블 또는 도전체 보강 코어의 단부 둘레를 압착하도록 구성된 제2 웨지 세트를 포함하는 제2 단부 서브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서브조립체와 제2 단부 서브조립체는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제1 단부 서브조립체의 제1 부분이 제1 단부 서브조립체의 제2 부분과 제2 단부 서브조립체에 대해 회전될 수 있어, 제1 단부 서브조립체의 제1 부분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웨지 세트와 제2 웨지 세트가 서로를 향해 움직이는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단부 서브조립체는 제1 결합 본체에 연결되는 제1 콜릿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웨지 세트는 제1 콜릿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제1 결합 본체는 제1 웨지 세트의 단부와 접촉하여 제1 웨지 세트를 제1 콜릿 하우징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포함하는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제2 단부 서브조립체는 제2 결합 본체에 연결되는 제2 콜릿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2 웨지 세트는 제2 콜릿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제2 결합 본체는 제2 웨지 세트의 단부와 접촉하여 제2 웨지 세트를 제2 콜릿 하우징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포함하는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제1 단부 서브조립체는 제1 결합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결합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리브는 제1 결합 본체로부터 이동하지 않으면서 제1 결합 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2 단부 서브조립체는 나사 연결에 의해 결합 슬리브에 연결된 제2 결합 본체를 포함하여, 결합 슬리브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서브조립체 내의 웨지 세트가 이동하지 않으면서 제1 결합 본체와 제2 결합 본체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20.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이며,
    결합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결합 슬리브를 구비한 결합 서브조립체로서, 상기 결합 본체는 제1 콜릿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나사 섹션을 갖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리브는 결합 본체에 대해 회전 운동만 가능하도록 결합 본체에 속박되는, 결합 서브조립체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연결에 의하여 결합 슬리브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직접 연결되고, 제2 단부는 제2 콜릿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나사 섹션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관이음 결합기 조립체.
KR1020097016956A 2007-01-22 2007-12-31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KR101428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56,116 2007-01-22
US11/656,116 US7435144B2 (en) 2007-01-22 2007-01-22 Electrical splice connector
PCT/US2007/026494 WO2008091340A1 (en) 2007-01-22 2007-12-31 Electrical splic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610A KR20090106610A (ko) 2009-10-09
KR101428124B1 true KR101428124B1 (ko) 2014-08-07

Family

ID=3964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956A KR101428124B1 (ko) 2007-01-22 2007-12-31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435144B2 (ko)
EP (1) EP2109918A1 (ko)
JP (1) JP5237302B2 (ko)
KR (1) KR101428124B1 (ko)
CN (1) CN101611519B (ko)
AU (1) AU2007345283B2 (ko)
BR (1) BRPI0720808B1 (ko)
CA (1) CA2676022C (ko)
WO (1) WO2008091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9217B2 (en) * 2002-04-23 2006-03-28 Ctc Cable Corporation Collet-type splice and dead end use with an aluminum conductor composite core reinforced cable
JP4525674B2 (ja) * 2006-12-28 2010-08-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プライス部の止水構造
US7435144B2 (en) * 2007-01-22 2008-10-1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splice connector
US7858882B2 (en) * 2009-01-23 2010-12-28 Burndy Technology Llc Connector for core and stranded cable
FR2958807B1 (fr) * 2010-04-07 2012-08-10 Nexans Dispositif de connexion de deux cables supraconducteurs
CN102176606B (zh) * 2011-01-21 2013-01-02 常熟理工学院 电缆穿刺装置
US8777679B2 (en) 2011-08-19 2014-07-15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to receive various diameter cable
US8674230B2 (en) 2011-09-15 2014-03-18 Hubbell Incorporated Wave gripping core sleeve
US8664529B2 (en) 2012-01-30 2014-03-04 Ut-Battelle, Llc Ultra high performance connectors for power transmission applications
US8574012B2 (en) * 2012-03-16 2013-11-05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three ports and passthrough conductors for bicycle components
US8500497B1 (en) 2012-12-11 2013-08-06 Joseph W. Patten Connector device for joining multiple conductors
US9490577B2 (en) * 2013-03-15 2016-11-08 Hubbell Incorporated Automatic splice having an arm indicator
KR101327326B1 (ko) 2013-05-07 2013-11-11 국방과학연구소 경로 산출 장치 및 방법
ES2701071T3 (es) * 2014-12-02 2019-02-20 Abb Schweiz Ag Conexión eléctrica para celdas de media y alta tensión
US11217915B2 (en) 2018-06-19 2022-01-04 Preformed Line Products Co. Composite core conductor compression connector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1358A2 (en) 2003-10-22 2005-05-06 Composite Technology Corporation A collet-type splice and dead end fitting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059A (en) * 1898-02-15 Valve
US434958A (en) * 1890-08-26 Card-board-cutting machine
US2148173A (en) 1937-06-16 1939-02-21 Burndy Engineering Co Inc Connector with sheet metal jaws
US2261414A (en) 1940-02-23 1941-11-04 Rogoff Julian Electrical conductor splicer
US2554387A (en) 1949-10-17 1951-05-22 Reliable Electric Co Wire grip
US2988727A (en) 1957-02-01 1961-06-13 Superior Switchboard & Devices Gripping member for line connectors
US3205300A (en) * 1964-05-15 1965-09-07 Fargo Mfg Co Inc Cable gripping funit
US3384704A (en) 1965-07-26 1968-05-21 Amp Inc Connector for composite cables
US4146299A (en) * 1976-10-08 1979-03-27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Optical waveguide connectors for multiple waveguide cables
JPS53109085U (ko) * 1977-02-08 1978-09-01
US4362352A (en) * 1980-05-08 1982-12-07 Aluminum Company Of America Splicing device
US4346958A (en) 1980-10-23 1982-08-31 Lrc Electronics, Inc.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4458976A (en) 1982-10-14 1984-07-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 cables
US4744622A (en) * 1986-09-12 1988-05-17 Amp Incorporated Optical fiber splice case
US4752252A (en) * 1986-09-29 1988-06-21 Amp Incorporated Axial grip connector having eccentric jaws
US4979911A (en) 1989-07-26 1990-12-25 W. L. Gore & Associates, Inc. Cable collet termination
US5301422A (en) 1992-03-06 1994-04-12 G & W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joining transmission cables
US5322454A (en) 1992-10-29 1994-06-21 Specialty Connector Company, Inc. Connector for helically corrugated conduit
US6015953A (en) * 1994-03-11 2000-01-18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Tension clamp for stranded conductor
US5683273A (en) * 1996-07-24 1997-11-04 The Whitaker Corporation Mechanical splice connector for cable
AU4288497A (en) * 1996-11-25 1998-05-28 Monster Cable International,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EP0886340A1 (en) 1997-06-16 1998-12-23 Alcatel Cable joint
US6193565B1 (en) 1999-08-31 2001-02-27 Fci Usa, Inc. Splicing connector
DE10116447A1 (de) 2000-04-04 2001-12-06 Jennmar Corp Verbesserte Dreizinken-Hülse
US6773311B2 (en) 2002-02-06 2004-08-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splice connector
US6805596B2 (en) 2002-04-16 2004-10-19 Alcoa Fujikura Limited Compression formed connector for a composite conductor assembly used in transmission line installation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JP4589629B2 (ja) 2002-04-23 2010-12-01 シーティーシー ケーブ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アルミニウム導体コンポジットコア強化ケーブルおよび製造方法
US7179522B2 (en) 2002-04-23 2007-02-20 Ctc Cable Corporation Aluminum conductor composite core reinforced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894827B (zh) * 2003-10-22 2015-06-24 Ctc电缆公司 筒夹型接头和端头配件
US7348489B2 (en) 2004-09-15 2008-03-2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luminum conductor composite core (ACCC) cable
US7097486B2 (en) * 2005-02-03 2006-08-29 Cushcraft Corporation Low-cost weatherproof cable feedthrough
US7385138B2 (en) * 2005-09-19 2008-06-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wedges and spring
TW200814461A (en) * 2006-04-21 2008-03-16 Rhps Ventures Llc Mini-coaxial cable splice connector assemblies and wall mount installation tool therefor
US7435144B2 (en) * 2007-01-22 2008-10-1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splice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1358A2 (en) 2003-10-22 2005-05-06 Composite Technology Corporation A collet-type splice and dead end fi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17220A (ja) 2010-05-20
US20090011659A1 (en) 2009-01-08
US20080176461A1 (en) 2008-07-24
BRPI0720808A2 (pt) 2014-03-04
BRPI0720808B1 (pt) 2019-11-19
AU2007345283B2 (en) 2011-12-15
CA2676022A1 (en) 2008-07-31
WO2008091340A1 (en) 2008-07-31
CA2676022C (en) 2014-04-01
CN101611519B (zh) 2011-12-14
JP5237302B2 (ja) 2013-07-17
US7435144B2 (en) 2008-10-14
CN101611519A (zh) 2009-12-23
US7658655B2 (en) 2010-02-09
KR20090106610A (ko) 2009-10-09
EP2109918A1 (en) 2009-10-21
AU2007345283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124B1 (ko) 전기 스플라이스 커넥터
US9257780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weather seal
US7335058B1 (en) Snap-fit connector assembly
US7993159B2 (en) Compressio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5668904A (e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7131868B2 (en) Compressio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JP2009509313A (ja) 電気コネクタ
CA2857012C (en) Conductor connectors for power cables
NZ580898A (en) Compressio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WO2006104617A2 (en) Compressio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EP1432082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10313754A1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breakaway compression ring and torque member
EP3195420A1 (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EP3186856B1 (en) Electrical assembly having a threaded coupling nut and retaining ring
EP1280239A2 (en) Connector
EP2434588A1 (en) Connector
CN213602083U (zh) 一种承力防水接续装置
JP2001135429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