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568B1 -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 - Google Patents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568B1
KR101427568B1 KR1020110086458A KR20110086458A KR101427568B1 KR 101427568 B1 KR101427568 B1 KR 101427568B1 KR 1020110086458 A KR1020110086458 A KR 1020110086458A KR 20110086458 A KR20110086458 A KR 20110086458A KR 101427568 B1 KR101427568 B1 KR 101427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space
frame part
vacuum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584A (ko
Inventor
함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승창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승창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승창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86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5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에 관한 것으로, 창호의 공간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탄성 재질의 단열재를 진공으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공간부 내부에 충전한 후 진공을 해제하여 단열재가 탄성에 의해 팽창되어 단열재 설치공간 내부를 긴밀하게 채워지도록 하고, 단열재가 긴밀하게 충전됨으로써 창호의 단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실내측 창틀프레임부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와, 상기 실내측 창틀프레임부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내측 창틀프레임부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 사이에 단열프레임부를 조립하는 프레임 조립단계; 상기 단열프레임부의 내부 공간부 일측에 단열재를 위치시키되, 상기 단열재는 공간부 단면 형상에 맞게 형성되고 공간부의 내부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하여 단열재를 위치시키는 단열재 위치단계; 상기 단열프레임부의 공간부 타측에 단열재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흡입장치를 위치시키는 진공흡입장치 위치단계;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서 진공흡입장치를 작동하여 공간부 일측에 위한 단열재를 진공으로 흡입하여 단열재가 공간부의 내부단면적보다 수축되면서 공간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열재 삽입단계; 상기 진공흡입장치의 작동을 해지하여 공간부 내부에 삽입된 단열재가 팽창되어 공간부 내부면에 긴밀하게 채워지도록 하는 단열재 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창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METHOD FOR MANUFACTURING FITTINGS AND THE FITTINGS MANUFACTURED USING THE SAM}
본 발명은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에 관한 것으로, 창호를 제조함에 있어, 단열재가 설치되는 공간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탄성재질의 단열재를 수축시켜 단열프레임부의 공간부에 설치하고 수축을 해지하여 수축된 단열재가 팽창하여 공간부 내부에 긴밀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는 화재시에도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공공건물에는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고급 주택에도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알루미늄 창호는 재질 자체가 열 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더라도 내외부의 열이 쉽게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단열이 어렵고 창호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에서와 같이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200) 사이에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프레임부(300)를 설치하여 건축물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건축물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단열프레임부(300)는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200) 상, 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단열프레임(310)과 하부단열프레임(320)으로써,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200)의 직접적인 열전도를 차단해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열프레임부(300)에 의해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40)를 통해 복사열이 전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도 2 에서와 같이 공간부(340)에 단열재(330)를 충전하여 복사열을 차단하였다.
이때 상기 공간부(340)에 단열재(330)를 충전하는 종래의 과정은, 단열성 수지를 공간부(340)에 충전시킨 후 경화시켜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공간부(340)의 폭이 좁아 단열재(300)의 긴밀한 주입이 어려웠으며 주입시 공기층이나 공기방울(331)이 형성되어 충전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공간부(340)의 단열재(330) 충전효율이 저하됨으로써 창호의 복사열 차단효과가 저하되어 결로가 발생되거나 단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공간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탄성 재질의 단열재를 진공으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공간부 내부에 충전한 후 진공을 해제하여 단열재가 탄성에 의해 팽창되어 단열재 설치공간 내부를 긴밀하게 채워지도록 하고, 단열재가 긴밀하게 충전됨으로써 창호의 단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실내측 창틀프레임부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와, 상기 실내측 창틀프레임부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내측 창틀프레임부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 사이에 단열프레임부를 조립하는 프레임 조립단계; 상기 단열프레임부의 내부 공간부 일측에 단열재를 위치시키되, 상기 단열재는 공간부 단면 형상에 맞게 형성되고 공간부의 내부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하여 단열재를 위치시키는 단열재 위치단계; 상기 단열프레임부의 공간부 타측에 단열재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흡입장치를 위치시키는 진공흡입장치 위치단계;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서 진공흡입장치를 작동하여 공간부 일측에 위한 단열재를 진공으로 흡입하여 단열재가 공간부의 내부단면적보다 수축되면서 공간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열재 삽입단계; 상기 진공흡입장치의 작동을 해지하여 공간부 내부에 삽입된 단열재가 팽창되어 공간부 내부면에 긴밀하게 채워지도록 하는 단열재 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 위치단계에서, 공간부의 일측에 공간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가이드부를 결합하여 단열재가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 되면서 공간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 삽입단계에서,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공간부의 내부로 단열재를 흡입함과 동시에 공간부의 일측에서 단열재를 밀어주면서 단열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부의 내부 단면적보다 크고 공간부 단면 형상에 맞게 미리 제작된 탄성재질의 단열재를 진공흡입을 통해 수축 팽창시켜 공간부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단열재의 경화과정을 거치지 않아 단열재의 빠른 설치 및 공간부의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며, 공간부의 긴밀한 밀폐가 이루어짐으로써 단열효율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통상의 창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창호의 단열프레임부에 단열재를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단열재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사 공간부에 단열재를 설치를 위한 준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시 공간부에 단열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시 공간부에 단열재가 삽입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시 공간부에 삽입된 단열재가 팽창되어 공간부를 밀폐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시 공간부의 입구부에 가이드부를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단열재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사 공간부에 단열재를 설치를 위한 준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시 공간부에 단열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시 공간부에 단열재가 삽입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시 공간부에 삽입된 단열재가 팽창되어 공간부를 밀폐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시 공간부의 입구부에 가이드부를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창호는,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200)와, 상기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를 차단하는 단열프레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프레임부(300)는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200) 상, 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단열프레임(310)과 하부단열프레임 (320)및 상부단열프레임(310)과 하부단열프레임(3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340)에 채워지는 단열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320)의 직접적인 열전도를 차단해 준다.
본 발명은 창호의 제조시 단열재(330)를 단열프레임부(300)의 공간부(340)에 진공으로 삽입하면서 창호를 제조하는 것으로, 프레임 조립단계(S1)와, 단열재 위치단계(S2), 진공흡입장치 위치단계(S3), 단열재 삽입단계(S4), 단열재 채움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조립단계(S1)는,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200) 사이에 상부단열프레임(310)과 하부단열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진 단열프레임부(300)를 설치하여 조립하는 과정이다.
상기 단열프레임부(300)는 비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실내측 창틀프레임부(100)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200)의 열전도를 차단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단열재 위치단계(S2)는, 단열프레임부(300)의 상부단열프레임부(310)와 하부단열프레임부(320) 사이의 공간부(340)에 단열재(330)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공간부의 일측에 공간부(340) 내부에 삽입하고자 하는 단열재(330)를 위치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단열재(330)는 공간부(340)의 내부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제작하여 공간부(340) 내부 단면적보다 작아진 상태에서 공간부(340)에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공간부(340) 내부에 긴밀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330)는 공간부(340)의 단면 형상에 맞게 미리 제작하여 수축 후 팽창되는 과정에서 공간부(340)의 내부의 모서리까지 채워져 긴밀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진공흡입장치 위치단계는, 상기 단열재(330)를 공간부(340)의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하여 공간부(340)의 타측에 진공흡입장치(500)를 설치하는 과정이다.
상기 단열재 삽입단계는, 공간부(340)의 타측에서 진공흡입장치(500)를 작동하여 공간부(340) 일측에 위한 단열재(330)를 진공으로 흡입하여 단열재(330)가 공간부(340)의 내부단면적보다 수축되면서 공간부(34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즉 진공흡입장치(500)를 작동하여 공간부(340)의 타측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간부(34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공간부(340) 일측에 위치된 단열재(330)가 공간부(34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단열재(330)는 탄성력을 갖고 있으므로, 진공흡입장치(500)의 흡입력에 의해 수축되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게 되고, 수축됨에 따라 단면적은 공간부(340)의 내부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공간부(34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열재 채움단계는, 진공흡입장치(500)의 가동을 중지시키면 공간부(34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지되어 공간부(340) 내부에 삽입된 단열재(330)가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공간부(340) 내부에 채워지는 과정이다.
이때 단열재(330)는 공간부(3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어 공간부(340)의 내부에 긴밀하게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단열재(33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미리 제작되어 경화되어 있는 단열재(330)를 수축시켜 공간부(34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삽입시킨 후 팽창시켜 공간부(340) 내부를 채워주게 됨으로써, 공간부(340) 내부에서 경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 경화 과정에서의 단열재(330)의 수축현상이나, 공기방울이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단열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단열재는 발포합성고무를 이용하여 제작 하는 것으로, 연질로 제조하여 하중을 걸면 변형하고 제거하면 용이하게 회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단열재 위치단계에서 단열재(330)가 공간부(340) 내부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부(340)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부(400)를 더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400)를 통해 단열재(330)가 가이드 되면서 공간부(34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400)는 단열재(330)가 공간부(34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단열재(33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관통된 일측에 단열재(330)가 삽입되는 삽입부(4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간부(340)의 일측에 결합되는 배출부(4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410)에서 배출부(420)를 향해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부(410)를 통해 삽입되는 단열재(330)가 가이드 되면서 공간부(340)의 직경보다 축소되어 공간부(34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즉 공간부(340)의 타측에서 진공흡입장치(500)를 통해 공간부(340)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여 단열재(330)를 흡입하게 되면, 단열재(330)가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 되면서 직경이 축소되어 공간부(340)로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단열재 삽입단계에서,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공간부(340)의 내부로 단열재(330)를 흡입함과 동시에 공간부(340)의 일측에서 삽입되는 단열재(330)를 밀어주면서 단열재(330)가 공간부(34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는 진공흡입장치(500)를 통한 단열재(330)의 흡입과 동시에 단열재(330)를 밀어주어 단열재(330)가 보다 용이하게 공간부(34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재(330)의 빠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실내측 창틀프레임부 (200) : 실외측 창틀프레임부
(300) : 단열프레임부 (310) : 상부단열프레임
(320) : 하부단열프레임 (330) : 단열재
(331) : 공기방울 (340) : 공간부
(400) : 가이드부 (410) : 삽입부
(420) : 배출부 (500) : 진공흡입장치

Claims (4)

  1. 실내측 창틀프레임부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와, 상기 실내측 창틀프레임부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틀프레임부와, 실외측 창틀프레임부 사이에 단열프레임부를 조립하되, 상기 단열프레임의 상부단열프레임과 하부단열프레임이 실내측 창틀프레임과 실외측 창틀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단열재를 채워넣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열프레임부 조립단계;
    상기 단열프레임부의 공간부 일측에 단열재를 위치시키되, 상기 단열재는 공간부 단면 형상에 맞게 형성되고 공간부의 내부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 단열재를 위치시키는 단열재 위치단계;
    상기 단열프레임부의 공간부 타측에 단열재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흡입장치를 위치시키는 진공흡입장치 위치단계;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서 진공흡입장치를 작동하여 공간부 일측에 위한 단열재를 진공으로 흡입하여 단열재가 공간부의 내부단면적보다 수축되면서 공간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열재 삽입단계;
    상기 진공흡입장치의 작동을 해지하여 공간부 내부에 삽입된 단열재가 팽창되어 공간부 내부면에 긴밀하게 채워지도록 하는 단열재 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 위치단계에서, 공간부의 일측에 공간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가이드부를 결합하여 단열재가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 되면서 공간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단열재 삽입단계에서,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공간부의 내부로 단열재를 흡입함과 동시에 공간부의 일측에서 단열재를 밀어주면서 단열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기재된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KR1020110086458A 2011-08-29 2011-08-29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 KR101427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58A KR101427568B1 (ko) 2011-08-29 2011-08-29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58A KR101427568B1 (ko) 2011-08-29 2011-08-29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584A KR20130023584A (ko) 2013-03-08
KR101427568B1 true KR101427568B1 (ko) 2014-09-25

Family

ID=4817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458A KR101427568B1 (ko) 2011-08-29 2011-08-29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750B1 (ko) 2015-04-24 2016-03-08 (주)경남윈스텍 창호틀 프레임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867B1 (ko) 2015-08-07 2015-12-31 김기봉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창호 프레임
CN110219565B (zh) * 2019-05-28 2021-04-16 广东润成创展木业有限公司 一种环保复合木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056B1 (ko) * 1998-01-20 2000-03-15 윤인선 중공부에 발포 단열재가 충진된 알미늄샤시와 그 제조방법 및장치
JP2008088681A (ja) * 2006-09-29 2008-04-17 Kaneka Corp 断熱窓
KR20100010635A (ko) * 2008-07-23 2010-02-02 (주)엔비텍이앤씨 발포성형폼 제작방법
KR100990986B1 (ko) * 2010-05-25 2010-10-29 주식회사 건미 다기능 안전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056B1 (ko) * 1998-01-20 2000-03-15 윤인선 중공부에 발포 단열재가 충진된 알미늄샤시와 그 제조방법 및장치
JP2008088681A (ja) * 2006-09-29 2008-04-17 Kaneka Corp 断熱窓
KR20100010635A (ko) * 2008-07-23 2010-02-02 (주)엔비텍이앤씨 발포성형폼 제작방법
KR100990986B1 (ko) * 2010-05-25 2010-10-29 주식회사 건미 다기능 안전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750B1 (ko) 2015-04-24 2016-03-08 (주)경남윈스텍 창호틀 프레임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584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2294B2 (ja) 真空断熱ガラスユニット用の窓枠システム
KR101427568B1 (ko) 진공 흡입방식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창호의 제조방법 및 창호
KR101153212B1 (ko) 단열복합의 프로젝트 이중 창
KR200479863Y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KR101133914B1 (ko)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CN104612538B (zh) 内外金属型材与中部整体隔热型材组合复合门窗型材
WO2012097908A1 (en) Enclosure system with thermal barrier for hvac air handling units
KR101576595B1 (ko) 건물 외피 결로방지용 리모델링 창호 또는 커튼월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대용량 스페이서의 제습제 교체 시공방법
KR101581867B1 (ko)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창호 프레임
KR101820052B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에어충진도어
KR20150145443A (ko)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JP2020197116A (ja) 真空断熱ガラスユニット用のウィンドウフレームシステム
KR101575077B1 (ko) 미서기 창호 및 미서기 창호를 위한 이탈 방지 장치
KR101549043B1 (ko) 복합 창호 프레임
KR101384134B1 (ko) 고 기밀성 단열 창호
KR20180041512A (ko) 단열복합창용 단열 방풍장치
CN109000089B (zh) 纳米级真空绝热板及其安装方法
KR20130097029A (ko) 창호용 프레임의 중공부에 발포단열재를 충전하는 방법
US7338050B1 (en) Expansion joint gasket
KR101144911B1 (ko)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KR101086370B1 (ko) 소음 차단구조를 구비한 이중창호
KR20190111699A (ko) 벽체마감재의 단열시공프레임 조립체
JP2003161077A (ja) 複層ガラス窓、ガラス窓の複層化方法、及び前記方法に使用する複層用板
KR101852063B1 (ko) 가스 주입 단열 복층유리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US20110303669A1 (en) Insulating Plug For Air Conditioning Slee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