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440B1 -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 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 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440B1
KR101426440B1 KR20140037624A KR20140037624A KR101426440B1 KR 101426440 B1 KR101426440 B1 KR 101426440B1 KR 20140037624 A KR20140037624 A KR 20140037624A KR 20140037624 A KR20140037624 A KR 20140037624A KR 101426440 B1 KR101426440 B1 KR 10142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reaction tank
organic wastewater
temperature
sewag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준
Original Assignee
아태수기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태수기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아태수기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14003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감량화 및 자원화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고온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고효율 유기물 분해로 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체 발열 되는 열에너지에 의하여 짧은 시간내에 유기물 분해가 가능하고 분해된 유기물은 안정화된 유기성 슬러지로 변화되며 고온소화에 의하여 대장균과 일반병원균도 사멸되어 퇴비로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처리방법으로 퇴비화에 의한 자원의 재이용이 가능하고 안정화 과정에서 함께 이루어지는 유기물질의 감량화에 의해 후단에 연속되는 건조, 고형화, 퇴비화 등의 슬러지 처리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고농도 유기성폐수의 감량화 및 자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 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APPARATUS FOR RECYCLING AND REDUCING OF ORGANIC WASTEWATER AND SEWAGE SLUDGE BY AUTOTHERMAL THERMOPHILIC AEROBIC DIGESTION METHOD AND TREATMENT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유기성 폐수와, 하수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하수, 분뇨, 가축폐수 등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유기성 슬러지를 퇴비화, 고형화, 탄화, 부숙화하기 위한 처리설비로 공급하기에 앞서, 사전 슬러지 감량화를 이룸으로써, 하수처리장 등의 슬러지 처리설비에서의 전력소모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감량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 이외에 슬러지 감량화 처리과정에서 유기성 폐수, 하수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퇴비화, 자원화를 이루기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고농도 유기성폐수의 처리방법은 혐기성소화조를 이용하여 자원화 및 감량화를 한다. 혐기성소화는 밀폐된 탱크에 슬러지를 투입하면 미생물의 작용으로 슬러지 속의 유기물이 비교적 안정된 유기물 또는 불활성 무기물로 분해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미생물에 의한 처리 과정에서 병원균(병균)과 그 매개물이 박멸됨과 동시에 슬러지 중의 유기물 절반 이상이 액화, 가스화됨으로 인해 슬러지가 감량 및 안정화된다.
상기 슬러지 소화과정은 소화온도 40℃를 경계로 하여 고온소화와 중온소화로 구분된다. 통상은 소화온도 35℃의 중온소화법이 채용되고 있다. 고농도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분뇨는 혐기성 상태에서 혐기성 세균이 활동에 의해 분해된다. 유기물을 분해시킬 때 혐기성 세균은 무기물 중의 산소 및 수중의 아질산염, 질산염, 황산염 등의 화합물 중의 산소를 이용하고 분해된 산물로서 메탄, 황화수소, 탄산가스 등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혐기성소화의 장점은 폭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동력 손실이 작고 공간의 효율성이 높으며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또한 메탄가스가 발생되어 새로운 에너지원이 창출된다. 하지만 호기성처리와 비교하여 반응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큰 용적의 장치가 필요하여 초기 투자비용이 높고 혐기성 미생물의 적정 생장온도(35℃, 55℃)에 맞는 가온 및 냉각 장치가 필요하므로 시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슬러지의 성상 변화에 따른 운전조건이 심하고 혐기조의 pH, 알칼리도, 용적부하, 스컴 제어 등의 전문적 운전관리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로 국내의 소화조의 소화효율은 40% 미만이므로 경제성이 매우 낮은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혐기성 소화와 비교하여 슬러지의 호기성 소화에 대해 살펴보면, 슬러지의 호기성 분해시에 대부분의 유기물질은 고형유기물 형태로 존재한다. 이와 같은 고형유기물은 긴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이 미생물에 의하여 합성 또는 분해되기 위해서는 먼저 효소(enzyme)에 의하여 미생물의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는 glucose등과 같은 단분자 구조를 가진 유기물질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것을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hydrolysis)라 한다.
산소와 함께 세포막을 투과한 유기물질들은 일부는 에너지대사를 통하여 산화되어 부산물과 CO2, H2O를 형성하며, 나머지는 세포물질로 합성된다. 호흡과정은 일종의 발열반응으로서 유기물질의 산화에 의하여 생성된 에너지의 일부는 높은 에너지 화합물인 ATP(adenosin triphosphate) 형태로 합성반응에 참여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에너지는 열로써 주위에 방출된다.
본 발명은 호기성 소화과정을 통한 슬러지 감량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35545(등록일자 2007.06.28)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정화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5324(등록일자 2006.12.01)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고속 처리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1032(등록일자 2012.10.08) '슬러지 감량형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35544(등록일자 2007.06.28)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39103(등록일자 2010.01.20) '자체발열 중, 고온 호기성 소화조와 이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개시된 기술들은 유기성 폐수의 정화목적을 이루기 위한 응집제 등의 화학약품을 사용하거나, 혐기성 및 호기성 처리를 복합구성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장치구성이 복잡하여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35545(등록일자 2007.06.2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5324(등록일자 2006.12.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1032(등록일자 2012.10.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35544(등록일자 2007.06.2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39103(등록일자 2010.01.20)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 구성을 갖는 장치를 통해 효과적으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감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하수 처리장 등의 처리설비에서 슬러지 등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에 소요되는 전력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감량화처리과정에서 완전히 제거하여, 감량화처리과정을 마친 슬러지의 퇴비화, 자원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슬러지저장조로부터 제1슬러지이송펌프를 통해 유입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를 1차 자체발열 호기성 처리하는 1차반응조와,
상기 1차반응조로부터 제2슬러지이송펌프를 통해 유입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를 2차 자체발열 호기성 처리한 후, 제3슬러지이송펌프를 통해 제2슬러지저장조로 배출하는 2차반응조와,
상기 1차반응조와 2차반응조의 내측 내주연을 따라 설치하고, 냉각수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1차반응조와 2차반응조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부와,
상기 1차반응조와 2차반응조 내의 호기성 소화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부와,
1차반응조, 2차반응조, 냉각부와 탈취부의 작동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자동제어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차반응조와 2차반응조는 그 내측 상부 중앙에 슬러지와, 슬러지 상층부에 형성된 거품과 공기를 동시에 상부방향에서 흡입하여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공기주입 순환방식을 통해 상기 제1차 및 2차반응조 내의 슬러지를 교반하는 공기흡입교반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방법은 반응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하여 탈취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냄새가 나지 않아 퇴비화, 자원화에 유리하며, 또한 슬러지의 감량화가 뛰어나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슬러지의 감량화를 이룬 후에 슬러지 처리시설로 공급함으로써, 기존의 슬러지처리를 위한 전력량의 1/2의 전력소모량을 유도함으로써 에너지절감화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공기흡입교반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공기흡입교반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원화·감량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1)는 제1슬러지저장조(11)로부터 제1슬러지이송펌프(100a)를 통해 유입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를 1차 자체발열 호기성 처리하는 1차반응조(10)와,
상기 1차반응조(10)로부터 제2슬러지이송펌프(100b)를 통해 유입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를 2차 자체발열 호기성 처리한 후, 제3슬러지이송펌프(100c)를 통해 제2슬러지저장조(21)로 배출하는 2차반응조(20)와,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의 내측 내주연을 따라 설치하고, 냉각수펌프(100d)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부(30)와,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 내의 호기성 소화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부(40)와,
1차반응조(10), 2차반응조(20), 냉각부(30)와 탈취부(40)의 작동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자동제어반(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는 그 내측 상부 중앙에 슬러지와, 슬러지 상층부에 형성된 거품과 공기를 동시에 상부방향에서 흡입하여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공기주입 순환방식을 통해 상기 제1차 및 2차반응조(10, 20) 내의 슬러지를 교반하는 공기흡입교반기(10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실시예의 장치 구성의 공기흡입교반기(101)를 대신하여, 거품제어기(102)와 상기 반응조(10, 20) 내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순환을 유도하는 나선형통풍기(103)를 설치하여 장치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실시예의 장치 구성에 거품제어기(102)와 상기 반응조(10, 20) 내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순환을 유도하는 나선형통풍기(103)를 더 포함하여 장치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자체발열 호기성소화 기술은 고온 호기성 미생물들이 유기물들을 소화할 때 발생하는 열을 발효장치 내부에서 보존하여 이용함으로써 고온 발효과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소화과정을 통해 유기물질의 질량은 감소하게 되며 동시에 산소가 소비되고 열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에 의한 반응조 내의 온도는 35~65℃를 유지하게 되며, 이 이상의 온도상승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냉각장치를 통해 온도상승을 제어하여야 한다. 이는 온도의 급격한 상승은 호기성소화반응을 저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자체발열 중온·고온호기성소화 기술에 있어서, 산소공급을 잘 조절하여 미생물들의 성장속도를 최대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외에 미생물들을 활용하는데 있어 활성이 강한 온도인 55~65℃의 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체발열 호기성소화 반응의 반응식은 C6H12O6 + 6O2 ---> 6CO2 + 6H2O + 2,880 KJ/g mol로서,
여기서 발생한 열에너지가 고온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고온 환경을 조성한다. 자체발열 중온·고온호기성소화 반응은 세포의 성장속도와 사멸속도가 빨라서 급속한 유기물의 분해 및 잉여슬러지의 발생이 적은 특징이 있다.
또한 고온으로 인해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시켜 가축분뇨의 토지 이용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염려를 해소해 준다.
자체발열 중온·고온호기성소화 공정에서는 DO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상당한 양의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거품 층의 형성은 공정의 안정적 운전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이며, 또한 고온호기성 공정에서 거품의 제어는 공정의 안정적 운전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자체발열 중온·고온호기성소화 공정에서 이러한 거품은 발생한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도록 보온층 역할을 하지만, 발생하는 거품량이 현저하게 많기 때문에 설계시 반응조 상부에 0.5~1.0m의 공간의 여유를 두고 있어야 한다.
자체발열 중온·고온호기성소화 공정은 단열 처리된 반응조 안에서 짧은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교반이 잘되고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는 한 반응조의 온도는 정상 상태에 이를 때까지, 즉 발열반응과 기계적 에너지 유입으로 인한 열유입과 열손실이 같아질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온도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인해 일정 온도 이상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호기성소화반응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의 상승을 막기 위하여 반응조 내부에 냉각시설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발열 호기성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1)는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를 기존 하수처리장 등의 설비를 통해 처리하기에 앞서 사전 감량화 처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사전 감량화를 거친 후 기존 하수처리장 등의 처리설비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감량화이전과 비교하여 볼 때 사용전력의 1/2로 대폭 줄임으로써 에너지 절감에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는 제1슬러지저장조(11)를 통해 공급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실질적인 감량화가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반응조의 적정온도범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조(10, 2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철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로 제작되며 단열처리가 됨과 동시에 반응조(10, 20)의 내부 내주연을 따라 튜브형 냉각장치(301)가 설치된다.
상기 튜브형 냉각장치(301)는 냉각부(30)의 일부구성으로서, 상기 냉각부(30)는 상기 튜브형 냉각장치(301)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탱크(302)와, 상기 냉각수탱크(302)로부터 상기 튜브형 냉각장치(301)로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수펌프(10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부(30)는 제1슬러지저장조(11)와 제2슬러지저장조(21)에도 동일구성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슬러지저장조(11)는 1차반응조(10), 2차반응조(20) 및 제2슬러지저장조(21)와 비교하여 볼 때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1차반응조(10)에서의 호기성 소화반응을 위해서는 온도의 상승을 필요하고,
반대로 제2슬러지저장조(21)는 2차반응조(20)로부터 이송된 고온의 슬러지를 함유하고 있어 고온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탈수 등의 후단처리를 위해서는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2차반응조(20) 내의 고온의 슬러지를 상기 제1슬러지저장조(11)로 반송하여 제1슬러지저장조(11)의 슬러지 온도를 상승시키고, 2차반응조(20)의 슬러지는 반송 및 냉각부(30)의 작동으로 인해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때 반송량은 상황에 따라 조절가능하나, 예시적으로 언급하자면 1시간당 10루베의 양으로 반송처리하며, 이때 반송은 슬러지순환펌프(100)를 통해 이루어진다.
반응열을 이용하는 자가발열 고온호기성소화(Autothermal Thermophilic AerobicDigestion)는 호기성 소화에서 생성되는 열을 이용하여 주입되는 슬러지와 반응조 내의 반응온도를 높여 슬러지를 분해하게 되며, 유기물이 미생물 작용에 의하여 분해될 때 ADP(adenosindiphosphate)는 유기물 분자의 화학적 에너지와 함께 높은 에너지상태인 ATP형태로 미생물에 합성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화학적 에너지는 열로써 방출되며 glucose의 경우에는 약 60%의 에너지가 주위로 방출된다. 이때 단열재를 사용하여 반응조를 충분히 단열보온 시킴으로써 외부와 단열될 수 있으며 미생물에 의한 산화과정에서의 발생열에 의해 반응온도를 35~65℃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에서 슬러지의 이동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상기 2차반응조(20) 내의 일부 슬러지가 제3슬러지이송펌프(100c)를 통해 제2슬러지저장조(21)로 배출되면, 배출된 양만큼 상기 1차반응조(10)에서 2차반응조(20)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은 제2 슬러지 이송펌프(100b)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시, 1차반응조(10)에서 2차반응조(20)로 빠져나간 양만큼의 다시 제1슬러지저장조(11)로부터 제1슬러지이송펌프(100a)를 통해 상기 1차반응조(10)로 유입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슬러지 감량화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반과 함께 산소공급을 잘 조절하여 미생물들의 성장속도를 최대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교반과 함께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기흡입교반기(101)와 나선형통풍기(103)를 사용한다.
상기 공기흡입교반기(101) 또는 나선형통풍기(103)를 단독으로 반응조 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공기흡입교반기(101)와 나선형통풍기(103)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기흡입교반기(10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조의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모터(101a)와, 상기 모터(101a)에 연결되는 회전축(101b)과, 상기 회전축(101b)의 말미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10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101b)의 외둘레에는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상협하광의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몸체부(101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흡입교반기(101)의 상기 몸체부(101d)의 대부분은 반응조 내의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에 잠기도록 하되, 수면 높이에 상기 몸체부(101d) 상단이 위치하도록 하여 완전히 잠기지는 않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공기흡입교반기(101)는 모터(101a)에 연결되는 회전축(101b)의 말미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101c)의 회전력에 의해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와 수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거품을 공기와 함께 깔때기 형상의 몸체부(101d)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몸체부(101d)의 아래 방향으로 다시 배출함으로써, 공기와 함께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가 반응조 내부를 순환하게 됨으로써 교반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흡입교반기(101)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101c)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베어링, 기어 등의 장치 구성을 별도로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고장 발생률이 매우 낮아, 설치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공기흡입교반기(101)는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에 의해 부식발생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이용하여 부식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기흡입교반기(101)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축(101b), 스크류(101c) 및 몸체부(101d)를 초 내식성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을 기본으로 하여 여기에 질소의 함량을 변화시킨 합금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Fe-18Cr-5Ni-Mn-0.35N의 스테인리스강 99.7~99.9wt%에 질소(N) 0.1~0.3wt%를 첨가하여 조성된 초 내식성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다.
상기 Fe-18Cr-5Ni-Mn-0.35N의 기본조성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에 질소(N)를 첨가하여 내부식 특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질소(N)의 첨가량이 0.1wt% 미만인 경우에는 내부식 특성이 떨어질 수 있고, 0.3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내부식 특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아 무의미하므로, 상기 질소(N)의 첨가량은 0.1~0.3wt%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소(N)를 0.145wt%를 첨가함으로써 가장 높은 내부식 특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공기흡입교반기(101)와 유사기능을 갖는 상기 나선형통풍기(103)는 상기 공기흡입교반기(101)와 달리 별도로 공기만을 주입하면서 스크류를 통해 반응조 내의 교반을 일으킨다.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 내부는 공기의 공급과 미생물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 산화과정에서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여 수면 위를 부유하게 된다.
상기 거품제어기(102)는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하게 될 경우 바람을 일으켜 거품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 산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열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암모니아가 방출되며, 또한 황화수소, carbonyl sulfied, methyl mercaptan, 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ed를 포함한 환원된 황 화합물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탈취부(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탈취부(40)는 소화조로부터 거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러버(401)와, 상기 스크러버(401) 후단에 설치되는 광이온탈취기(4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러버(401)는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설치된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거품이 유입될 수 없도록 하며, 이때 일부 악취물질이 물에 용해되기도 한다.
상기 스크러버(401)의 후단에는 광이온 탈취기(402)가 설치되어 있어, 실질적인 악취제거는 상기 광이온 탈취기(402)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광이온 탈취기(402)는 광촉매에 UV-B인 280~320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탈취효율을 높인 탈취기로서, 상기 광촉매는 동중량비율의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TTIP), 알루미늄 전구체(Aluminum precursor), 바나듐 전구체(Vanadium precursor)를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에 용해시키되, 질산을 함께 넣어 10~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일으킨 후, 교반하고, 80~90℃에서 6~8시간 동안 증발시키고, 100℃ 오븐에서 건조시킨 다음, furnace에서 5 ℃/min 씩 승온하여 500 ℃에서 3~4시간 동안의 소성과정 거쳐 합성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광촉매 합성을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0.1 mol의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TTIP), 알루미늄 전구체(Aluminum precursor), 바나듐 전구체(Vanadium precursor)를 100㎖의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에 용해되도록 교반 시켜준 후 Sol로 된 용액의 뭉침을 막기 위해, 질산을 넣고 12시간 동안 교반시켜준다.
다음으로, 0.4 mol의 증류수를 천천히 첨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진행시킨 후 다시 교반한 후, 80~90℃에서 6 시간동안 증발시키고, 100℃ 오븐에서 건조시킨 다음, furnace에서 5 ℃/min 씩 승온하여 500℃에서 3시간 동안 소성과정을 통하여 최종 광촉매를 합성한다.
이외에, 상기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의 공기흡입교반기(101), 거품제어기(102), 나선형통풍기(103), 슬러지이송펌프(100a, 100b, 100c) 및 냉각수펌프(100d)를 제어하여 고온 호기성 미생물이 최적화된 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제어반(50)을 포함하여 장치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의 장치 구성을 통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방법은 제1슬러지저장조(11) 내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를 제1슬러지이송펌프(100a)를 이용하여 1차반응조(10)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1차반응조(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흡입교반기(101)를 이용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상층부에 형성된 거품과 공기를 동시에 상부방향에서 흡입하여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공기주입 순환방식으로 슬러지를 순환시키면서 호기성미생물의 소화작용을 유도하여 슬러지를 감량하고, 1차반응조(10) 내측 내주연을 따라 설치된 냉각부(30)를 이용하여 1차반응조(10)의 온도가 55℃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1차반응조(10)내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 중 일부를 제2슬러지이송펌프(100b)를 통해 2차반응조(20)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2차반응조(2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흡입교반기(101)를 이용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상층부에 형성된 거품과 공기를 동시에 상부방향에서 흡입하여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공기주입 순환방식으로 슬러지를 순환시키면서 호기성미생물의 소화작용을 유도하여 슬러지를 감량하고, 2차반응조(20) 내측 내주연을 따라 설치된 냉각부(30)를 이용하여 2차반응조(20)의 온도가 65℃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 반응조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포집하여 탈취부(40)에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단계와,
상기 2차반응조(20)를 거쳐 감량이 된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를 제3슬러지이송펌프(100c)를 통해 제2슬러지저장조(21)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처리단계에서는 35~55℃의 온도범위에서 호기성 반응이 일어나며, 2차 처리단계에서는 상기 1차 처리단계보다 높은 온도인 55~65℃의 온도범위에서 호기성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슬러지 감량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산소 주입량 또한 호기성 미생물의 산화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상기 산소 주입량은 공기흡입교반기(101) 또는 나선형통풍기(103)를 통해 1~3kg O2/kg VSSd의 양으로 주입하게 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한 산소 주입량은 1.42kg O2/kg VSSd이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슬러지저장조(21)의 고온 상태의 슬러지 중 일부를 슬러지순환펌프(100)를 통해 제1슬러지저장조(11) 반송처리함으로써, 상기 제2슬러지저장조(21)와 비교하여 볼 때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슬러지 저장조(11)의 슬러지 온도를 상승시켜 줌으로써, 상기 제1슬러지 저장조(11)로부터 슬러지를 공급받아 호기성 소화처리하는 1차반응조(10)에서의 소화처리효율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은 슬러지의 안정화를 통한 효율적인 슬러지 감량화를 이룸으로써, 건조, 소각 등의 처리과정을 거쳐 슬러지를 처리하는 슬러지 처리설비에서의 전력 소비량을 1/2 이상 절감하여 줌으로써, 에너지 절약에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또한 슬러지를 처리하는 내에 포함되어 있는 병원균의 사멸, 냄새 제거를 통해 퇴비, 사료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여 자원화 측면에 있어 매우 효율적이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자원화·감량화 장치 10: 1차반응조
11: 제1슬러지저장조 20: 2차반응조
21: 제2슬러지저장조 30: 냉각부
40: 탈취부 50: 자동제어반
100: 슬러지순환펌프
100a: 제1슬러지이송펌프 100b: 제2슬러지이송펌프
100c: 제3슬러지이송펌프 100d: 냉각수펌프
101: 공기흡입교반기 102: 거품제어기
103: 나선형통풍기 301: 튜브형 냉각장치
302: 냉각수 탱크 401: 스크러버
402: 광이온탈취기

Claims (6)

  1. 제1슬러지저장조(11)로부터 제1슬러지이송펌프(100a)를 통해 유입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를 1차 자체발열 호기성 처리하는 1차반응조(10)와,
    상기 1차반응조(10)로부터 제2슬러지이송펌프(100b)를 통해 유입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를 2차 자체발열 호기성 처리한 후, 제3슬러지이송펌프(100c)를 통해 제2슬러지저장조(21)로 배출하는 2차반응조(20)와,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의 내측 내주연을 따라 설치하고, 냉각수펌프(100d)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부(30)와,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 내의 호기성 소화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하여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러버(401)와 광이온탈취기(4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취부(40)와, 1차반응조(10), 2차반응조(20), 냉각부(30)와 탈취부(40)의 작동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자동제어반(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차반응조(10)와 2차반응조(20)는 그 내측 상부 중앙에 슬러지와, 슬러지 상층부에 형성된 거품과 공기를 동시에 상부방향에서 흡입하여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공기주입 순환방식을 통해 상기 제1차 및 2차반응조(10, 20) 내의 슬러지를 교반하는 공기흡입교반기(101)와,
    상기 제1차 및 2차반응조(10, 20) 내의 거품을 제어하는 거품제어기(102)와,
    상기 반응조(10, 20) 내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순환을 유도하는 나선형통풍기(103)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광이온탈취기(402)는 동중량비율의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TTIP), 알루미늄 전구체(Aluminum precursor), 바나듐 전구체(Vanadium precursor)를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에 용해시키되, 질산을 함께 넣어 10~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일으킨 후, 교반하고, 80~90℃에서 6~8시간 동안 증발시키고, 100℃ 오븐에서 건조시킨 다음, furnace에서 5℃/min 씩 승온하여 500℃에서 3~4시간 동안의 소성과정 거쳐 합성한 광촉매에 UV-B인 280~320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탈취효율을 높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40037624A 2014-03-31 2014-03-31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 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KR10142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7624A KR101426440B1 (ko) 2014-03-31 2014-03-31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 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7624A KR101426440B1 (ko) 2014-03-31 2014-03-31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 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440B1 true KR101426440B1 (ko) 2014-08-05

Family

ID=5174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7624A KR101426440B1 (ko) 2014-03-31 2014-03-31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 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4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8445A (zh) * 2016-06-30 2016-09-21 浙江环耀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皮革废水污泥处理工艺
KR20200140347A (ko) * 2018-04-04 2020-12-15 블루스타 아디쎄오 난징 컴퍼니 리미티드 아크롤레인 반응기 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16110A (ko) 2022-01-27 2023-08-04 주식회사 케이에코이노베이션 하수처리장 슬러지 감량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장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377B1 (ko) 1998-11-23 2002-02-28 이규철 자가발열고온호기성소화를이용한고효율유기물분해장치및공정
KR100512089B1 (ko) * 2005-03-11 2005-09-02 구흥회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KR100752332B1 (ko) * 2006-08-08 2007-08-27 (주) 테크윈 하수 슬러지 퇴비화 장치
KR20110119910A (ko) * 2010-04-28 2011-11-03 김현근 호기소화탈기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377B1 (ko) 1998-11-23 2002-02-28 이규철 자가발열고온호기성소화를이용한고효율유기물분해장치및공정
KR100512089B1 (ko) * 2005-03-11 2005-09-02 구흥회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KR100752332B1 (ko) * 2006-08-08 2007-08-27 (주) 테크윈 하수 슬러지 퇴비화 장치
KR20110119910A (ko) * 2010-04-28 2011-11-03 김현근 호기소화탈기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8445A (zh) * 2016-06-30 2016-09-21 浙江环耀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皮革废水污泥处理工艺
KR20200140347A (ko) * 2018-04-04 2020-12-15 블루스타 아디쎄오 난징 컴퍼니 리미티드 아크롤레인 반응기 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
US11358885B2 (en) 2018-04-04 2022-06-14 Bluestar Adisseo Nanj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acrolein reactor wastewater
KR102488891B1 (ko) * 2018-04-04 2023-01-17 블루스타 아디쎄오 난징 컴퍼니 리미티드 아크롤레인 반응기 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16110A (ko) 2022-01-27 2023-08-04 주식회사 케이에코이노베이션 하수처리장 슬러지 감량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장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3715C (en) System and method for anaerobic digestion of biomasses
US8444861B2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hydrogen peroxide and microwave system for slurries treatment
KR101626752B1 (ko) 자연순환형 혐기소화액 자원화 시스템
CN103623680B (zh) 低温有机恶臭气体处理系统
CN104609665A (zh) 草甘膦生产废水处理集成化工艺
KR20120130167A (ko) 폐수 바이오솔리드의 개선된 소화방법
CN108441522A (zh) 过一硫酸氢钾复合盐(pms)促进剩余污泥厌氧发酵生产脂肪酸的方法
KR20090051450A (ko) 음식물쓰레기 침출수 및 축산폐수와 같은 초 고농도유기폐수의 정화방법
Al-Amshawee et al. Zero waste system comprised of fixed bed biofilm reactor, ozone oxidation, and electrodialysis desalination for wastewater sustainability
CN108624623A (zh) 一种强化剩余活性污泥厌氧发酵产氢的方法
KR101426440B1 (ko) 자체발열 중온·고온 호기성 소화방법에 의한 유기성 폐수·하수슬러지의 자원화·감량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Lee et al. Pig slurry treatment by a hybrid multi-stage unit system consisting of an ATAD and an EGSB followed by a SBR reactor
CN104150729B (zh) 一种高效资源化和低污染排放的污泥处理系统及方法
CN103922475B (zh) 含氮杂环化合物废水的生物降解方法
KR101002386B1 (ko) 암모늄 질소 농도 조절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방법
JP2006255538A (ja) 食品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404976B2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有機性廃水の処理装置
KR20140015102A (ko)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제고를 위한 혐기발효 공정에서 전처리시 치환반응을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생산 방법 및 그로부터 생산된 바이오가스
JP4665693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0445642B1 (ko) 활성화된 부식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CN113754220A (zh) 一种高含固市政污泥制备生物燃气工艺
KR100994193B1 (ko) 중탄산염 알칼리도 제어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방법
JP2001232388A (ja) 廃液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60033967A (ko) 유기성 폐기물 감량처리 및 에너지생산 시스템
CN204174053U (zh) 一种高效资源化和低污染排放的污泥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