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968B1 - 상하퍼짐이 보정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 Google Patents

상하퍼짐이 보정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968B1
KR101425968B1 KR1020120118998A KR20120118998A KR101425968B1 KR 101425968 B1 KR101425968 B1 KR 101425968B1 KR 1020120118998 A KR1020120118998 A KR 1020120118998A KR 20120118998 A KR20120118998 A KR 20120118998A KR 101425968 B1 KR101425968 B1 KR 101425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separation space
head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646A (ko
Inventor
은종호
김연월
은현수
남경화
Original Assignee
은종호
김연월
은현수
남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종호, 김연월, 은현수, 남경화 filed Critical 은종호
Priority to KR1020120118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9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와;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빛이 입사된 후 외부로 출사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하 직경에 비해 좌우 직경이 길게 형성된 시력보정용 안경렌즈의 난시곡률이 적용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빛의 상하퍼짐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퍼짐이 보정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HEAD LIGHT TO CORRECT SPREAD UP AND DOWN}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상하 퍼짐을 보정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등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 중에서 헤드라이트는 야간에 운전자의 운전시야를 확보해 주는 중요한 등화 장치이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2003-0048708호에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자동차용 헤드라이트는 중앙에 광원이 장착된 타원형 반사경과, 반사경 앞쪽에 설치되는 집광 렌즈를 포함한다.
이런 구조를 갖는 종래 자동차용 헤드라이트는 통상 빛을 출사하는 렌즈가 하나의 곡률반경만 갖고 있으므로 야간에 맞은편 차량의 운전자가 보았을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즉, 원형의 형태로 상하 좌우로 빛이 퍼지게 되므로 상대방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방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야간에 맞은편 차량의 운전자가 헤드라이트 불빛을 보게 되면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 경우 운전자의 입장에선 좌우 양측의 시야가 좁아지게 되므로 좌우 보행자 확인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불빛의 상하 퍼짐을줄이고 좌우 퍼짐을 증가시켜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향상시킨 헤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헤드라이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라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빛이 입사된 후 외부로 출사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하 직경에 비해 좌우 직경이 길게 형성된 시력보정용 안경렌즈의 난시곡률이 적용된 타원형상으로 빛의 상하퍼짐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는, 타원형상의 렌즈본체와; 상기 렌즈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분리공간과; 상기 제1분리공간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분리공간과 함께 상기 렌즈본체를 두 개의 볼록렌즈와 한 개의 오목렌즈로 분리하는 제2분리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는 렌즈의 상하 직경에 비해 좌우 직경이 길게 형성된 시력보정용 안경렌즈의 난시곡률이 적용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퍼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간에 맞은편 상대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좌우 시야가 넓어져 보행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는 렌즈 내부에 분리공간이 형성되어 색수차가 보정되므로 헤드라이트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경계영역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헤드라이트에서 발생되는 빛을 나타낸 실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의 렌즈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의 렌즈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에서 발생되는 빛의 투과과정을 도시한 실사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트(1)는 광이 발생되는 발광소자(200)와, 발광소자(20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300)와, 반사부(300)에서 발생된 빛의 상하퍼짐을 줄이고 좌우퍼짐을 증가시켜 외부로 출사시키는 렌즈(100)와, 렌즈(100)를 지지하는 렌즈커버(400)를 포함한다.
발광소자(200)는 차량의 외부전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시 빛을 발광한다. 발광소자(200)는 청색과, 적색광 및 녹색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 칩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백색광이 방출되도록 형성된다.
발광소자(200)의 하부에는 발광소자(200)의 발광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210)와 냉각팬(220)이 구비될 수 있다.
반사부(300)는 발광소자(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광소자(200)에서 발생된 빛이 렌즈(100)로 입사되도록 유도한다. 반사부(300)는 단면이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광소자(200)에서 발생되는 빛을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며, 전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반사된 빛이 렌즈(100)로 입사되도록 한다.
하우징(500)은 발광소자(200)와 반사부(300)를 서로 고정시켜 지지한다.
렌즈커버(400)는 내부에 렌즈(100)를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렌즈(1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1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100)는 상하와 좌우의 직경이 서로 상이한 타원 형태로 형성되어 빛의 상하퍼짐은 줄이고 좌우퍼짐은 증가시킨다(R2>R1). 이러한 렌즈(100)의 형상은 시력보정용 안경렌즈의 난시곡률이 적용된 것이다. 즉, 가로 곡률반경(R2)가 세로 곡률반경(R1) 보다 크게 형성된다.
렌즈(100)는 타원형태의 렌즈본체(110)와, 렌즈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두 개의 분리공간(120,130)으로 형성된다. 렌즈(100)는 하나의 일체화된 렌즈본체(110)의 내부에 두 개의 분리공간(120,130)이 형성되어 두 개의 볼록렌즈와 한 개의 오목렌즈가 결합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1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상하퍼짐을 줄임과 동시에 색수차도 보정될 수 있다.
렌즈본체(110)는 내부로 광이 입사되어 출사된다. 렌즈본체(110)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렌즈본체(110)는 정면형상이 타원형태로 형성되며 단면형상은 반원 또는 타원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제1분리공간(120)과 제2분리공간(130)은 렌즈본체(110)의 내부에 일정공간 형성되어 렌즈본체(110)를 세 개의 이웃한 렌즈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제1분리공간(120)을 형성하는 제1경계선(121)과 제2경계선(123) 사이의 간격(d1)은 경계선(121,123)에서 빛이 굴절되어 빛이 수렴하거나 확산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게 한다.
제2분리공간(130)을 형성하는 제3경계선(131)과 제4경계선(133) 사이의 간격(d2)도 동일하게 기능한다.
이 때, 제1경계선(121)과 렌즈본체(110)의 전면(113) 사이의 제1영역(a)은 전면 볼록렌즈로 기능하고, 제2경계선(123)과 제3경계선(131) 사이의 제2영역(b)은 오목렌즈로 기능하고, 제4경계선(133)과 렌즈본체(110)의 후단(112) 사이의 제3영역(c)은 후면 볼록렌즈로 기능한다.
렌즈본체(110)는 제1분리공간(120)과 제2분리공간(130)에 의해 내부에 두 개의 볼록렌즈와 한 개의 오목렌즈가 조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렌즈본체(110)의 형상은 아포크래매틱(apochromatic) 렌즈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렌즈(100)는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의 세 가지 색상의 색수차 보정이 가능하다.
렌즈본체(110)는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의 세 가지 빛의 초점이 모두 같아지도록 제1분리공간(120)과 제2분리공간(130) 사이의 이격거리(d1,d2)를 조절한다. 또한, 제1분리공간(120)과 제2분리공간(130)을 형성하는 각 경계선(121,123,131,133)의 곡률이 조절된다.
제1영역(a)과 제3영역(c)의 볼록렌즈는 빛이 렌즈 내부로 입사될 때 중심축을 향해 모아지게 한다. 반면, 제2영역(b)의 오목렌즈는 빛이 렌즈 내부로 입사될 때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으로 퍼지게 한다.
제3영역(c)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제2분리공간(130)에서 굴절되며 제2영역(b)으로 입사되고, 제2영역(b)에서 확산되게 제1분리공간(120)으로 입사된 빛은 제1영역(a)에서 중심축을 향해 수렴되게 된다.
이 때, 제1영역(a)의 경계영역의 곡률과 제2영역(b)의 경계영역의 곡률 및 제3영역(c)의 경계영역의 곡률은 모두 상이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렌즈본체(11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렌즈본체(110) 내부에는 제1분리공간(120)과 제2분리공간(130)이 형성되게 되므로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시 분리공간(120,130)에 대응하는 코어(미도시)를 삽입하여 성형을 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사출성형을 복수회에 걸쳐 성형할 수도 있다.
사출성형에 의해 렌즈(100)를 제조하게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렌즈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렌즈(100)는 구면렌즈 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구면 렌즈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1)로 빛이 투과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1)에 빛이 투과되면 좌우로 퍼지게 나타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헤드라이트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상하 퍼짐은 줄고 좌우 퍼짐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간에 맞은편 상대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좌우 시야가 넓어져 보행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1)는 색수차가 보정되므로 헤드라이트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경계영역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라이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헤드라이트
100 : 렌즈 110 : 렌즈본체
111 : 렌즈 중단 113 : 렌즈 선단
115 : 렌즈 후단 120 : 제1분리공간
121 : 제1경계영역 123 : 제2경계영역
130 : 제2분리공간 131 : 제3경계영역
133 : 제4경계영역 200 : 발광소자
210 : 히트싱크 220 : 냉각팬
300 : 반사부 400 : 렌즈커버
500 : 하우징 a : 제1영역
b : 제2영역 c : 제3영역

Claims (3)

  1. 차량용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빛이 입사된 후 외부로 출사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광이 입사되어 외부로 출사되는 일체화된 렌즈본체와;
    상기 렌즈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분리공간과;
    상기 제1분리공간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분리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본체가 상하 직경에 비해 좌우 직경이 길게 형성된 시력보정용 안경렌즈의 난시곡률이 적용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빛의 상하퍼짐을 보정하고,
    상기 제1분리공간 및 상기 제2분리공간은 상기 렌즈본체를 두 개의 볼록렌즈와 한 개의 오목렌즈로 분리하여 색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KR1020120118998A 2012-10-25 2012-10-25 상하퍼짐이 보정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KR101425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98A KR101425968B1 (ko) 2012-10-25 2012-10-25 상하퍼짐이 보정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98A KR101425968B1 (ko) 2012-10-25 2012-10-25 상하퍼짐이 보정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646A KR20140052646A (ko) 2014-05-07
KR101425968B1 true KR101425968B1 (ko) 2014-08-05

Family

ID=5088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998A KR101425968B1 (ko) 2012-10-25 2012-10-25 상하퍼짐이 보정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616B1 (ko) * 2016-07-08 2017-02-08 은현수 헤드라이트용 플라스틱 복합렌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704A (ja) * 1995-06-12 1996-12-24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灯具装置
US7271965B1 (en) * 2007-01-04 2007-09-18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Wideband apochromatic lens system
KR20100061324A (ko) * 2008-11-27 2010-06-07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라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704A (ja) * 1995-06-12 1996-12-24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灯具装置
US7271965B1 (en) * 2007-01-04 2007-09-18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Wideband apochromatic lens system
KR20100061324A (ko) * 2008-11-27 2010-06-07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라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646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39164B (zh) 车辆用灯具
KR101425967B1 (ko) 색수차가 보정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US10228118B2 (en) Vehicular lamp
JP6131724B2 (ja) 車両用灯具
JP7274626B2 (ja) ライトガイドを備えた自動車両用の照明装置
KR20210053024A (ko) 차량용 램프
US20160238206A1 (en) Vehicular lamp
US20170184267A1 (en) Lighting module for a motor vehicle
US10480742B2 (en) Optical module for a motor vehicle
KR101235317B1 (ko) 차량용 램프
KR102489648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US20170045192A1 (en) Light emitting module with lens
JP2017212112A (ja) 車両用前照灯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
TWI660867B (zh) 車輛之頭燈之光源模組、車輛之頭燈及車輛
JP6199104B2 (ja) 車両用灯具
CN215294788U (zh) 车灯模组、车灯及车辆
JP6747886B2 (ja) 車両用灯具
KR101425968B1 (ko) 상하퍼짐이 보정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KR20160026420A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210116445A (ko) 명암 경계를 갖는 광 분포를 생성하기 위한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유닛
KR101295827B1 (ko) 차량용 램프
JP6498860B2 (ja) 車輌用灯具及び光学体
US11421849B2 (en) 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JP2018005219A (ja) ヘッドライト用プラスチック複合レンズ
JP2006351356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