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652B1 - 건축용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652B1
KR101425652B1 KR1020130126739A KR20130126739A KR101425652B1 KR 101425652 B1 KR101425652 B1 KR 101425652B1 KR 1020130126739 A KR1020130126739 A KR 1020130126739A KR 20130126739 A KR20130126739 A KR 20130126739A KR 101425652 B1 KR101425652 B1 KR 101425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unit
panel
building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철
Original Assignee
(주) 엘엠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엠시 filed Critical (주) 엘엠시
Priority to KR102013012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용 패널로서, 꼭짓점 A와 B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1 변과, 꼭짓점 B와 C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2 변과, 꼭짓점 C와 D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3 변과, 꼭짓점 D와 A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4 변으로 이뤄진 외형을 갖는 제1 단위 패널; 및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전후면을 180도 뒤집은 상태의 외형을 갖는 제2 단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제1, 제2, 제3 및 제4 변은 동일면 상에서 또 다른 제1 단위 패널의 동일한 변과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1 단위 패널과 제2 단위 패널을 동일면 상에서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천장면 또는 벽체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패널 {Panel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곡선형 변(邊)을 갖도록 형성된 단위 패널을 이용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적절한 변형 배치가 조합된 단위 패널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일견 불규칙적인 곡선형 패턴으로 이뤄진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을 최소 종류의 단위 패널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의 천장 또는 내외측 벽체의 마감 처리를 위해서, 규칙적인 형태의 단위 패널을 다수개 연결 배치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물 천장에는 소정 간격으로 목재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그 위에 직사각형의 천장용 패널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 규칙적 패턴으로 고정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한편, 벽체에 있어서는 요구되는 벽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벽체용 패널을 병렬로 설치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천장용 패널 또는 벽체용 패널은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직선형 외형 구조를 갖고 있었다. 이로 인해, 수요자의 미적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주문 제작형 패널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불규칙적이거나 곡선이 포함된 다양한 패턴의 천장이나 벽체를 구성하기 곤란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2-7000863호 (공개일자 1992년08월10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곡선형 변(邊)을 갖도록 형성된 단위 패널을 이용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적절한 변형 배치가 조합된 단위 패널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일견 불규칙적인 곡선형 패턴으로 이뤄진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을 최소 종류의 단위 패널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용 패널로서, 꼭짓점 A와 B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1 변과, 꼭짓점 B와 C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2 변과, 꼭짓점 C와 D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3 변과, 꼭짓점 D와 A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4 변으로 이뤄진 외형을 갖는 제1 단위 패널; 및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전후면을 180도 뒤집은 상태의 외형을 갖는 제2 단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제1, 제2, 제3 및 제4 변은 동일면 상에서 또 다른 제1 단위 패널의 동일한 변과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1 단위 패널과 제2 단위 패널을 동일면 상에서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천장면 또는 벽체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건축용 패널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단위 패널은,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꼭짓점 A,B,C,D를 180도 뒤집은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꼭짓점 a,b,c,d를 가지며, 꼭짓점 a와 b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1' 변과, 꼭짓점 b와 c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2' 변과, 꼭짓점 c와 d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3' 변과, 꼭짓점 d와 a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4' 변으로 이뤄지며,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제3 및 제4 변은 동일면 상에서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제4' 및 제3' 변과 각각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동일면 상에서, 2개의 제1 단위 패널과, 2개의 제2 단위 패널이 상호 인접하여 하나의 기본 패턴 단위를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위 패널 또는 제2 단위 패널의 각 변은 외측 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외측 곡률부와, 내측 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내측 곡률부가 연결되어 해당 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각 변은 적어도 2 변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위 패널 또는 제2 단위 패널은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용 프레임에 볼팅 고정 또는 접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위 패널 또는 제2 단위 패널은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용 프레임에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정의 곡선형 변(邊)을 갖도록 형성된 단위 패널을 이용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적절한 변형 배치가 조합된 단위 패널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일견 불규칙적인 곡선형 패턴으로 이뤄진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을 최소 종류의 단위 패널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판재 형태의 원 소재를 하나의 단일 형상을 갖는 단위 패널 소재로 절단하거나, 성형 방식으로 하나의 단일 형상을 갖는 단위 패널 소재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일견 불규칙적인 곡선형 패턴을 이루기 위한 단위 패널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배열 패턴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조립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배열 패턴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건축용 패널은,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용 패널(100 또는 200)로서, 소정의 곡선형 변(邊)을 갖도록 형성된 단위 패널을 이용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적절한 변형 배치가 조합된 단위 패널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제1 단위 패널(100)은, 꼭짓점 A와 B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1 변(101)과, 꼭짓점 B와 C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2 변(102)과, 꼭짓점 C와 D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3 변(103)과, 꼭짓점 D와 A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4 변(104)으로 이뤄진 외형을 갖는다.
상기 제1 단위 패널(100)의 제1, 제2, 제3 및 제4 변(101,102,103,104)은 동일면 상에서 또 다른 제1 단위 패널(100)의 동일한 변과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제1 단위 패널(100) 중 부호 100-3의 제1 변(101)은 동일면 상에서 부호 100-4의 제1 변(101)과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위 패널(100)의 각 변은 적어도 2 변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제1 단위 패널(100) 중 제1 변(101)과 제2 변(102)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변들도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더욱 불규칙적으로 보여지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 단위 패널(200)은, 상기 제1 단위 패널(100)의 전후면을 180도 뒤집은 상태의 외형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2 단위 패널(200)은, 상기 제1 단위 패널(100)의 꼭짓점 A,B,C,D를 180도 뒤집은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꼭짓점 a,b,c,d를 가지며, 꼭짓점 a와 b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1' 변(201)과, 꼭짓점 b와 c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2' 변(202)과, 꼭짓점 c와 d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3' 변(203)과, 꼭짓점 d와 a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4' 변(204)으로 이뤄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위 패널(100)의 제3 및 제4 변(103,104)은 동일면 상에서 상기 제2 단위 패널(200)의 제4' 및 제3' 변(204,203)과 각각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더욱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단위 패널(100)과 제2 단위 패널(200)을 이용하여, 복수의 제1 단위 패널(100)과 제2 단위 패널(200)을 동일면 상에서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천장면 또는 벽체면의 전체 패턴 배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할 때, 동일면 상에서, 2개의 제1 단위 패널(100)과, 2개의 제2 단위 패널(200)이 상호 인접하여 하나의 기본 패턴 단위를 이루게 된다. 하나의 기본 패턴 단위를 이룬다는 의미는, 이러한 기본 패턴 단위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것에 의해 전체 천장면 또는 벽체면을 이룰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을 예로 들면, 부호 100-1, 100-2의 2개의 제1 단위 패널(100)과, 부호 200-1, 200-2의 2개의 제2 단위 패널(200)이 상호 나란하게 인접하여 하나의 기본 패턴 단위(편의상 제1 기본 패턴 단위라고 함)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부호 200-5, 200-6의 2개의 제2 단위 패널(200)과, 부호 100-5, 100-6의 2개의 제1 단위 패널(100)이 상호 나란하게 인접하여 하나의 기본 패턴 단위(편의상 제2 기본 패턴 단위라고 함)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위 패널(100)의 제3 및 제4 변(103,104)은 동일면 상에서 상기 제2 단위 패널(200)의 제4' 및 제3' 변(204,203)과 각각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더욱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단위 패널(100)의 제1, 제2, 제3 및 제4 변(101,102,103,104)은 동일면 상에서 또 다른 제1 단위 패널(100)의 동일한 변과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호 100-1의 제4 변(104)이 부호 200-3의 제3' 변(203)에 인접하도록 하고, 부호 100-3의 제4 변(104)이 부호 200-6의 제3' 변(203)에 인접하도록 하는 배치 형태로, 상하좌우로 기본 패턴 단위를 확장적 내지 반복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전체 천장면 또는 벽체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천장면 또는 벽체면의 최외곽(예, 천장면 또는 벽체의 외곽 직선부)을 이루는 제1 단위 패널(100) 또는 제2 단위 패널(200)은 공지의 방식과 유사한 형태로 필요한 형상(예, 직선형)으로 절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도 2의 (a)를 참조할 때, 본 실시예의 상기 제1 단위 패널(100) 또는 제2 단위 패널(200)의 각 변은 외측 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외측 곡률부(103a)와, 내측 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내측 곡률부(103b)가 연결되어 해당 변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와 같은 패턴 형태로 배치 시에 각 패널 간의 맞닿는 부분이 이루는 선이 전체적으로 일견 불규칙해보이는 곡선을 이루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측 패널의 외측 곡률부와 타측 패널의 내측 곡률부가 맞닿는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보다 정교하고 안정적인 결합 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조립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1 단위 패널(100) 또는 제2 단위 패널(200)은 건물의 천장 또는 내외측 벽체(10)의 프레임에 볼팅 고정 또는 접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단위 패널(100) 또는 제2 단위 패널(20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므로, 건물의 천장 또는 내외측 벽체(10)의 프레임과 패널의 후면 간에 공지의 공업용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이 이뤄지거나, 공지의 볼트를 통해 볼팅 고정이 이뤄질 수 있다.
특히 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제1 단위 패널(100) 또는 제2 단위 패널(200)은 목재, 합성수지재, 석고 등 공지의 건축용 패널형 내외장재 또는 천장재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 단위 패널(100) 또는 제2 단위 패널(200)은 건물의 천장 또는 내외측 벽체(10)의 프레임(15)에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수단(15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로 형성된 제1 단위 패널(100) 또는 제2 단위 패널(200)의 후면에 건물의 천장 또는 내외측 벽체(10)의 프레임(15, 도 4의 경우 암부 형태)에 압입 결합이 가능하도록 수부 형태의 고정 수단(150)이 복수개의 적절한 위치에 기구적 또는 화학적 결합 수단에 의해 부착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수단(150)은 다양한 공지의 압입식 고정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압입식 이외의 고정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판재 형태의 원 소재를 하나의 단일 형상을 갖는 단위 패널 소재로 절단하거나, 성형 방식으로 하나의 단일 형상을 갖는 단위 패널 소재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일견 불규칙적인 곡선형 패턴을 이루기 위한 단위 패널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위 패널 형태로 판재 형태의 원 소재를 절단하여 제1 단위 패널 및 제2 단위 패널용 패널 소재를 마련하고, 제1 단위 패널은 절단된 방향 그대로 사용하고, 제2 단위 패널은 절단된 패널 소재를 180도 뒤집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형태만 절단하는 것만으로도 복잡한 곡선형 패널 배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 단위 패널
101~104: 제1 변~제4 변
200: 제2 단위 패널
201~204: 제1' 변~제4' 변

Claims (7)

  1.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용 패널로서,
    꼭짓점 A와 B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1 변과,
    꼭짓점 B와 C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2 변과,
    꼭짓점 C와 D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3 변과,
    꼭짓점 D와 A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4 변으로 이뤄진 외형을 갖는 제1 단위 패널; 및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전후면을 180도 뒤집은 상태의 외형을 가지고,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꼭짓점 A,B,C,D를 180도 뒤집은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꼭짓점 a,b,c,d를 가지며,
    꼭짓점 a와 b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1' 변과,
    꼭짓점 b와 c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2' 변과,
    꼭짓점 c와 d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3' 변과,
    꼭짓점 d와 a를 연결하며 곡선을 포함하는 제4' 변으로 이뤄진 제2 단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제1, 제2, 제3 및 제4 변은 동일면 상에서 또 다른 제1 단위 패널의 동일한 변과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제3 및 제4 변은 동일면 상에서 상기 제2 단위 패널의 제4' 및 제3' 변과 각각 인접 시에, 인접하는 양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각 변의 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 패널 또는 제2 단위 패널의 각 변은 외측 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외측 곡률부와, 내측 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내측 곡률부가 연결되어 해당 변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단위 패널의 각 변은 적어도 2 변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제1 단위 패널과 제2 단위 패널을 동일면 상에서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천장면 또는 벽체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동일면 상에서,
    2개의 제1 단위 패널과, 2개의 제2 단위 패널이 상호 인접하여 하나의 기본 패턴 단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패널 또는 제2 단위 패널은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용 프레임에 볼팅 고정 또는 접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패널 또는 제2 단위 패널은 건물의 내외장면 또는 천장면용 프레임에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KR1020130126739A 2013-10-23 2013-10-23 건축용 패널 KR101425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739A KR101425652B1 (ko) 2013-10-23 2013-10-23 건축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739A KR101425652B1 (ko) 2013-10-23 2013-10-23 건축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652B1 true KR101425652B1 (ko) 2014-08-01

Family

ID=5174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739A KR101425652B1 (ko) 2013-10-23 2013-10-23 건축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6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128Y1 (ko) * 1988-02-02 1993-09-13 전종율 건축용 점토 치장재
KR20100110465A (ko)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스틸이엔씨 곡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7115A (ko) * 2011-08-10 2013-02-20 최명현 입체 벽지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128Y1 (ko) * 1988-02-02 1993-09-13 전종율 건축용 점토 치장재
KR20100110465A (ko)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스틸이엔씨 곡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7115A (ko) * 2011-08-10 2013-02-20 최명현 입체 벽지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410B1 (ko) 프레임 어셈블리
CN103891624B (zh) 一种积木宠物组装箱
KR101425652B1 (ko) 건축용 패널
ES2365583B1 (es) Cámara acústica desmontable.
CN206408749U (zh) 组合屋
JP2016164337A (ja) 建物の外壁構造および外壁パネル
US8197917B2 (en) Decoration
KR101186979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건축물의 복도모듈 시공방법
CN205722688U (zh) 可移动展板、可移动展板组
JP2008121329A (ja) 外装仕上げ材
CN209816927U (zh) 一种模块化隐形井盖
DE60124115D1 (de) Glaselementverbindung
KR100970507B1 (ko) 조립식 구조물의 커넥터 구조체
KR200425206Y1 (ko) 다단조립식 안내판
KR101369063B1 (ko) 프레임 구조 어셈블리
KR200379499Y1 (ko) 조립식 입체모형
KR200429180Y1 (ko) 샌드위치 패널구조
CN203603715U (zh) 一种中空玻璃主体
JP2018123601A (ja) 間仕切り用パネル
JP3176533U (ja) 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および発光ダイオードディスプレイ
KR101348856B1 (ko) 조립식 칸막이용 칸막이 부재 연결 구조
KR20110099522A (ko) 건물의 내외벽재 대체용 유리벽의 구조
TWM539534U (zh) 組合式建築及其組合構造
CN201783218U (zh) 一种新型玩具房子
JPH0481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