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42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428B1
KR101425428B1 KR1020070009656A KR20070009656A KR101425428B1 KR 101425428 B1 KR101425428 B1 KR 101425428B1 KR 1020070009656 A KR1020070009656 A KR 1020070009656A KR 20070009656 A KR20070009656 A KR 20070009656A KR 101425428 B1 KR101425428 B1 KR 101425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communication
data
ima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429A (ko
Inventor
안영호
조한욱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428B1/ko
Priority to US11/839,627 priority patent/US8482592B2/en
Priority to CNA200710192807XA priority patent/CN101237554A/zh
Priority to EP07121090A priority patent/EP1954044A3/en
Publication of KR2008007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며,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화상 통신부 및,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이면, 촬상부 및 화상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화상 통신, 휘도, 카메라 모듈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400, 5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410, 510 : 화상 통신부
120, 420, 520 : 제어부 111, 511 : 촬상부
112, 512 : 전원 공급부 113, 513 : 데이터 입력부
114, 514 : 데이터 송수신부 530 : 디스플레이부
540 : 디스플레이 처리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그리고 미래의 통신 환경은 유선과 무선의 영역 구분이나, 지역 국가의 구분을 초월할 만큼 급변하고 있다. 특히 IMT-2000 등으로 대변되는 미래 통신 환경은 영상과 음성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환경으로 구축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의 발달은 현재 셀룰러폰이나 PCS 등에서도 단순히 음성 통신만을 수행하던 차원에서 벗어나서 문자 정보의 전송은 물론,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TV에서나 보던 동영상들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지고 있다.
특히, 동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가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또 이것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영상을 IMT-2000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등에서 동영상 전송 기술은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가 사람의 음성만을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멀티 미디어의 개발과 디지털 정보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정보들을 송신할 수 있게 된데 기인한다. 이러한 통신기술의 발달과 동영상 압축기술의 발달은 통신자의 음성은 물론 화상까지 송수신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의 화상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화상 통신이란 서로 떨어져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을 통해서 화상과 음성을 동시에 전달하여서 떨어져 있는 사람끼리 화상 회의나 화상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화상 통신은 PC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 통신이나 화상 채팅, 비디오 폰(화상 전화기)을 이용한 화상통화는 물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화상 통화까지도 가능하게 한다.
한편, 화상 통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화상 통신에 따른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에 관계없이 이미지 촬상을 진행한다. 즉, 촬상된 이미지가 너무 밝거나 어두운 경우, 또는 일정 시간 이상 정지되어 있는 이미지인 경우, 쓸모 없는 이미지가 계속 촬상된다. 이 경우, 이미지를 찰상 기능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에 전원이 계속해서 인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상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기능을 이용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에 전원이 인가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신 여부 및, 화상 통신에 따른 이미지의 상태를 고려하여 이미지의 촬상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화상 통신부 및,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촬상부 및 상기 화상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통신부는, 상기 촬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통신용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촬상된 이미지 및 상기 통신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에서 생성된 화상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화상 통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촬상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휘도 이상이거나, 기 설정된 제2 임계 휘도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된 이미지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정지 이미지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상 통신 수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 통신부는, 상기 화상통신 수행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화상 통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 통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통신부가 비 활성화 상태인 동안 상기 촬상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상 통신부에서 수행되는 화상 통신 결과 데이터 및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a) 이미지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처리 작업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단계는,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이미지를 촬상하고, 통신용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촬상된 이미지 및 상기 입력된 통신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에서 생성된 화상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화상 통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촬상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휘도 이상이거나, 기 설정된 제2 임계 휘도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된 이미지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정지 이미지 상태인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상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화상 통신 수행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화상 통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 통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는, 상기 화상 통신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 상기 촬상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상 통신에 따른 화상 통신 결과 데이터 및 외부기기로 부터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 통신 장치로 구현 가능하며, 화상 통신 장치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규모에 따른 분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화상 통신에 필요한 음성, 화상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상대방과 선택적인 화상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상대방과 화상 통신 중에 다른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오는 전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먼저 화상 통화 중이던 통화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나중에 수신된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대기 중인 상대방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상대방의 화상 및 음성이 수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상대방과 동시에 화상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의 목록에서 특정 상대방을 선택 또는 제거함으로써 복수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를 주관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내는 도면 들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내부에 PC 기능을 포함한 화상 통신 장치로 구현 가능하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PC(10)를 연결하여 이용하는 경우 모니터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만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제어부(120)에 의한 응용 프로그램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도 2b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외부 pc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외부 pc로부터 입력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 통신부(110)는 화상 통신에 따른 이미지를 촬상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즉, 화상 통신에 따른 화상 통신용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화상 통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화상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100)로 전송되고, 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정의된 통신규약에 따라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즉, 화상정보,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 등을 포함 하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 정보들은 통신속도의 개선을 위하여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이용되는 화상 통신용 프로그램은 미리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프로그램되어 있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미도시)로 전송된 데이터 중에 화상데이타만을 분리하여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는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하여 원하는 통신망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카메라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상반신만을 추적하고, 검출하고, 확대하여 송신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개인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추적 및 검출 기능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이크 어레이(microphone-array)(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 어레이는 복수의 마이크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는 분석되어 개략적인 사용자의 위치가 확인된다.
이에 따라,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 및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확인된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상반신을 추적하고 검출하는 것뿐 아니라, 그 위치를 중심으로 다른 방향에서 들어오는 음성 신호를 제거하고 사용자의 위치 방향에서 들어오는 음성 신호만을 증폭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 통신부(110)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화상 통신을 위한 촬상 작업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있는 이미지의 상태는 물론 이미지를 촬상하는 카메라의 상태, 즉 카메라가 이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지 조건이란, 촬상되고 있는 이미지의 상태와 관련된 조건은 물론, 이미지를 촬상하는 카메라의 이용여부와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촬상 작업을 중지시키는 방식, 촬상된 이미지의 외부 기기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식, 외부 기기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촬상 작업을 중지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하며, 화상 통신부(110)는 촬상부(111), 전원 공급부(112), 데이터 입력부(113), 데이터 송수신부(114)를 포함한다.
촬상부(111)는 화상 통신에 따른 이미지를 촬상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촬상부(111)는 촬상 작업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촬상부(111)의 일 구성요소인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본체에 기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도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외부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는 경우에 따라 뷰파인더와 일체형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화상 통신 중 카메라 선택, 녹화, 캡쳐, 기타 조정 등이 필요할 때는 화상 통신용 카메라에 부착된 컨트롤 스위치(미도시)(예를 들면, 정지화상 촬영스위치, 정지연사촬영스위치, 동영상촬영스위치, 음성녹음 스위치 등)를 조작하여 원하는 화상통신/촬영/녹음/캡쳐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촬상부(11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기능(예를 들면, 정지촬영, 정지연사촬영, 동영상촬영 등과 같은)에 따라 화상이 촬상되도록 하고, 촬상된 촬영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100) 본체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가 뷰파인더 일체형 카메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촬상된 화상을 뷰파인더(미도시)로 직접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 공급부(112)는 촬상부(111)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그 밖에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원 공급부(112)가 화상 통신부(110)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원 공급부(112)는 경우에 따라서 화상 통신부(110)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촬상되는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112)를 제어하여 촬상부(11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에 따라 외부 기기로의 이미지 전송 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외부 기기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촬상부(111)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휘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촬상 작업에 대한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촬상 작업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휘도란 단위 면적당 광 도(光度)로 나타내고 이것을 나타내는 데는 스틸브(stilb:기호는 sb) 또는 니트(nit. 기호는 nt)라는 단위를 쓴다. 즉,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휘도 이상이거나, 기 설정된 제2 임계 휘도 이하인 상태라면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색/휘도 분리부(미도시)에 의해 색신호와 휘도신호를 분리되고, 휘도 측정부(미도시)에 의해 분리된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이 측정되면, 측정된 휘도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이 되는 휘도 범위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휘도 범위는 상위 임계 휘도인 제1 임계 휘도, 하위 임계 휘도인 제2 임계 휘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임계 휘도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작자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거나,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내부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휘도 판단 방법은 공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촬상부(111)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정지 이미지인 상태라면,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여 촬상부(111)의 촬상 작업을 중지시킬 수 있다.
촬상된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일 예를 들면, 촬상된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먼저, 촬상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서 한 주기 이격된 필드 간의 SAD(Summed Absolute Difference) 를 계산한다. 이어서, 계산된 SAD 간의 절대변화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SAD 및 절대변화량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정지 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지 영상 판단 방법은 공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데이터 입력부(113)는 통신용 데이터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입력부(113)는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에 구비된 키 패널 또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외부 입력 장치로 구현 가능하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등의 통신용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114)는 촬상부(111)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 및 데이터 입력부(113)에 의해 입력된 통신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외부기기에서 생성된 화상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의 장치로 구현 가능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 PC 등 화상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데이터 송수신부(114)를 제어하여 화상 통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화상 통신부(410), 제어부(420), 및 입력부(43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부(43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통신 수행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43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 자체에 구비된 키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키보드 또는 마우스, 리모컨 등의 외부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화상통신 수행 명령이란, 본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화상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사용자 명령, 즉, 소정의 메뉴 선택, 특정키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430)는 화상 통신에 따른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조절, 영역 띄움, 영역 감추기 등을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화상 통신부(410)는 입력부(430)를 통해 화상통신 수행 명령이 입력되거나, 데이터 송수신부(114)를 통해 화상통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활성화되어 화상 통신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어부(420)는 화상 통신부(410)가 비 활성화 상태인 동안 촬상부(11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420)는 입력부(430)를 통해 화상통신 수행 명령이 입력되거나, 데이터 송수신부(114)를 통해 화상통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촬상부(111)로 전원을 공급하여 화상 통신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은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화상 통신부(510), 제어부(520), 디스플레이 처리부(530) 및 디스플레이부(54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 중 도 1, 도 3,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540)는 화상 통신에 따른 화상 및, 본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일반적인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동작과 관련된 화면이란, 예를 들어 PC 기능을 이용할 경우의 윈도우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54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Cathode-Ray Tube)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40)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작업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중, 사용자 또는 상대방의 화상 통화 시도에 의해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현재 사용자의 작업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화상 통화에 따른 화상 화면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통화에 따른 화상 화면은 통화 상대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될 수 있으며, 통화자 자신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처리부(530)는 화상 통신에 따른 화상이 디스플레이부(540)에 표시되는 전체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처리부(53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다른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의 작업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화상 통화에 따른 화상이 화면의 일부 영역에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통화 초기에 화상 통화에 따른 화상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자동 조절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절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처리부(530)는 외부 기기(10)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미도시) 및, 제어부(520)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처리부(530)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제1 수신부(미도시) 및 제2 수신부(미도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부(5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10)는 PC(Personal Computer), TV, DVD(Digital Versatile Disc), PVR(Personal Video Recorder)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상하여, 촬상 처리 작업이 수행되면(S610),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S620 단계의 판단 결과,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화상 통신을 위한 이미지 촬상 작업을 중지한다(S630).
또한,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화상 통신에 따른 화상 통신 결과 데이터 및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상하여 촬상 처리 작업이 수행되면(S710),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20)
S720 단계의 확인 결과,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S720:Y), 즉,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휘도 이상이거나, 기 설정된 제2 임계 휘도 이하인 상태인 경우에는 찰상 작업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촬상 작업을 중지시킨다(S730).
S720 단계의 확인 결과,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S720:N), 즉,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휘도 미만이고, 기 설정된 제2 임계 휘도 초과인 상태인 경우에는 촬상된 이미지가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정지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S740 단계의 확인 결과, 촬상된 이미지가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정지 이미지인 경우(S740:Y), 찰상 작업을 수행하는 촬상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촬상 작업을 중지시킨다(S730).
본 실시 예에서는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촬상된 이미지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정지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흐름도를 구성하였지만, 판단 순서는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화상통신 수행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10).
S810 단계의 판단 결과, 화상통신 명령이 입력되었다면(S810:Y), 촬상 작업을 수행하는 촬상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어서, 이미지를 촬상하고, 통신용 데이터를 입력한다(S820). 이후, 촬상된 이미지 및 입력된 통신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외부기기에서 생성된 화상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다(S830). 여기서, 촬상부는 이미지 촬상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S810 단계의 판단 결과, 화상통신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면(S810:N), 외부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40).
S840 단계의 확인 결과, 화상 통신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면(S840:Y), 촬상 작업을 수행하는 촬상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어서, 이미지를 촬상하고, 통신용 데이터를 입력한다(S820). 이후, 촬상된 이미지 및 입력된 통신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외부기기에서 생성된 화상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다(S830).
S840 단계의 확인 결과, 화상 통신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다면(S840:N), 촬상 작업을 수행하는 촬상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S850).
또한, 화상 통신에 따른 화상 통신 결과 데이터 및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통신 수행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화상 데이터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흐름도를 구성하였지만, 판단 순서는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 작업을 수행하는 촬상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통신 여부 및 화상 통신에 따른 이미지의 상태를 고려하여 촬상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전원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8)

  1.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외부기기와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화상 통신부; 및,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촬상부 및 상기 화상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제1 임계휘도 이상이거나, 기 설정된 제2 임계 휘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신부는,
    상기 촬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통신용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촬상된 이미지 및 상기 통신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에서 생성된 화상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화상 통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촬상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정지 이미지 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화상 통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촬상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화상 통신 수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 통신부는, 상기 화상통신 수행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화상 통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 통신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통신부가 비 활성화 상태인 동안 상기 촬상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상 통신부에서 수행되는 화상 통신 결과 데이터 및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외부기기와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이미지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와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처리 작업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휘도 이상이거나, 기 설정된 제2 임계 휘도 이하인 것을 특징을 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이미지를 촬상하고, 통신용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촬상된 이미지 및 상기 입력된 통신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에서 생성된 화상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화상 통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이면 상기 촬상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정지 이미지 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화상 통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촬상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화상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화상 통신 수행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화상 통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 통신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화상 통신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 상기 촬상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화상 통신에 따른 화상 통신 결과 데이터 및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070009656A 2007-01-30 2007-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5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656A KR101425428B1 (ko) 2007-01-30 2007-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39,627 US8482592B2 (en) 2007-01-30 2007-08-1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710192807XA CN101237554A (zh) 2007-01-30 2007-11-20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EP07121090A EP1954044A3 (en) 2007-01-30 2007-11-2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656A KR101425428B1 (ko) 2007-01-30 2007-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429A KR20080071429A (ko) 2008-08-04
KR101425428B1 true KR101425428B1 (ko) 2014-07-31

Family

ID=3938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656A KR101425428B1 (ko) 2007-01-30 2007-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82592B2 (ko)
EP (1) EP1954044A3 (ko)
KR (1) KR101425428B1 (ko)
CN (1) CN10123755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556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신시 절전방법
JP2004032305A (ja) * 2002-06-25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通信携帯端末機
KR20040042362A (ko) * 2002-11-14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시스템 및 그 영상신호표시방법
JP2004289688A (ja) * 2003-03-24 2004-10-14 Nec Corp テレビ電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7735A (en) 1991-07-24 1996-12-24 Hitachi, Ltd. Video telephone
US6259469B1 (en) 1997-09-05 2001-07-10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US6570606B1 (en) * 1998-05-29 2003-05-27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media signals over a data network in response to triggering events at participating stations
CN2456415Y (zh) 2000-12-29 2001-10-24 北京爱普泰德科技有限公司 可视电话机
US7515173B2 (en) * 2002-05-23 2009-04-07 Microsoft Corporation Head pose tracking system
US20050157170A1 (en) * 2002-08-20 2005-07-21 Olympus Corporation Image comparison apparatus, image comparison method, and program to execute image comparison by computer
GB2394801A (en) * 2002-10-30 2004-05-05 Hewlett Packard Co Remote worker's display device
JP4265204B2 (ja) 2002-11-18 2009-05-20 日本電気株式会社 テレビ電話機能付き情報通信端末とテレビ電話表示切替方法
JP4178076B2 (ja) 2003-05-30 2008-1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JP2005110157A (ja) 2003-10-02 2005-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20050128284A1 (en) * 2003-12-11 2005-06-16 Hoffer Cary J. Video conference system with a camera disposed in a computer
US7545435B2 (en) 2004-10-15 2009-06-09 Lifesize Communications, Inc. Automatic backlight compensation and exposure control
US20070002130A1 (en) 2005-06-21 2007-01-04 David Hartkop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eye contact during person-to-person video telecommunication
US7705874B2 (en) * 2005-12-21 2010-04-27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Lighting for video systems
WO2007076891A1 (en) * 2005-12-30 2007-07-12 Telecom Italia S.P.A. Average calculation in color space, particularly for segmentation of video sequences
US7847815B2 (en) * 2006-10-11 2010-12-07 Cisco Technology, Inc. Interaction based on facial recognition of conference participa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556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신시 절전방법
JP2004032305A (ja) * 2002-06-25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通信携帯端末機
KR20040042362A (ko) * 2002-11-14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시스템 및 그 영상신호표시방법
JP2004289688A (ja) * 2003-03-24 2004-10-14 Nec Corp テレビ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429A (ko) 2008-08-04
US8482592B2 (en) 2013-07-09
US20080180517A1 (en) 2008-07-31
CN101237554A (zh) 2008-08-06
EP1954044A3 (en) 2010-01-13
EP1954044A2 (en)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8525B2 (en) Monitoring system
US20030070177A1 (en)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V telephone system
US200801700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creen saver for the same
JP2005221907A (ja) 表示装置
KR20060127303A (ko)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US20080304715A1 (e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executed i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JP2007150452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CN111556196B (zh) 通话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070113578A (ko) 화상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처리 방법
US20080303643A1 (e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executed i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KR1014254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28896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9171259A (ja) 顔認証による画面切替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機
KR20110090623A (ko) 얼굴추적이 가능한 홈네트워크 단말 및 그 단말에서의 얼굴추적방법
KR20100048019A (ko) 영상 분석에 의한 영상 통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2008007389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
JP2008141281A (ja) 監視システム
JP2007251756A (ja) 撮像装置
JP2008206085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2009081514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WO2022055174A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55748B1 (ko) 영상 촬영 중에 통화 수신시 지속적으로 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122915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JP2005277780A (ja) テレビ電話機およびテレビ電話システム
KR100606010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흔들림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