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359B1 -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359B1
KR101425359B1 KR1020120132070A KR20120132070A KR101425359B1 KR 101425359 B1 KR101425359 B1 KR 101425359B1 KR 1020120132070 A KR1020120132070 A KR 1020120132070A KR 20120132070 A KR20120132070 A KR 20120132070A KR 101425359 B1 KR101425359 B1 KR 101425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ata
terminal devices
control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044A (ko
Inventor
고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Priority to KR102012013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3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3Wired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통합방송시스템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단말장치들에 대해 인증한 후, 인증된 단말장치들이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된 다른 단말장치들로 실시간 중계하는 통합방송서버, 단말장치들 중,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이동단말장치들, 단말장치들 중, LAN으로 연결된 통합방송서버를 통해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단말장치, 변환단말장치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서 출력용 음성신호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동단말장치를 통해 구내방송시스템을 제어하고, 구내에 비상방송을 송출할 수 있으며, 이동단말장치를 통해 비상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Interactive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using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장치를 사용하여 구내방송시스템을 제어하고, 이동단말장치에서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구내방송시스템을 통해 방송할 뿐만 아니라, 단말장치들 사이에서 생성된 방송데이터를 상호 교환하여 방송하고 청취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구내 방송시스템에서는 구내 방송이 필요할 때, 방송하는 사람이 방송실이나 구내방송장치가 위치한 장소로 이동하여 마이크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화재나 재난 등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비상 방송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스피커나 모니터와 같은 방송 출력용 기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는 비상방송을 듣거나 볼수 없어,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공공기관이나 일반건물의 은폐된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비상상황을 신속히 알려 건물안에 거주한 사람들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해야 하는데, 비상상황을 알리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칠수 밖에 없으므로 대피하는 시간이 늦춰져 피해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6368호(2010년 04월 28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32824호(2012년 03월 2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긴급 상황과 같이 신속한 알림 방송이 요구되는 경우, 유무선으로 연결된 단말장치들을 이용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비상방송을 할 수 있고, 비상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장치들뿐 아니라 PC단말장치 등과 같이 LAN으로 구내 방송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장치들을 통해 구내에서 방송하고자 하는 구역을 간편하게 선택하여 방송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단말장치들에 대해 인증한 후, 인증된 단말장치들이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된 다른 단말장치들로 실시간 중계하는 통합방송서버; 상기 단말장치들 중,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이동단말장치들; 상기 단말장치들 중, LAN으로 연결된 상기 통합방송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단말장치;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서 출력용 음성신호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방송서버에는 상기 단말장치들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들 간에 상호 멀티캐스트(Multicast)를 하기 위한 채널룸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장치들은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로 중계되고 있는 방송신호를 모두 차단한 후, 채널룸에 포함된 모든 단말장치들로 비상상황을 알리는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상방송, 및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 중 소정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장치들을 제외한 모든 단말장치들로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체방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방송서버는 채널룸들 중,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이 각각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실시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장치들은 구내에서 하나 이상의 구역이 그룹화된 소정 그룹에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그룹방송, 및 구내의 소정 구역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개별방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환단말장치는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합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단말장치들은 상기 통합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말장치들 중, 상기 통합방송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고,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PC단말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단말장치들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통합방송서버, 상기 통합방송서버와 무선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는 이동단말장치들, 상기 통합방송서버와 LAN으로 연결된 변환단말장치,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합방송방법에 있어서, 인증정보가 제1단말장치에서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되어 인증되는 단계; 제어데이터 및 방송데이터가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들 간에 상호 멀티캐스트(Multicast)를 하기 위한 채널룸정보에 따라 상기 통합방송서버로부터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로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 중, 상기 변환단말장치에서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상기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방송제어장치가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합방송방법은 상기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 중, 상기 이동단말장치들이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유무선으로 연결된 단말장치들, 특히 이동단말장치를 통해 장소에 관계없이 신속하게 비상방송을 할 수 있고, 비상방송을 청취할 수 있어 긴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들을 통해 사용자가 청취하기 원하는 방송채널의 채널룸을 선택하고, 방송하고자 하는 구역을 간편하게 선택하여 원하는 방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들을 통해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방송하고 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에 포함된 통합방송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에 포함된 이동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GUI.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에 포함된 변환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GUI.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방송시스템은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 통합방송서버(140), 구내방송시스템(150), 인터넷접속부(130), 인터넷백본(Internet backbone)(120), 및 무선인터넷망(11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는 무선인터넷망(110)을 통해 인터넷백본(120)에 접속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무선인터넷망(110)으로는 3G 및 4G를 비롯한 WiFi가 있다. 인터넷백본(120)에 접속한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는 인터넷접속부(130)를 통해 통합방송서버(140)와 통신하게 된다.
인터넷접속부(130)는 라우터 및 허브와 같이 LAN(Local Area Network)을 인터넷백본(120)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들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는 통합방송서버(140)에 의해 인증되어 여러가지 방송데이터를 통합방송서버(140)로 전송하고, 통합방송서버(140)로부터 수신받는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를 사용하여 방송하고자 하는 내용을 음성으로 녹음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하거나, 문자로 입력하여 음성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및 문자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는 생성된 음성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및 문자데이터와 같은 방송데이터들을 통합방송서버(140)로 전송하고, 통합방송서버(14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들을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로 출력한다.
또한,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여러가지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통합방송서버(140)로 전송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통해 좀더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통합방송서버(140)에는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 및 변환단말장치(151)를 인증하는데 필요한 인증정보가 저장되며, 통합방송서버(140)와 통신하는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 및 변환단말장치(151)를 비롯한 여러 가지 단말장치들 간의 상호 멀티캐스트(Multicast)를 위한 채널룸정보가 저장된다. 인증정보 및 채널룸정보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통합방송서버(140)는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 및 변환단말장치(151) 중에서 인증된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인증된 다른 단말장치들로 이 방송데이터들을 중계한다. 이때, 통합방송서버(140)는 채널룸정보에 따라 같은 채널룸에 속한 단말장치들 간의 멀티캐스트가 가능하도록 방송데이터들을 중계한다.
그리고 통합방송서버(140)는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 및 변환단말장치(151)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기능도 구비한다.
구내방송시스템(150)은 LAN이 설치된 건물이나 지역에 방송을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변환단말장치(151), 입력부(153), 방송제어장치(155), 음성신호처리부(157), 및 출력부(159)를 포함한다.
변환단말장치(151)는 LAN을 통해 통합방송서버(140)와 통신하여, 통합방송서버(140)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방송제어장치(155) 및 음성신호처리부(157)로 전송한다.
이때, 음성신호처리부(157)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방송신호에는 음성신호만이 포함되어 있으며, 변환단말장치(151)에서 8채널 RCA 및 4채널 Balanced XLR로 출력된다.
또한, 변환단말장치(151)는 자체적으로 생성된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통합방송서버(140)로 전송한다. 즉, 변환단말장치(151)는 음성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및 문자데이터와 같은 방송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여러가지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방송데이터와 함께 통합방송서버(140)로 전송한다.
입력부(153)는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마이크 및 통합방송제어장치(155)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마이크를 통해 구내에서 방송하고자 하는 내용을 녹음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만들어진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구내에서 방송하고자 하는 구역을 설정하고, 구내방송시스템(150)의 설정상태를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다.
방송제어장치(155)는 변환단말장치(15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 및 입력부(153)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음성신호처리부(157) 및 출력부(159)를 제어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방송제어장치(155)는 변환단말장치(151)에서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도록 음성신호처리부(157)를 제어하고, 신호처리된 음성신호가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서 출력되도록 출력부(159)를 제어한다. 이와 동일하게 입력부(153)에서 녹음된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도록 음성신호처리부(157)를 제어하고, 신호처리된 음성신호가 입력부(15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명령에 따라 출력되도록 출력부(159)를 제어한다.
음성신호처리부(157)는 입력부(153)를 통해 녹음된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통합방송서버(140)로부터 중계되는 방송데이터를 변환단말장치(151)를 통해 음성신호로 수신한다. 음성신호처리부(157)는 입력부(153)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방송제어장치(155)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하고 증폭하여 출력부(159)로 전송한다. 같은 방법으로, 변환단말장치(151)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방송제어장치(155)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하고 증폭하여 출력부(159)로 전송한다.
출력부(159)는 방송제어장치(155)의 제어에 따라, 구내의 각 구역에 설치된 스피커에 음성이 출력되거나 차단되도록 동작한다. 즉, 출력부(159)에는 릴레이그룹, 스피커 셀렉터, 및 스피커들이 포함되어 있어, 음성신호처리부(157)에서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방송제어장치(155)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음성으로 출력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에 포함된 통합방송서버(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통합방송서버(140)에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 및 변환단말장치(151)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GUI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서버GUI창(200)에서 [사용자정보]메뉴에서 [전체사용자리스트]를 선택하면, 사용자등록창(210)이 나타난다. 사용자등록창(210)에는 통합방송서버(1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들이 표시되는 사용자리스트창(212) 및 새로운 단말장치를 추가, 업데이트, 및 삭제하는 정보설정창(214)이 표시된다.
정보설정창(214)에 단말장치의 'ID', 'Password', 및 'Name'과 같은 인증정보를 입력한 후, [Add]키를 선택하면 입력된 인증정보가 사용자리스트창(212)에 추가되고, 사용자리스트창(212)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단말장치를 선택하여 [Delete]키를 선택하면 사용자리스트창(212)에서 삭제된다. 그리고 사용자리스트창(212)에서 갱신하고자 하는 단말장치를 선택하여 [Update]키를 선택하면 사용자리스트창(212)의 인증정보가 갱신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통합방송서버(140)에 채널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GUI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서버GUI창(200)에서 [Add]키를 선택하면 채널룸설정창(230)이 나타난다. 생성하고자 하는 채널룸의 이름을 'Room Name'에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Room Password'에 입력한다. 또한, 'Host ID'에는 논리적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하고, 'Client Limit'에는 채널룸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장치들의 숫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해당 채널룸에서 이용하게 될 미디어 스트림 타입을 'Stream Type'에서 선택한 후, 채널룸설정창(230)의 [Add]키를 선택하면 새로운 채널룸이 생성된다.
채널룸리스트창(235)에는 통합방송서버(14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룸들의 리스트가 표시되며, 채널룸을 삭제하거나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채널룸은 방송채널의 종류별로 개설될 수도 있고, 방송 혹은 청취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개설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악방송'이라는 채널룸을 개설하여 같은 채널에 포함된 단말장치들과 음악을 공유할 수도 있고, '경비실'이라는 채널룸을 개설하여 각 건물의 경비실로 전달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청취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100-1,100-2,...,100-n)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GUI이다. 여기서는 제1이동단말장치(100-1)의 동작을 예로 들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이동단말장치(100-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증창(300)에 사용하고 있는 제1이동단말장치(100-1)의 아이디, 비밀번호, 및 성명을 입력하고 [로그인]을 선택하면, 입력된 인증정보가 통합방송서버(140)로 전송된다. 통합방송서버(140)에 제1이동단말장치(100-1)의 인증정보와 동일한 인증정보가 존재하면 인증이 완료된다.
사용자가 인증창(300)에서 [서버설정]을 선택하면 서버설정창(310)이 표시되고, 서버주소 및 서버포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이동단말장치(100-1)의 인증이 완료되면, 통합방송서버(14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룸의 리스트가 채널룸리스트창(33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채널룸리스트창(330)에 표시된 채널룸들 중 원하는 채널룸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채널룸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암호를 입력한 후 입장할 수 있고, 공개되어 있는 경우, 암호 입력없이 입장할 수 있다.
제1이동단말장치(100-1)가 선택한 채널룸에 속하게 되면, 같은 채널룸의 다른 단말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서 생성된 방송데이터를 같은 채널룸에 속한 다른 단말장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방송형태 선택창(350)을 통해 비상방송, 전체방송, 그룹방송, 및 개별방송을 선택할 수 있다. '비상방송'은 제1이동단말장치(100-1)가 속한 채널룸의 모든 단말장치들로 방송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모드이다. '전체방송'은 제1이동단말장치(100-1)가 속한 채널룸의 단말장치들 중 소정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장치를 제외한 단말장치들로 방송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모드이다.
'비상방송'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이동단말장치(100-1)가 속한 채널룸에 제2이동단말장치(100-2) 및 변환단말장치(151)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서 '비상방송'을 선택한 후 '방송ON'을 선택하여 음성을 녹음하면,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서 음성데이터가 생성되어 통합방송서버(140)로 실시간 전송된다.
여기서, 통합방송서버(140)는 같은 채널룸에 포함되어 있는 제2이동단말장치(100-2) 및 변환단말장치(151)로 음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비상방송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음성데이터와 함께 변환단말장치(151)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2이동단말장치(100-2)가 다른 채널룸에도 포함되어 있어 다른 채널룸에 속해 있는 단말장치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수신중이라도 통합방송서버(140)는 이를 차단하고 제1이동단말장치(100-1)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를 제2이동단말장치(100-2)로 전송한다.
제2이동단말장치(100-2)에서는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출력하고, 변환단말장치(151)도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자체적으로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변환단말장치(151)는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신호처리부(157)로 전송하고, 제어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방송제어장치(155)로 전송한다.
음성신호처리부(157)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 및 증폭하여 출력부(159)로 전송하고, 방송제어장치(155)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내의 모든 구역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출력부(159)를 제어한다. 여기서, '비상방송'이 통합방송서버(140)에서 최우선 순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비상방송'을 이용하여 비상상황 발생 시, 구내의 모든 구역과 동일 채널룸에 포함된 모든 단말장치들로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다.
'전체방송'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이동단말장치(100-1)가 속한 채널룸에 제2이동단말장치(100-2) 및 변환단말장치(151)가 포함되어 있고, 제2이동단말장치(100-2)가 다른 채널룸에도 포함되어 있어 다른 채널룸에 속해 있는 단말장치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수신 중인 경우,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서 '전체방송'을 선택한 후 '방송ON'을 선택하여 음성을 녹음하면, 변환단말장치(151)에만 음성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그룹방송'을 선택하면,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 그룹선택창(360)이 표시된다. 여기서의 그룹은 구내에 기 설정된 그룹으로, 학교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각 학년이 1반부터 10반까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학년을 그룹으로 나누어 설정할 수 있다. 그룹선택창(360)의 'Group1'이 1학년, 'Group2'가 2학년, ... 등으로 기 설정되어 있으며, 'Group1'만 선택한 후 '방송ON'을 선택하여 음성을 녹음하면, 1학년 1반부터 1학년 10반까지만 음성이 출력된다.
'개별방송'을 선택하면,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 구역설정창(370)이 표시된다. 학교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Terminal1'이 1학년 1반, 'Terminal2'가 1학년 2반, ... 등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Terminal1'만 선택한 후 '방송ON'을 선택하여 음성을 녹음하면, 1학년 1반에만 음성이 출력된다.
도 3c에는 제1이동단말장치(100-1)를 통해 문자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문자입력창(380)을 나타내었다. 문자입력창(380)에 입력되어 전송된 문자데이터는 통합방송서버(140)에서 음성데이터로 변환되어 변환단말장치(151)로 전송되거나, 문자데이터 그대로 다른 이동단말장치들(100-2,...,100-n)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에 포함된 변환단말장치(15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GUI이다.
도 4a에 나타낸 변환단말장치(151)의 GUI창(400)에는 채널룸리스트창(410) 및 인증창(420)이 포함되어 있다. 변환단말장치(15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채널룸리스트창(410)에서 원하는 채널룸을 선택한 후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선택한 채널룸에 입장할 수 있다. 또한, 인증창에 '원격서버 IP주소', '접속포트', '이용자ID', '이용자암호', 및 '이용자이름'을 입력하여 통합방송서버(140)로부터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도 4b의 GUI창(400)에는 방송형태 선택메뉴(430), 그룹선택창(440), 비상방송 전환창(450), 구역설정창(460)이 표시된다. [On Air]메뉴를 선택하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음성신호의 출력 레벨 확인할 수 있는 음성신호표시창(470) 및 현재 방송되고 있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조정키(480)가 GUI창(400)에 표시된다.
또한, '전체방송', '그룹방송', 및 '개별방송'을 선택할 수 있는 방송형태 선택메뉴(430)가 표시된다. '그룹방송'을 선택하면, 그룹선택창(440)이 표시되고, 방송하고자 하는 그룹을 선택하여 방송할 수 있다. '전체방송'을 선택한 경우, 전체방송창(450)이 표시되고, 비상방송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비상방송모드로 전환]키가 표시되어 '비상방송'을 선택할 수도 있다. '개별방송'을 선택하면, 각각의 터미널을 선택하여 선택한 터미널에만 방송을 할 수 있다.
방송형태를 설정한 후, [방송시작]키를 선택하면 설정된 구역에 방송을 할 수 있다. 이때, 변환단말장치(151)와 동일한 채널룸에 속한 다른 단말장치들에도 무선인터넷망과 LAN을 통해 동일한 방송을 할 수 있다. [인터넷방송중지]키를 선택하면, 변환단말장치(151)와 동일한 채널룸에 속한 다른 단말장치들로의 방송이 중지된다.
문자입력창(490)에는 방송할 내용이 문자로 입력되며, 문자데이터가 생성되어 그대로 다른 단말장치로 전송되거나 음성데이터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제1이동단말장치(100-1)를 통해 방송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서 통합방송서버(140)로 인증정보가 전송된다(S500).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1이동단말장치(100-1)의 인증창(300)을 통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 등을 전송하면, 통합방송서버(140)는 등록된 사용자 리스트 중에 제1이동단말장치(100-1)의 인증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인증이 완료되면(S510-Y),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서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가 생성되어 통합방송서버(140)로 전송된다(S). 다시 말해서, 통합방송서버(140)에 등록된 사용자 리스트 중에 제1이동단말장치(100-1)의 인증정보가 존재하면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다.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이동단말장치(100-1)의 방송형태 선택창(350)을 통해 방송형태를 선택하고, 그룹선택창(360) 및 구역설정창(370)을 통해 방송하고자 하는 구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음성 녹음을 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문자를 입력하면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서는 음성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및 문자데이터가 생성된다. 설정상태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 및 생성된 방송데이터는 통합방송서버(140)로 전송된다.
수신된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가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로 전송된다(S530). 여기서, 통합방송서버(140)는 제1이동단말장치(100-1)가 속해있는 채널룸을 파악한 후, 해당 채널룸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단말장치들로 수신된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변환단말장치(151)나 다른 이동단말장치들(100-2,000.,100-n)이 제1이동단말장치(100-1)와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될 수 있다.
변환단말장치(151)에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S540-Y), 변환단말장치(151)는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550). 즉, 변환단말장치(151)는 방송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신호처리부(157)로 전송하고, 제어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방송제어장치(155)로 전송한다.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음성신호가 음성으로 출력된다(S560). 즉, 음성신호처리부(157)에서 음성신호가 증폭 및 신호처리되어 출력부(159)로 출력되고, 방송제어장치(155)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부(159)의 설정된 구역에 음성이 출력된다. 다시 말해서, 제1이동단말장치(100-1)에서 설정한 구역에 제1이동단말장치(100-1)로부터 전송된 방송데이터가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된다.
만약, 변환단말장치(151)가 아닌 다른 이동단말장치들(100-2,...,100-n)에 방송데이터가 수신되면(S540-N), 방송데이터가 이동단말장치들(100-2,...,100-n)에서 음성, 동영상, 및 문자로 출력된다(S570). 즉, 제1이동단말장치(100-1)와 동일한 채널에 포함된 이동단말장치들로 방송데이터가 전송되고, 전송된 방송데이터는 해당 이동단말장치에서 음성, 동영상, 혹은 문자로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을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장치들을 사용하여 구내 뿐만 아니라 같은 채널룸에 속한 이동단말장치에도 비상방송을 할수 있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은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600-1,600-2,...,600-n), 통합방송서버(640), 제1 내지 제N구내방송시스템(650-1,650-2,...,650-n), 제1 내지 제N인터넷접속부(630-1,630-2,...,630-n), 인터넷백본(620), 및 무선인터넷망(61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600-1,600-2,...,600-n)는 무선인터넷망(610)을 통해 인터넷백본(620)에 접속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무선인터넷망(610)으로는 3G 및 4G를 비롯한 WiFi가 있다. 인터넷백본(620)에 접속한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600-1,600-2,...,600-n) 각각은 제1 내지 제N인터넷접속부(630-1,630-2,...,630-n)를 통해 통합방송서버(640)와 통신하게 된다.
제1 내지 제N인터넷접속부(630-1,630-2,...,630-n)는 라우터 및 허브와 같이 LAN(Local Area Network)을 인터넷백본(620)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들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600-1,600-2,...,600-n)는 통합방송서버(640)에 의해 인증되어 여러가지 방송데이터를 통합방송서버(640)로 전송하고, 통합방송서버(640)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한다. 또한,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600-1,600-2,...,600-n)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여러가지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통합방송서버(640)로 전송한다.
통합방송서버(640)에는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600-1,600-2,...,600-n), 제1 내지 제N PC단말장치(660-1,660-2,...,660-n), 및 각 구내 방송시스템(650-1,650-2,...,650-n)에 포함된 변환단말장치(651)를 인증하는데 필요한 인증정보가 저장되며, 통합방송서버(640)와 통신하는 모든 단말장치들 사이에서 상호 멀티캐스트를 위한 채널룸정보가 저장된다. 통합방송서버(640)는 인증된 단말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채널룸정보에 따라 같은 채널에 속한 단말장치들 간의 멀티캐스트가 가능하도록 방송데이터들을 중계한다. 그리고 통합방송서버(640)는 인증된 단말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TTS(Test To Speech)기능도 구비한다.
제1 내지 제N구내방송시스템(650-1,650-2,...,650-n)은 LAN이 설치된 건물이나 지역에 방송을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각각의 구내방송시스템(650-1,650-2,...,650-n)은 변환단말장치(651), 입력부(653), 방송제어장치(655), 음성신호처리부(657), 및 출력부(659)를 포함한다. 각 부(651,653,655,657,659)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6에서는 제1구내방송시스템(650-1)에 포함된 변환단말장치(651)의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나머지 구내방송시스템(650-2,...,650-n)에 포함된 변환단말장치들(미도시)의 동작은 모두 동일하다.
변환단말장치(651)는 LAN을 통해 통합방송서버(640)와 통신하며, 통합방송서버(640)에 의해 인증되어 통합방송서버(640)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수신한 후, 아날로그 형태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방송제어장치(655) 및 음성신호처리부(657)로 전송한다. 이때, 음성신호처리부(657)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방송신호에는 음성신호만이 포함되어 있으며, 변환단말장치(651)에서 8채널 RCA 및 4채널 Balanced XLR로 출력된다. 또한, 변환단말장치(651)는 자체적으로 생성된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통합방송서버(640)로 전송한다.
제1 내지 제N PC단말장치(660-1,660-2,...,660-n)는 LAN을 통해 통합방송서버(640)와 통신하며, 통합방송서버(640)에 의해 인증되어 여러가지 방송데이터를 통합방송서버(640)로 전송하고, 통합방송서버(640)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한다. 또한, 제1 내지 제N PC단말장치(660-1,660-2,...,660-n)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여러가지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통합방송서버(640)로 전송한다.
제1 내지 제N PC단말장치(660-1,660-2,...,660-n)가 통합방송서버(640)에 의해 인증되는 과정, 채널룸을 선택하고, 구내의 방송 구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한 도 4a 및 도 4b를 통해 설명한 변환단말장치(151)의 동작과 유사하다.
즉, 제1 내지 제N PC단말장치(660-1,660-2,...,660-n)는 채널룸을 선택한 후 '암호'를 입력하여 채널룸에 입장한다. 그리고 '원격서버 IP주소', '접속포트', '이용자ID', '이용자암호', 및 '이용자이름'을 입력하여 통합방송서버(640)로부터 인증을 받는다.
그리고 제1 내지 제N PC단말장치(660-1,660-2,...,660-n)는 '전체방송', '그룹방송', 및 '개별방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된 구역에 방송을 하며, 동일한 채널룸에 속한 다른 단말장치들에도 동일한 방송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N PC단말장치(660-1,660-2,...,660-n)는 방송할 내용을 문자로 입력받아서 다른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은 각 구내방송시스템(650-1,650-2,...,650-n)에 구비된 변환단말장치(651)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600-1,600-2,...,600-n) 및 제1 내지 제N PC단말장치(660-1,660-2,...,660-n)를 통해서도 구내에 방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N이동단말장치(600-1,600-2,...,600-n)를 통해서 다른 단말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청취하고, 다른 단말장치들로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내지 제N PC단말장치(660-1,660-2,...,660-n)를 통해서 다른 단말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청취하고, 다른 단말장치들로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1,600-1 : 제1이동단말장치 100-2,600-2 : 제2이동단말장치
100-n,600-n : 제N이동단말장치 110,610 : 무선인터넷망
120,620 : 인터넷백본 130 : 인터넷접속부
630-1 : 제1인터넷접속부 630-2 : 제2인터넷접속부
630-n : 제N인터넷접속부 640 : 통합방송서버
650 : 구내방송시스템 650-1 : 제1구내방송시스템
650-2 : 제2구내방송시스템 650-n : 제N구내방송시스템
151,651 : 변환단말장치 153,653 : 입력부
155,655 : 방송제어장치 157,657 : 음성신호처리부
159, 659 : 출력부 660-1 : 제1PC단말장치
660-2 : 제2PC단말장치 660-n : 제N PC단말장치

Claims (10)

  1.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단말장치들에 대해 인증한 후, 인증된 단말장치들이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된 다른 단말장치들로 실시간 중계하는 통합방송서버;
    상기 단말장치들 중,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이동단말장치들;
    상기 단말장치들 중, LAN으로 연결된 상기 통합방송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단말장치;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서 출력용 음성신호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방송서버에는,
    상기 단말장치들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들 간에 상호 멀티캐스트(Multicast)를 하기 위한 채널룸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이동단말장치들은,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로 중계되고 있는 방송신호를 모두 차단한 후, 채널룸에 포함된 모든 단말장치들로 비상상황을 알리는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상방송, 및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 중 소정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장치들을 제외한 모든 단말장치들로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체방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변환단말장치는,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합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단말장치들에 대해 인증한 후, 인증된 단말장치들이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된 다른 단말장치들로 실시간 중계하는 통합방송서버;
    상기 단말장치들 중,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이동단말장치들;
    상기 단말장치들 중, LAN으로 연결된 상기 통합방송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단말장치;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서 출력용 음성신호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방송서버는,
    채널룸들 중,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이 각각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실시간 중계하며,
    상기 변환단말장치는,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합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
  5.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단말장치들에 대해 인증한 후, 인증된 단말장치들이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된 다른 단말장치들로 실시간 중계하는 통합방송서버;
    상기 단말장치들 중,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이동단말장치들;
    상기 단말장치들 중, LAN으로 연결된 상기 통합방송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단말장치;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서 출력용 음성신호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단말장치들은,
    구내에서 하나 이상의 구역이 그룹화된 소정 그룹에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그룹방송, 및 구내의 소정 구역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개별방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단말장치는,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합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
  6. 삭제
  7.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단말장치들에 대해 인증한 후, 인증된 단말장치들이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된 다른 단말장치들로 실시간 중계하는 통합방송서버;
    상기 단말장치들 중,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이동단말장치들;
    상기 단말장치들 중, LAN으로 연결된 상기 통합방송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단말장치;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서 출력용 음성신호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단말장치들은,
    상기 통합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
  8.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단말장치들에 대해 인증한 후, 인증된 단말장치들이 생성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된 다른 단말장치들로 실시간 중계하는 통합방송서버;
    상기 단말장치들 중,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이동단말장치들;
    상기 단말장치들 중, LAN으로 연결된 상기 통합방송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단말장치;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서 출력용 음성신호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장치들 중, 상기 통합방송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고, 방송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하는 PC단말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
  9. 단말장치들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통합방송서버, 상기 통합방송서버와 무선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는 이동단말장치들, 상기 통합방송서버와 LAN으로 연결된 변환단말장치, 상기 변환단말장치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받아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방송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합방송방법에 있어서,
    인증정보가 제1단말장치에서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전송되어 인증되는 단계;
    제어데이터 및 방송데이터가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통합방송서버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들 간에 상호 멀티캐스트(Multicast)를 하기 위한 채널룸정보에 따라 상기 통합방송서버로부터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로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 중, 상기 변환단말장치에서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구역에 상기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방송제어장치가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일한 채널룸에 포함된 단말장치들 중, 상기 이동단말장치들이 상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동영상,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합방송방법.









  10. 삭제
KR1020120132070A 2012-11-21 2012-11-21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25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070A KR101425359B1 (ko) 2012-11-21 2012-11-21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070A KR101425359B1 (ko) 2012-11-21 2012-11-21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044A KR20140065044A (ko) 2014-05-29
KR101425359B1 true KR101425359B1 (ko) 2014-08-05

Family

ID=5089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070A KR101425359B1 (ko) 2012-11-21 2012-11-21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310B1 (ko) 2016-12-09 2017-04-14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다방향성 크로스캐스팅 방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46B1 (ko) * 2015-04-22 2016-01-26 주식회사 올인원 코리아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09905191A (zh) * 2019-02-19 2019-06-18 安徽智融景和科技有限公司 应急广播gis定位监测系统
KR102177131B1 (ko) * 2020-05-18 2020-11-11 아카데미정보통신(주)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CN114039688A (zh) * 2021-11-03 2022-02-11 上海寰创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手持台的车站站区广播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282A (ko) * 2006-06-14 2009-02-09 비악세스 스크램블링 처리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방송 방법 및 수신 방법, 그리고 이들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헤드, 단말기, 수신 장치 및 보안 처리 장치
KR101148203B1 (ko) 2011-11-25 2012-05-24 주식회사 케빅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송출 시스템
KR101163565B1 (ko) * 2011-12-07 2012-07-09 구왕회 원격 마을방송을 위한 중계 중앙 서버를 갖춘 네트워크 시스템
KR101187677B1 (ko) 2012-06-02 2012-10-10 주식회사 동원시스템 보안성이 강화된 방송장치 및 방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282A (ko) * 2006-06-14 2009-02-09 비악세스 스크램블링 처리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방송 방법 및 수신 방법, 그리고 이들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헤드, 단말기, 수신 장치 및 보안 처리 장치
KR101148203B1 (ko) 2011-11-25 2012-05-24 주식회사 케빅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송출 시스템
KR101163565B1 (ko) * 2011-12-07 2012-07-09 구왕회 원격 마을방송을 위한 중계 중앙 서버를 갖춘 네트워크 시스템
KR101187677B1 (ko) 2012-06-02 2012-10-10 주식회사 동원시스템 보안성이 강화된 방송장치 및 방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310B1 (ko) 2016-12-09 2017-04-14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다방향성 크로스캐스팅 방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044A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359B1 (ko)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54781B2 (ja) 複数の補聴器間における会話グループ構築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469737B2 (ja) モバイルボイスオーバー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を用いてグループ通話サービスを提供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の動作方法
US2010006071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5122177A (zh) 用户监控和目的确定的系统和方法
JP2010528541A (ja) 異なるユーザによって使用される補聴器間で会話グループを構築する補聴器システム
JP2005528018A (ja) モバイル・マルチメディア・ターミナル及びかかるターミナルを用いたホーム・ゲートウェイ・リモート制御方法
US20220021980A1 (en) Terminal, audio cooperative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display apparatus
EP2207311A1 (en) Voice communication device
US9843683B2 (en) Configuration method for sound collection system for meeting using terminals and server apparatus
CN101741490B (zh) 音响系统和音响系统的更新方法
JP2009021752A (ja) 緊急放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端末装置
KR20120134373A (ko) 인터넷 및 유선전화를 이용한 계층그룹형 동보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30239406A1 (en) Communication system
JP2019184800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254966B1 (ko) 로비폰 장치 및 로비폰 장치에서의 자동문 원격 제어 방법
KR101839092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KR101588446B1 (ko)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3048A (ko) 영상통화가 가능한 hvac
KR102377125B1 (ko) 자동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JP2005260359A (ja) 集合住宅用監視・通話システム
WO2023079682A1 (ja) 表示装置、表示装置連携システム、及び音声再生方法
KR102389905B1 (ko)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KR102126674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 스피커를 이용한 방송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JPH06175942A (ja) マルチメディア電子会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