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213B1 -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213B1
KR101424213B1 KR1020130005962A KR20130005962A KR101424213B1 KR 101424213 B1 KR101424213 B1 KR 101424213B1 KR 1020130005962 A KR1020130005962 A KR 1020130005962A KR 20130005962 A KR20130005962 A KR 20130005962A KR 101424213 B1 KR101424213 B1 KR 10142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drying plate
liqui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필
Original Assignee
(유)정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림 filed Critical (유)정림
Priority to KR102013000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 B01D33/663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by direct contact with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슬러지를 건조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중심을 따라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하 다단으로 고정결합되고, 투입된 액상 슬러지를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로 가열하면서 건조하는 건조판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판에 공급된 액상 슬러지를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날개가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와; 상기 날개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슬러지를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조판 상에 형성되는 낙하홈과; 내부에 액상 슬러지가 저장되며, 슬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비되는 슬러지 저장탱크와; 일측이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슬러지 공급부가 배열 형성되는 슬러지 이동관; 및 상기 슬러지 이동관을 따라 공급되는 슬러지를 상기 복수의 건조판마다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슬러지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건조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슬러지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LIQUEFIED SLUDG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슬러지를 건조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중심을 따라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하 다단으로 고정결합되고, 투입된 액상 슬러지를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로 가열하면서 건조하는 건조판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판에 공급된 액상 슬러지를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날개가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와; 상기 날개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슬러지를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조판 상에 형성되는 낙하홈과; 내부에 액상 슬러지가 저장되며, 슬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비되는 슬러지 저장탱크와; 일측이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슬러지 공급부가 배열 형성되는 슬러지 이동관; 및 상기 슬러지 이동관을 따라 공급되는 슬러지를 상기 복수의 건조판마다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슬러지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건조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슬러지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경제발전, 인구증가 및 생활수준의 향상 등 여러가지 이유로 생활하수 또는 공업폐수와 같은 액상 슬러지의 발생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하천 및 강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질개선의 기초시설인 하폐수처리장의 시설도 불가피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부수적으로 발생되는 2차 부산물인 하폐수 슬러지의 양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들면,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슬러지가 년간 690만 톤씩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해양투기 되거나 소각처리되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환경오염과 같은 사회적으로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게됨으로써, 정부에서는 2011년까지 유기성 슬러지의 해양투기 금지법을 만들어 유기성 슬러지의 육상에서의 재활용 비율을 70%정도까지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슬러지는 함수율이 75 내지 85%인 탈수 케익 형태로 발생되며, 수분을 제외한 슬러지의 고형물 중 유기물질은 보통 40 내지 80%로 다양한 범위 내에서 함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발열량은 보통 2,500kcal/kg에서 최고 4,500kcal/kg에 달하고 있으며, 이렇게 발생된 하수슬러지는 거의 대부분 매립과 해양투기에 의해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 매립의 경우 2003년 7월부터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 시행에 따라 시설용량 1만톤/일 이상인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직매립이 금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투기의 비중이 늘고 있으나, 이 경우도 과도한 유기물질에 의한 부영양화, 다량의 식물성 영양 염류가 유입된 적조발생에 의한 조류증식 및 산소고갈 등 해양생태계의 오염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고, 폐기물 해양투기 금지에 대한 국제협약인 런던협약에 우리나라는 1993년 12월 21일 가입하여 1994년 1월 19일부터 발효중이며, 특히 우리나라도 2004년부터 현행 용출시험에서 함량시험으로 해양투기 대상 기준시험법을 변경하는 등 규제를 강화해 해양투기를 전면 금지하고 있다. 그 밖에 슬러지 처리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는 소각은 높은 소각시설 건설비용과 운영비용은 물론 2차 환경오염물질의 발생으로 인한 대기오염의 문제가 야기되며, 이에 따라 인근주민들의 민원문제가 발생하여 적용하기에 매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7574호(발명의 명칭: 하수 슬러지 재활용 처리 방법)는 공급되는 하수 슬러지를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함수율 55~60%가 되도록 하여 공급하는 전처리공정과, 상기 전처리공정을 거쳐 공급된 하수 슬러지를 고속 원심력에 의한 회전충격식 건조 및 분쇄기로 함수율 5%의 미립 고형분과수분을 분리하는 건조 및 분쇄공정과, 상기 건조 및 분쇄공정에서 분리된 미립 고형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반출공정과, 상기 건조 및 분쇄공정에서 분리된 수분을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여 각각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러버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 재활용 처리방법을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797574호에 따라 전처리 공정을 거친 혼합 슬러지를 바로 고속 원심력에 의한 회전충격식 건조 및 분쇄기로 건조 및 분쇄하는 경우, 상기 혼합 슬러지는 덩어리 형태로 수분 분포가 균일하지않아 건조 및 분쇄기 안에서 파쇄될 때, 수분이 많은 파쇄 덩어리가 건조 및 분쇄기 바닥에 달라붙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한편,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의 경우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조판의 단위면적당 슬러지의 양이 적어야만 슬러지 내에 함유된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는데, 종래의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는 열원을 변화시켜 건조판의 가열온도를 상승시키거나, 본체 내부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건조효율을 높이는 쪽으로 개발되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종래 기술과 같이 생활하수나 공업폐수 또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액상 슬러지를 바로 건조 및 분쇄하는 경우 상기 혼합 슬러지가 덩어리져서 건조 및 분쇄기 바닥에 달라붙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조판의 단위면적당 투입되는 슬러지의 양이 적을수록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 슬러지를 건조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중심을 따라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하 다단으로 고정결합되고, 투입된 액상 슬러지를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로 가열하면서 건조하는 건조판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판에 공급된 액상 슬러지를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날개가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와; 상기 날개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슬러지를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조판 상에 형성되는 낙하홈과; 내부에 액상 슬러지가 저장되며, 슬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비되는 슬러지 저장탱크와; 일측이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슬러지 공급부가 배열 형성되는 슬러지 이동관; 및 상기 슬러지 이동관을 따라 공급되는 슬러지를 상기 복수의 건조판마다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슬러지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건조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슬러지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건조판 내부에는 중심으로부터 외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열 이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열 이동로 일측에는 상기 열원과 연결되어 고온의 열을 투입하기 위한 인풋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아웃풋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이동관에는 슬러지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슬러지 공급부에는 각 건조판 상에 공급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하홈은 상기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슬러지 공급관은 상기 건조판 상부에 설치되되 중앙부 또는 외연부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본체 내에 상하 다단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건조판에 일정량의 액상 슬러지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단위시간당 건조되는 슬러지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고, 슬러지를 각 건조판에 분산하여 공급할 때 건조판의 단위면적당 투입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의 슬러지 공급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판 내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결합 상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판에 형성된 낙하홈의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액상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100) 내에 설치되는 건조판(200) 상에 액상 슬러지를 투입하여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열을 통해 건조판(200)을 가열함으로써 액상 슬러지 내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는 본체(100)의 내부 중심에 설치된 모터(120)와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10)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110)에 상하 다단으로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건조판(200)이 설치된다.
상기 건조판(200)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로 가열되어 투입된 액상 슬러지를 건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축(110)에 상하 다단으로 복수의 건조판(200)을 고정결합하고 각 건조판마다 액상 슬러지를 공급함으로써 단위시간당 건조되는 액상 슬러지의 양을 증대시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110)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판에 공급된 액상 슬러지를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날개(710)가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700)와; 상기 날개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슬러지를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조판(200) 상에 형성되는 낙하홈(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래퍼(700)는 상기 회전축(110)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판(200) 상에 체류하는 액상 슬러지를 상기 낙하홈(210)으로 긁어모아 떨어뜨리도록 낙하홈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710)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판(20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하는 톱니(72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 방향으로 설치되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7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날개(711)를 다른 경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액상 슬러지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액상 슬러지가 건조판 상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래퍼(7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날개(710)에 의해 액상 슬러지가 점차 건조판(200)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다른 경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날개(710)가 슬러지의 진행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액상 슬러지의 이동 속도가 감속되므로 건조판 상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낙하홈(210)은 상기 건조판(200)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낙하홈(210) 전체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슬러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재질의 망(211)으로 구성하여 상기 건조판(200) 상에서 수분이 증발된 슬러지 가운데 입자가 큰 슬러지가 낙하홈(210)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날개(710,711)에 의해 가압되면서 파쇄된 후 하단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건조판(200) 상에 체류하는 슬러지 가운데 입자가 작은 슬러지는 겉과 속이 균일하게 건조되지만 입자가 큰 슬러지의 경우 겉은 건조되나 속은 수분을 그대로 함유한 상태로 하단으로 낙하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망(211)을 통해 입자가 큰 슬러지를 파쇄하여 하단의 건조판으로 낙하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상기 건조판(200)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내부로 투입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열 이동로(220)가 형성된다.
상기 열 이동로(220)는 상기 건조판(200) 내부에 형성되되 중심으로부터 외주연으로 갈수록 점점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 이동로(220) 일측에는 열원(800)과 연결되어 고온의 열을 투입하기 위한 인풋(2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아웃풋(2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열 이동로(220)를 복수개로 형성하여 고온의 열이 건조판(200)의 중앙부와 외주연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액상 슬러지를 균일하게 건조하여 신속하고 균일하게 수분의 증발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아웃풋(222) 측은 바닥면이 중심으로부터 외주연으로 갈수록 낮게 형성되는데, 이는 열원(800)으로부터 열풍이나 열매체유 등과 같이 고온의 열이 공급되면 열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점차 열을 잃게 되면서 응축수가 바닥에 고이게 되고, 이렇게 바닥에 고이는 응축수가 바닥면을 따라 외주연 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열원(800)이라 함은 고온의 열을 공급하여 건조판(200)을 가열하기 위한 수단을 건조장치에 구비되는 통상의 것으로, 고온의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기나 열매체유를 사용하는 열매체유 보일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 슬러지를 건조하고 본체(100)의 상부까지 이동한 증기는 이미 액상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되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이고, 여전히 고온의 열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증기를 흡입하는 증기회수구(13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증기회수구(130)를 통해 이동된 증기에 함유된 수분은 수취기(140)를 통해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분진제거집진기를 설치하여 분진과 슬러지, 악취 등을 제거한 후, 상기 증기를 다시 열원(800)에 공급하여 가열시켜 재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300)는 상기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의 외측에 설치되며, 음식물 쓰레기, 오폐수, 가축분뇨, 하수 등의 액상 슬러지가 저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액상 슬러지를 상기 건조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310)가 구비된다.
상기 슬러지 이동관(400)은 일측이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3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복수의 슬러지 공급부(410)가 배열 형성된다.
여기에서, 슬러지 공급부(410)라 함은 상기 슬러지 이동관(400)을 따라 이동한 슬러지를 슬러지 이동관(400) 내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로써, 본 발명에서 상기 슬러지 공급부(410)를 복수개로 형성한 것은 상기 복수의 건조판(200)에 동시에 슬러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러지 공급부(410)와 건조판(200)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러지 공급부(410)로부터 배츨되는 액상 슬러지를 건조판(200)으로 투입하기 위한 슬러지 공급관(500)이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 공급관(500)은 일측은 상기 슬러지 공급부(4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건조판(2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 공급관(500)을 상기 건조판(200) 상부에 설치할 때 상기 스크래퍼(7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되면 스크래퍼(700)의 날개(710)가 회전하면서 슬러지 공급관(500)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스크래퍼(70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러지 공급관(500)은 상기 슬러지 공급부(410)와 동일한 수로 설치되어 각 슬러지 공급부(410)로부터 배출되는 액상 슬러지를 복수의 건조판(200)마다 투입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 5개의 건조판(200)이 설치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상기 슬러지 공급부(410) 및 슬러지 공급관(500) 또한 5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순서대로 제1슬러지 공급부로부터 제5슬러지 공급부가 형성되면 각 슬러지 공급부의 하단에 제1슬러지 공급관으로부터 제5슬러지 공급관을 설치하고, 각 슬러지 공급관은 순차적으로 제1건조판으로부터 제5건조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슬러지 공급관은 제1슬러지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액상 슬러지를 최상측의 건조판으로 공급하고, 제5슬러지 공급관은 제5슬러지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액상 슬러지를 최하단의 건조판으로 공급한다.
상기 복수의 슬러지 공급관(500)은 각 건조판(2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끝단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판(200) 상에 형성되는 낙하홈(210)의 위치에 따라 그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낙하홈(210)이 건조판(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경우 상기 슬러지 공급관(500)이 건조판(20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면 액상 슬러지가 그대로 낙하홈을 따라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건조판의 외연부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 이동관(400) 및 상기 복수의 슬러지 공급부(410)에는 슬러지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600)가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 이동관(400)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600)는 상기 본체(100) 내에 투입되는 전체 액상 슬러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각 슬러지 공급부(410)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600)는 대응되는 건조판(200)에 투입되는 액상 슬러지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러지 공급관(500)의 양단 가운데 상기 슬러지 공급부(410) 측을 내부가 비어있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액상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공급부(410)를 통해 원활하게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는 고온으로 가열된 복수의 건조판(200)에 동시에 액상 슬러지를 투입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다음 남은 고형물을 순차적으로 하단의 건조판으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본체 내에 상하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건조판에 액상 슬러지를 투입할 때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액상 슬러지의 투입량을 적게 하여 액상 슬러지의 함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상측 건조판에 투입되는 액상 슬러지의 양을 100으로 기준으로 하고 다음 층의 건조판에는 70~80의 양을, 그 다음 층의 건조판에는 50~60의 양을, 그 다음 층의 건조판에는 30~40의 양을, 최하단의 건조판에는 10~20의 양을 투입하게 되면, 최하단의 건조판은 상부의 건조판들에 비해 단위면적당 액상 슬러지의 투입량이 적기 때문에 신속하게 수분을 건조시킨 다음 낙하홈을 통해 함수율이 감소한 슬러지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최하단 건조판의 상부에 설치된 바로 윗 층의 건조판으로부터 일정시간 가열되어 함수율이 감소한 액상 슬러지를 공급받아 고온으로 가열하여 함수율을 더 떨어뜨려 슬러지 고형물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최상측 건조판에 투입되는 액상 슬러지는 순차적으로 하단의 건조판으로 낙하하면서 지속적으로 건조판을 통해 가열되어 건조되기 때문에 최하단의 건조판에 도달하게 되면 함수율이 최초 투입시보다 크게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본체 내에 상하 다단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건조판에 일정량의 액상 슬러지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단위시간당 건조되는 슬러지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고, 슬러지를 각 건조판에 분산하여 공급함으로써 건조판의 단위면적당 투입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100 : 본체 110 : 회전축
120 : 모터 200 : 건조판
210 : 낙하홈 211 : 망
220 : 열 이동로 221 : 인풋
222 : 아웃풋 300 : 슬러지 저장탱크
310 : 펌프 400 : 슬러지 이동관
410 : 슬러지 공급부 500 : 슬러지 공급관
600 : 유량조절밸브 700 : 스크래퍼
710,711 : 날개 800 : 열원

Claims (6)

  1. 액상 슬러지를 건조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본체(100)의 중심을 따라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에 상하 다단으로 고정결합되고, 투입된 액상 슬러지를 열원(800)으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로 가열하면서 건조하는 건조판(200)과;
    상기 회전축(110)에 결합되어 회전축(110)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판(200)에 공급된 액상 슬러지를 건조판(200)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날개(710)가 설치되며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700)와;
    상기 날개(710)에 의해 건조판(200)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슬러지를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조판 상에 형성되는 낙하홈(210)과;
    내부에 액상 슬러지가 저장되며, 슬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310)가 구비되는 슬러지 저장탱크(300)와;
    일측이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300)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슬러지 공급부(410)가 배열 형성되는 슬러지 이동관(400); 및
    상기 슬러지 이동관(400)을 따라 공급되는 슬러지를 상기 복수의 건조판(200)마다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슬러지 공급부(4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건조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슬러지 공급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건조판(200) 내부에는 중심으로부터 외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열 이동로(220)가 형성되며, 상기 열 이동로 일측에는 상기 열원(800)과 연결되어 고온의 열을 투입하기 위한 인풋(2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아웃풋(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이동관(400)에는 슬러지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밸브(6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러지 공급부(500)에는 각 건조판 상에 공급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밸브(60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홈(210)은 상기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공급관(500)은 상기 건조판(200) 상부에 설치되되 중앙부 또는 외연부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30005962A 2013-01-18 2013-01-18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KR10142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962A KR101424213B1 (ko) 2013-01-18 2013-01-18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962A KR101424213B1 (ko) 2013-01-18 2013-01-18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213B1 true KR101424213B1 (ko) 2014-07-28

Family

ID=5174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962A KR101424213B1 (ko) 2013-01-18 2013-01-18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2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813A (ko) * 2019-07-26 2021-02-03 김학중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2233980B1 (ko) * 2020-06-12 2021-03-30 엘앤케이인베스트먼트(주) 음식물 쓰레기의 단계별 건조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237A (ko) * 1997-08-20 2001-05-15 고엥순 벌크컨베이시스템 및 벌크컨베이시스템 제어방법
KR101070437B1 (ko) * 2008-12-29 2011-10-06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20110123471A (ko) * 2010-05-07 2011-11-15 한국수자원공사 탈수케익 분배 적재장치
KR20110131450A (ko) * 2010-05-31 2011-12-07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열풍 및 안개분사를 통한 폐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237A (ko) * 1997-08-20 2001-05-15 고엥순 벌크컨베이시스템 및 벌크컨베이시스템 제어방법
KR101070437B1 (ko) * 2008-12-29 2011-10-06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20110123471A (ko) * 2010-05-07 2011-11-15 한국수자원공사 탈수케익 분배 적재장치
KR20110131450A (ko) * 2010-05-31 2011-12-07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열풍 및 안개분사를 통한 폐수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813A (ko) * 2019-07-26 2021-02-03 김학중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2316055B1 (ko) * 2019-07-26 2021-10-21 김학중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2233980B1 (ko) * 2020-06-12 2021-03-30 엘앤케이인베스트먼트(주) 음식물 쓰레기의 단계별 건조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03055B (zh) 含油污泥的处理方法和处理设备
CN108947154A (zh) 一种智能化污油泥处理装置及处理工艺
KR101729994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RU2416472C1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рового шлама
KR101070437B1 (ko)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1625621B1 (ko) 폐음식물 또는 축산분뇨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및 에너지 생산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814123B1 (ko) 폐기물 복합 자원화 방법과 장치
CN105399304A (zh) 生物污泥干化和焚烧循环处理方法及其成套设备
CN211056924U (zh) 一种含油污泥的无害化处理系统
KR101339563B1 (ko) 유기성 슬러지 일괄처리장치
KR101717439B1 (ko) 슬러지 건조 시스템
JP6801270B2 (ja) 汚泥の炭化処理設備
KR101261021B1 (ko)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CN103304112B (zh) 油泥清洁生产处理工艺及成套设备
KR101424213B1 (ko) 액상 슬러지 건조장치
KR20190077170A (ko) 유기성 폐기물 함유 유분의 효율적인 분리방법
KR101523721B1 (ko)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KR101347301B1 (ko) 직접가열 열풍건조기
CN112794570B (zh) 一种针对白芍中药生产废水的处理方法
KR20170029275A (ko)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CN202279767U (zh) 含油污泥处理设备
KR101975766B1 (ko) 다종 폐기물의 재생원료 생성장치
CN107388757B (zh) 一种物料的干燥方法
CN106477834B (zh) 一种用于简易填埋老污泥土壤修复的处理设备及其工艺
KR101338316B1 (ko) 조립식 다단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