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721B1 -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721B1
KR101523721B1 KR1020130009042A KR20130009042A KR101523721B1 KR 101523721 B1 KR101523721 B1 KR 101523721B1 KR 1020130009042 A KR1020130009042 A KR 1020130009042A KR 20130009042 A KR20130009042 A KR 20130009042A KR 101523721 B1 KR101523721 B1 KR 10152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eating medium
drying
dried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495A (ko
Inventor
한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기술
Priority to KR102013000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7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with heating or cooling, e.g. quen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2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 B04C5/13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formed as a vortex finder and extending into the vortex chamber; Discharge from vortex finder otherwise than at the top of the cyclone;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ver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7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매체를 통하여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공정에서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기 내부의 유동 특성을 향상하며 건조물의 배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중심의 하측에 형성되고 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공간에 충전되고 피건조물과 혼합되는 열매체 및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매체는, 상기 케이싱의 측벽의 상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유입되어 케이싱의 내부에서 회전유동을 발생시키며, 피건조물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유동 및 부유되면서 건조가 진행되고, 건조가 진행되면서 비중이 증가된 피건조물은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벽측으로 이동되며 중력과 원심력에 의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싱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수분의 함량이 가장 적어진 건조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사이클론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피건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건조된 건조물의 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DRYER WITH CYCLONE USING DIRECT DRYING METHOD}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매체를 통하여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공정에서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기 내부의 유동 특성을 향상하며 건조물의 배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Sludge; 오니)는 일반가정이나 산업체등의 상/하수에 오염물질이 침전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슬러지는 화학공장 또는 염료/안료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처리과정에서 인위적으로 침전을 촉진시켜 발생되기도 하고, 하천 및 호수 등지에서 자연적인 침전에 의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특히, 공장 등의 폐수처리공정에서는 생물학적 침전이나 응집 침전 등의 방식을 수행함으로써 슬러지의 침전을 촉진시켜 폐수를 정화시키기도 하는데, 이는 폐수처리작업에서 중요한 공정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슬러지는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될 수 있는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기성 폐기물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거에는 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를 주기적으로 수거하여 예를 들면, 로터리 킬른(Rotary Klin) 건조기와 같은 회전건조방식에 의하여 소정의 수분을 저감시킨 후에 해양에 투기하여 처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유기성 슬러지의 경우 환경오염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런던협약에 의하여 해양투기 금지가 제안되고 국내에서는 최근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었다.
종래에는 슬러지를 소각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 자원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연료화 및 자원화를 위한 기술들에 대한 요청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종래의 슬러지의 건조방식인 단순한 고형화 수준을 넘어서 현재는 보다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회수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슬러지 건조방식은 열전달의 방식을 기준으로 직접건조방식과 간접건조방식으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직접건조방식이란 고온의 열매체가 직접 슬러지와 접촉되어 연소가스의 대류에 의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 방식으로 열전달의 효율이 높고 처리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배출가스의 처리와 분진폭발의 문제점이 있다. 간접건조방식이란 고온의 열매체를 소정의 열전달수단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슬러지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수분을 저감하는 방식으로 배출가스 및 발열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열전달의 관점에서 효율이 비교적 떨어지고 건조속도가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슬러지와 기름을 혼합하여 건조처리하는 유중건조기술이 제시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유중건조기술의 경우 슬러지의 유동성과 열전달면적의 면에서 상기 건조방식들의 단점을 일부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중건조기술의 경우 기름의 분리를 위하여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일반적인 경우 전열 또는 후열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과도한 설비와 에너지 소비의 문제가 제기된다. 또한, 기름과 슬러지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기 내부에서 제대로 건조되지 않고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건조기에 점착 및 고착되어 내구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접건조방식에 있어서 소정의 열매체를 통하여 슬러지와 같은 피건조물의 건조효율을 증대할 수 있으면서도 열전달효율을 상승시키고, 건조물의 분리배출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는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중심의 하측에 형성되고 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공간에 충전되고 피건조물과 혼합되는 열매체 및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매체는, 상기 케이싱의 측벽의 상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유입되어 유입되는 상기 열매체의 압력에너지와 운동에너지 등의 유입에너지가 케이싱의 내부에서 회전유동으로 전환되며, 피건조물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유동 및 부유되면서 건조가 진행되고, 건조가 진행되면서 비중이 증가된 피건조물은 회전유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벽측으로 이동되며 중력과 원심력에 의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싱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수분의 함량이 가장 적어진 건조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사이클론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피건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건조된 건조물의 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회전 유동하여 교반력과 원심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열매체의 유입에너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와 가열기 사이를 열매체가 순환되도록 하는 이송장치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펌프 등 공지된 유체 이송장치들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는,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유동을 가속시키는 교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와류가 효과적으로 발생되고 건조가 진행된 건조물의 분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상측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외부와 연통되어 열매체가 유출되는 열매체유출부를 더 포함하고, 건조가 진행되면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피건조물은 사이클론 작용에 의하여 분리되며 상기 케이싱의 중심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열매체의 상승유동이 형성되고, 상승된 열매체는 상기 열매체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어 가열장치로 회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건조물이 분리된 열매체가 상기 가열장치로 회수되므로 피건조물이 가열장치 내부에서 눌어붙거나 가열장치가 폐쇄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중심의 하측에 형성되고 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공간에 충전되고 피건조물과 혼합되는 열매체,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가열된 열매체가 상기 케이싱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열매체유입부, 상기 케이싱의 상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열매체가 상기 가열장치로 유출되는 열매체유출부 및 상기 피건조물과 열매체를 교반 및 회전유동 되도록 하는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피건조물과 열매체가 나선형으로 이동되며, 건조가 진행되면서 비중이 증가된 피건조물은 상기 케이싱의 내벽측 및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케이싱의 중심부에서 상승되는 열매체는 상기 열매체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사이클론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열매체유출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의 상단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유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원주와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는 상기 열매체의 압력에너지 및 운동에너지 등의 유입에너지에 의하여 회전유동을 가속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매체는, 폐식용유, 이온정제유, B-C유류 및 광물성 유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응축하여 액상으로 분리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건조물에 혼입된 열매체를 분리하는 고형물 분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열매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의 단순 건조방식에 비하여 본 발명의 건조장치에 의한 경우 건조물을 고품질의 재활용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접건조방식 사이클론형의 건조기를 사용하면서도 비중차이에 의하여 피건조물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나선형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 교반의 효과 향상을 위하여 구비하였던 유도관 등의 장비가 생략될 수 있어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와류발생의 효율이 향상되어 건조물의 분리가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변형례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사이클론 건조장치(100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피건조물이 투입되어 내부에서 교반되고 건조되어 중심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부(1122)로 배출되는 케이싱(1110)과, 상기 케이싱(1110)의 측벽의 상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유입되어 케이싱(1110)의 내부에 회전유동을 발생시키는 열매체(1141)와, 상기 열매체(1141)를 가열하는 가열장치(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건조대상인 피건조물이 반드시 하수 슬러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식물성 가공식품이나 튀김류 등의 식품과 같은 다양한 건조 대상물이 포함된다.
케이싱(1110)은 내부의 공간에서 피건조물이 교반 및 건조와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후술될 바와 같이 피건조물과 열매체(1141)의 회전유동이 발생하여 열전달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벽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 내지는 콘(C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1110)은 전체적으로 회전유동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배출부(1122)로 건조물이 집중 및 배출됨을 고려하여 하측이 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케이싱(1110)의 형상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싱(1110)은 피건조물의 투입 및 배출과 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소정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피건조물이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투입부(1121)와, 피건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1122)와, 열전달에 의하여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유출부(11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부(1121)는 자중에 의한 투입을 고려하여 케이싱(1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수분유출부(1123)는 기상(氣像)의 수분의 배출을 고려하여 케이싱(1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배출부(1122)는 후술될 바와 같이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투입부(1121)에 의하여 투입되는 건조대상물을 피건조물로 정의하고, 배출부(1122)에서 배출되는 건조대상물을 건조물로 정의하여 표현하는데, 여기서 건조물은 하나의 건조모듈에서 상대적으로 수분의 함량이 최소화된 피건조물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건조장치가 직렬로 배열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각각의 건조장치에서 배출되는 상태가 건조물로 표현될 수도 있고, 최종 건조장치에서 배출되는 상태가 건조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열매체(1141)는 상기 케이싱(1110)의 내부에 충전되어 피건조물과 혼합되어 열전달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동체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매체(1141)는 수분 및 피건조물과의 비등점, 비중차이 및 열전달효율을 고려하여 유류(油類)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유중건조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1141)는 폐식용유, 이온정제유 또는 B-C(Bunker-C)유와 같은 동식물성 유류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광물유 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유류 중의 두 개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열매체(1141)가 유류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부의 고온의 열을 전달받아 피건조물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유류가 물보다 비등점이 높기 때문에 유류와 물의 비등점 사이의 온도에서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면 피건조물을 감싸고 있는 유류로부터 피건조물이 열전달을 받아 빠르게 수분만이 증발될 수 있다.
또한, 열매체(1141)와 피건조물이 혼합되어 교반되기 때문에 유동성이 증가되고 열전달 면적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어 건조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이때, 교반기(1300)에 의하여 회전유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건조과정은 내부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일어나고 효과적으로 건조물이 배출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케이싱(1110) 내부에 충전되는 열매체(1141)의 양은 피건조물과의 혼합비율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열매체(1141)의 비율이 낮으면 일반적으로 피건조물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하부몰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출부(1122) 등의 배관이 폐색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에 열매체(1141)의 피건조물에 대한 비율은 교반기에 의한 유동의 양 및 비중 등의 요소에 의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열매체(1141)는 케이싱(1110)의 상측에서 원주방향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과 분출각도를 가지고 케이싱(1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도면의 배치상태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회전유동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회전유동은 케이싱(1110) 내부에 수용된 물질들의 비중의 차이 및 자중에 의한 수직방향의 유동과 결합되어 나선형의 유동이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원심력에 의한 선회에 의한 건조 및 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이클론(Cyclone)형의 건조장치의 개념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론의 내부에서 회전유동의 발생에 따라 와류(渦流)가 발생되고 비중 차이에 의하여 건조가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비중이 증가된 피건조물인 원심력에 의하여 케이싱(1110)의 내측벽 및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분리가 진행될 수 있으며, 교반기(1300)가 배치되는 중심측에서는 상승선회와류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건조가 덜 진행된 피건조물이 상측으로 이동되거나, 사이클론 작용에 의하여 피건조물은 분리되고 주로 열매체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열매체(1141)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싱(1110)의 측벽에서 열매체유입부(1124)가 배치되어 케이싱(1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데 상기 열매체유입부(1124)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싱(1110)의 상단측에 인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배치상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열매체유입부(1124)에서 유입되는 열매체(1141)의 유동에 의하여 케이싱(1110)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회전유동이 발생되고, 비중의 차이 및 자중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이동이 유도되기 때문에 상기 열매체유입부(1124)의 배치상태는 이러한 유동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유입부(1124)는 최소한 유입되는 단부측의 유출구(참조번호 미표시)가 케이싱(111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열매체(1141)가 열매체유입부(1124)에서 토출되는 방향에 의하여 회전유동의 발생 강도와 방향이 결정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나선형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열매체유입부(1124)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매체의 유입에너지는 상기 열매체가 케이싱(1110)과 가열장치(1200)를 순환되도록 하는 이송장치(1210)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순환장치(1210)는 펌프 등 공지의 유체 이송장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매체(1141)의 외부 유출을 위하여 케이싱(1110)의 상측에는 열매체유출부(1125)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매체유출부(1125)에서 유출된 열매체(1141)는 후술될 소정의 가열장치(1200)로 환원되어 열량을 제공받아 고온화되어 다시 열매체유입부(1124)를 통하여 유입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유출부(1125)는 단순히 케이싱(1110)에 형성되는 개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케이싱(1110)의 상단측 중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소정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10)의 하측 중심부에서 발생된 상승와류에 의하여 건조물이 분리된 열매체(1141)가 상승 과정에서 열매체유출부(1125)의 하단부측으로 유입되어 효과적으로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 경우 열매체유출부(1125)의 외주측의 공간은 회전유동에 의한 교반 및 건조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게 된다
상기 열매체(1141)는 순환과정에서 피건조물에 고온의 열을 전달하고 열매체유출부(1125)로 유출되어 가열장치(1200)를 통하여 가열되어 순환되게 되는데, 이러한 가열장치는 공지의 유체가열수단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1141)는 케이싱(11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피건조물과 혼합되어 건조를 수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사이클론 건조장치(1000)는 다른 분류기준으로서 직접건조방식의 건조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교반기를 더 배치한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와 관련된 개념에서는 회전유동을 발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이클론 건조장치(1000)는 교반기(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1110) 및 유동의 이동과 관련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교반기(1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싱(1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열매체(1141)와 피건조물을 혼합하고 회전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교반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동을 발생하는 교반부(1320)와, 상기 교반부(132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1310)과, 상기 교반부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의 배치는 교반 및 유동발생의 효율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케이싱(1110)의 중심에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반부(1320)가 임펠러로 이루어지는 경우 임펠러는 열매체(1141) 및 피건조물에 대해 회전유동을 발생시키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축에 배치되는 임펠러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교반부(1320)는 열매체(1141)의 유입에 따른 회전유동의 발생 또는 나선형유동의 유도를 더욱 가속시키도록 기능하게 되는데, 선택에 따라 상기 교반부(1320)는 임펠러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회전동력만을 제공할 수도 있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의 유동을 유도할 수도 있으며, 수평 및 수직의 유동을 모두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의 예에서는 회전축(1310)이 상기 열매체유출부(1125)를 관통하여 배치되되 하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예가 도시된다. 이에 따라 교반부(1320)는 열매체유출부(1125)의 하측에 회전중심이 배치되어 내부의 공간에 충분한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사이클론 건조장치(1000)의 작동을 설명하면, 투입부(1121)를 통하여 케이싱(1110)의 내부로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이 투입되고, 열매체유입부(1124)에서 유입된 열매체(1141)와 피건조물이 교반기(1300)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혼합되면서 회전유동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열매체(1141)와 피건조물의 이동과정에서 열매체(1141)의 열이 피건조물에 전달되어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이때 열매체(1141)는 피건조물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면서 열전달의 효율을 더욱 향상하여 수분의 증발을 가속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건조가 더 진행된 피건조물은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원심력에 의하여 케이싱(1110)의 내벽측으로 더 멀리 배치되고, 비중 차이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가장 건조가 많이 진행된 피건조물은 케이싱(1110)의 하측으로 배치되어 배출부(11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부(1122)는 케이싱(1110)의 중심측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1110)의 하부의 내벽은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건조물이 배출부(1122)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의 피건조물은 케이싱(1110)의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유동 및 부유되면서 열매체(1141)의 열을 전달받아 건조가 더욱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유입부(1124)는, 상기 케이싱 측벽의 상측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하고, 유입되는 열매체의 유입에너지가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므로써, 열매체의 회전유동을 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110)의 내부에서 증발된 수분은 수분유출부(1123)를 통하여 유출되는데, 이러한 수분은 피건조물의 성분 또는 열매체(1141)를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악취 또는 오염을 발생시킬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이클론 건조장치(1000)는 수분유출부(1123)로부터 유출된 기체를 응축하여 액상으로 분리하는 응축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기는 기본적으로 증기의 열을 회수하여 액화하는 장치로서, 수냉, 공냉 또는 증발식 등의 다양한 응축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기를 통하여 응축되어 액상(液狀)으로 변화되고, 이러한 액상의 수분은 소정의 수처리장치를 통하여 처리될 수 있고, 액화되지 않은 기체성분은 바로 배출되는 경우 악취 또는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탈취기(미도시)를 통하여 탈취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1122)로부터 배출되는 건조물은 상기된 바와 같이 피건조물 중에서 상대적으로 건조가 많이 진행된 것을 의미하는바, 잔여 수분 또는 열매체(114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념에 따라 본 발명의 사이클론 건조장치(1000)는 고형물 분리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형물 분리장치는 원심력에 의하여 고형물과 열매체(1141)를 분리하는 원심분리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고, 가열을 통하여 열매체(1141)를 증발시켜 분리하는 가열분리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에 따라 다양한 고/액 분리장치가 선택되거나 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형물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열매체(1141)는 다시 케이싱(1110)의 내부로 환원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는 열매체(1141)에 의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건조물의 함수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종래의 단순 건조방식에 비하여 건조물을 고품질의 재활용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접건조방식 사이클론형의 건조기를 사용하면서 비중차이에 의하여 건조화된 건조물과 건조가 진행된 피건조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나선형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 교반의 효과 향상을 위하여 구비하였던 유도관 등의 장비가 생략될 수 있어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와류발생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물의 분리가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사이클론 건조장치 1110...케이싱
1300...교반기 1310...회전축
1320...교반부 1330...구동부
1121...투입부 1122...배출부
1123...수분유출부 1124...열매체유입부
1125...열매체유출부 1141...열매체
1200...가열장치 1210...이송장치

Claims (9)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중심의 하측에 형성되고 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공간에 충전되고 피건조물과 혼합되는 열매체;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가열된 열매체가 상기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열매체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매체유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측벽의 상측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열매체의 유입에너지를 회전유동으로 전환하며,
    피건조물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유동 및 부유되면서 건조가 진행되고, 건조가 진행되면서 비중이 증가된 피건조물은 열매체 의한 원심력에 따라 상기 케이싱의 내벽측으로 이동되며 중력과 원심력에 의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싱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수분의 함량이 가장 적어진 건조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유동을 가속시키는 교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측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외부와 연통되어 열매체가 유출되는 열매체유출부;를 더 포함하고,
    건조가 진행되면서 상기 케이싱의 중심부에서는 상승유동이 형성되고, 상승된 열매체는 상기 열매체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어 상기 가열장치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건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는, 폐식용유, 이온정제유, B-C유류 또는 광물성 유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건조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응축하여 액상으로 분리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건조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건조물에 혼입된 열매체를 분리하는 고형물 분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건조장치.
KR1020130009042A 2013-01-28 2013-01-28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KR10152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42A KR101523721B1 (ko) 2013-01-28 2013-01-28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42A KR101523721B1 (ko) 2013-01-28 2013-01-28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95A KR20140096495A (ko) 2014-08-06
KR101523721B1 true KR101523721B1 (ko) 2015-05-28

Family

ID=5174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042A KR101523721B1 (ko) 2013-01-28 2013-01-28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7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405A (ko) 2017-02-15 2017-02-22 이용호 액상혼합물 삼상분리장치
KR101914443B1 (ko) * 2017-09-08 2019-01-24 주식회사 바이오팜앤팜스 음폐수 처리방법
KR101914450B1 (ko) * 2017-09-08 2019-01-24 주식회사 바이오팜앤팜스 난분해성 산업폐수의 처리방법
KR20230013446A (ko) * 2021-07-19 2023-01-26 (주)드림엔지니어링 슬러지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349B1 (ko) * 2022-02-07 2024-03-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축분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12B1 (ko) * 2006-10-18 2007-09-06 전근식 축산 분뇨 건조처리장치
KR20080110969A (ko) * 2008-11-28 2008-12-22 (주)한국환경기술 슬러지 건조와 탄화장치
KR20120021740A (ko) * 2010-08-16 2012-03-09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건조장치
JP2012157860A (ja) * 2012-03-26 2012-08-2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vironmental & Chemical Engineering Co Ltd 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12B1 (ko) * 2006-10-18 2007-09-06 전근식 축산 분뇨 건조처리장치
KR20080110969A (ko) * 2008-11-28 2008-12-22 (주)한국환경기술 슬러지 건조와 탄화장치
KR20120021740A (ko) * 2010-08-16 2012-03-09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건조장치
JP2012157860A (ja) * 2012-03-26 2012-08-2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vironmental & Chemical Engineering Co Ltd 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405A (ko) 2017-02-15 2017-02-22 이용호 액상혼합물 삼상분리장치
KR101914443B1 (ko) * 2017-09-08 2019-01-24 주식회사 바이오팜앤팜스 음폐수 처리방법
KR101914450B1 (ko) * 2017-09-08 2019-01-24 주식회사 바이오팜앤팜스 난분해성 산업폐수의 처리방법
KR20230013446A (ko) * 2021-07-19 2023-01-26 (주)드림엔지니어링 슬러지 건조 장치
KR102512498B1 (ko) 2021-07-19 2023-03-22 (주)드림엔지니어링 슬러지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95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721B1 (ko) 직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CN102503055B (zh) 含油污泥的处理方法和处理设备
KR100759416B1 (ko) 무주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20120038132A (ko) 다단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의 방법
JP6639330B2 (ja) 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US20150152000A1 (en) Sludge drying system
US90117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ment of liquid materials based on organic waste products
JP2010216748A (ja) 含水廃棄物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KR101717439B1 (ko) 슬러지 건조 시스템
CN107176779A (zh) 热解脱附反应釜及包括该反应釜的海上平台上含油污泥的处理设备
US10220327B2 (en) Steam heating type sewage treatment device
KR101364491B1 (ko) 산화탈수와 건조연소를 이용한 슬러지 에너지화 장치
KR102157014B1 (ko) 음폐수의 재활용 시스템
JP5183597B2 (ja) 含油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6289320A (ja) 液体濃縮装置
KR101544730B1 (ko) 간접건조방식의 사이클론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시스템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0825994B1 (ko) 축산 폐수 및 분뇨 처리시스템
WO2020158551A1 (ja) 有機性汚泥の処理設備および処理方法
JP2009220048A (ja) 含水有機汚泥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KR20190077170A (ko) 유기성 폐기물 함유 유분의 효율적인 분리방법
KR100847067B1 (ko)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CN102658213A (zh) 甲醇制烯烃急冷废水中催化剂的浓缩与耦合干燥方法及装置
CN211198976U (zh) 污泥干燥设备
JP2004330082A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