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439B1 - 슬러지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러지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439B1
KR101717439B1 KR1020160013284A KR20160013284A KR101717439B1 KR 101717439 B1 KR101717439 B1 KR 101717439B1 KR 1020160013284 A KR1020160013284 A KR 1020160013284A KR 20160013284 A KR20160013284 A KR 20160013284A KR 101717439 B1 KR101717439 B1 KR 10171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heating
medium oil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주
구병찬
박종규
구태림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Priority to KR102016001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6Separating volatiles, e.g. recovering solvents from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슬러지인 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열매체 오일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반응기와,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을 제공하는 가열부와, 상기 건조 반응기를 통해 건조된 슬러지 중 열매체 오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상기 건조 반응기에서 발생한 가스와 증기를 응축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에서 배출된 응축수 중 오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러지 건조 시스템{DRYING SYSTEM FOR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기성 슬러지인 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시설, 가정 및 농가에서 발생하는 하수 및 오폐수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 축산폐수 슬러지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의 규모와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양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처리장에서 발생된 대부분의 슬러지는 매립, 소각 또는 해양 투기의 방법으로 처리되었으나, 2013년 1월부터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슬러지의 처리 방안이 중대한 현안으로 등장하였다. 더불어,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방안도 대두되고 있다.
통상의 슬러지 건조 기술은,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직접 건조시키는 직접건조방식과,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열판을 가열한 후 슬러지에 접촉시켜 건조하는 간접건조방식이 있다.
직접건조방식은 고온의 연소가스를 슬러지에 직접 접촉시켜 건조하기 때문에 간접건조방식보다는 효율적인 면에서 유리하고 시설도 간단하지만, 건조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고 분진이 배출되는바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대규모 처리시설이 추가로 요구된다.
반면, 간접건조방식은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열판을 가열한 후 슬러지에 접촉시키는 구조로, 연소가스와 슬러지의 통로가 별도로 구획되어 건조과정에서 악취 및 분진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하지만, 간접건조방식은 열판의 열이 슬러지 내부로 전달되지 못해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슬러지가 고온의 열판과 접촉될 경우 접촉 부위의 수분이 먼저 증발하게 되는데, 이때 수분의 기화과정에서 발생한 공기층이 슬러지의 표면에 부착되어 층을 형성함으로서 열전달을 방해하게 된다.
결국, 직접건조방식은 건조효율이 우수하나 악취 및 분진 발생의 우려가 있고, 대규모 처리시설의 추가로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간접건조방식은 슬러지의 건조특성을 기술적으로 극복하지 못하여 건조효율이 매우 낮아 다량의 연료와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34712호(2015.12.0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61020호(2012.06.1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성 슬러지인 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슬러지, 음식물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은, 슬러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열매체 오일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반응기와,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을 제공하는 가열부와, 상기 건조 반응기를 통해 건조된 슬러지 중 열매체 오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상기 건조 반응기에서 발생한 가스와 증기를 응축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에서 배출된 응축수 중 오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는, 슬러지 투입용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슬러지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스크루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에서 상기 건조 반응기로 공급되는 슬러지를 분쇄하는 롤밀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는, 스팀을 가열하는 스팀 보일러와, 가열된 스팀을 분배하는 스팀 헤더와, 상기 스팀 헤더에서 공급된 스팀으로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 스팀 파이프와, 상기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되어 상기 건조 반응기로 재공급되는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상기 건조 반응기는, 슬러지와 열매체 오일를 담는 건조챔버와, 상기 슬러지를 분쇄 및 교반하는 제1날개유닛과, 슬러지의 분쇄 및 교반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파쇄 및 제거하는 제2날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챔버는, 슬러지와 열매체 오일을 혼합하여 1차 건조시키는 제1건조챔버와, 슬러지와 열매체 오일을 혼합하여 2차 건조시키는 제2건조챔버와, 슬러지와 열매체 오일을 혼합하여 3차 건조시키는 제3건조챔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건조챔버와 상기 제2건조챔버에는 상기 제1날개유닛과 상기 제2날개유닛이 모두 설치되며, 상기 제3건조챔버에는 제1날개유닛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1날개유닛이 케이크 형태의 슬러지를 분쇄 및 교반하여 가열된 열매체 오일과 접촉을 증대시킴으로써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슬러지를 분쇄 및 교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이 제2날개유닛에 의해 파쇄 및 제거되므로 수분의 증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시스템 중 건조 반응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반응기 중 제1반응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반응기 중 제1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반응기 중 제2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반응기 중 그리드 임펠라를 도시한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시스템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시스템은 소정의 공정을 거쳐 1차 탈수된 함수율이 80%인 케이크 형태의 슬러지를 건조하는 시스템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슬러지를 공급하는 공급부(100)와,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반응기(200)와, 슬러지의 건조에 사용되는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 가열부(300)와, 건조 반응기(200)에서 배출된 물질을 처리하는 고액분리기(400), 콘덴서(500), 유수분리기(600)를 포함한다.
공급부(100)는, 함수율 80%의 슬러지 케이크가 투입되는 호퍼(110)와, 호퍼(110)에 투입된 슬러지 케이크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스크루 컨베이어(120)로 구성된다. 스크루 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된 슬러지 케이크는 건조 반응기(200)로 공급되는데, 이때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공급한다. 이를 위해, 스크루 컨베이어(120)와 건조 반응기(200) 사이에는 롤밀(roll mill, 130)이 설치된다.
건조 반응기(200)는 열매체 오일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단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롤밀(130)을 통해 1차 분쇄된 슬러지 케이크를 가열된 열매체 오일에 담근 후 한 번 더 분쇄하고 교반하여 열매체 오일과의 접촉을 증대시킴으로써 수분을 제거한다.
전술한 건조 반응기(20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3개의 반응기로 구성된다. 즉, 함수율 80%의 슬러지 케이크를 건조하는 제1반응기(200a)와, 1차 건조를 거친 슬러지 케이크를 건조하는 제2반응기(200b)와, 2차 건조를 거친 슬러지 케이크를 건조하는 제3반응기(200c)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제1반응기(200a)를 기준으로 내부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반응기(200a)는 열매체 오일의 저장 공간이 마련된 건조챔버(210)를 포함한다. 건조챔버(210)의 상면에는 슬러지 케이크가 투입되는 투입구(2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열매체 오일이 주입되는 주입구(214)가 형성된다. 투입구(212)의 일측에는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증기가 배출되는 배기구(216)가 형성된다.
한편, 제1반응기(200a)와 제2반응기(200b)의 하부에는 이송구(218)가 형성되고, 제3반응기(200c)의 하부에는 토출구(219)가 형성된다. 이송구(218)는 제1반응기(200a) 또는 제2반응기(200b)에서 건조된 슬러지를 인접한 제2반응기(200b) 또는 제3반응기(200c)로 이송하기 위한 개구이다. 또한, 토출구(219)는 제3반응기(200c)를 거쳐 완전히 건조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이다. 이때, 이송구(218)와 토출구(219)에서는 슬러지와 함께 열매체 오일도 이송 및 배출된다.
건조챔버(21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220)가 설치되고, 구동모터(220)의 출력축에는 샤프트(230)가 연결된다. 샤프트(230)는 건조챔버(210)의 상면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샤프트(230)에는 제1날개유닛(240)과 제2날개유닛(250)이 설치된다.
제1날개유닛(240)은 건조챔버(110)에 투입된 슬러지 케이크를 분쇄하고 교반시켜 열매체 오일과의 접촉을 증대시키는 날개이다. 이러한 제1날개유닛(240)은 건조챔버(210)에 저장된 열매체 오일에 잠길 수 있도록 샤프트(230)의 하단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유닛(240)은, 샤프트(230)에 결합된 몸체(242)와, 몸체(242)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6개의 제1블레이드(244)로 구성된다.
몸체(242)는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몸체(242)에는 제1블레이드(244)가 3개씩 구비된다. 이때, 제1블레이드(244)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는데, 이는 슬러지 케이크를 잘게 분쇄하여 용이하게 교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본 실시예의 제1블레이드(244)는 수평축에 대해 0~25°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제2날개유닛(250)은 슬러지 케이크의 분쇄 및 교반 시 발생하는 거품을 파쇄 및 제거하는 날개이다. 이러한 제2날개유닛(250)은 건조챔버(210)에 저장된 열매체 오일의 유면과 대응되도록 샤프트(230)의 중단에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날개유닛(250)은, 샤프트(23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몸체(252)와, 한 쌍의 몸체(252)에서 각각 연장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254)와, 한 쌍의 가이드(254) 사이에 마련된 제2블레이드(256)로 구성된다.
몸체(252)는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몸체(252)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254)가 마련된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254) 사이에 마련된 제2블레이드(256)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는데, 이는 슬러지 케이크를 분해 및 교반하는 과정에서 유면으로 부상한 거품을 잘게 분쇄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본 실시예의 제2블레이드(256)는 가이드(254)의 길이방향에 대해 90~135°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블레이드(256)가 가이드(254)에 고정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러지 케이크의 투입량, 함수율, 열매체 오일의 점도 등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230)의 상단에는 그리드 임펠라(260)가 설치된다. 그리드 임펠라(260)는 제2날개유닛(250)에 의해 미처 제거되지 못한 거품을 한 번 더 제거하는 날개이다. 그리드 임펠라(260)는, 샤프트(230)에 결합된 몸체(262)와, 몸체(262)에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264)와, 한 쌍의 가이드(264)에 마련된 임펠라(266)로 구성된다(도 6 참조).
다른 한편, 제3반응기(200c)에는 슬러지 케이크의 분쇄 및 교반을 위한 제1날개유닛(240)만 설치되는데, 이는 3차 건조과정에서는 슬러지 케이크를 분쇄 및 교반하도라도 거품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며, 제1날개유닛(240)만 회전시키더라도 슬러지가 반응기(200c)의 내부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가열부(300)는 슬러지의 건조에 사용되는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 장치로, 이때 열매체 오일은 스팀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다.
가열부(300)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발생시키는 스팀 보일러(310)를 포함한다. 스팀 보일러(310)에서 발생한 스팀은 스팀 헤더(320)에서 스팀 파이프(330)와 열교환기(340)로 분배된다.
스팀 파이프(330)는 건조 반응기(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기 위한 것이고, 열교환기(340)는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되어 건조 반응기(200)로 재공급되는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고액분리기(400)는 건조 반응기(200)에서 건조된 슬러지로부터 열매체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이다. 고액분리기(400)에는 진동 스크린 타입, 드럼 스크린 타입, 고속원심 타입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콘덴서(500)는 슬러지 케이크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가스와 증기를 응축하여 오일을 회수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콘덴서(500)는 공기와 간접 접촉을 통해 가스 및 증기를 응축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와 직접 접촉을 통해 응축하는 급랭기(quencher)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수분리기(600)는 콘덴서(500)에서 액화된 성분 중 물과 열매체 오일을 분리하는 수단이다. 이때, 분리된 열매체 오일은 소정의 경로를 통해 건조 반응기(20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스크러버(700)는 콘덴서(500)에서 응축되지 못하고 배출된 가스 및 증기를 여과하는 수단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시스템에 의한 건조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슬러지 케이크를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열매체 오일을 건조 반응기(200)에 주입한다. 건조 반응기(200)에 주입되는 열매체 오일은 열교환기(340)에서 소정 온도로 가열된 열매체 오일이다.
열매체 오일의 주입이 완료되면, 공급부(100)를 작동시켜 슬러지 케이크를 투입한다. 건조 반응기(200)에 투입되는 슬러지 케이크는 스크루 컨베이어(120)에 의해 정량으로 공급된 후 롤밀(130)을 거쳐 일정한 크기 이하로 분쇄된 것이다.
열매체 오일의 주입과 슬러지 케이크의 투입이 완료되면, 열매체 오일을 가열함과 동시에 슬러지 케이크를 분쇄 및 교반하며 수분을 증발시킨다. 즉, 스팀 파이프(330)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여 열매체 오일을 110~150℃까지 가열하고, 더불어 날개유닛(240,250)을 회전시켜 슬러지 케이크를 분쇄 및 교반한다.
제1반응기(200a)는 함수율 80%의 슬러지 케이크를 1차 건조하고, 제2반응기(200b)는 제1반응기(200a)에서 1차 건조된 슬러지 케이크를 다시 건조한다. 또한, 제3반응기(200c)는 제2반응기(200b)에서 2차 건조된 슬러지 케이크를 다시 건조한다.
제1 내지 제3반응기(200a~200c)의 날개유닛(240,250)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며 슬러지 케이크를 분쇄 및 교반한다. 일례로, 제1반응기(200a)의 날개유닛(240,250)은 60~180rpm으로 회전하고, 제2반응기(200b)의 날개유닛(240,250)은 60~120rpm으로 회전하며, 제3반응기(200c)에서는 날개유닛(240)을 60~100rpm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각 반응기(200a~200c)에 설치된 날개유닛(240,250)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제어할 경우 슬러지 케이크를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으며, 열매체 오일과의 접촉시간을 늘려 거품 속에 있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반응기(200a)의 슬러지 케이크는 함수율이 높으므로 점도가 강해 날개유닛(240,25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반면, 제3반응기(200c)는 슬러지 케이크의 함수율이 낮으므로 점도가 약해 날개유닛(240)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건조된 슬러지는 열매체 오일과 함께 배출되어 고액분리기(400)로 이송된다. 고액분리기(400)에서는 슬러지와 열매체 오일을 분리하는데,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되어 폐기 처리되고, 열매체 오일은 건조 반응기(200)로 다시 공급된다.
슬러지 케이크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가스와 증기는 콘덴서(500)로 이송된다. 콘덴서(500)에서 응축된 물과 열매체 오일은 유수분리기(600)로 이송되어 분리된다. 이때, 유수분리기(600)에서 분리된 열매체 오일은 소정의 경로를 통해 건조 반응기(20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콘덴서(500)에서 응축되지 못하고 배출된 가스 및 증기는 스크러버(700)로 이송된 후 소정의 여과과정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고액분리기(400)에서 분리된 열매체 오일은 열교환기(340)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후 건조 반응기(200)로 공급된다. 또한, 건조 반응기(200)에서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데 사용된 스팀과 열교환기(340)에서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데 사용된 스팀은 스팀 보일러(310)로 회수되어 다시 가열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공급부 200: 건조 반응기
300: 가열부 400: 고액분리기
500: 콘덴서 600: 유수분리기

Claims (11)

  1. 슬러지를 공급하는 공급부(100);
    열매체 오일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반응기(200);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을 제공하는 가열부(300);
    상기 건조 반응기(200)를 통해 건조된 슬러지 중 열매체 오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기(400);
    상기 건조 반응기(200)에서 발생한 가스와 증기를 응축하는 콘덴서(500); 및
    상기 콘덴서(500)에서 배출된 응축수 중 오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600)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반응기(200)는,
    슬러지를 열매체 오일에 접촉시켜 건조시키는 건조챔버(210)와,
    상기 건조챔버(210)에 설치된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챔버(210)의 내부로 연장된 샤프트(230)와,
    상기 샤프트(230)에 결합된 몸체(242)와, 상기 몸체(242)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블레이드(244)로 구성되고, 열매체 오일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30)와 함께 회전 및 이동하며 슬러지를 분쇄 및 교반시키는 제1날개유닛(240);
    상기 샤프트(23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몸체(252)와, 상기 한 쌍의 몸체(252)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바 형태의 가이드(254)와, 상하로 이격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254)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254)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에 각각 복수개 구비되되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254)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제2블레이드(256)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230)와 함께 회전하며 유면으로 부상한 거품을 파쇄 및 제거하는 제2날개유닛(250);
    상기 샤프트(230)에 결합된 몸체(262)와, 상기 몸체(262)에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264)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264)에 마련된 임펠라(266)로 구성되고, 상기 제2날개유닛(250)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품을 추가로 제거하는 그리드 임펠라(260); 및
    상기 건조챔버(210)에 주입된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 스팀 파이프(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유닛(240)은 슬러지를 분쇄 및 교반하여 가열된 열매체 오일과 접촉을 증대시킴으로써 수분을 효과적으로 증발시키며, 상기 제2날개유닛(250)은 슬러지의 분쇄 및 교반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파쇄 및 제거하여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는, 슬러지 투입용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에 투입된 슬러지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스크루 컨베이어(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20)에서 상기 건조 반응기(200)로 공급되는 슬러지를 분쇄하는 롤밀(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0)는, 스팀을 가열하는 스팀 보일러(310)와, 가열된 스팀을 분배하는 스팀 헤더(320)와, 상기 스팀 헤더(320)에서 공급된 스팀으로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 상기 스팀 파이프(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0)는, 상기 고액분리기(400)에서 분리되어 상기 건조 반응기(200)로 재공급되는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기(340)는 상기 스팀 헤더(320)에서 공급된 스팀을 이용하여 열매체 오일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500)에서 배출된 가스를 여과하는 스크러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13284A 2016-02-03 2016-02-03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171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284A KR101717439B1 (ko) 2016-02-03 2016-02-03 슬러지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284A KR101717439B1 (ko) 2016-02-03 2016-02-03 슬러지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439B1 true KR101717439B1 (ko) 2017-03-20

Family

ID=5850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284A KR101717439B1 (ko) 2016-02-03 2016-02-03 슬러지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4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806B1 (ko) * 2017-04-20 2018-01-30 김정일 슬러지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방법
KR20180136909A (ko) * 2017-06-15 2018-12-26 스위손 크리에이티브 인바이런멘털 솔루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슬러지 처리를 위한 배기가스 정화 및 열 회수 시스템과 방법
CN109970309A (zh) * 2019-02-25 2019-07-05 江苏大湖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污泥干燥设备
WO2019219041A1 (zh) * 2018-05-15 2019-11-21 山东名流餐处装备股份有限公司 餐厨废弃物处理方法及处理装置
CN110642497A (zh) * 2019-09-18 2020-01-03 厦门绿邦膜技术有限公司 一种固废物干燥装置及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445B1 (ko) * 2011-07-12 2012-04-09 (주)티엔지 하수슬러지 또는 준설토가 사용된 경화 조성물을 이용한 개량토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8132A (ko) * 2010-10-13 2012-04-23 건민산업 주식회사 다단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의 방법
KR20120061020A (ko) 2010-11-04 2012-06-12 최인식 식물질, 수지 및 슬러지 간접 가열 드럼 건조로
KR20120125095A (ko) * 2011-05-06 2012-11-14 (주)서정화학 폐인조대리석으로부터 mma를 회수하는 장치
KR101438335B1 (ko) * 2013-09-25 2014-09-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타르 발생로가스 생산용 삼단 가스화기
KR20150134712A (ko) 2014-05-22 2015-12-02 조준제 직접 가열식 드럼형 슬러지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132A (ko) * 2010-10-13 2012-04-23 건민산업 주식회사 다단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의 방법
KR20120061020A (ko) 2010-11-04 2012-06-12 최인식 식물질, 수지 및 슬러지 간접 가열 드럼 건조로
KR20120125095A (ko) * 2011-05-06 2012-11-14 (주)서정화학 폐인조대리석으로부터 mma를 회수하는 장치
KR101133445B1 (ko) * 2011-07-12 2012-04-09 (주)티엔지 하수슬러지 또는 준설토가 사용된 경화 조성물을 이용한 개량토 및 그 제조방법
KR101438335B1 (ko) * 2013-09-25 2014-09-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타르 발생로가스 생산용 삼단 가스화기
KR20150134712A (ko) 2014-05-22 2015-12-02 조준제 직접 가열식 드럼형 슬러지 건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806B1 (ko) * 2017-04-20 2018-01-30 김정일 슬러지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방법
KR20180136909A (ko) * 2017-06-15 2018-12-26 스위손 크리에이티브 인바이런멘털 솔루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슬러지 처리를 위한 배기가스 정화 및 열 회수 시스템과 방법
KR102499497B1 (ko) 2017-06-15 2023-02-13 스위손 크리에이티브 인바이런멘털 솔루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슬러지 처리를 위한 배기가스 정화 및 열 회수 시스템과 방법
WO2019219041A1 (zh) * 2018-05-15 2019-11-21 山东名流餐处装备股份有限公司 餐厨废弃物处理方法及处理装置
CN109970309A (zh) * 2019-02-25 2019-07-05 江苏大湖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污泥干燥设备
CN110642497A (zh) * 2019-09-18 2020-01-03 厦门绿邦膜技术有限公司 一种固废物干燥装置及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439B1 (ko) 슬러지 건조 시스템
EP3575382B1 (en) System for drying lignite and method for drying lignite
KR10096593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효율적 건조 및 악취 제어시스템
KR101610926B1 (ko)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US20130042493A1 (en) Organic waste drying apparatus
CN101560047A (zh) 高环保低成本干燥污泥的设备及其方法
JP2010216748A (ja) 含水廃棄物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JP2012215316A (ja) 流動層乾燥装置、流動層乾燥設備および湿潤原料乾燥方法
KR20120084220A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1210376B1 (ko) 하수슬러지 또는 음식물류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듈형 건조장치
JP2009220048A (ja) 含水有機汚泥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WO2013157427A1 (ja) 有機汚泥及び有機系廃棄物の処理装置
CN204769860U (zh) 一种污染土壤热脱附修复系统
KR102224084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
JP2010194382A (ja) 含水有機廃棄物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JP2010214319A (ja) 含水有機汚泥の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JP2009242636A (ja) 高含水率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KR102307107B1 (ko) 축산 분뇨 건조 가공 장치
KR101717458B1 (ko) 유중증발 건조장치
JP2009202078A (ja) 含水有機廃棄物の乾燥及び造粒システム
KR20060120529A (ko) 열전달오일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20180039347A (ko) 슬러지 고속 건조 장치
KR20120084227A (ko) 하수슬러지 및 epr 폐기물의 탄화 생성물의 재활용 시스템
JP2010194381A (ja) 含水有機廃棄物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JP2015131263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に用いられる乾燥機、および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