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108B1 - 연료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연료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108B1
KR101424108B1 KR1020130013568A KR20130013568A KR101424108B1 KR 101424108 B1 KR101424108 B1 KR 101424108B1 KR 1020130013568 A KR1020130013568 A KR 1020130013568A KR 20130013568 A KR20130013568 A KR 20130013568A KR 101424108 B1 KR101424108 B1 KR 10142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il
gasoline
cycle engine
engi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확신
Original Assignee
최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확신 filed Critical 최확신
Priority to KR102013001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26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upper (top) wal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 B65D2525/281Details relating to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행정 엔진에 사용할 연료의 혼합을 적정 비율로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된 연료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합 용기는 투입구와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혼합유를 제조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과, 상기 뚜껑에 결합되며, 2사이클 엔진오일을 계량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2사이클 엔진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오일계량부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오일계량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충진된 휘발유의 수위와 상기 오일계량부에 수용되는 2사이클 엔진오일의 수위를 일치시킬 때, 상기 본체에 충진된 휘발유와, 상기 오일계량부에 수용된 2사이클 엔진오일이 설정된 적정 혼합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연료 혼합 용기 {Mixing container}
본 발명은 연료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행정 엔진에 사용할 연료의 혼합을 적정 비율로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된 연료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초 작업에 사용되는 예초기나 소형 스쿠터와 같이 2행정 사이클 엔진의 경우 일반 휘발유에 2사이클 엔진오일을 혼합하여 형성한 혼합유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2행정 사이클 엔진에 사용되는 혼합유는 통상적으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25: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하는데, 이러한 비율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쉽지 않았다.
최근에는 휘발유를 투입하는 눈금과, 휘발유가 투입된 상태에서 첨가되는 2사이클 엔진오일을 추가하는 양에 대응하는 눈금이 표시된 혼합통을 만들어 시중에서 판매하며, 상기 눈금에 표시된대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투입하여 적정 비율의 혼합유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혼합통의 경우 적정 비율을 맞출 수 있는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의 양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서, 항상 일정양의 혼합유만을 제조할 수 있을 뿐 휘발유의 양에 대하여 첨가되는 2사이클 엔진오일의 첨가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78823호 : 휴대용 액체 혼합 용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양의 휘발유에 대하여 첨가되는 2사이클 엔진오일의 양을 적정 비율로 쉽게 맞추어 첨가할 수 있는 연료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합 용기는 투입구와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혼합유를 제조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과, 상기 뚜껑에 결합되며, 2사이클 엔진오일을 계량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2사이클 엔진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오일계량부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오일계량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충진된 휘발유의 수위와 상기 오일계량부에 수용되는 2사이클 엔진오일의 수위를 일치시킬 때, 상기 본체에 충진된 휘발유와, 상기 오일계량부에 수용된 2사이클 엔진오일이 설정된 적정 혼합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 및 상기 오일계량부에는 상기 본체에 충진된 휘발유와 상기 오일계량부에 수용된 2사이클 엔진오일의 수위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표시된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계량부는 제1 비율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혼합할 수 있도록 된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보다 단면적이 작아 제2 비율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혼합할 수 있도록 된 제2 관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계량부는 상기 제1 관체 및 제2 관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때 상기 본체 내에 충진된 휘발유와, 첨가된 2사이클 엔진오일을 용이하게 혼합시키는 교반날개를 더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 주입되는 휘발유의 수위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수위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수위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내벽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휘발유가 출입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식별관과, 상기 식별관의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식별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휘발유의 수면에 뜨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색상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이루어진 부력부재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합 용기는 휘발유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도 그에 대응하는 적정 비율의 2사이클 엔진오일의 양을 적정 비율로 쉽게 맞출 수 있어 신속하게 혼합유를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혼합비율이 50:1인 2사이클 엔진오일의 양도 쉽게 비율을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합 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료 혼합 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오일계량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오일계량부에 의해 연료가 혼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합 용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합 용기(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뚜껑(130)과, 상기 뚜껑(130)에 설치되는 오일계량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혼합유를 제조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휘발유 및 2사이클 엔진오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휘발유 및 2사이클 엔진오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혼합유를 2사이클 엔진에 주입할 수 있게 주입관이 연결되는 배출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는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115)은 혼합유를 2사이클 엔진에 주입할 때 본체(110)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입홈(115)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내부로 주입된 휘발유 수위를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측면에 제1 눈금(116)이 표시되어 있어서 내부로 주입된 휘발유의 수위를 더욱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뚜껑(130)은 상기 투입구(112)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110)는 투입구(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통형의 결합스커트(117)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스커트(117)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130)의 내주면에도 상기 결합스커트(117)의 외주면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투입구(1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3에는 본체(1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본체(110)에 주입되는 휘발유의 수위를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수위표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수위표시부(120)는 본체(110)의 일측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식별관(121)과, 상기 식별관(121)의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휘발유의 수면에 뜰 수 있는 부력재로 형성된 부력부재(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별관(121)은 하단에 관통홀(122)이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110)의 내부로 휘발유가 주입되면 휘발유가 상기 관통홀(122)을 통해 식별관(1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부재(123)는 본체(110)의 색상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형성되어서 본체(110)의 외측에서 상기 부력부재(123)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휘발유의 수면에 부상되어 있는 부력부재(123)를 통해 본체(110)에 주입된 휘발유의 수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오일계량부(140)는 뚜껑(130)에 설치되는데, 뚜껑(130)이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방향 상에서 상기 투입구(112)를 통해 본체(110)로 진입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제1 관체(141)와 제2 관체(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체(141) 및 제2 관체(142)는 모두 하방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130)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단부의 개구를 통해 2사이클 엔진오일을 주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관체로 형성된다.
제1 관체(141) 및 제2 관체(142)에도 2사이클 엔진오일의 주입량을 쉽게 계량할 수 있도록 제2 눈금(14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2 눈금(143)은 본체(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눈금(116)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눈금(116)과 제2 눈금(143)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와 각 눈금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상호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관체(141)는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25:1의 비율로 혼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수의 2사이클 엔진오일은 휘발유와 25: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적정 혼합비이다. 제1 관체(141)에 주입하는 2사이클 엔진오일의 수위를 상기 본체(110)에 주입딘 휘발유의 수위와 일치시키면 본체(110)에 주입된 휘발유와 제1 관체(141)에 주입된 2사이클 엔진오일의 주입량이 25:1이 되어 혼합유의 혼합비를 쉽게 맞출 수 있다.
제2 관체(142)는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의 혼합비를 50:1로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일부 2사이클 엔진오일의 경우 휘발유와의 적정 혼합비가 50:1인 제품들이 있으며, 이러한 제품의 경우에도 본체(110)에 주입한 휘발유의 수위와 제2 관체(142)에 주입한 2사이클 엔진오일의 수위를 일치하도록 맞춰 혼합하면 적정 혼합비로 혼합된 혼합유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혼합 용기(100)는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혼합한 혼합유를 제조할 때, 본체(110)에 주입된 휘발유의 수위와 오일계량부(140)에 주입한 2사이클 엔진오일을 수위를 일치시킨 뒤 오일계량부(140)에 주입한 2사이클 엔진오일을 본체(110)에 부어 혼합하면 적정 혼합비로 혼합된 혼합유를 얻을 수 있어 혼합유의 제조가 편리하고 정확한 혼합비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혼합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는 오일계량부(1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오일계량부(140)는 제1 관체(141)와 제2 관체(142)의 외주면에 교반날개(15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날개(150)는 제1 관체(141) 및 제2 관체(142)의 외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될 때 일측과 타측이 상하로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가 제1 관체(141) 및 제2 관체(142)의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날개(150)는 혼합유의 형성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의 교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휘발유에 대한 적정 혼합비의 2사이클 엔진오일을 계량한 뒤 2사이클 엔진오일을 본체(110)에 붓는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오일계량부(140)의 하단을 혼합유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뚜껑(130)을 잡고 오일계량부(14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교반날개(150)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면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의 교반이 이루어진다.
본체(110)를 직접 잡고 흔들어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교반할 때에도 뚜껑(130)을 닫아 교반날개(150)가 본체(1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10)를 흔들어주면,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이 유동하면서 상기 교반날개(150)에 부딪혀 더욱 용이하게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합 용기(100)는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의 혼합비를 맞추도록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량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본체(110)에 투입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연료 혼합 용기
110; 본체
111; 내부공간 112; 투입구
113; 배출부 114; 손잡이
115; 인입홈 116; 제1 눈금
117; 결합스커트
120; 수위표시부
121; 식별관 122; 관통홀
123; 부력부재
130; 뚜껑
140; 오일계량부
141; 제1 관체 142; 제2 관체
143; 제2 눈금
150; 교반날개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투입구와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혼합유를 제조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과;
    상기 뚜껑에 결합되며, 2사이클 엔진오일을 계량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2사이클 엔진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오일계량부;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오일계량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충진된 휘발유의 수위와 상기 오일계량부에 수용되는 2사이클 엔진오일의 수위를 일치시킬 때, 상기 본체에 충진된 휘발유와, 상기 오일계량부에 수용된 2사이클 엔진오일이 설정된 적정 혼합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일계량부는 제1 비율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혼합할 수 있도록 된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보다 단면적이 작아 제2 비율로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혼합할 수 있도록 된 제2 관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오일계량부에는 상기 본체에 충진된 휘발유와 상기 오일계량부에 수용된 2사이클 엔진오일의 수위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표시된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계량부는 상기 제1 관체 및 제2 관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때 상기 본체 내에 충진된 휘발유와, 첨가된 2사이클 엔진오일을 용이하게 혼합시키는 교반날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 주입되는 휘발유의 수위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수위표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수위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내벽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휘발유가 출입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식별관과, 상기 식별관의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식별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휘발유의 수면에 뜨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색상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이루어진 부력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혼합 용기.
KR1020130013568A 2013-02-06 2013-02-06 연료 혼합 용기 KR10142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68A KR101424108B1 (ko) 2013-02-06 2013-02-06 연료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68A KR101424108B1 (ko) 2013-02-06 2013-02-06 연료 혼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108B1 true KR101424108B1 (ko) 2014-08-01

Family

ID=5174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568A KR101424108B1 (ko) 2013-02-06 2013-02-06 연료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1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2U (ja) * 1991-06-28 1993-01-14 スズ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JPH092578A (ja) * 1995-06-23 1997-01-07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タンク
JP2001031147A (ja) 1999-07-21 2001-02-06 Osawa Wax Kk 混合用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2U (ja) * 1991-06-28 1993-01-14 スズ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JPH092578A (ja) * 1995-06-23 1997-01-07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タンク
JP2001031147A (ja) 1999-07-21 2001-02-06 Osawa Wax Kk 混合用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4372A (en) Small-sized container capable of mixing more than two components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US10138029B2 (en) Container lid having measuring function
KR101424108B1 (ko) 연료 혼합 용기
US67365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ixing, and dispensing fluids
US2631608A (en) Container
US9527650B2 (en) Chambered container for the mixing and storage of fluids
US3058353A (en) Proportional liquid measuring device
CA2747471C (en) A container
US2788801A (en) Proportional mixing container having rotatable control rod
US20070114245A1 (en) Fuel container
US3132768A (en) Measurer and funnel
US3316933A (en) Liquid proportional measuring device
CN209174523U (zh) 一种防溅液试剂针清洗装置
CN217033486U (zh) 一种清洗剂比重测量装置
RU182563U1 (ru) Канистр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опливной смеси
JP5035667B2 (ja) 計量キャップ
CN212432271U (zh) 一种化学分析用定量容器
US20220355995A1 (en) Powder storage container
CN208688942U (zh) 水浮力式液体密度测量实验装置
CN207658330U (zh) 一种油桶
JP3096637U (ja) 定量的に希釈する計量カップ
CN219810515U (zh) 一种无人机测试用的精准水量测试仪
US6561026B2 (en) Hydrometer
CN205801886U (zh) 一种药液桶
JP2006117262A (ja) 定量排出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