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097B1 -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097B1
KR101424097B1 KR1020120065700A KR20120065700A KR101424097B1 KR 101424097 B1 KR101424097 B1 KR 101424097B1 KR 1020120065700 A KR1020120065700 A KR 1020120065700A KR 20120065700 A KR20120065700 A KR 20120065700A KR 101424097 B1 KR101424097 B1 KR 10142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ease
composition
group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462A (ko
Inventor
이영민
박동식
장환희
황경아
황성준
김재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6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0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2Adenopho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ndocri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폐경기 동물모델에서 인지능 개선능이 있으므로 폐경기 여성의 인지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Brain Disorder Comprising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Extract}
본 발명은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매란 뇌의 만성적 진행성 변성질환에 의해 흔히 기억장애 및 기타 지적기능의 상실이 일어나는 임상 증후군을 말하며 좀 더 넓은 의미로는 지적 황폐화뿐 만 아니라 행동 이상 및 인격 변화를 초래하며, 정서적 기능 상실과 진행성인 지적 황폐화가 사회적 혹은 직업적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그 원인에 따라 알츠하이머형 치매(Alzheimer's dementia, AD), 혈관성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 병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로 뇌의 감염, 비타민 부족, 종양 등에 의해 발병되는 것들이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노인 인구에서 치매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65세에서 85세 범위 내에서는 나이가 5세 증가할 때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병률이 2배씩 높아진다. 알츠하이머병은 일단 발병하면 계속 진행되고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으며 연령대별 정상군에 비해 평균기대수명이 단축된다. 알츠하이머병은 아밀로이드와 같은 신경 독성물질의 축적으로 인한 양측 측두엽의 기능 저하로 시작되고, 점차 비정상적으로 뭉쳐있는 특징적인 단백질 덩어리 즉, 노인판(신경세포 밖에 베타 아밀로이드가 쌓여 있음)과 신경섬유 농축체(신경세포 안에 비정상적인 타우단백질이 실타래처럼 꼬여있음) 등이 전반적인 뇌의 피질부로 확산되면서 병이 진행된다.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substantia nigra, SNc)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흑질에 존재하는 도파민의 신경 세포가 파괴되어 점차 소실되며 선조체(striatum)의 도파민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이 특징인 질병이다. 안정 떨림, 경직, 운동 완만(서동) 및 자세 불안정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파킨슨병 환자는 60세 이상에서 인구의 약 1% 정도로 추정된다.
이러한 퇴행성 뇌질환은 그 원인이 뚜렷이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폐경 이후 여성에게 치매가 걸릴 확률이 남성에 비해 3배나 높아 에스트로겐이 치매의 예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조기 폐경이 온경우 조기 치매가 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에스트로겐과 치매의 관련성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KR 공개특허 10-2010-0017312(발명의 명칭 :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서는 돌단풍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KR 공개특허 10-2002-0014010(발명의 명칭 : 잔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비만억제용 조성물)에서는 잔대의 잎, 뿌리 및 줄기로부터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잔대 추출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장애를 예방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수많은 물질에 대한 스크리닝 결과 잔대 추출물이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장애에 탁월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폐경기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장애를 예방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수많은 물질에 대한 스크리닝 결과 잔대 추출물이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장애에 탁월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다년생 식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동물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a)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b)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및 (c) 질환 또는 질환의 제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잔대는 바람직하게는 잔대의 꽃, 잎, 줄기, 열매, 종자,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대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잔대의 뿌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잔대의 가장 바람직한 추출부위가 뿌리인 이유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상기 잔대의 뿌리가 폐경기 뇌질환에 탁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잔대 추출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잔대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뿐만 아니라 상기 잔대 자체를 피부에 도포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된 가공물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만일,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을 상기 잔대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헥산, (i) 디에틸에테르, 또는 (j) 부틸아세테이트를 잔대에 처리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잔대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잔대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잔대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뇌질환은 폐경기 여성의 뇌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폐경기 여성’은 폐경기에 진입한 여성뿐만 아니라 폐경기를 앞두고 있는 여성과 난소절제술에 의해 난소가 제거된 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폐경기 뇌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알쯔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치매 및 인지기능장애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지기능장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상술한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내용과 중첩되므로, 본 명세서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중 경피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경구형 제형인 경우 성인 기준으로 0.1-100 ㎎/kg 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으며,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일당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에 대한 세포 생존율 분석 결과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폐경기 동물모델에서 인지능 개선능이 있으므로 폐경기 여성의 인지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잔대 물 추출물이 명시적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2는 잔대 물 추출물이 공간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 잔대 추출물의 제조
잔대 뿌리 10 g에 증류수 100 g을 가하고 80℃ 수욕 상에서 환류 냉각하면서 3시간씩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ADVANTEC paper(No.6)(ADVANTEC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2회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EYELA N-1000, Riakikai Co., Ltd.,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건조기(PVTFD 10R, Ilsin Lab, Yangju, Korea)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잔대 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잔대 추출물의 인지능 개선 효과 확인
실험예 1 : 실험 재료 및 방법
실험예 1-1 : 실험 재료
시료
시험물질은 상기 실시예의 잔대 물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식이는 AIN-93M based diet에 시료인 잔대 물 추출물이 0.5w%가 되도록 혼합하여 공급하였다.
실험동물 및 식이
특정병원체(specific pathogen free)가 없는 9주령, 암컷 난소절제(ovariectomized)된 ICR mouse를 중앙실험동물(주)(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주일간의 검역 및 적응과정을 거친 뒤 체중 감소 없는 건강한 동물을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온도 23 ± 3℃, 상대습도 50 ± 10%, 환기회수 10-15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08:00 - 20:00), 조도 150 - 300 Lux로 설정된 사육환경에서 사육하였다. 1주간의 적응 기간 동안 실험동물은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주)카길애그리퓨리나, 군산, 한국)와 음수를 자유 섭취하도록 하였다.
1주간의 적응 기간을 거친 후 건강한 동물을 선별하여 난괴법에 의거하여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난소 적출을 하지 않고 시험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sham 대조군, 난소 적출군, 난소 적출에 0.5% 잔대 물 추출물 섭취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본 식이인 AIN-93M 식이는 Research Diets, Inc.(New Brunswick, NJ, USA)에서 구입하였고, 그 식이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 식이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각각의 시험물질을 실험식이에 0.5%이 되도록 식이에 혼합하여 섭취시켰다. 난소절제 마우스에서 산채류의 인지능력 개선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실험식이 0.5%이 되도록 식이에 혼합한 잔대 물추출물을 6주간 공급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식이와 음수는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식이섭취량은 2일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체중은 식이섭취 시작일을 0 day로 하여 실험 종료일까지 1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모든 동물 실험은 한림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 하에 수행되었다 (Hallym 2011-34).
기본식이(AIN-93M diet) 조성
Ingredient Sham and OVX
(grams/kg)

OVX + 잔대 물추출물
(grams/kg)
Cornstarch 470.692 465.692
Casein 140 140
Sucrose 100 100
Beef tallow 180 180
Cholesterol 10 10
Fiber 50 50
Mineral Mixture 35 35
Vitamin Mixture 10 10
L-cystein 1.8 1.8
Choline bitartrate 2.5 2.5
TBHQ 0.008 0.008
잔대 물추출물 5
Total 1,000.00 1,000.00
OVX=ovariectomized
실험예 1-2 : 실험 방법
수동회피시험 (Passive avoidance test)
6주간 잔대 물 추출물을 섭취시키고 수동회피시험을 실시하여 잔대 물 추출물이 학습 및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밝은 방과 어두운 방으로 나누어지고 바닥에는 전기 충격을 줄 수 있는 수동회피상자(GEMINITM Avoidance System, San Diego Instrument, Inc., CA, USA)를 사용하였다. 칸막이로 나누어진 구획의 한쪽에 조명을 켜고 실험동물을 넣어주면 주변을 살피다가 어두운 구획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동물이 어두운 구획으로 넘어가는 즉시 0.30 mA의 전류를 바닥의 stainless grid를 통해 2초 동안 흐르게 하여 전기충격을 주었다. 전기충격 24시간 후에 실험동물을 밝은 방에 다시 놓았을 때 어두운 방의 전기충격 기억을 기억하여 어두운 방으로 가고 싶은 본성을 억제하여 밝은 방에서 체류하는 시간(step through latency)을 측정하였다.
수중 미로 시험 (water maze test)
잔대 물 추출물 물 추출물이 공간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6주간 잔대 물 추출물을 섭취시킨 후 4일 동안 시험하였다. 수중미로시험은 Morris가 제시한 방법 (Morris R. 1984.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ods 11: 47-60)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실험장비는 원형의 수조(stainless streel, 지름 150 cm, 높이 45 cm), 도피대(지름 10 cm, 높이 30 cm) 및 도피대의 위치를 기억할 수 있는 4개의 표지물로 구성하였다. 수조는 물(온도 22 ± 2℃)로 채웠고, 도피대는 전체 수조를 4등분한 것 중 하나의 부채꼴 중앙에 놓았으며 도피대 상단이 수면 0.5 cm 밑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수중미로시험은 실험동물이 수조 주변의 표지물을 기억하여 도피대를 찾아가기 때문에 주변 환경의 변화가 없도록 표지물을 실험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실험동물이 도피대를 찾아가 10초 이상 머무는 경우 도피대를 찾아갈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탈출잠복기(escape latency)로 하였으며, 이를 하루 2번 실시하여 나온 평균값을 평균 탈출잠복기(mean escape latency)로 하였다. 실험은 1일 2회씩 4일간 연속적으로 실시하였고, 실험동물이 도피대를 120초 이내에 찾지 못하면 동물을 도피대에 10초간 두었다가 실험을 끝내고 탈출잠복기를 120초로 하였다.
채혈 및 뇌 조직 적출
실험동물을 희생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트리브롬에탄올(tribromoethanol)을 tertiary amyl alcohol로 희석하여 만든 마취제를 사용하여 마취한 후 안와채혈을 하였다. 혈액은 serum separate tube(Becton Dickinson, USA)에 담아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고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안와채혈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뇌 조직을 적출한 후 대뇌피질(cortex), 해마(hippocampus) 그리고 나머지 부분으로 각각 분리하여 E-tube에 담아 액체질소로 즉시 동결하여 -70℃ 초저온냉동고에 보관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분석 수치는 mean ± SEM으로 나타내었다. 수집된 결과는 GraphPad Prism 4.0(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시험물질 투여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one-way analysis variance (ANOVA)를 이용하였다. p < 0.05 이상일 때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예 2 : 실험 결과
실험예 2-1 : 체중 변화와 식이 효율
실험기간 동안 측정한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동물의 체중 차이는 sham 대조군에 비해 난소 적출군과 시험물질 투여군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동물의 일일 체중증가량, 일일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동물의 일일 체중증가량은 sham 대조군보다 잔대 물 추출물 투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일일 식이섭취량은 sham 대조군보다 난소 적출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식이효율은 각각의 실험 군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하기 표 3 참조).
동물의 체중 변화(g)
OVX
Treatment
-
-
+
-
+
잔대 물추출물
(0.5%)
0 day 32.51 ± 0.49 34.61 ± 0.45 34.88 ± 0.47
7 day 34.76 ± 0.68 37.88 ± 0.68 38.68 ± 0.72
14 day 38.90 ± 0.71 41.00 ± 1.27 43.00 ± 1.18
21 day 41.76 ± 1.23 45.57 ± 2.03 48.50 ± 1.20
28 day 44.29 ± 1.78 47.35 ± 3.10 51.83 ± 1.41
35 day 46.06 ± 1.56 50.42 ± 2.72 54.02 ± 1.57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for 10 animals in each group.
OVX=ovariectomized
동물의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
OVX Treatment Body weight gain
(g/day)
Food intake
(g/day)
Food efficiency ratio
- - 0.38 ± 0.05 7.88 ± 0.38 0.05 ± 0.01
+ - 0.44 ± 0.07 6.77 ± 0.60 0.07 ± 0.01
+ 잔대 물추출물
(0.5%)
0.53 ± 0.04 7.11 ± 0.39 0.08 ± 0.01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for 10 animals in each group.
OVX=ovariectomized
실험예 2-2 : 잔대 물 추출물 물 추출물이 명시적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잔대 물 추출물이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난소 적출로 기억력 감퇴를 유발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수동회피시험을 실시하였다. 수동회피시험은 기억력 평가에 많이 사용되는 시험으로 명시적 기억력을 반영한다. Sham 대조군
에서는 밝은 방에서의 체류 시간이 122 ± 14초 나타났다. 반면 난소 적출한 마우스의 경우 밝은 방에서의 체류 시간이 76 ± 13초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하기 도 1 참조).
삭제
삭제
실험예 2-3 : 잔대 물 추출물이 공간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잔대 물 추출물이 공간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중미로시험을 실시하였다(하기 도 2 및 도 3 참조). Sham 대조군에서는 훈련이 반복됨에 따라 평균 탈출 잠복기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2, 3, 4일째의 탈출 잠복기는 각각 79 ± 64초, 45 ± 33초, 및 27 ± 24초로 나타났다(하기 도 2 참조). 난소적출을 하여 기억력 감퇴를 유발한 경우 도피대를 찾아가기는 했으나 대조군에 비해 평균 탈출 잠복기가 길었다. 잔대 물 추출물을 섭취한 군의 평균 탈출 잠복기는 난소 적출군에 비해 평균 탈출 잠복기가 3일째 되는 날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하기 도 3 참조).

Claims (16)

  1.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잔대는 잔대의 꽃, 잎, 줄기, 열매, 종자,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대는 잔대의 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헥산, 부틸렌글리콜,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 뇌질환은 알쯔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치매 및 인지기능장애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 뇌질환은 인지기능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잔대는 잔대의 꽃, 잎, 줄기, 열매, 종자,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잔대는 잔대의 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헥산, 부틸렌글리콜,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삭제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 뇌질환은 알쯔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치매 및 인지기능장애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 뇌질환은 인지기능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경을 원인으로 발생한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065700A 2012-06-19 2012-06-19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00A KR101424097B1 (ko) 2012-06-19 2012-06-19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00A KR101424097B1 (ko) 2012-06-19 2012-06-19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62A KR20130142462A (ko) 2013-12-30
KR101424097B1 true KR101424097B1 (ko) 2014-07-28

Family

ID=4998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700A KR101424097B1 (ko) 2012-06-19 2012-06-19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0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29A (ko) * 2000-11-04 2002-05-11 김정상 잔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당강하용 조성물
KR20110105206A (ko) * 2010-03-18 2011-09-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향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및 폐경기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29A (ko) * 2000-11-04 2002-05-11 김정상 잔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당강하용 조성물
KR20110105206A (ko) * 2010-03-18 2011-09-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향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및 폐경기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March 2004, Volume 10, Issue 1, pp 78-80 *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March 2004, Volume 10, Issue 1, pp 78-8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62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Snafi The pharmacological importance of Benincasa hispida. A review
KR101601860B1 (ko) 신경질환의 치료 및 기억력 감퇴 개선용 생약 조성물
Powanda et al. Celery seed and related extracts with antiarthritic, antiulcer,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KR101225486B1 (ko)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6381818B2 (ja) キツネノマゴ属植物の抽出物または分画物を含む組成物
CN109568538B (zh) 包含水飞蓟、姜黄、甘草以及决明子的宿醉消解用组合物
KR102225574B1 (ko)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8472325B (zh) 包含蜂斗菜叶提取物的用于改善记忆力的组合物
Navarrete et al. Gastroprotective activity of the stem bark of Amphipterygium adstringens in rats
JP2008231031A (ja) デヒドロエピアンドロステロン産生促進剤およびその用途
WO2006083050A1 (en) Pulsatilla spp. extracts effective in brain function
WO2018190501A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24097B1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경기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3541B1 (ko) 알코올성 간손상 내지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2711A (ko) 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0966B1 (ko) 침향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94974B1 (ko) 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08283671B (zh) 文冠果种壳提取物及其在治疗和/或预防多发性硬化药物中的应用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35107A (ko)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2767A (ko) 우엉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완화,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142838B1 (ko) 향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및 폐경기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79963A (ko)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코티졸 분비 조절용 조성물
WO2001039785A1 (fr) Formulation contenant un extrait de feuille de cacahouet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