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261B1 -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 - Google Patents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261B1
KR101423261B1 KR1020120046230A KR20120046230A KR101423261B1 KR 101423261 B1 KR101423261 B1 KR 101423261B1 KR 1020120046230 A KR1020120046230 A KR 1020120046230A KR 20120046230 A KR20120046230 A KR 20120046230A KR 101423261 B1 KR101423261 B1 KR 10142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ransaction
server
providing terminal
authent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084A (ko
Inventor
권태복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2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말; 콘텐츠 구매자 단말의 콘텐츠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별로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 및 후술할 거래 인증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거래내역서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는 콘텐츠 거래 서버; 및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서를 바탕으로 해당 콘텐츠의 거래내역을 인증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생성하여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고, 상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로 전송하는 거래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transaction, and contents transaction server}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전자상거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립하고 콘텐츠 거래내역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contents)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콘텐츠의 대표적인 예로는 게임, 동영상, 음악, 전자책(e-book) 등이 있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는 그 특성상 오프라인보다는 주로 온라인을 통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 거래내역을 명확히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즉, 콘텐츠는 저작권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자, 콘텐츠 판매자 및 콘텐츠 구매자 간의 거래 실체를 명확히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현재는 콘텐츠를 판매하는 콘텐츠 판매자가 제공하는 거래내역을 통해 거래 실체를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거래내역을 콘텐츠 판매자에게 의존함으로 인하여 거래내역의 신뢰성을 콘텐츠 판매자의 도덕성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때로 콘텐츠 제공자, 콘텐츠 판매자, 또는 콘텐츠 구매자 간에 분쟁의 소지가 되기도 한다.
이에,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거래의 투명성 및 신뢰성 재고를 위해, 콘텐츠 거래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안이 있었다. 즉, 콘텐츠에 고유번호를 부여한 후 고유번호 체계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제시된 URN(Universal Resource Names)이 그 대표적인 예이며, 이러한 URN의 하나로 콘텐츠의 저작권 추적을 위하여 개발된 대표적인 식별자로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 디지털 객체 식별자) 등이 있다. 현재까지도 DOI는 콘텐츠의 식별체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의 거래내역이 여전히 콘텐츠 판매자 중심으로 관리됨으로 인하여 콘텐츠 거래에 대한 투명성 및 신뢰성 확립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예컨대, 콘텐츠 판매자가 콘텐츠의 거래내역을 콘텐츠 제공자 및 콘텐츠 구매자에게 제공할 때 개략적인 거래내역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자나 콘텐츠 구매자가 실질적인 콘텐츠 거래량 및 실시간 판매 현황 등에 대한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개략적인 거래내역만으로는 콘텐츠 거래에 대한 투명성 및 신뢰성이 확보될 수 없다. 또한 기존에는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 판매자로부터 제공된 거래내역을 관리하는데 있어, 별도의 정산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하므로, 정산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립할 수 있고, 콘텐츠 거래내역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말; 콘텐츠 구매자 단말의 콘텐츠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별로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 및 후술할 거래 인증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거래내역서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는 콘텐츠 거래 서버; 및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서를 바탕으로 해당 콘텐츠의 거래내역을 인증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생성하여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고, 상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로 전송하는 거래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와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은 콘텐츠 판매 정산을 위한 정산 프로그램으로서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서를 이전에 전송된 거래내역서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 해당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거래 인증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 해당하는 전체 콘텐츠 거래 서버들의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에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 콘텐츠 판매자 정보, 및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거래내역서에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 정보와 더불어, 콘텐츠 판매자 정보와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거래 서버는, 콘텐츠 구매자 단말의 콘텐츠 구매 요청에 따라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별로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 및 거래 인증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거래내역서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별로 생성하는 거래내역서 생성부; 상기 생성된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별로 저장하는 거래내역서 저장부; 및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는 거래내역확인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내역서 저장부는 상기 생성된 거래내역서를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이전에 생성되어 저장된 거래내역서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 해당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에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 콘텐츠 판매자 정보, 및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거래 방법은,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 구매자 단말의 콘텐츠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내역서를 생성하여 콘텐츠 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거래내역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 및 거래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거래내역서에 대응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수신하여,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래내역서의 콘텐츠 별 저장은, 상기 생성된 거래내역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이 이용하는 정산 프로그램과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이전에 생성되어 저장된 거래내역서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거래 방법은,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 해당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에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 콘텐츠 판매자 정보, 및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거래내역서에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 정보와 더불어, 콘텐츠 판매자 정보와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거래 시에 거래내역서가 콘텐츠 별로 저장 및 관리되고 거래내역서가 콘텐츠 제공 단말에 전달됨으로써 콘텐츠 거래내역이 명확해지고 관리가 용이해진다.
특히,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바탕으로 콘텐츠 별로 생성된 거래내역서가 콘텐츠 거래 서버와 콘텐츠 제공 단말이 공유하도록 관리되고, 거래내역서를 바탕으로 생성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가 콘텐츠 제공자 별로 관리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 측에서 콘텐츠의 거래내역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콘텐츠 거래의 투명성 및 신뢰성이 확립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거래 서버와 콘텐츠 제공 단말이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 단말은 별도의 정산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어서 비용이 절감되고 정산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된 거래 인증 서버를 통하여 불량한 콘텐츠 판매자로부터 콘텐츠 구매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의의 콘텐츠 제공자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거래 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래 인증 서버(10)가 콘텐츠 거래 서버(20)를 공인 사업체로 인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거래 서버(20)를 통하여 콘텐츠 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단말(10)의 거래내역 확인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의 거래내역 확인 과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 단말(1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거래 서버(2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구매자 단말(30), 그리고 거래 인증 서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콘텐츠 제공 단말(10)과 콘텐츠 거래 서버(20)와 콘텐츠 구매자 단말(30)과 거래 인증 서버(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서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콘텐츠 제공자에게 보유된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자는 게임, 동영상, 음악, 전자책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편집하여 제공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의 유통 및 판매는 콘텐츠 제공자가 아닌 콘텐츠 판매자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판매자가 동일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자는 다수가 존재하는 바, 콘텐츠 제공 단말(10) 역시 다수가 존재한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판매자에게 보유된다. 여기서 콘텐츠 판매자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콘텐츠 구매자에게 판매하고, 그에 따른 수익을 창출하며, 콘텐츠 제공자에게 콘텐츠 제공에 따른 급부를 지불하거나 수익의 일부를 분배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콘텐츠 판매자는 다수가 존재할 수 있는 바, 콘텐츠 거래 서버(20) 역시 다수가 존재할 수 있다. 한 콘텐츠 제공자가 여러 콘텐츠 판매자에게 자신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한 콘텐츠 판매자는 여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콘텐츠 구매자에게 보유된다. 콘텐츠 구매자는 콘텐츠 판매자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유상 또는 무상으로 구매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콘텐츠 구매자 역시 다수가 존재하는 바, 콘텐츠 구매자 단말(30) 역시 다수가 존재한다.
거래 인증 서버(40)는 콘텐츠 판매자의 심사, 운영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공인 인증 기관에 보유된다. 상기 공인 인증 기관은 콘텐츠 판매자의 갱신, 휴지, 폐지, 양수 등의 기타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소정의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디지털 콘텐츠는 저작권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콘텐츠 전송 시에,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해당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자 정보는, 콘텐츠 제공자의 이름 또는 사업자명, 사업자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암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 정보는 콘텐츠 거래 서버(20)가 콘텐츠 거래내역을 콘텐츠 별 및 콘텐츠 제공자 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콘텐츠 거래 서버(20)에서 콘텐츠 구매자 단말(30)과 콘텐츠 거래가 이루어지면,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해당 콘텐츠의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특정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거래내역의 확인을 요청하고, 해당 콘텐츠 거래 서버(20)가 그 콘텐츠 제공자에 대하여 관리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수신한다. 또한,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거래 인증 서버(40)로 거래내역의 확인을 요청하고, 거래 인증 서버(40)로부터 전체 콘텐츠 거래 서버들이 그 콘텐츠 제공자에 대하여 관리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수신한다.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콘텐츠 판매 정산을 위한 정산 프로그램으로서 콘텐츠 거래 서버(20)의 정산프로그램과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정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접속하여,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설치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판매 목적으로 저장 및 관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바,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관리한다. 예컨대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제공자마다 해당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한 콘텐츠의 리스트를 유지한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의 콘텐츠 구매 요청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 구매자 단말(30)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의 결재를 유도한다. 콘텐츠가 판매되면, 콘텐츠 거래 서버(30)는 콘텐츠 별로 거래내역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제공 단말(10), 콘텐츠 구매자 단말(30), 및 거래 인증 서버(40)로 전송한다. 상기 거래내역서는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의해 전자서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거래 인증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 및 관리한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특정 콘텐츠 제공 단말(10)로부터 거래내역의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 단말(10)로 전송한다. 또한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특정 구매자 단말(30)로부터 거래내역의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구매자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구매자 단말(30)로 전송한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판매 정산을 위한 정산 프로그램으로서 콘텐츠 제공 단말(10)과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에 특정 정산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콘텐츠 제공 단말(10)이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접속하여 설치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정산 프로그램의 제공은 콘텐츠 제공 단말(10), 즉 콘텐츠 제공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콘텐츠를 구매하고, 콘텐츠 구매를 위한 결재를 수행한다. 콘텐츠 구매 또는 결재 시에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한다. 콘텐츠 구매가 완료되면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이때 콘텐츠의 전송 방식은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이 될 수 있다. 콘텐츠 거래 서버(20)와 콘텐츠 거래가 이루어지면,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해당 콘텐츠의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특정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거래내역의 확인을 요청하고,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수신한다. 또한,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거래 인증 서버(40)로 거래내역의 확인을 요청하고,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수신할 수도 있다.
거래 인증 서버(40)는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고, 상기 거래내역서를 바탕으로 해당 콘텐츠의 거래내역을 인증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생성하여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한다. 여기서 '거래내역의 인증'이란 거래 당사자 간의 재화 또는 서비스의 거래내역을 공인 인증 기관이 확인 및 증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에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 콘텐츠 판매자 정보,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는 일련번호, 거래일시, 거래대상, 이용금액, 이용조건, 결재수단, 이용권한, 콘텐츠의 타입, 콘텐츠 구매자 ID, 콘텐츠 거래 서버(20)에게 부여된 거래 인증 표지의 번호, 콘텐츠 거래 서버(20)의 홈페이지, 콘텐츠 제공자의 사업자번호, 거래내역확인서의 발급일시 및 발급기관명, 콘텐츠 거래 서버(20)의 전자서명, 거래 인증 서버(40)의 전자서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거래 인증 서버(40)는 상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해당 거래내역서를 전송한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거래 서버는 다수가 존재할 수 있는 바, 거래 인증 서버(40)는 다수의 콘텐츠 거래 서버들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서를 바탕으로 콘텐츠 제공자 별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생성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즉, 각 콘텐츠 제공자마다 관리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는, 여러(또는 전체) 콘텐츠 거래 서버들에서의 거래내역에 따른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가 된다. 따라서 특정 콘텐츠 제공 단말(10)로부터 거래내역의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거래 인증 서버(40)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여러(또는 전체) 콘텐츠 거래 서버들의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 단말(10)로 전송한다. 따라서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모든 콘텐츠 거래 서버들에 대하여 자신이 제공한 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 콘텐츠 구매자 단말(30)로부터 거래내역의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거래 인증 서버(40)는 해당 콘텐츠 구매자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구매자 단말(40)로 전송한다.
한편, 거래 인증 서버(40)는 콘텐츠 거래 서버(20)가 공인 사업체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거래 인증 서버(40)는 콘텐츠 거래 서버(20)를 보유하는 콘텐츠 판매자에게 거래 인증 표지를 부여하여 콘텐츠 거래의 공인 사업체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인증 표지에는 거래인증표지번호, 발급일시, 신청자의 사업자명, 사업자번호, 주소, 대표자명, 전화번호, URL, 사업아이템과 관련된 콘텐츠 분류, 거래 인증 표지를 발급한 발급기관의 발급기관 정보, 거래 인증 서버(40)의 전자서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급기관 정보는 발급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대표자명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인증 서버(40)는 거래 인증 표지의 발급을 신청한 콘텐츠 거래 서버(20) 및 해당 콘텐츠 판매자의 심사 및 신원확인 등을 실시하고 해당 콘텐츠 판매자에게 거래 인증 표지의 발급 및 등록을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판매자는 거래 인증 서버(40) 측에서 별도로 규정하는 기술능력, 재정능력, 시설 및 장비 등 필요한 사항을 갖추어야 콘텐츠 거래의 공인 사업체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거래 인증 서버(40)로부터 거래 인증 표지를 부여받은 공인 사업체의 자격으로 콘텐츠를 판매할 수 있으며, 콘텐츠 판매에 따른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거래 인증 서버(4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 거래 서버(20)가 콘텐츠 거래의 공인 사업체에 해당함을 인정함으로써, 불량한 콘텐츠 판매자로부터 콘텐츠 구매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의의 콘텐츠 제공자 역시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서, 콘텐츠 거래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거래 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낸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인증서비스 동의부(210), 정산 프로그램 제공부(220), 거래내역서 관리 모듈(230), 거래내역확인서 관리 모듈(240), 거래내역 관리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나아가 거래내역서 관리 모듈(230)은 거래내역서 생성부(231) 및 거래내역서 저장부(232)를 포함하고, 거래내역확인서 관리 모듈(240)은 거래내역확인서 저장부(241) 및 거래내역확인서 목록 생성부(242)를 포함한다.
거래인증서비스 동의부(21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 또는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에 대하여, 거래인증 서비스에 동의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정산 프로그램 제공부(220)는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구비된 정산 프로그램과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콘텐츠 제공 단말(1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정산 프로그램 제공부(22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이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구비된 정산 프로그램과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정산 프로그램 제공부(22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이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접속하여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설치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정산 프로그램 제공부(220)는 위와 같은 정산 프로그램의 제공 전에 콘텐츠 제공 단말(10)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거래내역서 관리 모듈(230)은 콘텐츠 구매자 단말(30)과의 콘텐츠 거래시에, 콘텐츠 별 거래내역서를 생성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거래내역서 생성부(231)는 콘텐츠 거래가 이루어지면 해당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내역서를 생성한다. 상기 거래내역서에는 일련번호, 생성일시, 거래인증표지의 등록번호, 거래번호, 거래시간, 거래장치의 ID, 콘텐츠의 식별자, 콘텐츠의 타입, 콘텐츠 판매자의 사업자등록번호, 사용권한, 사용조건, 콘텐츠의 수량, 거래금액, 결재수단, 전자서명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의 식별자와 타입은 URN의 일종인 DOI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권한은 읽기만 가능한지, 아니면 편집이나 재판매가 가능한지의 유무를 나타내고, 사용조건은 콘텐츠의 사용기간 예컨대 1회만 사용할 수 있는지 아니면 1일 동안 사용할 수 있는지 등을 나타낸다. 상기 거래내역서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 콘텐츠 판매자 정보, 그리고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래내역서에 콘텐츠 제공자 정보가 포함됨으로써,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거래내역을 콘텐츠 별 및 콘텐츠 제공자 별로 관리할 수가 있다. 거래내역서 저장부(232)는 거래내역서 생성부(231)에서 생성된 콘텐츠 별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한다. 거래내역서 저장부(232)는 각 콘텐츠마다의 거래내역서를 저장함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거래내역서를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이전에 생성되어 저장된 거래내역서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산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단말(10)이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일 수 있다.
거래내역확인서 관리 모듈(240)은 거래 인증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거래내역확인서 저장부(241)는 거래 인증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한다. 거래내역확인서 저장부(241)는 콘텐츠 제공자마다 해당 콘텐츠 제공자의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거래내역확인서 목록 생성부(242)는 콘텐츠 제공 단말(10)의 거래내역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에 제공하기 위한 해당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의 목록을 생성한다.
거래내역 관리부(250)는 관리자 또는 컨텐츠 제공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거래내역서 및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의 수정 또는 폐기를 수행한다. 이러한 수정 또는 폐기는 예컨대 거래내역서 및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가 오작성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거래내역 관리부(250)는 필요에 따라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래 인증 서버(10)가 콘텐츠 거래 서버(20)를 공인 사업체로 인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거래 인증 서버(40)로 공인 사업체 인정을 요청한다(S310). 이때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공인 인증 기관이 규정하는 기술능력, 재정능력, 시설 및 기타 장비 등의 필요한 사항을 갖추어 관련 증빙서류를 첨부한다. 그러면 거래 인증 서버(40)는 소정의 심사기준 및 절차에 따라 기술능력, 재정능력, 시설 및 기타 장비 등의 적합성을 심사하여 공인 사업체로서의 인정 여부를 결정한다(S320). 만일 심사기준에 부적합하면, 거래 인증 서버(40)는 해당 콘텐츠 판매자를 공인 사업체로 인정하는 것을 거부한다는 것을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통지한다. 심사기준에 적합한 경우, 거래 인증 서버(40)는 해당 콘텐츠 판매자를 공인 사업체로 인정하여 등록하고, 거래 인증 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콘텐츠 거래 서버(20)에게 거래 인증 표지를 발급하고 또한 거래 인증 마크를 발급한다(S330). 후술하겠지만, 거래 인증 마크는 콘텐츠 거래 서버(20)의 홈페이지에 표시되며, 콘텐츠 구매자는 이 거래 인증 마크를 통해 해당 콘텐츠 판매자가 공인된 사업체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거래 서버(20)를 통하여 콘텐츠 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로 거래인증 서비스의 동의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11).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이에 응답하여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거래인증 서비스에 동의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12). 그 결과 콘텐츠 거래 서버(20)와 콘텐츠 제공 단말(10) 간에 거래인증 서비스의 동의가 이루어진다. 콘텐츠 제공 단말(10)이 콘텐츠 거래 서버로 거래인증 서비스에 동의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에,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제공 단말(20)로 콘텐츠 거래 서버(20)가 사용하는 정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S413). 그러면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정산 프로그램을 설치한다(S414). 이와 같이 콘텐츠 거래 서버(20)와 콘텐츠 제공 단말이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콘텐츠 거래 서버(20)와 콘텐츠 제공 단말에서 정산 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제공 단말(10)에 정산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콘테츠 제공 단말(10)이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접속하여 콘텐츠 거래 서버(20)에 설치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소정의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전송한다(S421). 콘텐츠 제공 단말(10)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수신한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고 관리한다(S422).
콘텐츠의 판매를 위하여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웹(web) 등을 통하여 콘텐츠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한다. 공인 사업체로 인정된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거래 인증 마크를 표시하고, 접속자(콘텐츠 구매자)에 의해 거래 인증 마크가 클릭되면 거래 인증 서버(40)에게 거래 인증 표지를 요청한다. 거래 인증 서버(40)는 콘텐츠 거래 서버(20)의 거래 인증 표지를 찾아서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전송한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수신한 거래 인증 표지를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시한다. 콘텐츠 구매자는 이 거래 인증 표지를 확인함으로써 콘텐츠 판매자가 공인 사업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구매자는 그 콘텐츠 판매자에 대하여 신뢰를 가지고 콘텐츠의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콘텐츠 구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구매자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 거래 서버(20)의 요청에 따라 결재를 수행한다(S423). 결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구매자 단말(30)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S424).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콘텐츠 거래 서버(20)와 콘텐츠 구매자 단말(30)간에 콘텐츠 거래가 이루어지면,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콘텐츠 거래에 대한 거래내역서를 생성한다(S425). 그리고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생성된 거래내역서를 저장하는데(S426), 이때 콘텐츠 별로 거래내역서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생성된 거래내역서를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이전에 생성되어 저장된 거래내역서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상기 생성된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제공 단말(10)로 전송하고(S427), 또한 거래 인증 서버(40)로 전송한다(S428). 경우에 따라,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구매자 단말(30)로도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거래내역서를 수신한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판매된 콘텐츠의 카운팅 및 누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거래 서버(20)가 이용하는 정산 프로그램은 콘텐츠 거래 서버(20)에서 실행되는 정산 프로그램과 동일한 것인 바,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수신한 거래내역서를, 이전에 수신하여 저장된 거래내역서에 누적하여 저장한다(S429). 이와 같이 콘텐츠 거래 서버(20)가 거래내역서를 생성할 때마다 생성된 거래내역서가 콘텐츠 제공 단말(10)로 전송되고,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전송된 거래내역서를 누적하여 저장하게 된다. 콘텐츠 제공자는 이렇게 누적된 거래내역서를 통해 콘텐츠 거래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래 인증 서버(40) 또는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제공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와 상기 누적된 거래내역서를 비교함으로써 거래내역을 더욱 명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거래 인증 서버(40)는 콘텐츠 거래 서버(20)로부터 수신한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고 관리한다(S430). 그리고 거래인증서버(40)는 수신한 거래내역서를 바탕으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생성하여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고 관리한다(S431). 이렇게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 및 관리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는 차후에 콘텐츠 제공자 또는 콘텐츠 구매자로부터 거래내역의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에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다만 특정 콘텐츠 거래 서버에게 거래내역의 확인을 요청하고, 해당 콘텐츠 거래 서버로부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이를 위하여 거래 인증 서버(40)는 상기 생성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전송하고(S432),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거래 인증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 및 관리한다(S433).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에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 콘텐츠 판매자 정보,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포함되는 바, 콘텐츠 제공 단말(10), 콘텐츠 거래 서버(20),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이들 정보를 서로 공유하게 되므로, 콘텐츠 거래내역이 더욱 명확하고 투명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단말(10)의 거래내역 확인 과정을 나타낸다.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거래내역 확인 요청을 전송한다(S511).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그에 응답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로 콘텐츠 거래 서버(20)가 관리하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전송한다(S512). 이때 전송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와 콘텐츠 판매자 정보는 포함시키지 않고 콘텐츠 구매자 정보만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의 수정은 콘텐츠 거래 서버(20)의 거래내역확인서 관리 모듈(24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콘텐츠 제공 단말(10)은 특정 콘텐츠 판매자 또는 콘텐츠 거래 서버의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거래내역 확인 요청을 할 수 있으나, 만일 전체 콘텐츠 판매자 또는 전체 콘텐츠 거래 서버들에 자신이 제공한 콘텐츠의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거래 인증 서버(40)로 거래내역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513). 그러면 거래 인증 서버(40)는 그에 응답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로 거래 인증 서버(40)가 관리하는, 해당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전체 콘텐츠 거래 서버들의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전송한다(S514). 이때 전송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는 콘텐츠 판매자 정보와 콘텐츠 구매자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의 거래내역 확인 과정을 나타낸다.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거래내역 확인 요청을 전송한다(S611). 콘텐츠 거래 서버(20)는 그에 응답하여 콘텐츠 구매자 단말(30)로 콘텐츠 거래 서버(20)가 관리하는, 해당 콘텐츠 구매자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전송한다(S612). 도 5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구매자 단말(30)은 특정 콘텐츠 판매자 또는 콘텐츠 거래 서버와의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콘텐츠 거래 서버(20)로 거래내역 확인 요청을 할 수 있으나, 전체 콘텐츠 판매자 또는 전체 콘텐츠 거래 서버들과의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거래 인증 서버(40)로 거래내역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613). 그러면 거래 인증 서버(40)는 그에 응답하여 콘텐츠 구매자 단말(30)로 거래 인증 서버(40)가 관리하는, 해당 콘텐츠 구매자에 대한 전체 콘텐츠 거래 서버들의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전송한다(S614).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말;
    콘텐츠 판매 정산을 위한 정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과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콘텐츠 구매자 단말의 콘텐츠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내역서를 콘텐츠 별로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 및 후술할 거래 인증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거래내역서에 대한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는 콘텐츠 거래 서버; 및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서를 바탕으로 해당 콘텐츠의 거래내역을 인증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생성하여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고, 상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로 전송하는 거래 인증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 해당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거래 인증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 해당하는 전체 콘텐츠 거래 서버들의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에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 콘텐츠 판매자 정보, 및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서를 이전에 전송된 거래내역서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거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서에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 정보와 더불어, 콘텐츠 판매자 정보와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거래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 단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거래 서버, 거래 인증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구매자 단말을 포함하는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코텐츠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가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가 상기 콘텐츠 구매자 단말의 콘텐츠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가 상기 전송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내역서를 생성하여 콘텐츠 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가 상기 거래내역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 및 거래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거래내역서에 대응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수신하여,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 해당하는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인증 서버가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 해당하는 상기 콘텐츠 거래 서버들 전체의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된 거래내역확인서에는 콘텐츠 제공자 정보, 콘텐츠 판매자 정보, 및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콘텐츠 별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거래내역서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이 이용하는 정산 프로그램과 동일한 정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이전에 생성되어 저장된 거래내역서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거래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서에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 정보와 더불어, 콘텐츠 판매자 정보와 콘텐츠 구매자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거래 방법.
KR1020120046230A 2012-05-02 2012-05-02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 KR10142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230A KR101423261B1 (ko) 2012-05-02 2012-05-02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230A KR101423261B1 (ko) 2012-05-02 2012-05-02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084A KR20130123084A (ko) 2013-11-12
KR101423261B1 true KR101423261B1 (ko) 2014-07-29

Family

ID=4985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230A KR101423261B1 (ko) 2012-05-02 2012-05-02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26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090B1 (ko) 2017-11-01 2019-03-04 (주)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55647B1 (ko) 2019-09-06 2020-09-14 주식회사 테르텐 구매증빙 관리서버의 동작방법과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거래관리 방법
KR102197695B1 (ko) 2020-08-07 2021-01-0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저작권의 상업적 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8099B1 (ko) 2020-09-28 2021-02-22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이용허가 시스템에서 저작권료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9685A (ko) 2020-09-04 2021-03-16 주식회사 테르텐 구매증빙 관리서버의 동작방법과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거래관리 방법
KR102260176B1 (ko) 2020-12-23 2021-06-0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의 광고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3940A (ko)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3939A (ko)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431A (ko) * 2004-09-22 2006-03-28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4321A (ko) * 2009-04-15 2010-10-25 한국콘텐츠진흥원 디지털 콘텐츠 거래내역 인증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431A (ko) * 2004-09-22 2006-03-28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4321A (ko) * 2009-04-15 2010-10-25 한국콘텐츠진흥원 디지털 콘텐츠 거래내역 인증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네이버 블로그, 2012.03.23)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090B1 (ko) 2017-11-01 2019-03-04 (주)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55647B1 (ko) 2019-09-06 2020-09-14 주식회사 테르텐 구매증빙 관리서버의 동작방법과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거래관리 방법
KR20210123940A (ko)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3939A (ko)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7695B1 (ko) 2020-08-07 2021-01-0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저작권의 상업적 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9685A (ko) 2020-09-04 2021-03-16 주식회사 테르텐 구매증빙 관리서버의 동작방법과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거래관리 방법
KR102218099B1 (ko) 2020-09-28 2021-02-22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이용허가 시스템에서 저작권료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0176B1 (ko) 2020-12-23 2021-06-0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의 광고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084A (ko)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261B1 (ko)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
KR1023882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JP4509611B2 (ja) 電子署名保証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装置
JP3919041B2 (ja) 決済システム
CN113261029A (zh) 操作管理装置
US20040034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and reselling
RU2402814C2 (ru) Сетевые коммерческие транзакции
US200501826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conomical e-commerce shopping token for validation of online transactions
JP2007526583A (ja) 貴重なアイテムを登録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RU2635874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ых транзакций электронной коммерции
KR20130025663A (ko) 소셜 커머스 기반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8356A (ko)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JP3843093B2 (ja) 決済システム
JP3902151B2 (ja) 取引管理装置、および、取引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憶媒体
KR20070078340A (ko)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JP2003233717A (ja) 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電子決済方法
JP5858491B2 (ja) 取引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取引方法
KR100653384B1 (ko)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JP2007066136A (ja) ネットワーク決済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決済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決済プログラム
KR100923412B1 (ko)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193058B1 (ko) 도메인-디지털 자산 연동 기반 저작권 과금 및 수익 분배 방법 및 시스템
JP2003132255A (ja) スタンプサービスポイント管理装置およびスタンプサービスポイント管理方法
KR101229875B1 (ko) 인센티브 적용방법
JP4247031B2 (ja) 配達システム
KR20010081294A (ko)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상품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