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412B1 -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412B1
KR100923412B1 KR1020070136425A KR20070136425A KR100923412B1 KR 100923412 B1 KR100923412 B1 KR 100923412B1 KR 1020070136425 A KR1020070136425 A KR 1020070136425A KR 20070136425 A KR20070136425 A KR 20070136425A KR 100923412 B1 KR100923412 B1 KR 10092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tc
time information
real time
terminal device
time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702A (ko
Inventor
오지영
권오인
유태호
양중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4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4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부팅 실행 시의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단말 초기시간과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 단말장치, 컨텐츠 단말장치와의 메시지 교환 프로세싱을 통해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고, 엑세스 라인을 토대로 컨텐츠 단말장치와 외부 네트워크 간 연결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및 시간 정보의 재설정에 대한 요청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컨텐츠 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시간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컨텐츠 단말장치는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불가한 단말장치가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가 리셋(Reset)되는 경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함에 따라, 단말 내의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DRM 적용된 컨텐츠의 유효 기간을 매우 정확하게 카운팅할 수 있다.
RTC

Description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REAL TIME CLOCK, AND APPARATUS TO THE SAME}
본 발명은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불가한 단말장치(예컨데, 전자북 단말장치)가 배터리 부족 등의 이유로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가 리셋(Reset)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기 위한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인프라 구축, 통신환경개선 등과 함께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하여 증가추세를 유지할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상거래가 가능하게 되고, 정보 제공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과 더불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이 가능해짐에 따라 종이를 이용한 책으로 판매되던 일반 서적 등도 전자북 으로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전자북(e-Book ; Electronic Book)이란 지식과 정보의 콘텐츠를 종이 매체를 이용하지 않고 디지털(digital) 형태로 출간된 책(file)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전자북은 전차책을 읽을 수 도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PC나 전용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해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장치(device)를 통칭해 전자북으로 칭하기도 한다. 즉, 넓은 의미에서 컨텐츠가 포함된 모든 소프트웨어적, 하드웨어적인 미디어물 전체를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책자의 유통구조에 있어서 저자는 출판소나 서점에서 유통되는 물량을 확인하기 어려워 불합리한 결제가 이루어지는 사례가 빈번하였던 바, 이는 저자는 인쇄 물량, 판매 물량, 재고관리, 수금 상황등을 제작 의뢰한 출판소나 서점에 전적으로 의존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인세 산출을 하기에 매우 어려운 실정에 있었다 하겠다. 더욱이 인터넷을 통한 전자유통에 있어서는 전문가가 아니면 그 유통 상황을 파악하기는 역시 어려운 실정이라 하겠다.
일반적인 경우 전자북의 유통에 있어서, 전자북 솔루션 개발업체는 전자북 제작용 프로그램을 판매함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그 솔루션 구매자는 자율적으로 전자북을 제작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자북 솔루션 개발업체가 전자북 읽기용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배포한후 직접서점을 운영하고 동시에 컨텐츠 소유자와 계약관계를 맺고 전자북을 직접 제작하여 유통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유통 결제에 있어서는, 전자북을 판매하는 서점이 은행 구좌 를 개설하고 여러 가지 결제 수단을 통하여 그 구좌로 최종 입금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북 유통 시스템은 등록한 회원들에 대하여 전자북의 제작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북 편집 프로그램(editor) 및 제작 발간된 전자북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리더 프로그램(reader)의 제공을 허용 관리하며, 발간된 전자북을 유통하기 위하여 전자서점 및 금융결제시스템과 가맹계약 및 관리하는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과,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과의 가맹계약을 통해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되며,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전자북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제작되어 저작자(출판사)로부터 판매 의뢰된 전자북을 관리하며,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증키를 전자북에 삽입하여 불법 복제사용을 방지하고, 전자북정보와 전자북 판매 및 결제,정산을 위한 부가정보를 금융결제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저작자의 희망가격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판매를 담당하는 전자서점시스템과,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등록된 정보를 전자서점코드별로 인덱스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에 전자서점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전자북 정보와 저작자정보를 기록저장하고, 사용자가 전송한 전자서
점시스템 정보와 사용자의 회원 ID를 이용하여 전자서점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전자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출력)하여 확인하고, 사용자와의 결제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전자서점시스템에 통보 및 판매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며, 일정기간마다 결제된 금액에 대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비율(마진)에 따라 정산하여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 전자서점시스템, 저작자에게 정산 금액을 송금하는 금융결제시스템과,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리더 프로그램인 전자북 응용 프로그램과 인증키를 다운받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전자북 구매시 전자서점시스템에 인증키를 전송하여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유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제작,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된 전자북을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된 전자서점시스템에 전송하고, 전송한 전자북에 대한 판매희망가격, 저작자정보(출판사정보)를 전송하는 저작자(출판사)의 판매의뢰과정과, 저작자(출판사)로부터 전송받은 전자북에 대하여 제품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전자서점코드와 전자북 정보 및 전자북 판매 및 결제,정산을 위한 부가정보를 금융결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자서점시스템의 판매대행등록과정과,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과의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맹 금융결제시스템에서는 전자서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서점코드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전자서점코드 데이터에 입수날짜, 제품가격과 전자서점으로부터 전송받은 전자북 정보 및 부가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금융결제시스템등록과정과, 전자서점시스템에서는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인증키를 부여받은 사용자가 인증키를 전송하면, 이를 전송받아 사용자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고,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북에 대하여 구매신청을 하게 되면, 전자서점에서는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키를 사용자가 구매신청한 전자북에 기록하고, 해당 전자북을 임시의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구매요청과정과, 구매요청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해당하는 금융결제 시스템에 구매신청한 전자서점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회원 ID를 전송하여 금융결제시스템에 결제요청하는 과정과, 금융결제시스템에서는 전송받은 전자서점시스템 정보와 회원ID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서점 시스템에 연결하여 임시의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북의 제품일련번호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북명과 판매가격 등을 인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출력)하는 결제금액확인과정과, 금융결제시스템에서는 이후 사용자가 결제금액을 확인하고, 원하는 결제방법을 선택하여 결제완료하게 되면, 이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전자서점시스템으로 결제 완료되었음을 알리고, 이의 전자북의 판매날짜, 구매자 정보(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결제방법을 저장하는 결제 과정과, 전자서점시스템에서는 금융결제시스템으로부터 결제완료되었음을 통보하게 되면, 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구매신청한 전자북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허가하고, 임시의 기록을 삭제하면서, 구매신청한 사용자에게 영수증을 표시(출력)하는 전자북 다운로드허가과정과, 금융결제시스템에서는 정해진 기간마다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판매정보를 정산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부가 정보에 따라서, 전자북 사업자 시스템, 저작자, 전자서점으로 해당금액을 송금하는 정산과정의 실행 과정으로 이루어져 구현된다.
또한, 전자북 유통 시스템에서는 전자북을 이루는 컨텐츠에 DRM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에 대한 유효 기간을 설정하여 해당하는 기간 동안만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작권 보호를 지향하는 전자북 유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가 전자북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전자북의 컨텐츠를 다운 로드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을 경우, 매번 필요시마다 통신 기능이 있는 단말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해당하는 전자북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으로 구현되고 있다.
여기서, 전자북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DRM(예컨데,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유효 기간에 대한 설정)이 적용된 전자북의 컨텐츠를 실행하게 되면, 단말 자체적으로 컨텐츠에 설정된 유효 기간을 카운팅하기 위해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를 활용한다.
하지만, 전자북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가 리셋(Reset)되면, 전자북의 컨텐츠에 기 설정된 유효 기간을 확인하여 컨텐츠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여지가 없어지는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불가한 단말장치(예컨데, 전자북 단말장치)가 배터리 부족 등의 이유로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가 리셋(Reset)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 여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기 위한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설정되는 RTC(Real Time Clock)를 기반으로 하여 DRM이 걸린 컨텐츠에 대한 유효 기간을 정확하게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한을 보호하기 위한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RTC 설정 시스템은, 부팅 실행 시의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단말 초기시간과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 단말장치,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와의 메시지 교환 프로세싱을 통해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엑세스 라인을 토대로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와 외부 네트워크 간 연결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에 대한 요청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시간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는 상기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초기시간은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의 리셋(Reset)으 로 인한 부팅 실행 시에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모뎀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뎀은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에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와 USB 연결을 통해 상기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거나,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RTC 설정장치는, 부팅 실행 시의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 1 버퍼, 프로세싱 리셋(Reset)에 대응하여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도록 기 형성되는 단말 초기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버퍼,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단말 초기시간 간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비교기,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간정보 제공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공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USB 연결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행하여 기 설정된 메시지 교환 프로세싱을 토대로 상기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RTC 설정 방법은, (가) 부팅 실행 시의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나) 상기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단말 초기시간과 매칭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다)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와의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엑세스 라인을 토대로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단계, (라)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에 대한 요청을 실행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형성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마) 상기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TC 설정 방법은 (바) 상기 재설정한 RTC(Real Time Clock)를 이용하여 DRM 적용된 컨텐츠의 유효 기간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 단계는 프로세싱 리셋(Reset)으로 인한 부팅 실행 시,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을 상기 단말 초기시간인 것으로 하여 상기 시간 정보와 매칭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싱 리셋(Reset)은 RTC(Real Time Clock) 레지스터를 리딩하는 기저대역 오류, 단말에 대한 전원공급 중단 및 RTC(Real Time Clock) 를 구현하는 전원 차단 중 적어도 하나를 원인으로 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 단계는 상기 시간 정보와 상기 단말 초기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설정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하여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하는 메시지 교환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불가한 단말장치(예컨데, 전자북 단말장치)가 배터리 부족 등의 이유로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가 리셋(Reset)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함에 따라, 단말 내의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DRM 적용된 컨텐츠의 유효 기간을 매우 정확하게 카운팅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TC 설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불가한 컨텐츠 단말장치가 배터리 부족 등의 이유로 전자북의 컨텐츠에 적용되는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가 리셋(Reset)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가 외부 네트워크에 통신 접속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 우선 접속하여 통신 연결을 실행한 후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함으로써, 컨텐츠 단말장치에서의 DRM이 걸린 컨텐츠에 대한 유효 기간을 정확하게 확인하여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컨텐츠 단말장치는 DRM이 적용되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단말장치이며, 예컨데 전자북의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전자북 단말장치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자북 단말장치를 일실시 예로 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RTC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북 단말장치(100) 내의 시간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매번 부팅 실행하면서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시간 정보를 기 설정된 단말 초기시간(예컨데, 단말 내의 프로세싱이 초기화된 후, 단말의 운용을 위해 재설정되기 위한 시간)과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며, 이렇게 판별한 결과에 따라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의 재설정 여부를 결정한 후 재설정 결정을 토대로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전자북 단말장치(100), 상기 전자북 단말장치(100)의 시간 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프로세싱에 기반하여 시작되는 메시지 교환 프로세싱을 통해 상호 간 통신을 위한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고, 형성한 엑세스 라인를 기초로 하여 전자북 단말장치(100)와 외부 네트워크 간 연결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200),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200)의 통신 중계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북 단말장치(100)의 시간 정보의 재설정에 대한 요청에 대응하여 현재 시간정보를 형성하고, 이러한 현재 시간정보를 상기 전자북 단말장치(100)로 전달하기 위한 시간정보 제공서버(3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북 단말장치(100)는 시간정보 제공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통신 디바이스(200)와의 엑세스 라인을 통해 제공받은 후, 현재 시간정보를 기토로 하는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한다.
이후로, 전자북 단말장치(100)는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여 기동되는 단말 내 DRM 설정된 컨텐츠의 유효 기간을 정확하게 카운팅하게 되며, 이를 통해 단말 내 컨텐츠의 저작권한에 대한 자체 인증을 실행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전자북 단말장치(100)에서 시간 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방안은 상기와 같은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즉 RTC 설정장치(110)를 구현하여 전자북 단말장치(100)에 부가하거나, 전자북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부품 소자 및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를 제공받아 기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디바이스(200)는 전자북 단말장치(100)와의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는 것 과, 시간정보 제공서버(300)와 통신 연결하기 위한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 전자북 단말장치(100)에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모뎀 형식으로 구현되거나, 이동통신 및 무선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00)로 구현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장치(100)는 전자북 단말장치(100)와 USB 연결을 통해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거나, 전자북 단말장치(1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시간정보 제공서버(300)는 현재 시간정보를 실시간으로 형성하여 구비하며 접속하는 단말장치(100)에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구현되는 서버이거나,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은 후 컨텐츠 제공 등의 서비스를 실행하면서 상기 현재 시간정보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통상의 웹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싱 리셋(Reset)은 RTC(Real Time Clock) 레지스터를 리딩하는 기저대역 오류, 단말에 대한 전원공급 중단 및 RTC(Real Time Clock)에 공급되는 전원차단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원인으로 하여 실행되는 과정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RTC 설정장치(110)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RTC 설정장치(110)는 부팅 실행 시의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 1 버퍼(111), 프로세싱 리셋(Reset)으로 인하여 부팅 실행 시 RTC(Real Time Clock)에 대응적으로 설정되기 위해 기 형성되는 단말 초기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버퍼(112), 매번 부팅 실행하면서 리딩되는 시간 정보가 단말 초기시간과 매칭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비교기(113), 이동통신망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200)와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15) 및 상기 비교기(113)를 통해 출력되는 판별 결과에 따라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위한 프로세싱을 실행하고, 이렇게 실행되는 프로세싱으로 통신 디바이스(200)와의 엑세스 라인을 형성한 후 시간정보 제공서버(300)와의 연결을 추가 실행하며, 시간정보 제공서버(300)에 시간정보의 재설정을 위한 요청을 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 모듈(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모듈(114)은 기 설정된 메시지 교환 프로세싱을 토대로 인터페이스(115)를 통하여 통신 디바이스(200)와 USB 연결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행함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200)와의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TC 설정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RTC 설정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RTC 설정 방법은 전자북 단말장치(100)의 부팅을 실행하면서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및 S102).
이후로, 상기 S100 및 S102 단계에서 확인한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단말 초기시간과 매칭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104), 시간 정보 및 단말 초기시간이 상호 매칭하는 것으로 판별결과가 형성되면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된 시간 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실행하게 된다(S106).
상기 S106 단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싱을 토대로 전자북 단말장치(100)는 통신 디바이스(200)와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실행하고(S108), 이에 응답하는 통신 디바이스(200)가 시간정보 제공서버(300)와 네트워크 연결함에 따라 전자북 단말장치(100) 및 시간정보 제공서버(300) 간의 통신 연결을 실행하게 된다(S110).
상기 S110 단계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자북 단말장치(100)는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된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요청하게 되고(S112), 이러한 요청을 제공받는 통신 디바이스(200)는 시간정보 제공서버(300)로 재전달하게 된다(S114).
이에 따라, 시간정보 제공서버(300)는 시간정보 재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현재 시간정보를 형성하게 되고(S116), 형성한 현재 시간정보를 통신 디바이스(200)를 거쳐 전자북 단말장치(100)로 전달한다(S118 및 S120).
이후로, 전자북 단말장치(100)는 제공받은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하여 RTC(Real Time Clock)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실행한다(S122).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불가한 단말장치(예컨데, 전자북 단말장치)가 배터리 부족 등의 이유로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시간 정보가 리셋(Reset)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관련된 서비스 및 장치에 대한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간정보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RTC 설정장치의 구성도,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간정보 설정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자북 단말장치 110 : 시간정보 설정장치
111 : 제 1 버퍼 112 : 제 2 버퍼
113 : 비교기 114 : 제어 모듈
115 : 인터페이스 200 : 통신 디바이스
300 : 시간정보 제공서버

Claims (12)

  1. 부팅 실행 시의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단말 초기시간과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 단말장치;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와의 메시지 교환 프로세싱을 통해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엑세스 라인을 토대로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와 외부 네트워크 간 연결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에 대한 요청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시간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는
    상기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초기시간은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의 리셋(Reset)으로 인한 부팅 실행 시에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모뎀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에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와 USB 연결을 통해 상기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거나, 상기 컨텐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시스템.
  6. 부팅 실행 시의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 1 버퍼;
    프로세싱 리셋(Reset)에 대응하여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도록 기 형성되는 단말 초기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버퍼;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단말 초기시간 간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비교기;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연 결된 시간정보 제공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공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USB 연결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행하여 기 설정된 메시지 교환 프로세싱을 토대로 상기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장치.
  8. (가) 부팅 실행 시의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나) 상기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단말 초기시간과 매칭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다)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와의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엑세스 라인을 토대로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단계;
    (라)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에 대한 요청을 실행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형성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마) 상기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RTC(Real Time Clock)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RTC 설정 방법은
    (바) 상기 재설정한 RTC(Real Time Clock)를 이용하여 DRM 적용된 컨텐츠의 유효 기간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는
    프로세싱 리셋(Reset)으로 인한 부팅 실행 시, RTC(Real Time Clock)에 설정되는 시간을 상기 단말 초기시간인 것으로 하여 상기 시간 정보와 매칭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리셋(Reset)은
    RTC(Real Time Clock) 레지스터를 리딩하는 기저대역 오류, 단말에 대한 전원공급 중단 및 RTC(Real Time Clock)를 구현하는 전원 차단 중 적어도 하나를 원인으로 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방법.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 단계는
    상기 시간 정보와 상기 단말 초기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RTC(Real Time Clock)에 대한 설정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하여 상기 시간 정보의 재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하는 메시지 교환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엑세스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C 설정 방법.
KR1020070136425A 2007-12-24 2007-12-24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0923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425A KR100923412B1 (ko) 2007-12-24 2007-12-24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425A KR100923412B1 (ko) 2007-12-24 2007-12-24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702A KR20090068702A (ko) 2009-06-29
KR100923412B1 true KR100923412B1 (ko) 2009-10-27

Family

ID=4099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425A KR100923412B1 (ko) 2007-12-24 2007-12-24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811B1 (ko) 2015-08-28 2021-10-0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시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7717A (ko) * 2004-12-30 2006-07-0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중버퍼 구조를 가진 타이머 회로
KR20060081288A (ko) * 2005-01-08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drm 기능 개선 방법
US20060265623A1 (en) 2003-03-20 2006-11-23 Dan Dinescu Mobile equipment with time control for drm schemes
KR100729308B1 (ko) 2005-08-02 2007-06-15 김성엽 기간제 서비스 콘텐츠 사용에 대한 정보데이터 교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5623A1 (en) 2003-03-20 2006-11-23 Dan Dinescu Mobile equipment with time control for drm schemes
KR20060077717A (ko) * 2004-12-30 2006-07-0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중버퍼 구조를 가진 타이머 회로
KR20060081288A (ko) * 2005-01-08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drm 기능 개선 방법
KR100729308B1 (ko) 2005-08-02 2007-06-15 김성엽 기간제 서비스 콘텐츠 사용에 대한 정보데이터 교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702A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080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gital media distribution
CN102422300B (zh) 基于用户标识的增强产品功能
CN107480964B (zh) 数字资产的定向转让方法、中央服务器及存储介质
CN101887549B (zh) 一种数字图书馆的图书获取系统
CN102938125A (zh) 合成应用和数据解决方案的市场
US8156567B2 (en) Softwar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py protection
KR101423261B1 (ko)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
KR20110045104A (ko)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213913B1 (ko)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장치
JP6963218B2 (ja) チケット有効性確認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472585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tracking distribution chains of digital resources and services
JP4920743B2 (ja) 知的所有権ライセンス契約仲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923412B1 (ko)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4516661B2 (ja) 知的所有権ライセンス契約仲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213818B1 (ko)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장치
JP2004030617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トランザクション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426225B1 (ko) 전자책 유통 시스템과 그 유통 방법
KR100509095B1 (ko) 컨텐츠 판매 시스템
KR20090022627A (ko) Smd 방식의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
JP6047076B2 (ja) Drmシステムを備える装置及びライセンスリポジトリ
KR20090006420A (ko) 메시지 푸시 방식의 전자북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단말
JPH1185863A (ja) 取引予約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12065353A (ja) ライセンスレポジトリデバイス、方法、及びレンダリングデバイス
KR20030059051A (ko) 컨텐츠 판매 방법
KR20000058835A (ko) 인터넷 소프트웨어 중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