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730B1 -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730B1
KR101422730B1 KR1020120073990A KR20120073990A KR101422730B1 KR 101422730 B1 KR101422730 B1 KR 101422730B1 KR 1020120073990 A KR1020120073990 A KR 1020120073990A KR 20120073990 A KR20120073990 A KR 20120073990A KR 101422730 B1 KR101422730 B1 KR 101422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osts
front frame
slid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702A (ko
Inventor
강현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7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6Non-skid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06C1/08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 E06C1/12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extensible, e.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2Ladders with a strut which is formed as a ladder and can be secured in line with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 E06C7/48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resting the ladder against or in a co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는, 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프레임을 포함하되, 전방프레임의 하단에는, 전방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회전하면서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뒤로 넘어지지 않게 지지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SLIDE TYPE LADDER}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타입의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사다리는 높은 곳이나 낮은 곳을 오르내릴 때 디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고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는 두 개의 포스트 사이에 발을 디딜 수 있는 다수 개의 발판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사다리를 이용함에 있어서 가장 문제점이 되는 것 중의 하나가 안전 사고에 관한 것이다.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높은 곳에 오르기 위해서는, 사다리를 비스듬하게 위치시킨 후 발판을 밟고 올라가야 하는데, 이때 작업자가 중심을 잃으면 사다리가 내려 않거나 뒤로 넘어가게 되어 추락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사다리가 놓이는 지면이 편평하지 않고 요철이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추락 사고의 위험이 더욱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사다리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는, 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프레임을 포함하되, 전방프레임의 하단에는, 전방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회전하면서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뒤로 넘어지지 않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는 전방프레임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되, 힌지는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힌지 상에는 지지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후방프레임의 상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은 한 쌍의 전방포스트와, 전방포스트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전방발판을 구비하고, 후방프레임은 한 쌍의 후방포스트와, 후방포스트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후방발판을 구비하며, 전방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지지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 전방발판 및 후방발판은 지면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 지지대가 후방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다리가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추락 사고와 같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가 거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사다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슬라이드 타입의 사다리가 거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방, 후방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100)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100)는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40)을 포함하고, 전방프레임(120)이 후방프레임(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slide)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그리고 전방프레임(120)의 하단에는, 전방프레임(120)이 후방프레임(140)에 대해 하향 이동하는 경우, 사다리(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사다리(100)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대(1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전방프레임(120)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포스트(122)와, 전방포스트(122)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전방발판(132)을 구비한다.
전방포스트(122)는 후방포스트(14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전방포스트(122)에는 가이드돌기(128)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돌기(128)는 후방포스트(142)에 형성된 가이드홈(146)에 후방포스트(14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 쌍의 전방포스트(122)의 하단에는 각각 지지대(1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지지대(124)는 회전힌지(126)에 의해서 결합되는데, 회전힌지(126)는 제한된 회전 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지지대(124)가 회전힌지(126)에 의해서 회전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 제한된 회전각을 갖는 회전힌지(126)에 의해서 지지대(124)는 더 이상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지지대(124)는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40)이 뒤로 넘어지지 않게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40)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호 완전히 포개진 경우에는, 지지대(124)는 전방포스트(122)와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전방프레임(120)이 후방프레임(140)에 대해 하향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지지대(124)는 회전에 의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사다리(100)를 지지한다.
지지대(124)의 하단부에는 경사면(125)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프레임(120)이 후방프레임(140)에 대해 하향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지지대(124)는 경사면(125)에 의해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24)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경사면(125)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지지대(124)의 하단부에 롤러(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방포스트(122)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전방발판(132)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다. 전방발판(132)은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한다. 전방발판(132)의 개수 및 사이 간격은 후방발판(148)의 개수 및 사이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전방포스트(122)는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A"자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포스트(122)는 가이드돌기(128)를 갖고 이에 대응하여 후방포스트(142)는 가이드홈(146)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전방포스트(122)가 후방포스트(142)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후방프레임(140)은 한 쌍의 후방포스트(142)와, 후방발판(148)을 포함한다.
한 쌍의 후방포스트(142)는 한 쌍의 전방포스트(12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후방포스트(142)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포스트(122)와 길이 방향 전체에 대해서 접하게 된다. 후방포스트(142)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46)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46)에는 전방포스트(12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8)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후방포스트(142)의 후면에는 톱니 형상의 걸림돌기(14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44)는, 사다리(100)가 거치되는 부분과 접촉하여, 후방프레임(140)이 좌우 및 상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발판(148)은 한 쌍의 후방포스트(142)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가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100)는 전방발판(132) 및 후방발판(148)을 각각 구비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장소 및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발판(132) 및 후방발판(148)이 원형봉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장방형의 판(plate)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100)가 거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방프레임(140)의 후방포스트(142)의 상단부가 높은 장소에 접촉하여 사다리(100)가 경사지게 위치하게 된다. 전방프레임(120)의 전방포스트(122)는 후방포스트(142)에 대해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완전해 포개져 있는 상태이고, 지지대(124)는 전방포스트(122)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다가, 작업자가 전방발판(132)을 아래로 밟아서 누르면, 지지대(124)의 경사면(125)에 의해서 지지대(124)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지지대(124)를 전방포스트(1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힌지(126)는 회전 각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의 상태에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지지대(124)는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40)이 견고하게 지지하여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20)이 후방프레임(140)에 대해 하향 슬라이드 이동하여 지지대(124)가 후방으로 돌출된 경우, 전방발판(132)은 하향 이동하여 후방발판(148)과 지면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200)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200)가 거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200)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다만 지지대(124)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서 스토퍼(134)를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100)는 지지대(124)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서 회전 각도가 제한된 회전힌지(126)를 이용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200)는 회전 각도가 제한된 회전힌지(126)를 이용하지 않고 스토퍼(134)를 이용한다.
스토퍼(134)는 지지대(124)의 회전 중심(136)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전방포스트(122)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한다. 지지대(124)가 전방포스트(122)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 지지대(124)는 스토퍼(134)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4)가 회전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 지지대(124)는 스토퍼(134)와 접촉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134)는 지지대(12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지지대(124)가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40)이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120: 전방프레임
122: 전방포스트 124: 지지대
125: 경사면 126; 회전힌지
128: 가이드돌기 132: 전방발판
134: 스토퍼 140: 후방프레임
142: 후방포스트 144: 걸림돌기
146: 가이드홈 148: 후방발판

Claims (6)

  1. 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단에는, 상기 전방프레임이 상기 후방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회전하면서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뒤로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지지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힌지와 결합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한 쌍의 전방포스트와, 상기 전방포스트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전방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프레임은 한 쌍의 후방포스트와, 상기 후방포스트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후방발판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전방발판 및 후방발판은 지면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은 포개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전방포스트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경사지게 위치시키고, 작업자가 상기 전방발판을 아래로 밟아서 누르면, 상기 지지대의 상기 경사면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가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에 의해서 회전이 멈추어지는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상에는 상기 지지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5. 삭제
  6. 삭제
KR1020120073990A 2012-07-06 2012-07-06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KR10142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990A KR101422730B1 (ko) 2012-07-06 2012-07-06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990A KR101422730B1 (ko) 2012-07-06 2012-07-06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02A KR20140005702A (ko) 2014-01-15
KR101422730B1 true KR101422730B1 (ko) 2014-07-24

Family

ID=5014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990A KR101422730B1 (ko) 2012-07-06 2012-07-06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4486B (zh) * 2014-12-29 2017-05-10 宁俊杰 插入式直立消防梯
CN108678649A (zh) * 2018-05-02 2018-10-19 李广连 一种放置稳定的建筑用梯子
KR102131851B1 (ko) * 2018-11-19 2020-07-08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유지 발판을 구비한 사다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8353A (en) * 1974-03-20 1976-04-06 Lane John G Extension ladder
KR200298596Y1 (ko) * 2002-06-04 2002-12-26 한국산업안전공단 전도방지를 위한 안전사다리
JP2006249890A (ja) 2005-03-07 2006-09-21 Koshi Mutsube はしごや脚立の転倒防止支え
JP2006328855A (ja) 2005-05-27 2006-12-07 Mamoru Haneda 補助脚構造及び係止構造を備えた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8353A (en) * 1974-03-20 1976-04-06 Lane John G Extension ladder
KR200298596Y1 (ko) * 2002-06-04 2002-12-26 한국산업안전공단 전도방지를 위한 안전사다리
JP2006249890A (ja) 2005-03-07 2006-09-21 Koshi Mutsube はしごや脚立の転倒防止支え
JP2006328855A (ja) 2005-05-27 2006-12-07 Mamoru Haneda 補助脚構造及び係止構造を備えた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02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730B1 (ko) 슬라이드 타입 사다리
RU2531710C2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лестница
KR200474505Y1 (ko) 접이식 고정사다리
KR101338634B1 (ko) 자전거의 넘어짐 방지장치
WO2014172754A1 (en) Portable stairs and landing assembly
US20110168492A1 (en) Ladder leveler and stabilizer
JP2017071980A (ja) 踏桟カバー
JP2004019156A (ja) 什器等に架設する移動式梯子
KR20140046237A (ko)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KR102131851B1 (ko) 수평 유지 발판을 구비한 사다리
EP2868859B1 (fr) Dispositif d'accès en hauteur réglable
JP2011021331A (ja) 踏み台
KR20170004153U (ko) 작업대의 전도 방지장치
JP6077780B2 (ja) 梯子固定装置
JP5346732B2 (ja) 梯子立て掛け用の端具装置
KR20100106866A (ko) 사다리
KR101284001B1 (ko) 수평발판이 설치된 a형 사다리
US20160265238A1 (en) Support Apparatus
CN215471344U (zh) 一种eps切割设备
KR101186679B1 (ko) 휴대용 사다리
JPH053633Y2 (ko)
TWI736353B (zh) 爬梯
CN210652882U (zh) 一种登舱梯
KR101215062B1 (ko) 사다리 전도 방지 장치
GB2417280A (en) Adjustable ladd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