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576B1 -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576B1
KR101422576B1 KR1020120089910A KR20120089910A KR101422576B1 KR 101422576 B1 KR101422576 B1 KR 101422576B1 KR 1020120089910 A KR1020120089910 A KR 1020120089910A KR 20120089910 A KR20120089910 A KR 20120089910A KR 101422576 B1 KR101422576 B1 KR 101422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sphalt
hot air
center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115A (ko
Inventor
황익현
Original Assignee
황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익현 filed Critical 황익현
Priority to KR102012008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5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6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during mixing; 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during mixing, e.g. by introducing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4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이 소개된다.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는,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 아스팔트 혼합물이 교반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케이스와, 아스팔트 혼합물이 교반되면서 이동하여 상기 센터케이스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스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센터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케이스와 우측케이스를 포함하는 혼합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의 외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일측 외벽에 결합된 열풍기;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를 가열한 열풍을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 내측에 마련된 혼합공간으로 유도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에 분사함으로써 직접 가열하는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를 통하여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에 분사된 열풍을 회수하여 상기 열풍기로 이송시키는 회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DIRECT AND INDIRECT HEATING TYPE MIXER FOR MIXING ASPHALT CONCRETE AND THE SAME TYPE MIXING METHOD AND THE SAME TYP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직접 및 간접열을 이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믹서, 혼합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열식 아스팔트 혼합물의 생산은 골재 가열장치와 혼합믹서가 구비된 생산설비와 골재의 저장 장소, Filler 사이로, 아스팔트 저장 및 가열 탱크등이 있어야 하므로 이동식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은 생산하기란 어려운 일이며 고정식 설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고정식 아스팔트 혼합물의 생산방법은 공장에서 생산설비를 사용하며 골재를 가열하고, 탱크에서 가열된 아스팔트와 Filler, 칼라를 요할시에는 안료를 혼합하여 이를 Dump 트럭으로 현장으로 운반하는 것이었으며, 이를 휘니샤로 포설하고 로라로 다짐하여 완성하였다.
고정식 공장생산방법은 운반거리가 멀거나 동절기에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가 떨어져 시공이 어렵고, 칼라를 요하는 제품은 대부분 소량 생산으로 온도 관리가 어려 우며, 다른제품과 같이 생산시 규격이 다른 골재와 검정색 도로포장용 아스팔트가 함께 섞여 색상과 다른 크기의 골재 혼입으로 균질한 제품관리가 어려웠다.
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생산 설비가 개발되어 있었다.
현장에서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하기 위한 이동식 현장 가열 혼합식 생산설비인 기존의 설비는 트럭에 장착한 플랜트만 현장으로 이동하여 고온 생산 하는 방식이며, 골재, Filler, 아스팔트 가열 저장설비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사용 효율성이 떨어져 실용화되지는 않았다.
또한 아스팔트 재생골재를 재활용하며 도로 보수재를 생산하는 이동식 설비가 개발되어 있으나 회전식 믹서에 현장에서 발생된 재생골재를 투입하고 불을 믹서에 직접 살포하여 재생골재를 가열하는데 이 또한 아스팔트 재생골재의 아스팔트가 소각될 우려로 온도조절이 어려우며, 혼합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효율성이 떨어져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5585호(2000.12.21.)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76218호(2005.07.26.)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직, 간접열을 이용하여 가열 가능하며, 이동 가능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믹서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혼합하고,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는,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 아스팔트 혼합물이 교반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케이스와, 아스팔트 혼합물이 교반되면서 이동하여 상기 센터케이스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스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센터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케이스와 우측케이스를 포함하는 혼합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의 외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일측 외벽에 결합된 열풍기;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를 가열한 열풍을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 내측에 마련된 혼합공간으로 유도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에 분사함으로써 직접 가열하는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를 통하여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에 분사된 열풍을 회수하여 상기 열풍기로 이송시키는 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는, "U" 자형 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는 상기 센터케이스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풍기는, 상기 하우징 좌하방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좌측열풍기와, 상기 하우징 우하방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케이스 길이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우측열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열풍을 좌, 우측케이스 상부로 각각 유도하는 좌, 우측유도배관과, 이 좌, 우측유도배관과 그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분사배관과, 이 좌, 우측분사배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좌, 우측케이스 내부의 아스팔트 혼합물에 각각 열풍을 분사하는 좌, 우측분사노즐과, 상기 좌, 우측분사배관의 끝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센터케이스 상부 일측에 위치하도록 굴곡 형성된 좌, 우측굴곡관을 포함하는 좌, 우측유도부와, 상기 좌, 우측굴곡관의 타단에서 상기 센터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제1, 2센터분사배관과, 이 제1, 2센터분사배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센터케이스 내부의 아스팔트 혼합물에 각각 열풍을 분사하는 제1, 2센터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센터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센터케이스 내부에 존재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분사된 열풍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유도하는 중앙회수관과, 이 중앙회수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좌측열풍기와 연결되는 좌측회수관과, 상기 중앙회수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우측열풍기와 연결되는 우측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열풍기상에는 좌측흡입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좌측회수관의 끝단은 상기 좌측흡입송풍기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열풍기상에는 우측흡입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회수관의 끝단은 상기 우측흡입송풍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상단은 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고, 상기 좌측케이스, 우측케이스 및 센터케이스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믹싱스크류가 각각 설치되며, 기 커버에는 상기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로 아스팔트 혼합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좌측호퍼 및 우측호퍼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센터케이스 일단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은,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송시키면서 혼합하는 센터케이스와, 유입된 아스팔트 혼합물이 혼합되면서 상기 센터케이스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스와 연결되는 좌, 우측케이스가 내장되며, 그 내부로 유입된 열풍을 이용하여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를 가열하고, 그 열풍을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 내부로 유도하여 직접 분사함으로써 믹서 온도를 30 ~ 80℃로 유지하는 가열과정;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혼합공간으로 전체 골재량의 50 ~ 90%의 골재를 투입하되, 상온의 쇄석골재, 규사, 종석, 콩자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재를 공급하는 1차골재투입과정; 상기 골재를 코팅할 수 있도록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혼합공간에 120 ~ 180℃의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내지 무색아스팔트를 공급하는 아스팔트 공급과정; 및 상기 아스팔트 공급과정이 진행된 후 상기 센터케이스의 혼합공간에 석분, 탄산칼슘, 시멘트, 소석회, 생석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필러를 투입하는 필러 공급과정 및 상기 센터케이스에 나머지 골재를 투입하는 2차골재투입과정;을 포함한다.
컬러를 부여할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스에 골재와 함께 내후성 무기질 안료를 공급하는 안료 공급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2차골재투입과정에서는, 자연석 색상의 칼라골재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스팔트 공급과정 이전에는, 10mm 이하의 분쇄 폐타이어를 100 ~ 150 ℃로 가열하여 상기 혼합공간에 공급하는 폐타이어 공급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스팔트 공급과정 이전에는, 10mm 이하의 분쇄된 유리, 아크릴, 시멘트를 혼합하여 300도시(온도*시간) 이상이 되도록 양생된 코팅유리를 상기 혼합공간으로 투입하는 유리 공급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은,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송시키면서 혼합하는 센터케이스와, 유입된 아스팔트 혼합물이 혼합되면서 상기 센터케이스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스와 연결되는 좌, 우측케이스가 내장되며, 그 내부로 유입된 열풍을 이용하여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를 가열하고, 그 열풍을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 내부로 유도하여 직접 분사하는 믹서 온도를 30 ~ 80℃로 유지하는 가열과정과,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혼합공간으로 전체 골재 중량에 대한 50 ~ 90% 상온의 쇄석골재, 아스팔트 재생골재, 규사, 종석, 콩자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재를 공급하는 1차골재투입과정과, 상기 골재를 코팅할 수 있도록 120 ~ 180℃의 아스팔트 내지 무색아스팔트를 상기 혼합공간에 공급하는 아스팔트 공급과정과, 상기 아스팔트 공급과정이 진행된 후 센터케이스에 석분, 탄산칼슘, 시멘트, 소석회, 생석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필러를 투입하는 필러 공급과정과, 전체 골재 중량 중 10 ~ 50%의 골재를 투입하는 2차골재투입과정을 포함하는 골재코팅과정; 코팅된 골재를 톤백에 포장하는 포장과정; 상기 믹서 및 포장한 코팅된 골재를 트럭에 실어 현장으로 이송하는 운반과정; 상기 믹서에 열풍을 공급하여 그 내부 온도를 150 ~ 220℃로 가열하고,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혼합공간 내부에 코팅된 골재를 투입하고 센터케이스로 이동하여 , 투입된 코팅된 골재의 온도를 120 ~ 180℃범위에서 혼합하여 배출하는 생산과정; 및 상기 생산과정을 통해 생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도로에 포설하고 다짐하는 시공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정에서 골재를 아스팔트와 충전재로 코팅하여 톤백으로 포장하고 현장에서는 직간접열 믹서에 코팅 혼합물을 투입하여 가열만으로 만 생산하므로 번거롭지 않고 온도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현장에서 직접 생산하는 이동식 간접열 방식의 아스팔트콘크리트 생산설비를 사용하는 칼라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첫째, 공장에서 정교하게 계량하여, 상온의 골재에 아스팔트를 혼합 코팅하여 포장하고 현장에서 가열만으로 생산되는 칼라 아스팔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가열 생산되는 재품에 비하여 운반과정에서 온도가 떨어질 염려가 없고, 온도가 균일하고 사용재료에 타 물질의 혼합이 없어 품질이 균일해진다.
둘째, 또한 모든 재료를 공장에서 혼합하여 제공되므로 현장에서는 가열혼합만 하게 되어 생산이 간편하다.
셋째, 간접열에 의한 일정온도로 생산되므로 재료가 과열되어 소각되거나 변질되지 않아 균질하고, 현장에서 직접 생산하므로 칼라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유동성이 좋다. 그리고 현장에서 직접 생산하므로 온도의 균질성과, 작업성이 우수하면서 시공성이 우수하다.
넷째, 열풍기가 열순환식으로 열을 재사용하므로 연료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는, 하우징(100), 혼합부(200), 열풍기(300), 유도부(400), 회수부(500)를 포함하며, 하우징(100) 외부는 열 손실 방지를 위해 단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의 외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그 상단은 개방되며, 그 내부는 다양한 구성들이 내장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하우징(100)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혼합부(200)는 하우징(100)에 내장된다. 혼합부(200)는 공급받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교반, 혼합하면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는바,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의 혼합부(200)는, 센터케이스(210),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를 포함한다.
센터케이스(210),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는 "U" 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하우징(100)과 마찬가지로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혼합부(200)에 내장된다.
센터케이스(210)는 하우징(100) 내부 중앙에 위치하고,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는 센터케이스(210)를 중심으로 각각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다. 또한 좌측케이스(220)와 센터케이스(210) 및 우측케이스(230)와 센터케이스(210)는 각각 연결되어 있는바,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로 공급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은 혼합되면서 센터케이스(210)로 모임으로써, 혼합 성능이 향상된다.
이때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에서 이송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이 센터케이스(210) 측으로 자연스럽게 이송될 있도록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는 센터케이스(210)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기(300)는 하우징(100) 일측 외벽에 결합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열풍기(300)에서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U" 자형 단면 형상의 센터케이스(210),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의 외측면을 가열하고, 센터케이스(210),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의 상부측으로 유도되어 그 내측면에 담긴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에 직접 분사된다.
열풍기(300)는, 하우징(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열풍기(300)는 좌측열풍기(310)와 우측열풍기(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센터케이스(210)를 중심으로 각각 좌, 우측에 마련된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를 가열하기 위하여, 그에 상응하는 위치에 좌측열풍기(310) 및 우측열풍기(320)가 마련되는 것이다. 좌측열풍기(310) 및 우측열풍기(320)에서 공급된 열풍에 의해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는 물론,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케이스(210) 역시 가열된다.
좌측열풍기(310)는 하우징(100)의 좌측 하방향, 우측열풍기(320)는 하우징(100)의 우측 하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서 열풍이 공급되면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의 저면을 향하여 열풍이 분사되므로, 가열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유도부(400)는,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 센터케이스(210)를 가열한 열풍을 그것들의 내측면에 마련된 혼합공간으로 유도, 분사하는 기능을 하며, 회수부(500)는, 유도부(400)를 통하여 혼합공간으로 분사된 열풍을 회수하여 다시 열풍기(300)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2 및 도 3를 참조로,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의 유도부(400)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유도부(400)는, 좌측유도부(410), 우측유도부(420), 센터유도부(430)를 포함한다.
좌측유도부(410)는, 좌측유도배관(412), 좌측분사배관(414), 좌측분사노즐(416), 좌측굴곡관(418)을 포함한다.
좌측유도배관(412)은 하우징(100) 내의 열풍을 좌측케이스(220) 상부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좌측유도배관(412)의 일단은 하우징(100)의 타측에 연결되되 하우징(100) 내부와 내통되며, 그 타단은 좌측분사배관(414)과 연결, 내통된다.
좌측분사배관(414)은 좌측케이스(22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관으로, 좌측케이스(220) 상부 일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좌측분사배관(414)에는 복수 개의 좌측분사노즐(416)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바, 좌측분사노즐(416)에서 분사된 열풍은 좌측케이스(220) 내의 혼합공간에 존재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향하여 분사된다.
또한 좌측굴곡관(418)은 좌측분사배관(414)에 그 일단이 결합되며, 그 타단은 센터케이스(210) 상부 일측에 위치하되, 좌측분사배관(414)과 내통하는바, 열풍을 센터케이스(210)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우측유도부(420)는, 우측유도배관(422), 우측분사배관(424), 우측분사노즐(426), 우측굴곡관(428)을 포함한다.
우측유도배관(422)은 하우징(100) 내의 열풍을 우측케이스(230) 상부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우측유도배관(422)의 일단은 하우징(100)의 타측에 연결되되 하우징(100) 내부와 내통되며, 그 타단은 우측분사배관(424)과 연결, 내통된다.
우측분사배관(424)은 우측케이스(23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관으로, 우측케이스(230) 상부 일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우측분사배관(424)에는 복수 개의 우측분사노즐(426)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바, 우측분사노즐(426)에서 분사된 열풍은 우측케이스(230) 내의 혼합공간에 존재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향하여 분사된다.
또한 우측굴곡관(428)은 우측분사배관(424)에 그 일단이 결합되며, 그 타단은 센터케이스(210) 상부 타측에 위치하되, 우측분사배관(424)과 내통하는바, 열풍을 센터케이스(210)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굴곡관(418) 및 우측굴곡관(428)에 의하여 열풍 이동 경로는 센터케이스(210) 상부 양측으로 유도되는바, 좌측굴곡관(418)에는 제1센터분사배관(432a)이 연결되고, 우측굴곡관(428)에는 제2센터분사배관(432b)과 연결된다.
제1센터분사배관(432a)에는 복수 개의 제1센터분사노즐(434a)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장착되고, 제2센터분사배관(432b)에는 복수 개의 제2센터분사노즐(434b)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장착된다. 즉, 제1센터분사배관(432a)을 통해 이동된 열풍은 제1센터분사노즐(434a)을 통해 센터케이스(210) 상단 일측으로부터 센터케이스(210) 혼합공간 내부로 분사되며, 제2센터분사배관(432b)을 통해 이동된 열풍은 제2센터분사노즐(434b)을 통해 센터케이스(210) 상단 타측으로부터 센터케이스(210) 혼합공간 내부로 분사됨으로써, 센터케이스(210) 혼합공간 내부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 센터케이스(210)는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된 열풍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은 물론, 그러한 열풍이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 및 센터케이스(210)의 혼합공간으로 유도, 분사됨으로써 직접 가열 효과도 얻을 수 있는바,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회수부(500)는,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되어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 및 센터케이스(210)를 간접적, 직접적으로 가열한 열풍을 회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회수부(500)는, 중앙회수관(510)과, 좌측회수관(520), 우측회수관(5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회수관(510)은 센터케이스(210) 상부 중앙에 위치하여 센터케이스(210) 내부에 존재하는 열풍을 흡입, 하우징(100) 외부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즉, 그 일단은 센터케이스(210) 상부 중앙에 위치하고, 그 타단은 하우징(100) 외부에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 그 관로상에 흡입송풍기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중앙회수관(510)의 타단은 좌측회수관(520) 및 우측회수관(530)이 연결되는바, 중앙회수관(510) 타측에서 두 개의 이동 유로로 분기되며, 좌측회수관(520) 끝단은 좌측열풍기(310)와 연결되고, 우측회수관(530) 끝단은 우측열풍기(3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센터케이스(210) 혼합공간에 존재하는 열풍은 모두 좌측열풍기(310) 및 우측열풍기(320)로 흡입, 재활용될 수 있다.
열풍은 "좌측열풍기(310) 및 우측열풍기(320) -->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되어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 및 센터케이스(210) 간접 가열 --> 좌측유도배관(412) 및 우측유도배관(422) --> 좌측분사배관(414) 및 우측분사배관(424) --> 좌측분사노즐(416) 및 우측분사노즐(426) -->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 내부의 혼합공간 및 좌측굴곡관(418), 우측굴곡관(428)--> 제1센터분사배관(432a) 및 제2센터분사배관(432b) --> 제1센터분사노즐(434a) 및 제2센터분사노즐(434b) --> 중앙회수관(510) --> 좌측회수관(520) 및 우측회수관(530) --> 좌측열풍기(310) 및 우측열풍기(320)"을 통하여 순환함으로써 재활용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로 순환, 재활용되는 열풍이 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좌측열풍기(310) 및 우측열풍기(320) 상에는 좌측흡입송풍기(LW) 및 우측흡입송풍기(RW)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때 좌측회수관(520)은 좌측흡입송풍기(LW)와, 우측회수관(530)은 우측흡입송풍기(RW)와 각각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100) 상단은 커버(C)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고,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 및 센터케이스(210) 내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믹싱스크류(S)가 설치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혼합, 이동시키게 된다.
커버(C) 상단에는 좌측케이스(220), 우측케이스(230)로 아스팔트 혼합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좌측호퍼(LH) 및 우측호퍼(RH)가 각각 설치되며, 최종적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이 배출되는 센터케이스(210) 일단은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은, 가열과정(S10), 골재투입과정(S20), 아스팔트 공급과정(S30), 필러 공급과정(S40)을 포함한다.
가열과정(S10)은,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송시키면서 혼합하는 센터케이스(210)와, 유입된 아스팔트 혼합물이 혼합되면서 센터케이스(210)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센터케이스(210)와 연결되는 좌, 우측케이스(220,230)가 내장되며, 그 내부로 유입된 열풍을 이용하여 센터케이스(210),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를 가열하고, 그 열풍을 센터케이스(210), 좌측케이스(220) 및 우측케이스(230) 내부로 유도하여 직접 분사하는 믹서 온도를 30 ~ 80℃로 유지하는 과정이다.
가열과정(S10)이 진행된 이후에는, 1차골재투입과정(S20)이 진행된다.
1차골재투입과정(S20)은 상온의 쇄석골재, 아스팔트 재생골재, 규사, 종석, 콩자갈, 칼라골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재를 믹서의 혼합공간(100a)으로 투입하는 과정으로서, 최대 골재의 치수는 3 ~ 20mm 범위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며, 좌, 우측케이스(220,230)로 공급되는 1차 골재 투입량은 전체 사용 골재의 50 ~ 90% 범위로 조절한다.
상온의 골재를 투입하는 이유는, 가열 골재 투입시에는 후술하는 아스팔트가 흘러내려 아스팔트 코팅 두께가 얇아지는 것은 물론, 아스팔트 콘크리트화되는바, 상온 골재를 투입함으로써 고온의 아스팔트가 상온 골재 표면에 덮힘과 동시에 식어, 코팅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믹서 내부를 가열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아스팔트가 상온의 골재와 접하면 굳어지므로, 아스팔트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믹서 내부 온도가 30℃ 이하이면 코팅이 어려워지고, 80℃ 이상이면 골재가 가열되어 아스팔트가 골재 표면에서 흘러내릴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1차골재투입과정(S20) 이후에는 아스팔트 공급과정(S30)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아스팔트 공급과정(S30)은,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또는 무색 아스팔트를 120 ~ 180℃로 가열하여, 상술한 전체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 ~ 10 중량부 범위에서 믹서 혼합공간(100a)으로 투입하는 과정이다.
여기에서, 아스팔트 재생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1 ~ 4 중량부, 신 골재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3 ~ 10 중량부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골재를 아스팔트를 이용하여 코팅한 이후에는, 필러 공급과정(S40) 및 2차골재투입과정(S50)이 진행되는바, 필러 및 2차 골재는 센터케이스(210)로 투입하되, 필러는 석분, 탄산칼슘, 소석회, 생석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여기에, 첨가제가 투입될 수 있는데, 첨가제로는 SBS, EVA, 송진, 석유수지, 프로세스 오일, PE WAX, 분쇄 폐타이어 등 중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안료 공급과정(S60)이 진행함으로써,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컬러를 부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안료는 2차 골재와 함께 투입되며, 안료로는, 내후성 무기질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 2 중량부 정도 사용한다.
자연석 색상을 부여하려는 경우에는, 안료 공급과정(S60)을 생략하고, 1차골재투입과정(S20)에서 자연석 색상의 칼라골재가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소음 또는 탄성을 요하는 경우에는, 탄성칩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2차 골재와 동시에 투입하면 된다.
탄성칩 공급과정(S70)은, 10mm 이하의 분쇄 폐타이어 또는 EPDM칩을 사용하며, 분쇄 폐타이어 사용시에는 100 ~ 150 ℃로 가열하되, 분쇄 폐타이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0.5 ~ 2 중량부르 코팅하여 사용한다.
분쇄 폐타이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유의 타이어 냄새가 심하게 나고, 아스팔트와의 부착력이 저하되는바, 분쇄 폐타이어를 가열, 아스팔트로 코팅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컬러를 요하는 경우에는, EPDM칩을 사용하며, 이때에는 아스팔트 코팅이 필요없다.
탄성칩은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탄성력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다.
내구성 및 심미감 향상을 위해서는 아스팔트 공급과정(S30) 이전에 분쇄 유리를 공급하는 유리 공급과정(S80)이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공급과정(S80)은, 10mm 이하의 분쇄된 유리, 아크릴, 시멘트를 혼합하여 300도시(온도*시간) 이상의 조건에서 양생된 코팅유리를 믹서의 혼합공간(100a)으로 투입하는 과정이다.
코팅유리는, 유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1 ~ 5 중량부, 시멘트 3 ~ 10 중량부를 혼합하되, 코팅된 유리는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내로 그 양을 제한, 사용한다.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은, 골재코팅과정(S100), 포장과정(S200), 운반과정(S300), 생산과정(S400) 및 시공과정(S500)을 포함한다.
골재코팅과정(S100)은, 가열과정(S10), 1차골재투입과정(S20), 아스팔트 공급과정(S30), 필러 공급과정(S40), 2차골재투입과정(S50)을 포함하는바, 이러한 과정들은 상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골재코팅과정(S100)이 진행된 이후에는, 포장 및 벌크로 저장고에 저장하느 포장과정(S200)이 진행된다.
포장과정(S200)은, 아스팔트, 필러, 안료로 코팅된 골재를 공사 현장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톤백 포장, 또는 대량 생산시에는 저장고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포장과정(S200)이 진행된 이후에는, 믹서 및 포장된 코팅골재를 트럭에 실어 공사 현장으로 이동시키는 운반과정(S300)이 진행된다. 즉, 전체 시공 과정에서, 믹서 및 재료가 고정식이 아닌 이동식으로 생산, 이송되므로 코팅 골재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생산과정(S400)에서는, 믹서에 열풍을 공급하여 그 내부 온도를 150 ~ 220℃로 가열하고, 혼합공간(100a) 내부에 코팅된 골재를 투입하되, 투입된 코팅된 골재의 온도가 120 ~ 180℃에 이르면 믹서 내부 온도 유지를 위해 30 ~ 70% 정도의 골재만 배출하고, 그에 상응하는 양만큼 다시 믹서에 투입하게 된다.
즉, 포장된 코팅 골재를 믹서에 투입하고, 전량을 배출하면, 새로운 코팅 골재 투입전까지 믹서 내부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 믹서에 묻은 아스팔트가 소각되어 새로운 재료 투입 전까지 믹서 작동을 중지시켜야 하고, 재가열시까지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바,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생산과정(S400)을 통해 생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도로에 포설하고 다짐하는 시공과정(S500)이 진행됨으로써, 생산성, 시공성, 품질의 균질성, 경제성이 보장되는 시공방법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골재코팅과정
① 가열과정 : 열풍기를 이용하여 믹서 내부를 60℃로 가열하되, 열풍기의 열을 자동온도 조절기로 조절한다.
② 1차골재투입과정 :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좌, 우측케이스에 건조된 5 ~ 13mm 골재를 70kg/min 속도로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③ 아스팔트 공급과정 :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48kg/min의 속도로 믹서에 연속적으로 투입한다. 이러한 아스팔트 공급과정은 골재투입과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④ 필러 공급과정 : 센터케이스에 탄산칼슘을 투입하되, 40kg/min 속도로 투입한다.
⑤ 2차골재투입과정 : 5mm 이하의 신골재를 필러 공급과 동시에 300kg/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아스팔트로 코팅된 골재 입자를 분리시킨다.
⑥ 중온화 첨가제 투입 : 중온화 첨가제는 SMRA(시티오브테크의 상품명) 분말형으로 스크류를 사용하여 7.5kg/min 속도로 2차 골재와 함께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포장과정
코팅된 골재를 포장, 창고에 저장한다.
운반과정
믹서를 발전기와 함께 트럽에 싣고 시공 현장으로 운반한 후에, 시공 현장에서 대기한다. 또한, 코팅된 골재 역시 덤프 트럭을 이용하여 시공 현장으로 이송한다.
생산과정
믹서를 220℃로 가열하고, 코팅된 골재를 1000kg/min의 속도로 믹서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140℃로 생산한다.
시공과정
생산된 중온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아스팔트 휘니샤에 투입하여 포설한 후에 롤러로 다짐후, 50℃가 되면 도로를 개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아스팔트-콘크리트는 기준규격을 만족하는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명 안정도(N) 후로우 (1/200㎝) 공극율 (%) 색상
( 한도견본 비교)
시험결과 1,100 30 12 적색
(이상 없음)
규격 500이상 20~40 - 견본 비교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혼합부
210 : 센터케이스 220 : 좌측케이스
230 : 우측케이스 300 : 열풍기
310 : 좌측열풍기 320 : 우측열풍기
400 : 유도부 410 : 좌측유도부
412 : 좌측유도배관 414 : 좌측분사배관
416 : 좌측분사노즐 418 : 좌측굴곡관
420 : 우측유도부 422 : 우측유도배관
424 : 우측분사배관 426 : 우측분사노즐
428 : 우측굴곡관 430 : 센터유도부
432a : 제1센터분사배관 432b : 제2센터분사배관
434a : 제1센터분사노즐 434b : 제2센터분사노즐
500 : 회수부 510 : 중앙회수관
520 : 좌측회수관 530 : 우측회수관
LW : 좌측흡입송풍기 RW : 우측흡입송풍기
C : 커버 S : 믹싱스크류
LH : 좌측호퍼 RH : 우측호퍼
S10 : 가열과정 S20 : 1차골재투입과정
S30 : 아스팔트 공급과정 S40 : 필러 공급과정
S50 : 2차골재투입과정 S60 : 안료 공급과정
S70 : 탄성칩 공급과정 S80 : 유리 공급과정
S100 : 골재코팅과정 S200 : 포장과정
S300 : 운반과정 S400 : 생산과정
S500 : 시공과정

Claims (13)

  1.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
    아스팔트 혼합물이 교반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케이스와, 아스팔트 혼합물이 교반되면서 이동하여 상기 센터케이스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스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센터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되는 좌측케이스와 우측케이스를 포함하는 혼합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의 외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일측 외벽에 결합된 열풍기;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를 가열한 열풍을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 내측에 마련된 혼합공간으로 유도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에 분사함으로써 직접 가열하는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를 통하여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에 분사된 열풍을 회수하여 상기 열풍기로 이송시키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는, "U" 자형 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는 상기 센터케이스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는, 상기 하우징 좌하방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좌측열풍기와, 상기 하우징 우하방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케이스 길이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우측열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열풍을 좌, 우측케이스 상부로 각각 유도하는 좌, 우측유도배관과, 이 좌, 우측유도배관과 그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분사배관과, 이 좌, 우측분사배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좌, 우측케이스 내부의 아스팔트 혼합물에 각각 열풍을 분사하는 좌, 우측분사노즐과, 상기 좌, 우측분사배관의 끝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센터케이스 상부 일측에 위치하도록 굴곡 형성된 좌, 우측굴곡관을 포함하는 좌, 우측유도부와,
    상기 좌, 우측굴곡관의 타단에서 상기 센터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제1, 2센터분사배관과, 이 제1, 2센터분사배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센터케이스 내부의 아스팔트 혼합물에 각각 열풍을 분사하는 제1, 2센터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센터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센터케이스 내부에 존재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분사된 열풍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유도하는 중앙회수관과, 이 중앙회수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좌측열풍기와 연결되는 좌측회수관과, 상기 중앙회수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우측열풍기와 연결되는 우측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좌측열풍기상에는 좌측흡입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좌측회수관의 끝단은 상기 좌측흡입송풍기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열풍기상에는 우측흡입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회수관의 끝단은 상기 우측흡입송풍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단은 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고,
    상기 좌측케이스, 우측케이스 및 센터케이스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믹싱스크류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로 아스팔트 혼합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좌측호퍼 및 우측호퍼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센터케이스 일단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8.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송시키면서 혼합하는 센터케이스와, 유입된 아스팔트 혼합물이 혼합되면서 상기 센터케이스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스와 연결되는 좌, 우측케이스가 내장되며, 그 내부로 유입된 열풍을 이용하여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를 가열하고, 그 열풍을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 내부로 유도하여 직접 분사함으로써 믹서 온도를 30 ~ 80℃로 유지하는 가열과정;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혼합공간으로 전체 골재량의 50 ~ 90%의 골재를 투입하되, 상온의 쇄석골재, 규사, 종석, 콩자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재를 공급하는 1차골재투입과정; 상기 골재를 코팅할 수 있도록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혼합공간에 120 ~ 180℃의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내지 무색아스팔트를 공급하는 아스팔트 공급과정; 및 상기 아스팔트 공급과정이 진행된 후 상기 센터케이스의 혼합공간에 석분, 탄산칼슘, 시멘트, 소석회, 생석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필러를 투입하는 필러 공급과정 및 상기 센터케이스에 나머지 골재를 투입하는 2차골재투입과정;을 포함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컬러를 부여할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스에 골재와 함께 내후성 무기질 안료를 공급하는 안료 공급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1, 2차골재투입과정에서는, 자연석 색상의 칼라골재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공급과정 이전에는, 10mm 이하의 분쇄 폐타이어를 100 ~ 150 ℃로 가열하여 상기 혼합공간에 공급하는 폐타이어 공급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공급과정 이전에는,
    10mm 이하의 분쇄된 유리, 아크릴, 시멘트를 혼합하여 300도시(온도*시간) 이상이 되도록 양생된 코팅유리를 상기 혼합공간으로 투입하는 유리 공급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13.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송시키면서 혼합하는 센터케이스와, 유입된 아스팔트 혼합물이 혼합되면서 상기 센터케이스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센터케이스와 연결되는 좌, 우측케이스가 내장되며, 그 내부로 유입된 열풍을 이용하여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를 가열하고, 그 열풍을 상기 센터케이스, 좌측케이스 및 우측케이스 내부로 유도하여 직접 분사하는 믹서 온도를 30 ~ 80℃로 유지하는 가열과정과,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혼합공간으로 전체 골재 중량에 대한 50 ~ 90% 상온의 쇄석골재, 아스팔트 재생골재, 규사, 종석, 콩자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골재를 공급하는 1차골재투입과정과, 상기 골재를 코팅할 수 있도록 120 ~ 180℃의 아스팔트 내지 무색아스팔트를 상기 혼합공간에 공급하는 아스팔트 공급과정과, 상기 아스팔트 공급과정이 진행된 후 센터케이스에 석분, 탄산칼슘, 시멘트, 소석회, 생석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필러를 투입하는 필러 공급과정과, 전체 골재 중량 중 10 ~ 50%의 골재를 투입하는 2차골재투입과정을 포함하는 골재코팅과정; 코팅된 골재를 톤백에 포장하는 포장과정; 상기 믹서 및 포장한 코팅된 골재를 트럭에 실어 현장으로 이송하는 운반과정; 상기 믹서에 열풍을 공급하여 그 내부 온도를 150 ~ 220℃로 가열하고, 상기 좌, 우측케이스의 혼합공간 내부에 코팅된 골재를 투입하고 센터케이스로 이동하여 , 투입된 코팅된 골재의 온도를 120 ~ 180℃범위에서 혼합하여 배출하는 생산과정; 및 상기 생산과정을 통해 생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도로에 포설하고 다짐하는 시공과정을 포함하는,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20120089910A 2012-08-17 2012-08-17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422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10A KR101422576B1 (ko) 2012-08-17 2012-08-17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10A KR101422576B1 (ko) 2012-08-17 2012-08-17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115A KR20140023115A (ko) 2014-02-26
KR101422576B1 true KR101422576B1 (ko) 2014-07-24

Family

ID=5026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910A KR101422576B1 (ko) 2012-08-17 2012-08-17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274B (zh) * 2018-01-24 2019-11-26 杭州正方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匀料注水设备及其工艺
CN109507403B (zh) * 2018-12-12 2022-03-08 长沙理工大学 具备集料加热功能的沥青混合料拌和操作方法及其装置
CN111941651B (zh) * 2020-06-29 2022-04-05 济宁市兖州区金钢建材有限公司 一种低温环境下混凝土搅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058B1 (en) 2002-01-22 2003-05-16 Hong San Construction Co Ltd Heating treatment apparatus of aggregate for manufacture of ascon
KR200425256Y1 (ko) 2006-06-22 2006-09-05 조준희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현장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058B1 (en) 2002-01-22 2003-05-16 Hong San Construction Co Ltd Heating treatment apparatus of aggregate for manufacture of ascon
KR200425256Y1 (ko) 2006-06-22 2006-09-05 조준희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현장 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115A (ko)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577B1 (ko)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422575B1 (ko)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422576B1 (ko)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971865B1 (ko)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동형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9927165A (zh) 一种纤维石膏板中高速生产线和生产工艺
CN106182392B (zh) 轻质墙板智能生产线系统
CN104988835A (zh) 模块式沥青冷再生搅拌设备
CN102322741A (zh) 一种遥控转炉湿法喷补工艺方法及装置
US4662759A (en) Premix injection system for asphalt compositions
KR101299459B1 (ko) 직간접 가열방식 혼합믹서 및 이를 이용한 현장가열 아스팔트 표층 재생 시스템
CN208121508U (zh) 一种下沉式沥青混凝土搅拌站
RU257288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асфальтов полутеплого смешения
KR101926446B1 (ko)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CN202195696U (zh) 一种遥控转炉湿法喷补装置
CN207597225U (zh) 一种用于沥青路面再生的热风循环加热系统
KR101926445B1 (ko)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CN202498640U (zh) 一种移动式预拌干混砂浆生产装置
KR101386060B1 (ko) 상온 재생아스콘 플랜트
CN203156934U (zh) 水泥发泡保温板立体式混料搅拌机构
KR100304059B1 (ko) 소각회혹은슬러지를이용한인공경량골재제조장치및제조방법
CN201058965Y (zh) 沥青路面修补用热风加热装置
CN203846369U (zh) 沥青混合料温拌再生设备
CN208794920U (zh) 一种具有加热发泡功能的干燥系统
CN105775786A (zh) 喷射混凝土物料输送混合系统
CN211734942U (zh) 一种原生再生一体化沥青混合料搅拌主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