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283B1 -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 Google Patents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283B1
KR101422283B1 KR1020070108673A KR20070108673A KR101422283B1 KR 101422283 B1 KR101422283 B1 KR 101422283B1 KR 1020070108673 A KR1020070108673 A KR 1020070108673A KR 20070108673 A KR20070108673 A KR 20070108673A KR 101422283 B1 KR101422283 B1 KR 10142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title
moving picture
display time
tim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047A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0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2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자막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은 소정 동영상의 재생 방법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 또는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자막 표시 시간으로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 후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동영상을 재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막을 통해 동영상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동영상의 시청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막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동영상, 재생, 자막, 빨리감기, 되감기

Description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METHOD FOR PLAYING OF MOVING PICTURE USING CAPTION AND PORTABLE TERMINLA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막에 기초하여 동영상 파일을 다양한 방법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프로세서 및 메모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가 고성능화 되고 있고, 상기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이외에도 다양한 부가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대용량의 메모리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있고, 상기와 같은 내장형 메모리 이외에도 별도의 착탈가능한 외장형 메모리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고성능의 프로세서와 대용량의 메모리가 설치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능 이외에도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의 기능 즉, 디지털 방송 수신, 이미지 및 동영상 촬영,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휴대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응용프로그램 및 부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국 영화와 같은 자막을 포함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국문으로 번역된 자막이 상기 영화의 대사 또는 영화 장면과 동기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영역에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자막은 크게 헤더(header)와 본문(body)으로 구성된다. 상기 헤더에는 자막의 일반적인 설정 정보(예를 들면, 글꼴, 언어, 글자크기, 정렬방식)가 포함되고, 상기 본문에는 상기 영화의 대사에 상응하는 번역된 자막과 상기 번역된 자막이 표시될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막 파일의 본문에 포함된 내용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막의 본문은 동영상의 재생시간(11)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시간에 동기되어 표시될 자막(1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정 동영상의 재생시간(11) '25714'에 자막(13) '구스또 주방장님이 만듭니다'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의 재생시간(11)은 소정의 동영상이 시작 시간(즉, 0초)을 기준으로 경과된 시간을 나타내고, 단위는 ms(mili-second)이다.
종래의 동영상 재생 방법 및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소정의 동영상이 자막과 동기되어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사용자가 임 의의 위치(즉, 동영상의 임의의 재생 시간)부터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동영상 실행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버튼)를 이용하여 원하는 재생 위치를 수동으로 찾은 후에 시청하였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다양한 재생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빠른 속도로 시청하기 위해 소정 배속으로 동영상을 재생하게 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 속도에 상응하여 동영상 및 상기 동영상과 동기된 자막이 동시에 상기 소정 배속으로 재생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막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동영상을 빠른 속도로 시청할 수는 있으나 동영상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는 없게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동영상의 자막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동영상의 자막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은, 소정 동영상의 재생 방법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 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 및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 중 어느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상기 어느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재생(PLAY)을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재생(PLAY)을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의 다음에 표시될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상기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상기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이동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부터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빨리감기(FF)를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되감기(REW)를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 른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조작된 키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 동영상의 재생 방법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제공하는 키입력부 및 제공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 및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 중 어느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어느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재생(PLAY)을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재생(PLAY)을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을 재생한 후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의 다음에 표시될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검색된 상기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이동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부터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빨리감기(FF)를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되감기(REW)를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소정 동영상의 재생하기 위한 자막 기반 재생(PLAY), 빨리감기(FF) 및 되감기(REW)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생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 또는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자막 표시 시간으로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 후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동영상을 재생한다. 특히, 자막 기반 재생(PLAY)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자막이 표시되는 부분만을 연속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막을 통해 동영상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동영상의 시청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막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자막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영상을 재생(Play)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소정 동영상의 재생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자막 기반 재생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10), 자막 기반 재생 기능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정 동영상의 자막 파일에서 현재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자막 파일에서 검색한다(단계 220).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검색된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다.(단계 230).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재생 시간이 16000ms인 경우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 자막(301)은 23345ms 부터 25614ms 동안 표시되므로 휴 대용 단말기는 다음 자막 표시 시간으로 23345ms를 검색한 후 현재의 재생 위치(즉, 16000ms)에서 검색된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즉, 23345ms)으로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한 재생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과 동기된 자막을 표시한다(단계 240).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은 사용자가 자막을 충분히 읽을 수 있는 시간으로(예를 들면, 3초 내지 5초) 사용자가 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230에서 이동한 재생 위치가 17000ms이고 기설정된 소정 시간이 3초인 경우에는 17000ms부터 3초간 즉, 20000ms까지 동영상을 재생한다.
상기 소정의 동영상이 현재 자막의 표시 시간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까지 재생되는 동안에 다음 자막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은 상기 다음 자막이 표시되는 시간부터 새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현재 자막이 17000ms에 표시되고 기설정된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이 종료되기 이전인 18000ms에 다음 자막이 표시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소정 시간은 상기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즉, 18000ms)에 새로 적용되어 결과적으로 동영상은 1700ms 부터 21000ms 까지 재생된다.
상기와 같이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동영상을 재생한 후 휴대용 단말기는 자막 기반 재생 기능의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50), 상기 자막 기반 재생 기능의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20으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이동한 후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동영상을 재생한다.
단계 210에서 자막 기반 재생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소정의 동영상을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한다(단계 26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에서는 소정의 동영상에 동기되어 표시되는 자막의 표시 시간에 기초하여 각 자막이 표시되는 시간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만큼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막을 통해 동영상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면서도 동영상의 시청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자막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 빨리 감기(FF: Fast Forward) 또는 되감기(REW: Rewind)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동영상이 도 2에 도시된 자막 기반 재생 방법 또는 일반적인 순차 재생 방법에 따라 재생되면(단계 410), 휴대용 단말기는 자막 기반 빨리감기(FF)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420).
자막 기반 빨리감기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재생 위치 즉,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자막파일에서 검색한다(단계 430).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검색된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다(단계 440).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재생 위치가 25720ms인 경우 자막 기반 빨리감기가 활성화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다음 자막(501)의 표시 시간인 27816ms을 검색한 후 검색된 27816ms로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한 재생 위치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한다(단계 450).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자막 기반 재생 방법 또는 일반적인 순차 재생 방법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동영상 재생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460), 동영상 재생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410으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420에서 자막 기반 빨리감기(FF)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자막 기반 빨리감기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자막 기반 되감기(REW)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470).
그리고, 자막 기반 되감기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재생 위치 즉,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을 자막파일에서 검색하고(단계 480), 단계 440으로 진행하여 검색된 표시 시간으로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재생 위치가 25720ms인 경우 자막 기반 되감기가 활성화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이전 자막(503)의 표시 시간인 23345ms을 검색한 후 검색된 23345ms로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다.
도 4에서, 상기 자막 기반 빨리감기 또는 자막 기반 되감기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기설정된 소정시간 이상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벤트가 비활성화될 때까지 다음 자막 표시 시간 또는 이전 자막 표시 시간을 계속 검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송수신부(610), 제어부(620), 저장부(630), 디스플레이부(640), 키입력부(650), 스피커(660) 및 마이크(670)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610)는 듀플렉서, 고주파 처리부 및 중간 주파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611)에 유기된 무선 고주파 신호(RF: Radio Frequency)를 듀플렉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한 후 다시 베이스 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620)에 제공하고, 제어부(620)로부터 제공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다시 무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듀플렉서를 통해 안테나(611)에 제공한다.
또는, 무선 송수신부(610)는 상기와 같은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변환을 거쳐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조하는 헤테로다인 수신 방식 대신 주파수 변환 없이 수신된 고주파 신호에서 직접 신호를 복조하는 직접 변환(direct conversion) 방식 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620)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기능 및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620)는 무선 송수신부(610)로부터 제공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송신 및 수신되는 음성의 디지털 처리를 위한 위한 보코더(vo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20)는 자막 기반 재생, 자막 기반 빨리감기 또는 자막 기반 되감기 등과 같은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이 활성화된 후, 재생(PLAY), 빨리 감기(FF) 또는 되감기(REW)를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키입력부(650)로부터 제공되면 현재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 또는 이전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가 지시하는 내용에 상응하여 동영상을 재생한다.
여기서, 상기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를 통해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키입력부(650)에 구비된 별도의 단축키를 조작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620)는 상기와 같은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코덱을 포함할 수 있고, 자막 기반 동영상 재생 모듈(621)을 포함할 수 있다.
자막 기반 동영상 재생 모듈(621)은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동영상이 선택된 후 자막 기반 재생(PLAY) 기능이 활성화되면, 현재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상기 소정 동영상의 자막 파일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표 시 시간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과 동기된 자막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이후의 모든 자막에 대해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동영상에서 자막이 표시되는 부분만 연속적으로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 자막 기반 동영상 재생 모듈(621)은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동영상이 선택된 후 자막 기반 빨리감기(FF) 또는 자막 기반 되감기(REW) 기능이 활성화되면, 현재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 또는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 또는 이전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자막의 표시 시간을 기준으로 동영상의 빨리 감기(FF) 또는 되감기(REW)를 수행한다.
자막 기반 동영상 재생 모듈(621)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제어부(420)에 구비된 프로세서(예를 들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된 임베디드(embeded) 기반의 프로세서가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630)는 플래쉬(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예를 들면 운영체제) 및/또는 기타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63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수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630)에는 소정 동영상 및 상기 소정 동영상의 재생시 동기되어 같이 표시되는 자막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4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와 같은 표시 장치가 될 수 있고, 제어부(620)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동작 상태, 응용프로그램 실행 화면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640)는 제어부(6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소정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키입력부(650)는 복수의 숫자, 문자 입력 키 및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키조작이 발생하면 이에 상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620)에 제공한다.
특히, 키입력부(650)는 사용자에 의해 자막 기반 동영상 재생(PLAY), 빨리감기(FF), 되감기(REW) 등을 지시하는 키가 조작되면 이에 상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620)에 제공한다.
스피커(660)는 음성 통화시에는 제어부(620)로부터 제공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동영상의 재생시에는 제어부(620)에서 제공된 음향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마이크(670)는 음성 통화시에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을 이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620)에 제공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막 파일의 본문에 포함된 내용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0 : 무선 송수신부 620 : 제어부
621 : 자막 기반 동영상 재생 모듈 630 : 저장부
640 : 디스플레이부 650 : 키입력부
660 : 스피커 670 : 마이크

Claims (8)

  1. 소정 동영상과 상기 소정 동영상의 자막을 표시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 동영상의 재생 방법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 및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 중 어느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어느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막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빨리감기(FF)를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되감기(REW)를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재생(PLAY)을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재생(PLAY)을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의 다음에 표시될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상기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이동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부터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4. 삭제
  5. 소정 동영상과 상기 소정 동영상의 자막을 표시하는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조작된 키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 동영상의 재생 방법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제공하는 키입력부; 및
    제공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 및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 중 어느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어느 하나의 자막 표시 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빨리감기(FF)를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되감기(REW)를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재생(PLAY)을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 동영상의 현재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에 표시될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자막 기반 재생(PLAY)을 지시하는 이벤트인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을 재생한 후 상기 동영상의 이동된 재생 위치의 다음에 표시될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검색된 상기 다음 자막의 표시 시간으로 이동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위치 부터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8. 삭제
KR1020070108673A 2007-10-29 2007-10-29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KR10142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673A KR101422283B1 (ko) 2007-10-29 2007-10-29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673A KR101422283B1 (ko) 2007-10-29 2007-10-29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047A KR20090043047A (ko) 2009-05-06
KR101422283B1 true KR101422283B1 (ko) 2014-07-22

Family

ID=4085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673A KR101422283B1 (ko) 2007-10-29 2007-10-29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462B1 (ko) * 2014-12-15 2021-10-28 조은형 미디어 콘텐츠 플레이백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102319456B1 (ko) 2014-12-15 2021-10-28 조은형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305A (ko) * 1999-05-19 2000-12-15 김광수 자막지향 탐색정보 생성 및 탐색방법과, 이를 사용하는 재생장치
KR20070022470A (ko) * 2005-08-22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영상기기의 영상 스캔 방법
JP2007174074A (ja) 2005-12-20 2007-07-05 Yamaha Corp 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305A (ko) * 1999-05-19 2000-12-15 김광수 자막지향 탐색정보 생성 및 탐색방법과, 이를 사용하는 재생장치
KR20070022470A (ko) * 2005-08-22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영상기기의 영상 스캔 방법
JP2007174074A (ja) 2005-12-20 2007-07-05 Yamaha Corp 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047A (ko)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1787B2 (en)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and program
CN104104990B (zh) 调整视频中字幕的方法及装置
JP4628285B2 (ja) 番組録画装置、携帯端末、番組録画・再生システム、録画番組表示方法
US8891938B2 (en) Methods of playing/recording moving picture using caption search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employing the method
US7801477B2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4835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otion picture files
JP2010176786A (ja) コントローラ、録画機器及びメニュー表示方法
KR101422283B1 (ko)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JP2007158959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9159125A (ja) 字幕付き映像再生装置、字幕付き映像再生装置の検索結果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38548B2 (ja) 携帯端末
US20120127181A1 (en) Av device
JP4679289B2 (ja) テレビ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912558B1 (ko) 자막 검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녹화 방법 및 이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JP2007028465A (ja) 映像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79684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외국어 학습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743962B1 (ko) 컨텐츠 연관 메모 기록, 색인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단말기
JP2007194909A (ja) 録画装置、録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72542A (ja) テレビ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9197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파일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80106710A (ko) 화상 통신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방법
KR100698651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파일 서치 플레이어 및 파일 서치 플레이방법
JP2006339932A (ja) テレビ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28226A (ja) 放送番組再生装置
JP2009027578A (ja)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