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088B1 -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088B1
KR101422088B1 KR1020120157217A KR20120157217A KR101422088B1 KR 101422088 B1 KR101422088 B1 KR 101422088B1 KR 1020120157217 A KR1020120157217 A KR 1020120157217A KR 20120157217 A KR20120157217 A KR 20120157217A KR 101422088 B1 KR101422088 B1 KR 101422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ayer
dimensional
impregna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556A (ko
Inventor
김종섭
Original Assignee
(주)로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움 filed Critical (주)로움
Priority to KR102012015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specially treated, e.g. surfaced, parchment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9Iridescent, pearlescen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를 가죽 혹은 합성수지 원단에 배접함으로써 원단의 질감은 유지하고 한지 고유의 문양을 살릴 뿐만 아니라 한지로 투영되는 입체패턴을 통해 입체감 있는 원단을 연출할 수 있게 되어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나 필름지로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는 가죽 재질의 원단층과; 합성수지의 인장 강도 및 인열 강도를 가지도록, 액상의 합성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함침한지층과; 상기 함침한지층과 원단층 사이에서 입체패턴을 형성하도록 개재되어 있는 입체도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단층, 함침한지층, 입체도안층이 접착제에 의해 순서대로 배접하여 입체한지원단을 생성하되, 상기 입체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양 면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Fabric Having 3-Dimensional Desig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 문양을 원단 상에 표현하고 이를 투명 필름지로 배접시킨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지, 무늬목, 가죽 등은 자연친화적인 소재로서 항균성이 우수하고 시멘트를 비롯한 건축소재로부터 방출되는 각종 유해가스를 흡착하여 공기 중에서 제거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건강에 이로운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지나 무늬목, 가죽 등과 같은 자연소재의 원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건물 및 차량의 실내 장식을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한지나 무늬목의 특성상 얇은 낱장은 찢어짐이 쉬워 가죽 원단에 직접 배접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합성수지 소재에 함침된 한지를 원단에 배접시킴으로써 한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었으나, 이러한 한지가 배접된 원단은 평면적인 한지 무늬만이 표현되어 심미적인 느낌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침된 한지를 가죽이나 무늬목과 같은 자연소재의 원단에 배접함으로써 한지와 원단의 무늬와 질감을 유지하되, 한지원단 혹은 원단 사이에 입체패턴을 형성하거나 홀로그램을 구성하도록 하여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 상에 입체패턴을 형성하거나 홀로그램을 넣도록 하여 자연 소재의 원단에 보다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체 문양이 투영되면서 원단을 보호할 수 있도록, 입체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원단의 상, 하면에 박리지나 PET와 같은 투명 필름지를 배접하도록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는 가죽 재질의 원단층과; 합성수지의 인장 강도 및 인열 강도를 가지도록, 액상의 합성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함침한지층과; 상기 함침한지층과 원단층 사이에서 입체패턴을 형성하도록 개재되어 있는 입체도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단층, 입체도안층, 함침한지층이 접착제에 의해 순서대로 배접하여 입체한지원단을 생성하되, 상기 입체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양 면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는 가죽 재질의 원단층과; 상기 원단층 상에 입체패턴을 형성하도록 개재되어 있는 입체도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단층, 입체도안층이 접착제에 의해 배접하여 입체원단을 생성하되, 상기 입체원단의 일 면 혹은 양 면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는 무늬목 재질의 원단층과; 상기 원단층과 배접하며, 합성수지의 인장 강도 및 인열 강도를 가지도록, 액상의 합성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함침한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단층, 함침한지층이 접착제에 의해 배접하여 한지원단을 생성하되, 상기 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양 면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체도안층은 홀로그램 문양을 가진 시트지 혹은 원단 상에 인쇄되는 입체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우레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우레아,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명필름층은 얇은 박리지 또는 두꺼운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지생지에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시키는 함침한지 생성 단계와; 가죽 재질의 원단 상에 적층된 입체도안층을 상기 함침한지에 배접시켜 입체한지원단을 생성하는 입체한지원단 생성 단계와; 상기 입체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그 양면에 투명필름층을 배접하는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무늬가 도안된 입체도안층을 가죽 재질의 원단 상에 적층하여 입체원단을 생성하는 입체원단 생성 단계와; 상기 입체원단의 일 면 혹은 그 양면에 투명필름층을 배접하는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지생지에 합성수지를 침투시켜 함침한지를 생성한 후 이를 무늬목 재질의 원단 상에 배접시켜 한지원단을 생성하는 한지원단 생성 단계와; 상기 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그 양면에 투명필름층을 배접하는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지원단 생성 단계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한지생지에 골고루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실에서 건조시키는 합성수지 도포 및 건조단계와; 한지의 일 면에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접착제 도포 및 건조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원단을 배접하는 원단 배접단계와; 각 층 사이의 공기 제거와 밀착 배접을 위해, 압축을 하게 되는 롤러 압축단계와; 원단이 배접된 한지원단을 말아서 절단하는 와인딩 및 절단단계와; 와인딩된 한지원단을 60~80도의 숙성실에서 8~10시간 숙성하면서 건조시키는 숙성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함침한지 생성단계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한지생지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침투시킨 후 건조실에서 건조시키는 합성수지 도포 및 건조단계와; 상기 합성수지가 침투된 한지의 일 면에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접착제 도포 및 건조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박리지를 배접하는 박리지 배접단계와; 각 층 사이의 공기 제거와 밀착 배접을 위해, 박리지가 배접된 한지를 고정틀에 올리고 롤러로 한지를 밀면서 압축하는 롤러 압축단계와; 상기 박리지가 배접된 한지를 말아서 절단하는 와인딩 및 절단단계와; 와인딩된 한지를 숙성온도가 60~80도인 숙성실에서 8~10시간 동안 숙성하면서 건조시키는 숙성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는, 상기 투명필름의 일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반 건조시킨 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필름의 면을 입체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그 양면에 각각 면착시키는 면착 단계와; 각 층 사이의 공기 제거와 밀착 배접을 위해, 상기 입체한지원단의 일면 혹은 양면에 투명필름층이 면착된 상태에서 롤러로 압축하는 롤러 압축 단계와; 입체한지원단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된 상태에서 이를 말아 양 단을 규격에 맞게 절단시키는 와인딩 및 절단단계와; 와인딩된 입체한지원단을 60~80도의 숙성실에서 6~8시간 동안 숙성 및 건조시키는 숙성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은 한지를 가죽 혹은 무늬목 원단에 배접함으로써 원단의 질감은 유지하고 한지 고유의 문양을 살릴 수 있으며, 한지로 투영되는 입체패턴을 통해 입체감 있는 원단을 연출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나 필름지로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입체도안층이 배접된 원단의 상, 하면에 필름지를 배접함으로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필름지를 통해 입체형상이 그대로 표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름지 상의 오물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도 2의 함침한지 생성 순서도,
도 4는 도 2의 투명필름층 배접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도 8의 한지원단 생성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함침한지 생성 순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투명필름층 배접 순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제1실시예에서는 함침한지층(10)과 원단층(30) 사이에 입체도안층(20)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는 합성수지(11) 성분이 함침된 함침한지층(10), 상기 함침한지층(10)과 원단 사이에 배접하거나 원단 상에 인쇄되는 입체도안층(20), 상기 입체도안층(20)의 하면에서 배접하는 원단층(30), 그리고 원단층, 입체도안층, 함침한지층에 각각 도포되어 이들이 순서대로 배접할 수 있도록 접착 성분을 가진 접착제(12,21)로 구성된다.
상기 한지(10) 표면모양지의 원료인 한지원료 섬유는 닥나무, 삼지닥나무, 산닥나무, 뽕나무, 양마, 황마, 대마, 아마, 모시풀, 어저귀, 마닐라삼, 뉴질랜드삼, 사이잘삼, 부용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부터 얻어진 천연섬유 혹은 상기 천연섬유와 목재펄프를 5:5∼9: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지(10)에 함침되는 합성수지(11)는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T), 폴리염화비닐(PVC), 우레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을 가진다.
상기 합성수지(11)는 한지(10)에 1~500미크론의 일정 두께로 도포된 후, 한지(10)에 그 입자성분이 침투된다.
따라서 함침한지층(10)은 합성수지의 특징인 높은 인장, 인열 강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 함침한지층(10)의 하면은 홀로그램층과 배접하는 면으로, 이를 위해 상기 함침한지층(10)의 하면은 우레아 성분의 접착제(12)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입체도안층(20)은 홀로그램 문양을 가진 시트지이거나 혹은 원단(30) 상에 직접 인쇄되는 입체패턴이다.
홀로그램(hologram)이란 실물과 똑같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사진으로서,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입체상을 재현하는 간섭 줄무늬를 기록한 매체이다.
상기 입체도안층(20)은 시트지일 경우 그 하면이 원단층(30)과 배접하므로, 상기 입체도안층(20)의 하면은 우레아 성분의 접착제(21)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원단층(3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천 혹은 종이, 가죽 재질이다.
이때 상기 원단층(30)이 가죽일 경우, 그라비아 인쇄 혹은 돌출인쇄를 통해 음각 혹은 양각의 무늬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차량시트, 쇼파, 가구, 신발, 의류, 가방 등에 사용된다.
또한 원단층(30)이 시트지일 경우, 시트지에 나무무늬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가전, 마감재 인테리어, 가구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원단층(30) 상에 입체도안층과 함침한지층이 순서대로 배접됨으로써 한지의 고유무늬가 원단 상에 나타남과 동시에 홀로그램 혹은 입체패턴 무늬가 한지로부터 투영되어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단층(30) 상에 입체도안층(20)과 함침한지층(10)이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원단층(30)의 하면과 입체도안층(20)의 상면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면에 얇은 박리지(이형지) 또는 두꺼운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필름층(40)이 배접하게 된다. 여기서, 박리지의 재질은 PE, PU를 비롯한 다양한 필름 소재로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제조 방법의 전체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제조 방법은 함침한지 생성 단계(S100)와, 입체한지원단 생성 단계(S200),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300)로 구성된다.
상기 함침한지 생성 단계(S100)는 한지생지에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시킴으로써 함침한지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하, 합성수지가 함침되지 않은 한지를 한지생지라 칭하며, 합성수지가 함침된 한지를 함침한지라 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침한지 생성 단계는 우선 합성수지 도포 및 건조단계(S11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한지생지에 골고루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실에서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우레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다.
또한 한지생지에 도포되는 합성수지의 두께는 1~500미크론에 해당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한 후, 한지의 일 면에 접착제 도포 및 건조단계(S12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합성수지가 도포되어 건조된 한지의 일 면에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며 합성수지의 건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착면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우레아,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다.
상기의 단계를 수행한 후, 접착제가 모두 건조된 상태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박리지를 배접하는 박리지 배접단계(S13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박리지가 접착제에 접착하면서 한지와 박리지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하며 배접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한 후 박리지와 한지의 밀착력을 높이고 합성수지가 한지에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하도록 압축을 하게 되는 롤러 압축단계(S14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박리지가 배접된 한지를 고정틀에 올리고 롤러로 한지를 밀면서 압축하도록 한다.
상기의 롤러 압축 단계를 통해 한지가 압축된 상태에서 박리지가 배접된 한지를 말아서 절단하는 와인딩 및 절단단계(S15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한지의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말아 말린 상태의 양 끝단을 규격에 맞게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인딩된 상태의 한지를 숙성실에서 숙성하면서 건조시키는 숙성 및 건조단계(S16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숙성실의 숙성온도가 60~80도에서 8~10시간 숙성시키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함침한지를 생성한 후, 입체도안이 원단 상에 배접되도록 한 후 상기 배접된 원단면을 함침한지의 일 면에 배접시키는 입체한지원단 생성 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입체한지원단 생성 단계(S200)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원단 재질은 가죽 혹은 시트지에 해당되며, 가죽일 경우 돌출인쇄 및 그라비아 인쇄를 통해 가죽 고유의 무늬가 표현되거나 시트지일 경우 목무늬가 표현된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체한지원단 생성 단계(S200)에서 입체도안층이 홀로그램 시트지일 경우, 상기 입체도안층(20) 일 면에 우레아 성분의 접착제(21)를 균일하게 도포시킨 후 건조실에서 반 건조시킨 후 원단에 배접하도록 한다.
또한 입체도안층이 입체패턴의 인쇄인 경우, 원단 상에 다양한 색상의 입체패턴을 인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단 상면에 입체도안층이 배접된 상태에서, 함침한지의 박리지를 제거시킨 후 박리지가 제거된 함침한지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이 입체도안층과 배접하도록 하여 입체한지원단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의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입체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그 양면에 얇은 박리지(이형지) 혹은 두꺼운 PET와 같은 투명 재질의 필름을 적층하게 되는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1장 혹은 2장의 투명필름의 일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반 건조시킨 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필름의 면을 입체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그 양면에 각각 면착시키는 면착 단계(S31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입체한지원단의 일면 혹은 양면에 투명필름층이 면착된 상태에서 롤러로 압축하게 되는 롤러 압축 단계(S32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롤러압축은 입체한지원단과 투명필름층이 면착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기를 제거하고 더욱 밀착되게 배접할 수 있도록 압착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롤러압축 단계(S320)를 수행한 후 와인딩 및 절단단계(S33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와인딩 및 절단단계(S330)에서 입체한지원단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된 상태에서 이를 말아 말린 상태의 양 단을 규격에 맞게 절단시키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와인딩된 입체한지원단은 숙성 및 건조 단계(S34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인딩된 입체한지원단은 숙성실에서 60~80도에서 6~8시간 동안 숙성 및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의 전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제2실시예에서는 원단층(60) 상에 입체도안층(50)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층과 입체도안층으로 구성되는 입체원단의 일면 혹은 양면에 투명필름층(70)이 배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도안층(50)은 홀로그램 문양을 가진 시트지이거나 혹은 원단층(60)에 직접 인쇄되는 입체패턴이다.
홀로그램(hologram)이란 실물과 똑같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사진으로서,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입체상을 재현하는 간섭 줄무늬를 기록한 매체이다.
상기 입체도안층(50)은 그 하면이 원단층(60)과 배접하므로, 상기 입체도안층(50)의 하면은 우레아 성분의 접착제(51)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원단층(6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천 혹은 종이, 가죽 재질이다.
이때 상기 원단층(60)이 가죽일 경우, 그라비아 인쇄 혹은 돌출인쇄를 통해 음각 혹은 양각의 무늬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차량시트, 쇼파, 가구, 신발, 의류, 가방 등에 사용된다.
또한 원단층(60)이 시트지일 경우, 시트지에 나무무늬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가전, 마감재 인테리어, 가구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원단층(60)에 입체도안층(50)이 적층된 상태에서 원단층(60)의 하면과 입체도안층(50)의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얇은 얇은 박리지(이형지) 또는 두꺼운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필름층(70)이 배접하게 된다. 여기서, 박리지의 재질은 PE, PU를 비롯한 다양한 필름 소재로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은 입체원단 생성 단계(S400),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500)로 구성된다.
상기 입체원단 생성 단계(S400)는 홀로그램 시트지를 원단에 배접시키거나 입체패턴을 원단 상에 인쇄하게 된다.
상기 입체원단 생성 단계(S400)에 있어서 상기 한지 원단의 원단 재질은 가죽 혹은 시트지에 해당되며, 가죽일 경우 돌출인쇄 및 그라비아인쇄를 통해 가죽 고유의 무늬가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체원단 생성 단계(S400)에서 입체도안층이 홀로그램 시트지일 경우, 상기 입체도안층(50) 일 면에 우레아 성분의 접착제(51)를 균일하게 도포시킨 후 건조실에서 반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입체도안층이 입체패턴의 인쇄인 경우, 원단 상에 다양한 색상의 입체패턴을 인쇄하게 된다.
상기의 단계를 수행한 후, 입체원단의 일 면 혹은 그 양면에 얇은 박리지(이형지) 혹은 두꺼운 PET와 같은 투명 재질의 필름을 적층하게 되는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50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500)는 1장 혹은 2장의 투명필름의 일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반 건조시킨 후, 입체원단에 면착시키는 면착 단계를 수행하게 되며, 이하의 단계는 상기 제1실시예의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3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한지원단 생성 순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제3실시예에서는 함침된 함침한지층(80) 상에 무늬목으로 구성되는 원단층(90)이 적층되어 있는 한지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실시예는 합성수지 성분이 함침된 함침한지층(80), 상기 함침한지층(80)의 하면에 적층하는 원단층(90)이 서로 배접할 수 있도록 접착 성분을 가진 접착제(81)로 구성된다.
상기 함침한지층(80)의 한지생지, 한지, 함침한지, 접착제 성분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원단층(9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나무 재질이며, 나무의 나무결이나 나이테 등의 나무무늬가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원단층(90)에 함침한지층이 적층됨으로써 한지의 고유무늬가 원단 상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단층(90) 상에 함침한지층(80)이 적층된 상태에서 한지원단의 일면 혹은 그 양면에 얇은 얇은 박리지(이형지) 또는 두꺼운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필름층(100)이 배접하게 된다. 여기서, 박리지의 재질은 PE, PU를 비롯한 다양한 필름 소재로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의 제조 방법의 제3실시예는 한지원단 생성 단계(S600)와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700)로 구성된다.
상기 한지원단 생성 단계(S600)는 한지생지에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시킨 함침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원단에 배접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한지원단 생성 단계(S600)에 있어서, 함침한지에 배접되는 원단은 무늬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지원단 생성 단계(S600)는 우선 합성수지 도포 및 건조단계(S61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한지생지에 골고루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실에서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우레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다.
또한 한지생지에 도포되는 합성수지의 두께는 1~500미크론에 해당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한 후, 한지의 일 면에 접착제 도포 및 건조단계(S62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합성수지가 도포되어 건조된 한지의 일 면에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며 합성수지의 건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착면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우레아,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다.
상기의 단계를 수행한 후, 접착제가 모두 건조된 상태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원단을 배접하는 원단 배접단계(S63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원단이 접착제에 접착하면서 한지와 원단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하며 배접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한 후 원단과 한지의 밀착력을 높이고 합성수지가 한지에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하도록 압축을 하게 되는 롤러 압축단계(S64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원단이 배접된 한지를 고정틀에 올리고 롤러로 한지를 밀면서 압축하도록 한다.
상기의 롤러 압축 단계를 통해 한지가 압축된 상태에서 원단이 배접된 한지를 말아서 절단하는 와인딩 및 절단단계(S65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한지원단의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말아 말린 상태의 양 끝단을 규격에 맞게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인딩된 상태의 한지원단을 숙성실에서 숙성하면서 건조시키는 숙성 및 건조단계(S66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숙성실의 숙성온도가 60~80도에서 8~10시간 숙성시키게 된다.
상기의 단계를 수행한 후, 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양면에 얇은 박리지(이형지) 혹은 두꺼운 PET와 같은 투명 재질의 필름을 적층하게 되는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70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700)에서는 한지원단의 일 면이나 양 면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될 수 있다.
이하, 한지원단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되는 단계는 상기 제1실시예의 입체한지원단에 투명 필름층이 배접되는 단계와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한지원단에 입체도안층이 배접된 입체한지원단의 일면 혹은 양면에 투명 필름층에 배접되는 반면, 본 발명의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무늬목의 원단에 함침한지가 배접된 한지원단의 일면 혹은 양면에 투명 필름층이 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80 : 함침한지층 11 : 합성수지
12, 21, 51, 81 : 접착제 30, 60, 90 : 원단층
20, 50 : 입체도안층

Claims (13)

  1.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는 가죽 재질의 원단층과;
    합성수지의 인장 강도 및 인열 강도를 가지도록, 액상의 합성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함침한지층과;
    상기 함침한지층과 원단층 사이에서 입체패턴을 형성하도록 개재되어 있는 입체도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단층, 입체도안층, 함침한지층이 접착제에 의해 순서대로 배접하여 입체한지원단을 생성하되, 상기 입체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양 면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도안층은 홀로그램 문양을 가진 시트지 혹은 원단 상에 인쇄되는 입체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우레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우레아,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층은 얇은 박리지 또는 두꺼운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8. 한지생지에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시키는 함침한지 생성 단계(S100)와;
    가죽 재질의 원단 상에 적층된 입체도안층을 상기 함침한지에 배접시켜 입체한지원단을 생성하는 입체한지원단 생성 단계(S200)와;
    상기 입체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그 양면에 투명필름층을 배접하는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한지 생성단계(S100)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한지생지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침투시킨 후 건조실에서 건조시키는 합성수지 도포 및 건조단계(S110)와;
    상기 합성수지가 침투된 한지의 일 면에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접착제 도포 및 건조단계(S120)와;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박리지를 배접하는 박리지 배접단계(S130)와;
    각 층 사이의 공기 제거와 밀착 배접을 위해, 박리지가 배접된 한지를 고정틀에 올리고 롤러로 한지를 밀면서 압축하는 롤러 압축단계(S140)와;
    상기 박리지가 배접된 한지를 말아서 절단하는 와인딩 및 절단단계(S150)와;
    와인딩된 한지를 숙성온도가 60~80도인 숙성실에서 8~10시간 동안 숙성하면서 건조시키는 숙성 및 건조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층 배접 단계는,
    상기 투명필름의 일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반 건조시킨 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필름의 면을 입체한지원단의 일 면 혹은 그 양면에 각각 면착시키는 면착 단계와;
    각 층 사이의 공기 제거와 밀착 배접을 위해, 상기 입체한지원단의 일면 혹은 양면에 투명필름층이 면착된 상태에서 롤러로 압축하는 롤러 압축 단계와;
    입체한지원단에 투명필름층이 배접된 상태에서 이를 말아 양 단을 규격에 맞게 절단시키는 와인딩 및 절단단계와;
    와인딩된 입체한지원단을 60~80도의 숙성실에서 6~8시간 동안 숙성 및 건조시키는 숙성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제조 방법.
KR1020120157217A 2012-12-28 2012-12-28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2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217A KR101422088B1 (ko) 2012-12-28 2012-12-28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217A KR101422088B1 (ko) 2012-12-28 2012-12-28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556A KR20140086556A (ko) 2014-07-08
KR101422088B1 true KR101422088B1 (ko) 2014-07-23

Family

ID=5173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217A KR101422088B1 (ko) 2012-12-28 2012-12-28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138B1 (ko) * 2021-09-28 2023-05-17 이경림 가죽 질감을 가지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398682B1 (ko) * 2022-01-28 2022-05-17 한원물산 주식회사 대량생산이 용이한 늘어나는 한지원단 제조방법
KR102479185B1 (ko) * 2022-05-04 2022-12-20 주식회사 제이제이지 한지를 활용한 친환경 그래핀 시트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751A (ko) * 2001-03-03 2002-09-11 이규석 미세다공층을 갖는 건식합성피혁시트의 제조방법
KR200321038Y1 (ko) 2003-05-03 2003-07-25 박순옥 전사인쇄패턴층을 갖는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가방
KR20040025265A (ko) * 2002-09-19 2004-03-24 박주용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배접지로 사용한 천연 무늬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579596B1 (ko) 2004-08-20 2006-05-12 (주)아이.씨.씨 무독성 방염 피니싱 포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751A (ko) * 2001-03-03 2002-09-11 이규석 미세다공층을 갖는 건식합성피혁시트의 제조방법
KR20040025265A (ko) * 2002-09-19 2004-03-24 박주용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배접지로 사용한 천연 무늬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321038Y1 (ko) 2003-05-03 2003-07-25 박순옥 전사인쇄패턴층을 갖는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가방
KR100579596B1 (ko) 2004-08-20 2006-05-12 (주)아이.씨.씨 무독성 방염 피니싱 포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556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5259B2 (en) Composite material
CN102627015B (zh) 制造板状产品的方法以及由该方法制造的板状产品
KR101228351B1 (ko) 합성수지가 함침된 한지를 이용한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BRPI0903821A2 (pt) compósito texturizado
KR20120064239A (ko) 멀티 컬러 효과를 갖는 인조가죽 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1362695B1 (en) Resilient flooring structure with encapsulated fabric
KR101422088B1 (ko) 입체 문양이 투영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CN104136694A (zh) 多功能结构及其制造方法
CN107447594B (zh) 一种3d墙纸及其制造方法
US20060223403A1 (en) Three Layer Thermoplastic Synthetic Leather Product and Macufacture Thereof
US10132032B2 (en) Imitation leath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80111086A (ko) 스웨이드질감을 갖는 인조가죽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6977B1 (ko) 자연 무늬를 가진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15195B1 (ko) 승화 전사 공법 적용 및 섬유 파일을 사용한 비닐바닥재와 그의 제조방법
KR101294397B1 (ko) 엠보 유지가 우수한 장식 시트 제조 방법
KR101522520B1 (ko) 합성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시트, 및 상기 시트가 부착된 바닥재
KR101350578B1 (ko) 재부착 용이한 벽지 제조 방법 및 벽지
KR100388851B1 (ko) 우수한 벽면 은폐력 및 입체형상을 가지는 부직포 벽지 및그 제조방법
JP4971102B2 (ja) 車両用成形天井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9289B2 (ja) 栞及びその製造方法
CN204238488U (zh) 一种墙面软包装饰材料
KR102643381B1 (ko) 엠보싱 접착된 입체무늬가 있는 섬유 벽지
CN219219604U (zh) 一种复合艺术漆墙布
JPS59127739A (ja) 装飾材料の製造法
KR100670466B1 (ko) 자연소재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