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337B1 - 자동차의 조향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337B1
KR101421337B1 KR1020120034719A KR20120034719A KR101421337B1 KR 101421337 B1 KR101421337 B1 KR 101421337B1 KR 1020120034719 A KR1020120034719 A KR 1020120034719A KR 20120034719 A KR20120034719 A KR 20120034719A KR 101421337 B1 KR101421337 B1 KR 10142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rotrusion
lever
fixed ca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385A (ko
Inventor
방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03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33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03Dampers characterised by having pressure absorbing means other than gas, e.g. spong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Mechanical transmissions for actuators
    • B60Y2400/414Ramp or cam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에 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중 어느 한 쪽에 고정캠이 구비되는 틸트 브라켓; 및 상기 고정캠에 맞닿아 회전하는 작동캠이 구비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틸트 브라켓을 조이거나 푸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캠과 고정캠에는, 상기 레버가 풀렸을 때 상기 작동캠과 고정캠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위해 레버를 풀었을 때에도 레버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레버의 작동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컬럼{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위해 레버를 풀었을 때 레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레버의 작동감을 향상시키고, 레버의 풀림 상태에서 작동캠과 고정캠의 충돌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조향축(101)을 감싸는 튜브(103)에는 디스턴스 부재(110)가 결합되고, 단면이 'U' 자 형인 지지 부재(105)를 갖는 상부 브라켓(100)은 차체에 결합된다. 또한, 지지 부재(105) 사이에 끼워진 디스턴스 부재(110)의 양쪽 면에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조절 볼트(125)는 디스턴스 부재(110)의 통공(미도시)과 지지 부재(105)에 형성된 관통공(120)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조절 볼트(125)에는 지지 부재(105)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지 부재(105)와 디스턴스 부재(110) 사이의 조임력을 증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캠(130)이 설치된다.
또한, 조절 레버(150)에는 캠(130)의 일면에 형성된 경사부(155)가 삽입되는 경사부 삽입홈(135)이 형성되고, 조절 볼트(125)의 단부에는 회전을 지지하는 부시(140) 및 조절 볼트(125)와 체결되는 고정 너트(145)가 결합된다.
조절 레버(150)의 경사부 삽입홈(135)과 캠(130)의 경사부(155)는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조절 레버(150)를 작동시켜 조절 레버(150)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캠(130)도 회전한다. 따라서 지지 부재(105)가 디스턴스 부재(110)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는, 운전자가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위해 조절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캠(130)이 지지 부재(105)와 디스턴스 부재(110) 사이의 조임력을 해제시키면, 서로 맞닿아 있던 지지 부재(105), 캠(130), 조절 레버(150) 등이 서로 떨어지며 그 사이에 간격이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캠(130)과 조절 레버(150)의 흔들림이 발생하며, 또한 이들 사이에 충돌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가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위해 레버를 풀었을 때에도 작동캠과 고정캠이 서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레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레버의 작동감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의 풀림 상태에서 작동캠과 고정캠 사이의 충돌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고정캠이 구비되는 틸트 브라켓; 및 상기 고정캠에 맞닿아 회전하는 작동캠이 구비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틸트 브라켓을 조이거나 푸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캠과 고정캠에는, 상기 레버가 풀렸을 때 상기 작동캠과 고정캠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격 방지부는, 상기 작동캠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제 1 돌출부; 및 상기 고정캠의 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풀렸을 때 상기 제 1 돌출부와 마주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자성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중 어느 하나의 축방향 폭은 상기 레버가 풀리는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고, 나머지 하나의 축방향 폭은 이에 대응하도록 점차 증가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완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표면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러버,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위해 레버를 풀었을 때에도 레버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레버의 작동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의 풀림 상태에서 고정캠과 작동캠 사이의 충돌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작동캠과 고정캠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작동캠의 회전시 제 1 돌출부의 이동방향을 보여주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도 2의 작동캠과 고정캠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2의 작동캠과 고정캠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자동차의 조향컬럼(200)은 튜브(210), 틸트 브라켓(230), 레버(240), 어드저스트 볼트(260), 작동캠(215), 그리고 고정캠(216)을 포함한다.
조향축(175)은 튜브(210) 안으로 내삽된다. 틸트 브라켓(230)은 상부 마운팅 브라켓(235)과 일체로 차체에 고정되고, 양측에 마주보도록 틸트 가이드 홈(237)이 형성된다. 틸트 브라켓(230)은 튜브(210)의 양측을 감싸며 결합된다. 틸트 브라켓(23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쪽에는 고정캠(216)이 구비된다.
튜브(210)의 하부 양측에는 텔레스 가이드부(253)가 형성되고, 텔레스 가이드부(253)에는 장공이 형성되며, 장공에는 텔레스 부시(280)가 삽입고정된다.
어드저스트 볼트(260)는 장공과 틸트 가이드 홈(237)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단부에는 고정캠(216), 작동캠(215), 와셔(261), 너트(263)가 순차 결합된다. 틸트 가이드 홈(237)과 텔레스 부시(280)를 관통한 어드저스트 볼트(260)는 텔레스 부시(28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레버(240)에는 작동캠(215)이 구비된다. 작동캠(215)은 고정캠(216)과 맞닿아 회전한다. 레버(2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작동캠(215)이 회전하면서 작동캠(215)과 고정캠(216) 사이의 간격이 변하며 틸트 브라켓(230)이 조임 상태 또는 풀림 상태가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레버(2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임 상태가 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풀림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작동캠(215)과 고정캠(216)이 틸트 브라켓(230)에 결합되는 방향을 '축방향'이라 하며, 상술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조임 상태는 틸트 브라켓(230)이 축방향으로 좁혀져 튜브(210)의 양측을 가압함으로써 튜브(2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즉,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이 완료된 상태)를 의미하고, 풀림 상태는 좁혀져 있던 틸트 브라켓(230)이 원상복귀하여 튜브(210)의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작동캠(215)과 고정캠(216)에는 레버(240)가 풀림 상태일 때 이 둘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유격 방지부가 형성된다. 유격 방지부는 작동캠(215)에 형성되는 제 1 돌출부(330)와 고정캠(216)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360)를 포함하는바,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작동캠과 고정캠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레버(240)에 구비된 작동캠(215)은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일단에 결합된다. 작동캠(215)의 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 1 캠 구조부(310)가 형성되며, 제 1 캠 구조부(310)는 경사면(311)과 평면(313)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작동캠(215)의 측면에는 제 1 돌출부(330)가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할 때, 제 1 돌출부(330)는 일측 단부의 축방향 폭이 시계 방향(즉, 레버(240)가 풀림 상태가 되는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어 경사면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제 1 돌출부(330)는 전체적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돌출부(330)는 자성체로 구비되어 후술할 고정캠(216)의 제 2 돌출부(360)를 끌어당긴다. 이 때, 제 2 돌출부(3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돌출부(330)에는 완충부가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완충부는 제 1 돌출부(330)의 표면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러버, 우레탄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제 1 돌출부(330)와 후술할 제 2 돌출부(360)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일 예로, 제 1 돌출부(330)의 표면에 플라스틱이 구비되는 경우, 제 1 돌출부(330)의 표면은 플라스틱으로 코팅처리될 수 있다. 이 때, 플라스틱을 코팅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일 예로, 정전 도장법(electrostatic coating)을 이용할 수 있다. 정전 도장법(electrostatic coating)은 도료를 분무 상태로 하여 전하를 부여하고 도장물에 고전압을 가함으로써 도료를 흡착 도장하는 방법이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고정캠(216)은 틸트 브라켓(23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고정캠(216)은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일단에 끼워져 틸트 브라켓(230)과 작동캠(215) 사이에 결합되고, 작동캠(215)이 맞닿아 회전하도록 작동캠(215)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가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고정캠(216)의 일면(즉, 작동캠(215)의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술한 작동캠(215)의 제 1 캠 구조부(310)에 대응하도록 경사면(341)과 평면(343)을 가진 제 2 캠 구조부(340)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고정캠(216)의 측면에는 스토퍼(350)가 형성된다. 스토퍼(350)는 고정캠(216)의 측면에 결합되되, 작동캠(215)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스토퍼(350)는 제 1 돌출부(330)와 연동하여 레버(240)의 회전량을 제한한다. 즉, 도 2를 참고할 때, 잠금 상태를 만들기 위해 레버(2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작동캠(215)은 제 1 돌출부(330)가 고정캠(216)의 스토퍼(350)에 맞닿을 때까지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캠(216)의 측면에는 제 2 돌출부(360)가 더 형성된다. 제 2 돌출부(360)는 고정캠(216)의 측면 중 스토퍼(350)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캠(216)과 작동캠(215)의 결합시 작동캠(215)의 제 1 돌출부(330)는 고정캠(216)의 스토퍼(350)와 제 2 돌출부(36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돌출부(3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자성체로 구비된 제 1 돌출부(330)에 반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돌출부(3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제 2 돌출부(360)가 자성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 모두 자성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가 모두 자성체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 2 돌출부(360)와 제 1 돌출부(33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자성체로 형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위해 레버(240)를 풀었을 때에도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인해 작동캠(215)과 고정캠(216)의 결합이 유지되므로, 결국 레버(24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레버(240)의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고정캠(216)과 작동캠(215) 사이의 충돌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2 돌출부(360)의 축방향 폭은 상술한 제 1 돌출부(330)에 대응하도록 시계 방향(즉, 레버(240)가 풀림 상태가 되는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여 경사면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는 그 만나는 면이 경사면을 이루게 되며, 이로 인해 풀림 상태가 될 때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는 안정적으로 접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달리 제 2 돌출부(360)의 축방향 폭은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여 경사면을 이루고, 제 1 돌출부(330)의 축방향 폭은 제 2 돌출부(360)에 대응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여 경사면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2와 도 4를 참고할 때, 잠김 상태에서 풀림 상태가 되도록 레버(240)를 회전시키면 작동캠(215)의 제 1 돌출부(3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결국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캠(216)의 제 2 돌출부(360)와 만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의 만나는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돌출부(330)가 제 2 돌출부(360)에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2 돌출부(360)에는 상술한 제 1 돌출부(330)와 유사하게 완충부가 구비되며, 완충부는 제 2 돌출부(360)의 표면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러버, 우레탄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도 2의 작동캠과 고정캠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도 5, 그리고 도 6을 참고하여 작동캠과 고정캠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잠김 상태에서 작동캠(215)의 제 1 돌출부(330)는 고정캠(216)의 스토퍼(350)와 맞닿아 있고, 제 2 돌출부(360)와는 소정 간격 떨어져 있다(도 5의 상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레버(2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캠(215)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풀림 상태가 되고, 맞닿아 있던 제 1 돌출부(330)와 스토퍼(350)는 분리되며, 제 1 돌출부(330)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돌출부(360)에 접하게 된다(도 6의 상태). 이 때,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자성체로 구비되므로, 서로 간의 인력에 의해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 사이의 결합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의 표면은 일 예로, 플라스틱 코팅처리되므로 이 둘이 접할 때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위해 레버를 풀었을 때에도 레버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레버의 작동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의 풀림 상태에서 고정캠과 작동캠 사이의 충돌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유격 방지 구조로서 제 1 돌출부(330)와 제 2 돌출부(36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자성체로 구비되고, 이들이 만나는 면이 평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7을 참고할 때, 작동캠(215)의 제 1 돌출부(330)에 돌기(401)를 형성하고, 고정캠(216)의 제 2 돌출부(360)에 돌기(401)가 삽입되는 홈(403)을 형성하여 레버의 풀림 상태시 돌기(401)가 홈(403)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레버의 풀림 상태시 작동캠과 고정캠 사이의 유격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자동차의 조향컬럼 210 : 튜브
215 : 작동캠 216 : 고정캠
230 : 틸트 브라켓 237 : 틸트 가이드 홈
240 : 레버 253 : 텔레스 가이드부
260 : 어드저스트 볼트 280 : 텔레스 부시
310 : 제 1 캠 구조부 330 : 제 1 돌출부
340 : 제 2 캠 구조부 350 : 스토퍼
360 : 제 2 돌출부

Claims (5)

  1. 양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고정캠이 구비되는 틸트 브라켓; 및
    상기 고정캠에 맞닿아 회전하는 작동캠이 구비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틸트 브라켓을 조이거나 푸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캠과 고정캠에는, 상기 레버가 풀렸을 때 상기 작동캠과 고정캠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작동캠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제 1 돌출부; 및
    상기 고정캠의 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풀렸을 때 상기 제 1 돌출부와 마주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자성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중 어느 하나의 축방향 폭은 상기 레버가 풀리는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고, 나머지 하나의 축방향 폭은 이에 대응하도록 점차 증가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완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표면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러버,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20120034719A 2012-04-04 2012-04-04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421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19A KR101421337B1 (ko) 2012-04-04 2012-04-04 자동차의 조향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19A KR101421337B1 (ko) 2012-04-04 2012-04-04 자동차의 조향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385A KR20130112385A (ko) 2013-10-14
KR101421337B1 true KR101421337B1 (ko) 2014-07-21

Family

ID=4963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719A KR101421337B1 (ko) 2012-04-04 2012-04-04 자동차의 조향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22A (ko) * 2019-01-25 2020-08-04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레버해제에 따른 소음저감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448B1 (ko) * 2014-06-11 2020-04-16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컬럼 조립체
KR102123257B1 (ko) * 2017-08-31 2020-06-17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 조향 컬럼의 잠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717B1 (en) 1998-10-08 2002-05-21 Nacam Deutschland Gmbh Locking device for a height and tilt adjustable steering column in a motor vehicle
JP2003285745A (ja) 2002-03-29 2003-10-07 Nsk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70045802A (ko) * 2005-10-28 2007-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 틸트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717B1 (en) 1998-10-08 2002-05-21 Nacam Deutschland Gmbh Locking device for a height and tilt adjustable steering column in a motor vehicle
JP2003285745A (ja) 2002-03-29 2003-10-07 Nsk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70045802A (ko) * 2005-10-28 2007-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 틸트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22A (ko) * 2019-01-25 2020-08-04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레버해제에 따른 소음저감구조
KR102643258B1 (ko) 2019-01-25 2024-03-05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레버해제에 따른 소음저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385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0953B2 (en) Locking device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US6749236B2 (en) Door handle device for a vehicle
US8826769B2 (en) Steering device
CN106573641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KR102509437B1 (ko) 자동차 조향장치
EP1504980A1 (en) Steering device
KR101421337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US20110227323A1 (en) Steering device
KR101603020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CN108357556B (zh) 用于车辆转向管柱的倾斜设备
CN108357558B (zh) 车辆转向管柱的倾斜固定装置
JP2020097402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当該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を設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当該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を備えるステアリング組立体
CN112572599B (zh) 转向系统的冲压金属外凸轮
KR101618993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EP2671238B1 (en) Control device
KR101936111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US8118529B2 (en) Tolerance adjusting attachment
KR20170117765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KR101389600B1 (ko)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495125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180088253A (ko) 차량의 조향컬럼
KR101931312B1 (ko) 차량의 조향컬럼용 틸트장치
KR20130106509A (ko) 캠 어셈블리
KR102528550B1 (ko)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KR101379533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캠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