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656B1 -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656B1
KR101419656B1 KR1020130090988A KR20130090988A KR101419656B1 KR 101419656 B1 KR101419656 B1 KR 101419656B1 KR 1020130090988 A KR1020130090988 A KR 1020130090988A KR 20130090988 A KR20130090988 A KR 20130090988A KR 101419656 B1 KR101419656 B1 KR 10141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support member
wall
stone
wal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녀
박정현
Original Assignee
강현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녀 filed Critical 강현녀
Priority to KR102013009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연결관을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재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내부에 상기 외벽부와 이격된 석재 내벽부를 구비하는 수도꼭지 설치부; 상기 수도꼭지 연결관을 감싸고 상기 외벽부에 압입되어 고정된 탄성재질의 링형상의 외측 지지부재; 및 상기 수도꼭지 연결관을 감싸고 상기 내벽부에 압입되어 고정된 탄성재질의 링형상의 내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TAB SUPPORT STRUCTURE FOR STONE DRINKING FOUNTAIN}
본 발명은 음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연결관을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원이나 유원지 등의 야외 공간에는 사람들이 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음수대가 설치되어 있다. 현재 설치되어 사용 중은 음수대 중에는 석재를 구조물로 사용하는 석재 음수대가 있다. 종래의 석재 음수대에서는 수도꼭지가 고정된 부분이 사용 중 헐거위져서 흔들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석재 음수대에서 수도꼭지 연결관을 견고하기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석재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내부에 상기 외벽부와 이격된 석재 내벽부를 구비하는 수도꼭지 설치부; 상기 수도꼭지 연결관을 감싸고 상기 외벽부에 압입되어 고정된 탄성재질의 링형상의 외측 지지부재; 및 상기 수도꼭지 연결관을 감싸고 상기 내벽부에 압입되어 고정된 탄성재질의 링형상의 내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는 외주면이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각각에는 상기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가 꼭 맞게 압입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는 내주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도꼭지가 연결되는 수도꼭지 연결관이 외벽부와 내벽부의 두 부분에서 탄성재질의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므로 수도꼭지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재 음수대의 측면도로서 급수 및 배수 구조를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도꼭지 설치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측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수관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배수관과 배수관의 주변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수관은 제외한 나머지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패킹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가 각각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100)는 기초부(110)와, 중간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와, 수도꼭지 설치부(140)와, 상단부(150)와, 급수 구조(160)와, 배수관(170)을 포함한다. 도 3에는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수대(100)는 다수의 외측 지지부재(180)와, 다수의 내측 지지부재(181)를 더 포함한다. 도 5에는 배수관(170)의 주변 구조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수대(100)는 제1 패킹 부재(190a)와, 제2 패킹 부재(190b)를 더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기초부(11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지면(B)의 위에 놓인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초부(110)에는 기초부(1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통로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통로구멍(111)을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기초부(110)의 상면(110a)에는 제1 통로구멍(111)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싸는 제1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홈(112)에 제1 패킹 부재(190a)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패킹 부재(190a)는 중앙에 개구부(192a)가 형성된 판상의 밀착부(191a)와, 밀착부(191a)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삽입부(193a)를 구비한다. 제1 패킹 부재(190a)는 통상적인 패킹용 재질로 이루어진다. 밀착부(191a)의 양면 각각은 기초부(110)와 중간 받침부(120)에 밀착한다. 밀착부(191a)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92a)를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착부(191a)가 사각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원형 등 다른 형태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삽입홈(112)의 형태도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삽입부(193a)는 밀착부(191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벽 형태로서, 개구부(192a)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싼다. 삽입부(193a)가 기초부(110)에 형성된 제1 삽입홈(112)에 압입된다. 제1 패킹 부재(190a)에 의해 기초부(110)와 중간 받침부(120) 사이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중간 받침부(12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기초부(110)의 위에 위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간 받침부(120)에는 중간 받침부(12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기초부(110)의 제1 통로구멍(111)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2 통로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로구멍(121)을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중간 받침부(120)의 하면(120a)에서 제2 통로구멍(121)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싸는 일부 영역은 제1 패킹 부재(190a)와 밀착한다. 중간 받침부(120)의 상면(120b)에는 제2 통로구멍(121)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싸는 제2 삽입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홈(122)에 제1 패킹 부재(190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패킹 부재(190b)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패킹 부재(190b)의 양면 각각은 중간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에 밀착한다. 밀착부(191b)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92b)를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삽입부(193b)는 개구부(192b)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싼다. 삽입부(193b)가 중간 받침부(120)에 형성된 제2 삽입홈(122)에 압입된다. 제2 패킹 부재(190b)에 의해 중간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 사이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물받이부(13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중간 받침부(120)의 위에 위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물받이부(130)에는 물받이부(1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중간 받침부(120)의 제2 통로구멍(121)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3 통로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제3 통로구멍(132)을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제3 통로구멍(132)의 상단에는 고정홈(133)이 마련된다. 고정홈(133)은 제3 통로구멍(132)보다 더 확장되어서 형성되며, 고정홈(133)에는 배수관(170)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링형 탄성체(134)가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물받이부(130)의 상면(131)은 배수관(170)의 상단 쪽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아래로 경사져 있다. 그에 따라, 배수관(170)을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수도꼭지 설치부(14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물받이부(130)의 중앙부 위에 위치한다. 수도꼭지 설치부(140)는 상하로 연장된 기둥 형태로서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하단에는 배수용 구멍(141)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도꼭지 설치부(140)는 외벽부(142)와, 내벽부(143)를 구비한다.
외벽부(14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와 외부를 구획한다. 외벽부(142)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다수 개의 외측 결합 구멍(144)이 형성된다. 외측 결합 구멍(144)은 구멍 양끝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외측 결합 구멍(144) 각각에 외측 지지부재(180)가 압입되어서 고정된다.
도 4에는 외측 지지 부재(180)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외측 지지 부재(180)는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구(180a)가 형성된 링형상으로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외측 지지 부재(180)의 외주면(180b)은 외벽부(142)의 외측 결합 구멍(144)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외측 지지 부재(180)는 외벽부(142)의 외측 결합 구멍(144)에 압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지지 부재(180)의 외주면(180b)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외측 결합 구멍(144)도 그에 대응하여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측 지지 부재(180)의 내주면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외측 지지 부재(180)는 외주면과 내주면이 모두 볼록한 도넛 형상이 된다. 외측 지지 부재(180)의 내주면이 볼록하게 되면 수도꼭지 연결관(163)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서 수도꼭지 연결관(163)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내벽부(143)는 외벽부(14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내벽부(143)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외벽부(142)와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내벽부(143)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다수 개의 내측 결합 구멍(145)이 형성된다. 내측 결합 구멍(145)은 구멍 양끝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내측 결합 구멍(145) 각각에 외측 지지 부재(18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내측 지지 부재(181)가 압입되어서 고정된다.
상단부(15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위에 놓여서, 수도꼭지 설치부(14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급수 구조(160)는 급수관(161)과, 다수의 수도꼭지 연결관(162)과, 다수의 수도꼭지(163)를 구비한다.
급수관(161)은 아래로부터 기초부(110)와 중간 받침부(120)를 지나 수도꼭지 설치부(140)까지 연장된다. 급수관(161)은 내벽부(143)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급수관(161)을 통해 물이 공급된다.
다수의 수도꼭지 연결관(162)은 수도꼭지 설치부(140)에서 급수관(16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각 수도꼭지 연결관(162)은 내측 지지 부재(181)의 관통구와 외측 지지 부재(180)의 관통구(180a)를 차례로 지나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바깥으로 연장된다. 내측 지지 부재(181)와 외측 지지 부재(180)는 각각 수도꼭지 연결관(162)을 단단히 고정시킨다. 수도꼭지 연결관(162)이 내측 지지 부재(181)와 외측 지지 부재(180)를 통해 고정되므로 수도꼭지 연결관(162)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다수의 수도꼭지(163) 각각은 수도꼭지 연결관(162)의 끝단에 결합되어서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외부에 위치한다.
배수관(17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위로부터 아래로 물받이부(130)의 제3 통로구멍(132), 중간 받침부(120)의 제2 통로구멍(121) 및 기초부(110)의 제1 통로구멍(111)을 차례대로 통과한다. 배수관(170)의 상단(171)은 물받이부(130)의 상면(131)에 맞게 위치한다.
외벽부(142)와 내벽부(143)를 구비하는 수도꼭지 설치부(140)와, 외벽부(142)에 압입되어 고정된 다수의 외측 지지 부재(180)와, 내벽부(143)에 압입되어 고정된 다수의 내측 지지 부재(181)와, 내측 지지 부재(181)와 외측 지지 부재(180)를 차례대로 통과하며 고정되는 다수의 수도꼭지 연결관(1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수도꼭지(163)가 연결되는 수도꼭지 연결관(163)이 외벽부(142)와 내벽부(143)의 두 부분에 고정되므로 수도꼭지(163)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아래로부터 차례대로 적층된 기초부(110), 중간 받침부(120), 물받이부(130)와, 기초부(110), 중간 받침부(120), 물받이부(130)를 관통하는 배수관(170)과, 기초부(110)와 중간 받침부(120)의 사이에서 배수관(170)을 에워싸는 제1 패킹 부재(190a)와, 중간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의 사이에서 배수관(170)을 에워싸는 제2 패킹 부재(190b)와, 배수관(170)의 상단이 압입되어 결합되고 물받이부(130)의 상면(131)에 마련된 고정홈(133)에 압입되어 고정된 링형 탄성체(1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를 형성한다. 제1 패킹 부재(190a)와 제2 패킹 부재(190b)에 의해 기초부(110)와 중간 받침부(120)의 사이 및 중간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의 사이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석재 음수대 110 : 기초부
111 : 제1 통로구멍 112 : 제1 삽입홈
120 : 중간 받침부 121 : 제2 통로구멍
122 : 제2 삽입홈 130 : 물받이부
133 : 고정홈 134 : 링형 탄성체
140 : 수도꼭지 설치부 142 : 외벽부
143 : 내벽부 150 : 상단부
160 : 급수 구조 170 : 배수관
180 : 외측 지지부재 181 : 내측 지지부재
190a : 제1 패킹 부재 191a : 밀착부
192a : 개구부 193a : 삽입부
190b : 제2 패킹 부재

Claims (3)

  1. 석재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내부에 상기 외벽부와 이격된 석재 내벽부를 구비하는 수도꼭지 설치부;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를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지지되고 끝단에 수도꼭지가 연결되는 수도꼭지 연결관;
    상기 수도꼭지 연결관을 감싸고 상기 외벽부에 압입되어 고정된 탄성재질의 링형상의 외측 지지부재; 및
    상기 수도꼭지 연결관을 감싸고 상기 내벽부에 압입되어 고정된 탄성재질의 링형상의 내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각각에는 상기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 각각이 압입되는 결합구멍이 양끝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결합구멍에 대응하는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내주면은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30090988A 2013-07-31 2013-07-31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KR101419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88A KR101419656B1 (ko) 2013-07-31 2013-07-31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88A KR101419656B1 (ko) 2013-07-31 2013-07-31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656B1 true KR101419656B1 (ko) 2014-07-15

Family

ID=5174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988A KR101419656B1 (ko) 2013-07-31 2013-07-31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6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774B1 (ko) * 1997-10-24 2000-04-01 윤종용 배관 벽 고정장치
KR200333944Y1 (ko) * 2003-08-25 2003-11-21 전임돈 자연석을 이용한 음수대
KR101150269B1 (ko) * 2010-03-15 2012-06-12 화이버텍(주) 사이드 포트 타입 멤브레인 하우징용 연결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774B1 (ko) * 1997-10-24 2000-04-01 윤종용 배관 벽 고정장치
KR200333944Y1 (ko) * 2003-08-25 2003-11-21 전임돈 자연석을 이용한 음수대
KR101150269B1 (ko) * 2010-03-15 2012-06-12 화이버텍(주) 사이드 포트 타입 멤브레인 하우징용 연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702B2 (en) Manhole with height/inclination-adjustable manhole cover
US11198146B2 (en) Automatic adjustable showerhead
MX2012006930A (es) Kit para el montaje de uno o varios dispositivos en un poste.
KR101419656B1 (ko)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US2756078A (en) Resilient outlet connectors for plumbing fixtures and tanks
KR100967427B1 (ko) 커플러에 의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맨홀
KR100847124B1 (ko) 다단 조립식 송전 및 배전선로 전주
KR20150015218A (ko)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KR200392312Y1 (ko) 체결구
KR101371658B1 (ko) 동결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석재 음수대
KR200424383Y1 (ko) 커버 결합구조를 개선한 형광등
KR100566931B1 (ko) 상수 파이프 고정구
KR100902876B1 (ko) 가로등주의 연결부 결합장치
KR200456885Y1 (ko) 케이블 받침대
US9458616B2 (en) Floor sink frame and grate assembly
TWM449829U (zh) 落水頭結構改良
JP2016020627A (ja) ボウル設備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CN219453191U (zh) 法兰
KR200352619Y1 (ko) 상수 파이프 고정구
RU2753676C1 (ru) Сливная арматура для ванны или душевого поддона
KR101407823B1 (ko) 샤워기 헤드 급수연결장치
CN101384775A (zh) 具有两部件式油灰槽的管道配件
KR20080076025A (ko) 분기관의 연결구조
KR101095029B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7

Year of fee payment: 5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