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218A -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218A
KR20150015218A KR1020130090994A KR20130090994A KR20150015218A KR 20150015218 A KR20150015218 A KR 20150015218A KR 1020130090994 A KR1020130090994 A KR 1020130090994A KR 20130090994 A KR20130090994 A KR 20130090994A KR 20150015218 A KR20150015218 A KR 20150015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receiving portion
stone
water receiving
passa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녀
박정현
Original Assignee
강현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녀 filed Critical 강현녀
Priority to KR102013009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218A/ko
Publication of KR2015001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로 연장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이 지나가는 통로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 배수구가 형성된 석재의 물받이부; 상기 물받이부를 아래에서 받치고 상기 배수관이 지나가는 통로구멍이 형성된 석재의 받침부; 및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서 양면이 각각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받침부와 밀착하고 상기 배수관 주위를 둘러싸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물받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삽입부가 압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DRAIN PIPE MOUNTING STRUCTURE FOR STONE DRINKING FOUNTAIN}
본 발명은 음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원이나 유원지 등의 야외 공간에는 사람들이 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음수대가 설치되어 있다. 현재 설치되어 사용 중은 음수대 중에는 석재를 구조물로 사용하는 석재 음수대가 있다. 석재 음수대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석재가 적층되어서 형성되는데, 배수과정의 물이 적층된 두 석재 사이의 틈에서 누수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석재 음수대에서 배수과정에서 누수현상이 발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관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로 연장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이 지나가는 통로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 배수구가 형성된 석재의 물받이부; 상기 물받이부를 아래에서 받치고 상기 배수관이 지나가는 통로구멍이 형성된 석재의 받침부; 및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서 양면이 각각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받침부와 밀착하고 상기 배수관 주위를 둘러싸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물받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삽입부가 압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는 상기 받침부를 아래에서 받치고 상기 배수관이 지나가는 통로구멍이 형성된 석재의 기초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기초부 사이에서 양면이 각각 상기 받침부와 상기 기초부와 밀착하고 상기 배수관 주위를 감싸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기초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추가 패킹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초부에는 상기 추가 패킹 부재의 삽입부가 압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물받침부의 하면에는 상기 경사진 밀착부의 상면에 대응하여 경사진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패킹 부재가 적층되는 두 석재 구조물 사이에서 배수관을 에워싸며 위치하므로 배수과정에서 적층된 두 석재 사이의 틈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재 음수대의 측면도로서 급수 및 배수 구조를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도꼭지 설치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측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수관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배수관과 배수관의 주변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수관은 제외한 나머지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패킹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가 각각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100)는 기초부(110)와,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와, 수도꼭지 설치부(140)와, 상단부(150)와, 급수 구조(160)와, 배수관(170)을 포함한다. 도 3에는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수대(100)는 다수의 외측 지지부재(180)와, 다수의 내측 지지부재(181)를 더 포함한다. 도 5에는 배수관(170)의 주변 구조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수대(100)는 제1 패킹 부재(190a)와, 제2 패킹 부재(190b)를 더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기초부(11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지면(B)의 위에 놓인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초부(110)에는 기초부(1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통로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통로구멍(111)을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기초부(110)의 상면(110a)에는 제1 통로구멍(111)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싸는 제1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홈(112)에 제1 패킹 부재(190a)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패킹 부재(190a)는 중앙에 개구부(192a)가 형성된 판상의 밀착부(191a)와, 밀착부(191a)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삽입부(193a)를 구비한다. 제1 패킹 부재(190a)는 통상적인 패킹용 재질로 이루어진다. 밀착부(191a)의 양면 각각은 기초부(110)와 받침부(120)에 밀착한다. 밀착부(191a)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92a)를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착부(191a)가 사각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원형 등 다른 형태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삽입홈(112)의 형태도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삽입부(193a)는 밀착부(191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벽 형태로서, 개구부(192a)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싼다. 삽입부(193a)가 기초부(110)에 형성된 제1 삽입홈(112)에 압입된다. 제1 패킹 부재(190a)에 의해 기초부(110)와 받침부(120) 사이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패킹 부재(190a)의 밀착부(191a)의 상면(삽입부(193a)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은 바깥으로 갈수록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경사질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받침부(120)의 하면(120a)에는 제1 패킹 부재(190a)의 밀착부(191a)의 경사진 상면에 대응하여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누수 방지 효과가 향상되고, 기초부(110) 상에서 받침부(120)의 설치 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고, 받침부(120)의 횡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부(12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기초부(110)의 위에 위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받침부(120)에는 받침부(12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기초부(110)의 제1 통로구멍(111)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2 통로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로구멍(121)을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받침부(120)의 하면(120a)에서 제2 통로구멍(121)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싸는 일부 영역은 제1 패킹 부재(190a)와 밀착한다. 받침부(120)의 상면(120b)에는 제2 통로구멍(121)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싸는 제2 삽입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홈(122)에 제1 패킹 부재(190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패킹 부재(190b)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패킹 부재(190b)의 양면 각각은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에 밀착한다. 밀착부(191b)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92b)를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삽입부(193b)는 개구부(192b)의 주위를 빙둘러서 에워싼다. 삽입부(193b)가 받침부(120)에 형성된 제2 삽입홈(122)에 압입된다. 제2 패킹 부재(190b)에 의해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 사이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물받이부(13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받침부(120)의 위에 위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물받이부(130)에는 물받이부(1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받침부(120)의 제2 통로구멍(121)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3 통로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제3 통로구멍(132)을 통해 배수관(170)이 지나간다. 제3 통로구멍(132)의 상단에는 고정홈(133)이 마련된다. 고정홈(133)은 제3 통로구멍(132)보다 더 확장되어서 형성되며, 고정홈(133)에는 배수관(170)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링형 탄성체(134)가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물받이부(130)의 상면(131)은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관(170)의 상단 쪽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아래로 경사져 있다. 그에 따라, 배수관(170)을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수도꼭지 설치부(14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물받이부(130)의 중앙부 위에 위치한다. 수도꼭지 설치부(140)는 상하로 연장된 기둥 형태로서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하단에는 배수용 구멍(141)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도꼭지 설치부(140)는 외벽부(142)와, 내벽부(143)를 구비한다.
외벽부(14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와 외부를 구획한다. 외벽부(142)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다수 개의 외측 결합 구멍(144)이 형성된다. 외측 결합 구멍(144)은 구멍 양끝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외측 결합 구멍(144) 각각에 외측 지지부재(180)가 압입되어서 고정된다.
도 4에는 외측 지지 부재(180)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외측 지지 부재(180)는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구(180a)가 형성된 링형상으로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외측 지지 부재(180)의 외주면(180b)은 외벽부(142)의 외측 결합 구멍(144)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외측 지지 부재(180)는 외벽부(142)의 외측 결합 구멍(144)에 압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지지 부재(180)의 외주면(180b)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외측 결합 구멍(144)도 그에 대응하여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내벽부(143)는 외벽부(14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내벽부(143)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외벽부(142)와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내벽부(143)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다수 개의 내측 결합 구멍(145)이 형성된다. 내측 결합 구멍(145)은 구멍 양끝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내측 결합 구멍(145) 각각에 외측 지지 부재(18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내측 지지 부재(181)가 압입되어서 고정된다.
상단부(150)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위에 놓여서, 수도꼭지 설치부(14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급수 구조(160)는 급수관(161)과, 다수의 수도꼭지 연결관(162)과, 다수의 수도꼭지(163)를 구비한다.
급수관(161)은 아래로부터 기초부(110)와 받침부(120)를 지나 수도꼭지 설치부(140)까지 연장된다. 급수관(161)은 내벽부(143)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급수관(161)을 통해 물이 공급된다.
다수의 수도꼭지 연결관(162)은 수도꼭지 설치부(140)에서 급수관(16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각 수도꼭지 연결관(162)은 내측 지지 부재(181)의 관통구와 외측 지지 부재(180)의 관통구(180a)를 차례로 지나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바깥으로 연장된다. 내측 지지 부재(181)와 외측 지지 부재(180)는 각각 수도꼭지 연결관(162)을 단단히 고정시킨다. 수도꼭지 연결관(162)이 내측 지지 부재(181)와 외측 지지 부재(180)를 통해 고정되므로 수도꼭지 연결관(162)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다수의 수도꼭지(163) 각각은 수도꼭지 연결관(162)의 끝단에 결합되어서 수도꼭지 설치부(140)의 외부에 위치한다.
배수관(17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위로부터 아래로 물받이부(130)의 제3 통로구멍(132), 받침부(120)의 제2 통로구멍(121) 및 기초부(110)의 제1 통로구멍(111)을 차례대로 통과한다. 배수관(170)의 상단(171)은 물받이부(130)의 상면(131)에 맞게 위치한다.
외벽부(142)와 내벽부(143)를 구비하는 수도꼭지 설치부(140)와, 외벽부(142)에 압입되어 고정된 다수의 외측 지지 부재(180)와, 내벽부(143)에 압입되어 고정된 다수의 내측 지지 부재(181)와, 내측 지지 부재(181)와 외측 지지 부재(180)를 차례대로 통과하며 고정되는 다수의 수도꼭지 연결관(1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수도꼭지(163)가 연결되는 수도꼭지 연결관(163)이 외벽부(142)와 내벽부(143)의 두 부분에 고정되므로 수도꼭지(163)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아래로부터 차례대로 적층된 기초부(110), 받침부(120), 물받이부(130)와, 기초부(110), 받침부(120), 물받이부(130)를 관통하는 배수관(170)과, 기초부(110)와 받침부(120)의 사이에서 배수관(170)을 에워싸는 제1 패킹 부재(190a)와,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의 사이에서 배수관(170)을 에워싸는 제2 패킹 부재(190b)와, 배수관(170)의 상단이 압입되어 결합되고 물받이부(130)의 상면(131)에 마련된 고정홈(133)에 압입되어 고정된 링형 탄성체(1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를 형성한다. 제1 패킹 부재(190a)와 제2 패킹 부재(190b)에 의해 기초부(110)와 받침부(120)의 사이 및 받침부(120)와 물받이부(130)의 사이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석재 음수대 110 : 기초부
111 : 제1 통로구멍 112 : 제1 삽입홈
120 : 받침부 121 : 제2 통로구멍
122 : 제2 삽입홈 130 : 물받이부
133 : 고정홈 134 : 링형 탄성체
140 : 수도꼭지 설치부 142 : 외벽부
143 : 내벽부 150 : 상단부
160 : 급수 구조 170 : 배수관
180 : 외측 지지부재 181 : 내측 지지부재
190a : 제1 패킹 부재 191a : 밀착부
192a : 개구부 193a : 삽입부
190b : 제2 패킹 부재

Claims (3)

  1. 상하로 연장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이 지나가는 통로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 배수구가 형성된 석재의 물받이부;
    상기 물받이부를 아래에서 받치고 상기 배수관이 지나가는 통로구멍이 형성된 석재의 받침부; 및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서 양면이 각각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받침부와 밀착하고 상기 배수관 주위를 둘러싸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물받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삽입부가 압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를 아래에서 받치고 상기 배수관이 지나가는 통로구멍이 형성된 석재의 기초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기초부 사이에서 양면이 각각 상기 받침부와 상기 기초부와 밀착하고 상기 배수관 주위를 감싸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기초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추가 패킹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초부에는 상기 추가 패킹 부재의 삽입부가 압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물받침부의 하면에는 상기 경사진 밀착부의 상면에 대응하여 경사진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KR1020130090994A 2013-07-31 2013-07-31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KR20150015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94A KR20150015218A (ko) 2013-07-31 2013-07-31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94A KR20150015218A (ko) 2013-07-31 2013-07-31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218A true KR20150015218A (ko) 2015-02-10

Family

ID=5257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994A KR20150015218A (ko) 2013-07-31 2013-07-31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52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6260B2 (en) Adjustable drain
US9771702B2 (en) Manhole with height/inclination-adjustable manhole cover
KR101081380B1 (ko) 가로등 기초 구조물
KR20150015218A (ko) 석재 음수대의 배수관 설치 구조
KR101419656B1 (ko) 석재 음수대의 수도꼭지 지지 구조
KR100967427B1 (ko) 커플러에 의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맨홀
KR200424383Y1 (ko) 커버 결합구조를 개선한 형광등
KR101371658B1 (ko) 동결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석재 음수대
KR100566931B1 (ko) 상수 파이프 고정구
US9458616B2 (en) Floor sink frame and grate assembly
KR102161932B1 (ko)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용 맨홀장치 및 그 맨홀장치를 갖는 밸브실
US20120097676A1 (en) Lid
CN209293350U (zh) 一种下沉式卫生间的地面基层安装结构
US6378141B1 (en) Toilet bowl stabilizer
KR200447980Y1 (ko) 측면고정식 조립식맨홀
TWM449829U (zh) 落水頭結構改良
JP2015061970A (ja) 設置物固定具
KR200352619Y1 (ko) 상수 파이프 고정구
CN205369495U (zh) 地砖式隐形一体化地漏
CN219453191U (zh) 法兰
KR101095029B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KR101067486B1 (ko) 하수관용 원터치 분기구
US20170268211A1 (en) Fast flow thread in lavatory drain
KR20180057370A (ko) 맨홀구조체
RU2010126002A (ru) Подсвеч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