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913B1 -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 Google Patents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913B1
KR101418913B1 KR1020130047611A KR20130047611A KR101418913B1 KR 101418913 B1 KR101418913 B1 KR 101418913B1 KR 1020130047611 A KR1020130047611 A KR 1020130047611A KR 20130047611 A KR20130047611 A KR 20130047611A KR 101418913 B1 KR101418913 B1 KR 10141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cover
secret storage
door trim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구
Original Assignee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트림 전방의 크러쉬패드 매칭부에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안쪽으로 포켓프레임을 설치하여 비밀수납공간을 형성시킨 후, 푸시락 방식의 커버로 가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닫혔을 시에는 비밀수납공간을 가리고 있는 커버가 크러쉬패드에 밀착하여 전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을 요구하는 서류나 귀중품을 비밀수납공간에 보관하더라도, 전혀 노출될 우려가 없다.

Description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Doortrim having secret storage space}
본 발명은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주 외에는 수납공간인지 알 수 없도록 도어트림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중요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에는 다양한 위치에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콘솔박스가 마련되어 있고, 조수석 앞의 대시보드에는 글로브 박스가 마련되어 있어서 차량 관련 서류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어트림에는 휴대폰이나 수첩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포켓이 마련되어 있고, 도어트림의 하단에는 비교적 큰 물품과 음료수 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맵포켓이 마련되어 있다.
또 룸미러와 인접하여 오버헤드 콘솔에는 선그라스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가 마련되어 있고, 햇빛을 가리기 위한 선바이저에도 주차권이나 통행권을 끼워넣어 임시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즉 운전자나 탑승객이 손만 뻗으면 닿을 수 있는 공간에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여러 위치에 수납공간을 마련해 놓은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내의 수납공간은 대부분의 승용차에 통상적으로 구비된 것이다. 즉 누구든지 콘솔박스나 글로브박스를 비롯한 수납공간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서류나 물건을 보관하기에는 꺼려진다.
한편 자동차 도어트림에 구현되는 수납공간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109773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트림의 안쪽 공간을 활용하여 수납공간을 추가로 마련하되, 도어가 닫혔을 경우에는 그 수납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귀중품이나 보안서류 등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은, 전방의 크러쉬패드와 인접한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도어트림 본체; 상기 도어트림 본체의 개구부 안쪽에 장착되어 소정의 비밀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포켓프레임; 및 상기 도어트림 본체의 개구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비밀수납공간을 가려주는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을 시 상기 비밀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푸시락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에 의하면, 도어트림 전방에서 크러쉬패드와 맞닿는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도어트림 안쪽으로 포켓프레임을 설치하여 비밀수납공간을 구현하며, 푸시락(push lock) 방식으로 개방되는 커버로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요한 서류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비밀수납공간을 차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비밀수납공간을 덮고 있는 커버가 크러쉬패드에 완전히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차주 외에는 그 곳에 수납공간이 있는지 전혀 눈치 챌 수가 없기 때문에 보안을 요구하는 서류나 귀중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밀수납공간을 덮고 있는 커버는 푸시락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표면에 손잡이 등의 표식이 전혀 없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되어 도어트림 전방의 크러쉬패드 매칭부가 크러쉬패드와 밀착한 상태에서 벗어나더라도, 커버 자체는 도어트림을 장식하는 일부분이라고 여길 뿐 안쪽에 공간이 있을 것이라고는 예측할 수가 없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에서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비밀수납공간을 바라본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에서 비밀수납공간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4는 도1의 A-A 절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5은 도1의 B-B 절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6은 도어가 닫혔을 시 비밀수납공간과 커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7은 도어가 열렸을 시 비밀수납공간과 커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도어트림(10)에는 사용자가 팔을 걸쳐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14)가 장착되어 있고, 윈도우를 조작하거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10)은 전방의 크러쉬패드(60)(crush pad)와 맞닿는 위치(이 위치를 편의상 '크러쉬패드 매칭부'(12)라 함)에 비밀수납공간(21)이 마련되어 있다. 도1에서는 비밀수납공간(21)이 커버(40)로 덮혀 있어서 내부가 보이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커버(40)가 열린 상태에서 비밀수납공간(21)을 살펴본 도2와 도어트림(10)의 안쪽에서 비밀수납공간(21)을 바라본 도3을 참조하면, 도어트림 본체(11) 전방의 크러쉬패드 매칭부(12)에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3)의 안쪽에서 포켓프레임(20)이 장착됨으로써, 소정 깊이의 비밀수납공간(21)이 마련된다.
또한 개구부(13)의 하부에는 고정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비밀수납공간(21)에 기다란 물건을 수납하더라도, 고정프레임(30)에 걸려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커버(40)는 도어트림 본체(11)의 개구부(13) 형상과 대응하며, 커버(40)의 일측이 개구부(13)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커버(40)의 일측은 개구부(13)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힌지 기능을 할 수 있는 얇은 막으로 형성된 힌지날개로 연결되어 열고 닫힘시 커버(40)의 회전이 가능하다.
커버(40)의 타측에는 개구부(13)를 향하도록 돌출하여 후크(4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41)는 개구부(13) 안쪽에 설치된 후크그립부(50)와 연동되어 푸시락(push lock) 방식으로 커버(40)가 열고 닫힐 수 있도록 한다.
도1의 A-A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4를 참조하면, 커버(40)를 눌러서 닫으면 커버(40) 안쪽에 돌출된 후크(41)가 후크그립부(50)에 삽입된다. 따라서 후크그립부(50)가 후크(41)를 잡은 상태를 유지하여 커버(40)가 열리지 않게 된다. 물론 커버(40)를 다시 한번 눌러주면 후크그립부(50)와 후크(41)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커버(40)가 열린다.
푸시락 방식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후크(41)와 후크그립부(50)를 이용한 방식이 있지만, 커버(40)에 조그마한 철판을 부착하고, 개구부(13) 일측에는 스프링과 자석을 이용한 그립부(미도시)가 장착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커버(40)를 열고 닫기 위한 푸시락 방식의 구체적인 기술 설명은 기 공지된 사항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도5는 도1의 B-B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어트림 본체(11) 전방의 크러쉬패드 매칭부(12)에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안쪽으로 포켓프레임(20)이 설치됨으로써 비밀수납공간(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밀수납공간(21)은 커버(40)가 닫힘으로 인해 가려져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개구부(13)의 하부에는 고정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어서, 높이를 갖는 물건이 비밀수납공간(21)에 수납되더라도, 고정프레임(30)에 걸려 개구부(13)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별도의 고정프레임(30)은 설치하지 않고, 포켓프레임(20)이 개구부(13)와 개구부(13) 아래의 일정 깊이까지 덮을 수 있도록 크게 설계하면, 개구부(13) 아래에 위치하는 도어트림 본체(11)가 고정프레임(30)의 역할을 수행하여, 높이를 갖는 물체가 낙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6 및 도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수납공간(21)을 갖는 도어트림(10)의 사용예를 설명토록 한다.
도6은 도어가 닫혔을 시 비밀수납공간(21)과 커버(40)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즉 도어가 닫혔을 시에는 도어트림 본체(11) 전방의 크러쉬패드 매칭부(12) 전체가 크러쉬패드(60)의 측면과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실내에서는 비밀수납공간(21)은 물론 비밀수납공간(21)을 가려주는 커버(40)의 존재를 전혀 확인할 수가 없다.
반면 도7에서처럼 도어가 열렸을 시에는 크러쉬패드 매칭부(12)가 크러쉬패드(60)와 이격되며, 이때 커버(40)가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40)를 눌러주면 후크그립부(50)가 후크(41)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커버(40)를 밀어내어 커버(40)를 열 수 있다. 이렇게 커버(40)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비밀수납공간(21)이 개방되어 중요한 서류나 물건을 비밀수납공간(21)에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어가 열린 상태라 하더라도, 커버(40)는 도어트림 본체(11)의 전체적인 색상이나 디자인과 유사한 상태로 제작되어 있고, 커버(40)를 오픈하기 위한 손잡이 등의 구성이 전혀 없기 때문에, 커버(40)의 둘레와 도어트림 본체(11)가 만나는 경계선은, 단지 도어트림(10)의 미관을 위한 디자인으로만 여겨질 뿐, 수납공간이 있을 것이라고는 예측하기 어렵다. 즉 손잡이가 없는 푸시락 방식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도어가 열렸을 시에도 수납 공간이라 여겨질만한 요소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밀수납공간(21)을 갖는 도어트림(10)에 의하면, 도어트림(10) 전방에서 크러쉬패드(60)와 맞닿는 부분에 개구부(13)를 형성시키고, 도어트림(10) 안쪽으로 포켓프레임(20)을 설치하여 비밀수납공간(21)을 구현하며, 푸시락(push lock) 방식으로 개방되는 커버(40)로 개구부(13)를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요한 서류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비밀수납공간(21)을 차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비밀수납공간(21)을 덮고 있는 커버(40)가 크러쉬패드(60)에 완전히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40)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차주 외에는 그 곳에 수납공간이 있는지 전혀 눈치 챌 수가 없어서 보안을 요구하는 서류나 귀중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밀수납공간(21)을 덮고 있는 커버(40)는 푸시락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표면에 손잡이 등의 표식이 전혀 없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되어 도어트림(10) 전방의 크러쉬패드 매칭부(12)가 크러쉬패드(60)와 밀착한 상태에서 벗어나더라도, 커버(40) 자체는 도어트림(10)을 장식하는 일부분이라고 여길 뿐 안쪽에 공간이 있을 것이라고는 예측할 수가 없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도어트림
11 : 도어트림 본체
12 : 크러쉬패드 매칭부
13 : 개구부
14 : 암레스트
20 : 포켓프레임
21 : 비밀수납공간
30 : 고정프레임
40 : 커버
41 : 후크
50 : 후크그립부
60 : 크러쉬패드

Claims (3)

  1. 도어를 닫았을 때에 차량 내부의 크러쉬 패드와 맞닿는 부분인 크러쉬 패드 매칭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도어트림 본체;
    상기 도어트림 본체의 상기 개구부 안쪽에 장착되어 소정의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포켓프레임; 및
    상기 도어트림 본체의 상기 개구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가려주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에 상기 수납공간 및 상기 커버가 상기 크러쉬 패드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을 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푸시락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KR1020130047611A 2013-04-29 2013-04-29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KR10141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611A KR101418913B1 (ko) 2013-04-29 2013-04-29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611A KR101418913B1 (ko) 2013-04-29 2013-04-29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913B1 true KR101418913B1 (ko) 2014-07-11

Family

ID=5174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611A KR101418913B1 (ko) 2013-04-29 2013-04-29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529U (ko) * 1996-12-11 1998-09-15 김영귀 서류함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529U (ko) * 1996-12-11 1998-09-15 김영귀 서류함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816A (en) Personal carrier case
US10427612B2 (en) Vehicle door
JP2012214087A (ja) スマートフォンの配置構造
CN205044644U (zh) 一种汽车储物盒总成
US6302563B1 (en) Lighted check holder device
KR101418913B1 (ko)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JP4548274B2 (ja) 車両の収納構造
US1421726A (en) Safety steel strap cushion lock
RU144751U1 (ru) Вещевой отсек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563993B2 (ja) 宅配物受取箱
JPH06156149A (ja)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KR20140091212A (ko) 자동차 실내 우산보관함
JP4232611B2 (ja)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JP2020179815A (ja) 内装部材
KR200406798Y1 (ko) 자동차용 도어
KR20100069739A (ko) 수납장치
KR200451886Y1 (ko)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KR0139425Y1 (ko) 자동차의 룸 미러에 부설된 안경보관함
KR200302764Y1 (ko) 편리한 헤드 레스트
EP0877679B1 (en) Storage unit
KR100558410B1 (ko)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JP2003320901A (ja) 自動車用小物入
JPH07242141A (ja) 小型トラックの後部座席装置
KR101575467B1 (ko) 차량용 선바이저 카드 포켓
KR0115705Y1 (ko) 차량의 콘솔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