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825B1 -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825B1
KR101418825B1 KR1020130077310A KR20130077310A KR101418825B1 KR 101418825 B1 KR101418825 B1 KR 101418825B1 KR 1020130077310 A KR1020130077310 A KR 1020130077310A KR 20130077310 A KR20130077310 A KR 20130077310A KR 101418825 B1 KR101418825 B1 KR 10141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experiment
grou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관
김하나
윤영민
안인숙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을 미생물 발효하여 얻은 복합발효추출물의 피부 자극 완화에 관한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발효추출물은 피부의 민감성 완화, 멜라닌 색소의 감소, 홍반 감소, 유수문 증가 작용을 통해 자극성 피부의 진정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발효추출물은 피부 자극의 완화 및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의 활성 소재 개발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ducing Skin Irrita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 from Swallow's Nest and Centella asiatica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민감성피부는 외부의 자극성물질이나 인체 내부 원인으로 인한 자극에 대해 정상인 피부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극반응이나 피부염을 잘 일으키는 피부로서 피부관리나 화장품 도포 시 작열감을 호소하는 피부를 말한다. 민감성피부는 자극 물질 접촉으로 피부 병변의 발생 없이 자상감, 화끈거림, 소양감 등의 자각 증상을 느끼거나 홍반, 팽진, 구진, 수포, 농포, 인설 등의 피부 질환이 발생한다. 최근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한 대기오염, 스트레스, 복잡한 인간관계 증가 등으로 인해 스스로 민감성피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바다제비집(Bird nest)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금사연(金絲燕, Swiftlet, 학명 Aerodramus fuciphagus)' 이라 불리는 작은 바다제비의 타액으로 만들어진 둥지를 말한다. 금사연은 해안 절벽 위에 둥지를 트는데, 소화샘에서 나오는 아직 소화되지 않는 음식물을 토해내어 둥지를 만든다. 이때의 제비집은 새하얗게 빛나므로 백연이라고 하고 제비집 중에 품질이 가장 우수하다. 금사연은 두 번째로 둥지를 틀 때는 타액이 별로 없어 자신의 깃털을 섞어 짓는데, 이것을 모연이라 한다. 타액이 이미 다하여 다시 토해낸 소화액에는 핏기가 나오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둥지를 혈연이라고 한다. 제비집은 모양이 완전하고 둥지가 크고, 두껍고, 색이 희고, 반투명하며, 밑바닥이 작고, 제비 깃털이 적게 든 것이 상등품이다. 바다제비집은 양 및 건강증진 효과가 뛰어나 수백 년 전 동안 중국의 귀하고 비싼 음식으로써 이용되어 왔으며, 중국의 황태후는 자신의 미용과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바다제비집과 진주가루를 섞어 피부미용에 사용하였다고 중국고서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바다제비집을 사용한 요리는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상당히 고가의 보양요리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가래를 없애고 천식을 조절하며, 기관지염이나 기침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조학민, 1976). 바다제비집에는 다량의 단백질, 아미노산, 당, 미네랄 및 항산화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세포재생 촉진, 면역력 증강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Matsukawa et al., 2011; Roh et al., 2011; Zhang et al., 2012).
병풀(Centella asiatica)은 남아시아에서 주로 서식하는 다년생 포복성 약용식물로써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및 중남부 지역 저습지에 군생한다. 병풀의 주요성분으로는 madecassoside, madecassic acid, asiaticoside, asiatic acid 등이 있다. 이들 성분은 피부상처나 만성궤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력이 좋고 피부질환, 항류마티스 관절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피부세포의 세포주기 촉진, 증식 및 콜라겐 합성 촉진, 피부노화 억제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다(박지은, 2010).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발효라 한다. 발효반응과 부패반응은 비슷한 과정으로 진행되지만 생활에 유용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 하고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패라 한다(김귀영 등, 2009; 김동신, 1988). 발효화장품 시장규모는 수천억원대로 추정되고 있으며 최근 3~4년간 연평균 40% 이상씩 고성장하고 있다. 미생물을 통한 발효과정을 거친 원료는 발효 전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수십 배의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효를 거친 대사 물질은 피부에 좋은 각종 아미노산, 유기산, 항산화물질을 함유하여 피부대사를 촉진시켜 피부결을 탄력있고 매끄럽게 가꿔준다. 또한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입자가 작아지고 중금속 등의 독성이 분해되어 흡수율이 좋을 뿐 아니라 피부트러블이나 알레르기 부작용을 완화해준다고 보고되고 있다(김귀영 등, 2009).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Matsukawa N, Matsumoto M, Bukawa W, Chiji H, Nakayama K, Hara H, Tsukahara T. Improvement of bone strength and dermal thickness due to dietary edible bird's nest extract in ovariectomized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75: 590-592, 2011. Roh KB, Lee J, Kim YS, Park J, Kim JH, Lee J, Park D. Mechanisms of edible bird's nest extract-induced prolifer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Epub ahead, 2011. Zhang S, Lai X, Liu X, Li Y, Li B, Huang X, Zhang Q, Chen W, Lin L, Yang G.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assay for sialoglycoprotein of edible bird's nest in food and cosmetics. J. Agric. Food Chem., 60: 3580-3585, 2012. 박지은, 이현진, 김현숙, 김종란, 안성관. Centella asiatica 성분을 이용한 복부마사지가 신체조성 및 혈액 내 중성지방 농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용학회지, 16: 169-175, 2010. 김귀영, 양영숙, 윤재영, 이춘자, 전정원. 발효식품(이론과 실제). 교문사, 2009.
본 발명자들은 피부진정효과를 가져 민감성 피부 완화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화장료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을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이 탁월한 피부진정, 수분 공급 및 유지, 피부 윤택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임상적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바다제비집"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금사연(金絲燕, Swiftlet, 학명 Aerodramus fuciphagus)' 이라 불리는 작은 바다제비의 타액으로 만들어진 둥지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병풀(Centella asiatica)"은 남아시아에서 주로 서식하는 다년생 포복성 약용식물로써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및 중남부 지역 저습지에 군생한다. 원줄기는 옆으로 뻗고, 뿌리가 내리는 마디 근처에 2개의 퇴화된 비늘 모양의 잎이 있다. 잎은 마디에서 밀생하고, 신장형, 지름 2-5cm, 표면은 광택이 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4-20cm이다. 꽃은 홍자색, 잎겨드랑이에 3-4송이씩 산형꽃차례로 달리며, 머리 모양이다. 암술대는 2갈래이며, 열매는 분과의 편원형이다.
본 발명에서 바다제비집 추출물 또는 병풀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와 접촉시키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추출 단계 전에 상기 바다제비집 또는 병풀은 건조 및/또는 분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다제비집 추출물 또는 병풀 추출물을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천연물 추출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이며,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CH2Cl2), 클로로포름, 헥산(Hexane)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저급 알코올,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을 사용할 수 있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저급 알코올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용매에 의해 얻은 추출물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추출공정은 추출 용매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완성되며, 부분적 제거는 상당한 양의 유기용매가 없는 수성 농축물이 얻어질 때까지 농축하는 것을 의미하며, 완전한 제거에 의해서는 건조 잔류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분말상태로 제조된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용매 또는 혼합용매에 재분산시켜 사용된다. 상기 추출물이 용해되거나 분산되는 용매 또는 혼합용매는 상기 추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복합발효추출물은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이 발효된 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의 발효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발효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발효 처리는 (i) 발효 미생물을 추출물 혼합물에 직접 접종한 후 배양하여 실시하거나, (ⅱ) 발효 미생물을 배양한 배지(예컨대 조효소액)을 이용하여 실시하거나, 또는 (ⅲ) 추출물내의 목적 성분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효소를 직접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효 미생물을 추출물 혼합물에 접종한 후 배양과정을 거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발효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국균(Aspergillus)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소자에(Aspergillus sojae), 아스퍼질러스 우산미(Aspergillus usanmii), 아스퍼질러스 사이토이(Aspergillus saitoi),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테레우스(Aspergillus terreus), 아스퍼질러스 파부스(Aspergillus favus)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이다.
본 발명의 복합발효추출물은 조성물 중에 피부자극의 완화 효과를 얻기에 유효한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복합발효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 30 중량%의 함유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 20 중량%의 함유량으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민감성 피부" 란 외부의 자극성물질이나 인체 내부 원인으로 인한 자극에 대해 정상인 피부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극반응이나 피부염을 잘 일으키는 피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복합발효추출물은 피부 자극에 의한 피부 건조, 홍반, 홍조, 멜라닌색소 증가를 완화시키는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로션,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인 복합발효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을 미생물 발효하여 얻은 복합발효추출물의 피부 자극 완화에 관한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복합발효추출물은 피부의 민감성 완화, 멜라닌 색소의 감소, 홍반 감소, 유수문 증가 작용을 통해 자극성 피부의 진정효과를 나타낸다.
(ⅲ)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발효추출물은 피부 자극의 완화 및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의 활성 소재 개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을 미생물 발효하여 얻은 복합발효추출물의 피부 자극 완화에 관한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발효추출물은 피부의 민감성 완화, 멜라닌 색소의 감소, 홍반 감소, 유수문 증가 작용을 통해 자극성 피부의 진정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발효추출물은 피부 자극의 완화 및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의 활성 소재로 개발될 수 있다.
도 1은 홍반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멜라닌 색소 증가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피부 유분지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피부 수분지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민감성, 홍반, 홍조, 색소침착 등에 대한 자가 진단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임상 실험 방법
본 실험은 서울소재 피부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1차 진료 후 환자의 홍반, 색소, 민감성, 여드름 병변에 대해 진료소견을 바탕으로 10-40대 각각의 남녀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실험 전 비슷한 생활습관 등에 의한 동일한 그룹, 홍반지수에 대해 동질성 테스트를 실시한 후 셀프 스킨케어(세안, 보습, 차단제) 교육프로그램을 총 3회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27명을 최종 피임상자로 선택하여 총 6주간 임상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대조군(복합발효추출물 무첨가군), 실험군1(알로에 첨가군), 실험군2(복합발효추출물 첨가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1단계는 민감성 클렌징 전용 클렌징로션을 이용하여 세안 후 토너를 이용하여 피부결을 정돈하였다. 2단계로서는 대조군은 쉐어버터 크림을 사용,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돕고, 실험군1은 알로에 수분 크림을, 실험군2는 복합발효추출물 화장료를 사용하였고, 모든 군이 대조군과 같은 크림을 사용하였다. 3단계, 차단제는 모든 군 동일하게 같은 제품을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2. 시료의 제조
제조예 1: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
바다제비집(말레이지아산) 및 병풀(국산)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다음의 표 1에 기재된 성분 혼합 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발효하였다. 발효공정은 상기 혼합 추출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를 5-10%(v/x) 농도로 접종하고 30-37℃의 조건에서 1-2일간 발효하였다. 발효후의 발효액을 제균과 멸균과정을 거친 후 사용하였다.
성분명 함유량(중량%)
바다제비집 추출물 20-50
병풀 추출물 20-50
제조예 2: 스킨토너의 제조
실험재료인 스킨토너를 만들기 위한 성분의 구성은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다음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A상(수상)은 상온에서, B상(알코올상)은 히터를 이용하여 50℃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켰다. A상에 B상을 섞어 Disper로 1000rpm으로 10분간 가용화시켰다. 교반 혼합과정을 거쳐 냉각, 여과하고 pH 5.2 상태를 유지시켜 스킨토너를 완성하였다. 알로에와 복합발효추출물은 각각 5중량%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phase) 원료 함량 (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A 상 정제수 5 - -
알로에 - 5 -
복합발효추출물 5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1,3-부틸렌글리콜 4 4 4
구연산 0.04 0.04 0.04
구연산나트륨 0.1 0.1 0.1
B 상 히아루론산 2 2 2
하이드로젠이티드 0.4 0.4 0.4
캐스터오일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제조예 3: 수분크림의 제조
수분크림을 만들기 위한 성분구성은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제조과정은 A상을 80℃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B상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하고 나서 A상에 투입 2000 rpm, 10분 정도 유화하였다. C상을 고르게 섞은 뒤 80℃에서 A + B상에 투입 2000 rpm, 5분 정도 중화하였다. 그리고 서서히 교반하면서 30℃로 냉각 pH 6.15를 완성하였다. 알로에와 복합발효추출물은 각각 5중량%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phase) 원료 함량 (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A상 정제수 5 - -
알로에 - 5 -
복합발효추출물 5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클로페네신 0.2 0.2 0.2
히아루론산 5 5 5
알로에겔 5 5 5
산탄검 1% 수용액 5 5 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5 15 15
B상 스쿠알랑 7 7 7
디메치콘 3 3 3
사이크로메치콘 3 3 3
폴리솔베이트 60 2 2 2
솔비탄올레이트 0.5 0.5 0.5
그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스테아린산 1 1 1
C상 트리에탄올민 1 1 1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제조예 4: 크림의 제조
크림을 제조하기 위한 성분구성은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크림의 제조는 A상을 80℃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B상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하고 나서 A상에 투입하여 2000 rpm, 10분 정도 유화하였다. C상을 고르게 섞은 뒤 80℃에서 A + B상에 투입 2000 rpm, 5분 정도 중화하였다. 이어서, 서서히 고르게 혼합 교반하면서 30℃로 냉각하여 pH 6.23을 완성하였다. 알로에와 복합발효추출물은 각각 5중량%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phase) 원료 함량 (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A상 정제수 5 - -
알로에 - 5 -
복합발효추출물 5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클로페네신 0.2 0.2 0.2
히아루론산 5 5 5
산탄검 1% 수용액 5 5 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5 15 15
B상 스쿠알랑 7 7 7
디메치콘 3 3 3
사이크로메치콘 3 3 3
폴리솔베이트 60 2 2 2
솔비탄올레이트 0.5 0.5 0.5
쉐어버터 5 5 5
그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 1 1
스테아린산 1 1 1
C상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3. 실험결과
실험예 1: 피부 진정 시험
복합발효추출물의 피부 진정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27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총 6주간에 걸쳐 수분 크림을 얼굴에 적용한 후, (i) 피부 민감도 (ⅱ) 홍반 지수 (ⅲ) 멜라닌 지수 및 (ⅳ) 유수분 지수의 변화를 측정인하였다. 피부에서의 상기 효과 측정은 항온항습 조건으로 온도는 22-24℃, 상대습도는 40-60%에서 세안으로부터 30분이 경과된 후 실시하였고, 측정부위는 이마(눈썹 정중앙 인당에서 이마 방향으로 수직 1cm), 양 볼(눈동자 중앙에서 수직 아래 코끝에서 일직선이 되는 부분), 턱(아랫입술 아래 정중앙 턱 부위, 승장)의 네 부위를 측정하였다. 피부에서의 효과 측정은 실험 전, 실험 3주 후, 실험 6주 후, 총 3회에 걸쳐 행하였다.
실험예 2: 피부 민감도 측정
(1) 시험방법
피부 민감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피부 민감성 첩포 검사를 실시하였다. 제일 약한 피부인 귀 뒤쪽과 턱선에 제품을 발라 48시간 정도 붙인 후 피부의 반응을 조사하여 0 (아무 반응이 없는 상태)에서부터 4+(검사물질에 노출된 피부가 매우 붉어지는 것은 물론 심하게 물집이 생기는 경우)까지 점수를 매겼다. 피부변화는 국제 접촉 피부염 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첩포검사 부위에서 홍반과 부종의 발생정도를 육안으로 -, -/+, +, ++, +++로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Negative reaction (반응없음); -/+:Slight erythema (약한홍반); +: Erythema, edema (홍반, 부종); ++: Erythema, edema, papule, vesicles (홍반, 부종, 구진, 소포); +++: Bull (비등).
(2) 측정결과
피부 민감도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는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관리 전 -/+는 4명, +는 3명, ++는 1명으로 나타났으며, 관리 후 -/+는 3명, +는 2명, ++는 3명으로 관리 전보다는 낮은 등급으로 이동이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실험군1(알로에 그룹, 실시예 1)은 관리 전 -/+는 4명, +는 4명, ++는 2명으로 나타났으며, 관리 후 -/+는 5명, +는 2명, ++는 3명으로 나타났다. 실험군2(복합발효추출물 그룹, 실시예 2)은 관리 전 -/+는 2명, +는 5명, ++는 2명으로 나타났으며, 관리 후 -는 6명, -/+는 3명으로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인 실시예 2가 ICDRG 판정 기준 등급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ICDRG
(grade)
비교예1(명) 실시예1(명) 실시예2(명)
0 week 6 week 0 week 6 week 0 week 6 week
- 0 0 0 0 0 6
-/+ 4 3 2 5 2 3
+ 3 2 5 2 5 0
++ 1 3 2 3 2 0
+++ 0 0 0 0 0 0
실험예 3: 피부 홍반 지수 및 멜라닌 지수의 측정
(1) 시험방법
피부표면의 홍반지수와 멜라닌 지수는 Mexameter MX18 (Courage-Khazaka, Colongne, Germany)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0-999 까지의 수치의 상대적인 수치(A.U)로 표시된다.
(2) 홍반 지수 측정결과
홍반지수의 측정 실험결과는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이마에서는 실험 전 378.3(±24.4), 6주후 364.9(±27.7)으로 실험전보다 13.4지수 감소하였고, 볼에서는 실험전 381.5(±73.6), 6주후 376.1(±70.5)로 실험전보다 5.4지수 감소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전 448.0(±48.8), 6주후 442.4(±49.4)로 실험전보다 5.6지수 감소하였다.
실험군 1(알로에 그룹)의 이마에서는 실험 전 350.5(±63.1), 6주후 331.0(±52.0)로 실험전보다 19.5지수 감소하였고, 볼에서는 실험전 355.6(±61.5), 6주후 329.9(±60.4)로 실험전보다 25.7지수 감소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전 424.1(±71.4), 6주후 404.2(±70.9)로 실험전 보다 19.9지수 감소하였다.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의 이마에서는 실험 전 351.7(±62.7), 6주후 231.0(±45.8)으로 실험전 보다 120.7지수 감소하였고, 볼에서는 실험전 389.6(±70.7), 6주후 254.8(±55.9)로 실험전 보다 134.8지수 감소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전 439.9(±69.2), 6주후 306.3(±61.3)로 실험전보다 133.6지수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마에서의 홍반의 변화량에 대해서는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홍반의 변화가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볼에서의 홍반 측정값은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멜라닌 지수 측정결과
멜라닌 지수의 측정결과는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이마에서는 실험 전 218.8(±18.3), 6주후 221.1(±23.8)로 실험전보다 2.3지수 증가하였고, 볼에서는 실험 전 175.0(±29.0), 6주후 184.6(±25.1)로 실험전보다 9.6지수 증가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 전 251.1(±19.9), 6주후 256.9(±19.5)로 실험전보다 5.8지수 증가하였다.
실험군 1(알로에 그룹)의 이마에서는 실험 전 238.6(±33.7), 6주후 246.1(±42.4)로 실험전보다 7.5지수 증가하였고, 볼에서는 실험 전 193.2(±46.3), 6주후 204.0(±48.8)로 실험전보다 10.8지수 증가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 전 265.8(±37.1), 6주후276.7(±41.3)로 실험전보다 10.9지수 증가하였다.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의 이마에서는 실험 전 203.1(±15.0), 6주후 205.4(±15.1)로 실험전보다 2.3지수 증가하였고, 볼에서는 실험 전 155.7(±22.7), 6주후 167.1(±15.8)로 실험전보다 11.4지수 증가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 전 225.3(±13.6), 6주후215.6(±38.8)로 실험전보다 9.7지수 감소하였다. 분석결과, 이마에서의 멜라닌 색소의 변화량에 대해서는 대조군과 실험군 1(알로에 그룹)과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멜라닌 색소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볼에서의 멜라닌 색소의 변화는 실험군 1(알로에 그룹)에서의 멜라닌 색소가 통계적으로 증가하였다.
실험예 4: 피부 유분 지수 측정
(1) 시험방법
피부표면의 유분측정은 Sebumeter (SM815,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피지분비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같은 부위를 두 번 측정하지 않도록, 한 부위 주변을 3번 체크한 후(재현성)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측정값의 단위는 ㎛/cm2이다.
(2) 측정결과
피부유분지수 측정결과는 도 3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이마에서는 실험 전 46.5(±6.2), 6주후 48.0(±6.7)로 실험전보다 1.5지수 증가하였고, 볼에서는 실험전 49.0(±5.3), 6주후 49.9(±5.4)로 실험전보다 0.9지수 증가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전 43.8(±6.98), 6주후 44.6(±7.4)로 실험전보다 0.8지수 증가하였다.
실험군 1(알로에 그룹)의 이마에서는 실험전 46.2(±6.8), 6주후 47.9(±5.5)로 실험전보다 1.7지수 증가하였고, 볼에서는 실험전 47.8(±6.6), 6주후 48.7(±5.6)로 실험전보다 0.9지수 증가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전 45.2(±6.8), 6주후 46.0(±6.0)로 실험전보다 0.8지수 증가하였다.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 이마에서는 실험전 41.6(±7.8), 6주후 49.4(±6.0)로 실험전보다 7.8지수 증가하였고, 볼에서는 실험전 43.0(±7.9), 6주후 53.5(±5.2)로 실험전보다 10.5지수 증가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전 40.6(±8.1), 6주후 46.2(±6.0)로 실험전보다 5.6지수 증가하였다.
분석결과, 이마에서의 유분의 변화량에 대해서는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유분의 변화가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볼에서의 유분 측정값은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피부 수분 지수 측정
(1) 시험방법
피부표면의 수분 측정은 Corneometer (CM825, GmbH, Germany)를 이용하였다. 수분 측정 시 재현성을 위해 probe를 측정 피부표면에 부착하여 한 부위 주변을 3번 측정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수분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2) 측정결과
피부 수분 지수 측정결과는 도 4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이마에서는 실험 전 52.5(±16.5), 6주후 53.3(±15.6)로 실험전보다 0.8지수 증가하였고, 볼에서는 실험전 46.4(±13.3), 6주후 47.5(±12.9)로 실험전 보다 1.1지수 증가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전 49.9(±15.2), 6주후 50.6(±15.2)로 실험전보다 0.7지수 증가하였다.
실험군 1(알로에 그룹)의 이마에서는 실험 전 51.2(±16.5), 6주후 54.0(±15.0)로 실험전보다 2.8지수 증가하였고, 볼에서는 실험 전 45.5(±13.3), 6주후 47.3(±12.4)로 실험전 보다 1.8지수 증가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 전 47.4(±13.9), 6주후 49.5(±13.0)로 실험전보다 2.1지수 증가하였다.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의 이마에서는 실험전 53.0(±16.6), 6주후 65.1(±10.2)로 실험전보다 12.1지수 증가하였고, 볼에서는 실험전 46.9(±15.9), 6주후 57.6(±10.2)로 실험전보다 10.7지수 증가하였다. 또한 턱에서는 실험 전49.8(±16.2), 6주후 60.9(±9.7)로 실험전보다 11.1지수 증가하였다.
분석결과, 이마에서의 수분의 변화량에 대해서는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수분의 변화가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볼에서의 수분 측정값은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턱에서의 수분 측정값은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민감성 및 홍조에 관한 자가진단
실험대상자 대조군, 실험군 1(알로에 그룹)과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의 실험대상자들이 실험 후 홍반개선, 혈색안정, 지속되는 홍조 및 발열감 개선, 소수포, 염증형성, 뽀루지 개선, 색소침착 개선, 피부당김 개선, 표면의 거칠기 개선, 피부각질의 과학질화 개선 정도를 살펴본 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홍반개선은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상당히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고 혈색안정도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가장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속되는 홍조 및 발열감 개선, 소수포, 염증형성, 뽀류지 개선, 색소침착 개선, 피부당김 개선, 표면의 거칠기 개선, 피부각질의 과각질화 개선 정도도 실험군 2(복합발효추출물 그룹)에서 가장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Mean Std Mean Std Mean Std
홍반개선 -0.50 1.20 0.30 1.34 6.56 0.53
혈색안정 -0.25 1.49 0.20 0.63 6.67 0.50
지속되는 홍조,
발열감 개선
-0.38 0.52 0.10 0.57 6.44 0.53
소수포, 염증형성, 뽀루지 개선 -1.13 1.46 -0.20 0.63 2.22 2.59
색소침착 개선 -2.63 0.52 -1.00 1.25 5.33 1.58
피부당김 개선 0.25 1.04 1.70 1.34 5.11 1.69
표면의 거칠기 개선 -0.25 0.71 0.50 0.97 4.78 1.48
피부각질의 과각질화 개선 -0.63 0.74 0.20 0.42 5.22 1.39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균에 의해 30 - 37℃의 온도에서 1-2일간 발효시켜 제조한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의 건조, 홍반 또는 홍조의 개선용 또는 민감성 피부의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다제비집 추출물 또는 병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CH2Cl2), 클로로포름, 헥산(Hexane)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 30 중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의 건조, 홍반 또는 홍조의 개선 또는 민감성 피부의 진정 효과를 갖는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 방법:
    (a)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균을 접종하여 30-37℃의 온도에서 1-2일간 발효시켜 복합발효추출물을 얻는 단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바다제비집 추출물 또는 병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CH2Cl2), 클로로포름, 헥산(Hexane)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것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0077310A 2013-07-02 2013-07-02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10141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310A KR101418825B1 (ko) 2013-07-02 2013-07-02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310A KR101418825B1 (ko) 2013-07-02 2013-07-02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825B1 true KR101418825B1 (ko) 2014-07-16

Family

ID=5174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310A KR101418825B1 (ko) 2013-07-02 2013-07-02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8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44B1 (ko) * 2016-02-19 2017-04-06 (주)진셀팜 영생초 및 바다제비집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4786A (ko) * 2017-04-11 2018-10-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제비집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911078B1 (ko) * 2017-01-20 2018-10-23 (주)에스디생명공학 바다제비집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00126248A (ko)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크릴랜드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380A (ko) * 1997-06-13 1999-01-15 안용찬 혼합 미백제조성물
KR20070051377A (ko) * 2005-11-15 2007-05-18 주식회사 아데나 피부자극 개선효과가 있는 식물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380A (ko) * 1997-06-13 1999-01-15 안용찬 혼합 미백제조성물
KR20070051377A (ko) * 2005-11-15 2007-05-18 주식회사 아데나 피부자극 개선효과가 있는 식물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44B1 (ko) * 2016-02-19 2017-04-06 (주)진셀팜 영생초 및 바다제비집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1078B1 (ko) * 2017-01-20 2018-10-23 (주)에스디생명공학 바다제비집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4786A (ko) * 2017-04-11 2018-10-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제비집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963572B1 (ko) * 2017-04-11 2019-03-29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제비집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00126248A (ko)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크릴랜드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1137A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511023A (ja) シスツス・モンスペリエンシス(Cistus monspeliensis)の抽出物の新規な化粧品的及び皮膚科学的使用
CN112022895B (zh) 一种用于皮肤屏障修复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18825B1 (ko)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20130011703A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2904B1 (ko) 하수오추출물, 슈도알테로모나스발효 추출물, 효모용해추출물, 마치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냉감 및 진정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215275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102104214B1 (ko)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CN110072516A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CN107693439A (zh) 一种沙棘亮白保湿沐浴露
KR20210090870A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66747B1 (ko)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11265434A (zh) 一种植物来源乳化剂油包水膏霜及其制备方法
KR20180045187A (ko) 오이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41564A (ko) 프로폴리스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4529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168067B (zh) 一种活力祛斑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1806007B1 (ko)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7040A (ko) 백굴채 추출물 및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