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248A -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248A
KR20200126248A KR1020190050009A KR20190050009A KR20200126248A KR 20200126248 A KR20200126248 A KR 20200126248A KR 1020190050009 A KR1020190050009 A KR 1020190050009A KR 20190050009 A KR20190050009 A KR 20190050009A KR 20200126248 A KR20200126248 A KR 20200126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lla
aging
effect
minerals
centella asiat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872B1 (ko
Inventor
민석기
손정희
민세원
강병찬
김창선
최수미
고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릴랜드
주식회사 하나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릴랜드, 주식회사 하나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릴랜드
Priority to KR102019005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8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병풀(Centella asiatica) 또는 이의 추출물을 미네랄 파우더와 당을 이용해 숙성하여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를 갖는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Centella asiatica aseptic aging solution with the skin calming and repair effects using a mineral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병풀(Centella asiatica) 또는 이의 추출물을 미네랄 파우더와 당을 이용해 숙성함으로써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를 갖는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사람들은 각종 유해환경에 노출되어 얼굴이나 손, 몸 등의 피부가 약화 되었으며, 피부에 대해 보호 및 진정효과 또는 재생 효과를 갖는 물질의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상기 피부에 대해 보호 및 진정효과 또는 재생 효과를 갖는 물질로는 유기 화학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유기 화합물과 천연적인 원료로 제조되는 천연 조성물 등이 있다. 유기 화합물은 제조 원가, 자원의 유한성 등의 이유로 한계가 있는 바, 피부에 대하여 보호 및 진정효과 그리고 재생효과를 갖는 천연 조성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피부에 대하여 보호 및 진정효과 그리고 재생효과를 갖는 천연 조성물로, 병풀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상기 병풀(Centella asiatica)은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에 흔히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나 최근에는 한반도 전역에 자생한다. 병풀은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며, 옆으로 뻗어가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비늘 같은 잎이 있으며, 상기 잎은 비늘 같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자루가 길며 타원형으로 지름 2∼5cm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병풀의 꽃은 5∼8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2∼5개의 꽃이 긴 꽃자루[花梗] 끝에 달리고 작은꽃자루[小花梗]는 거의 없으며 총포조각은 2개이다. 꽃잎은 5개로 넓은 원형이고 수술로 5개이다. 열매는 편평한 원형이고 겉에 튀어나온 그물눈이 있으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없어진다. 인도에서는 약용으로 사용하며, 많이 복용하면 독성이 나타난다고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병풀은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식애씨드(Madecasic acid), 아시아틱애씨드(Asiatic acid)와 그 밖에 유효한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어 주목 받는 약초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10-1418825호에는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혼합물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균에 의해 30~37℃의 온도에서 1~2일간 발효시켜 제조한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의 건조, 홍반 또는 홍조의 개선용 또는 민감성 피부의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바다제비집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에 발효를 진행하여 얻어진 조성물로써,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병풀 내부의 성분들이 변하게 되어,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에 대해 적절한 효능을 나타내는 결과물을 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천연물의 연구에서 발효와 숙성을 동일한 개념으로 혼용하기도 하나, 발효와 숙성은 과정에서 차이가 있다.
발효는 천연물에 효모나 균 등의 특정미생물을 접종하여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천연물의 성분이 다른 성분으로 바뀌거나 천연물의 성분을 섭취한 미생물의 대사물을 수득하는 것으로, 균류에 따라 각기 특유의 최종산물을 만들어 내며, 균류의 작용이 눈에 드러나기 때문에 발효의 과정을 감지할 수 있다. 발효의 대표적인 예로, 삶은 메주콩을 볏짚에 올려놓고 40~50℃에서 2~3일간 방치하면, 볏짚의 고초균이 메주콩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글루탐산을 만들어 내고 실 모양의 끈끈한 점질 물질을 생성한다.
반면, 숙성은 천연물을 일정한 조건하에 얼마간 방치하여 천연물에 존재하는 유전자와 같은 단백질 일종인 효소의 작용 또는 성분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효성분을 합성하거나 변화시키는 것으로, 천연물을 숙성하게 되면 천연물의 특정성분이 감소하거나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숙성의 과정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숙성의 일 예로, 정종을 가열살균한 후 6~12개월 동안 숙성시키면 자극성의 알데히드류는 감소하고 에스테르류가 증가하여 맛이 개선된다.
상기한 문제점에 따라, 병풀에 대해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지면서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를 갖는 원료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균류나 발효액을 이용하는 발효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미네랄과 당류를 이용한 삼투압현상 및 숙성으로 병풀의 유효한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을 추출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자는 미네랄 파우더와 당을 이용하여 효율 대비 생산단가도 현저히 낮추는 제조방법으로 병풀의 다양한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을 추출하고 그 효능을 확인하여 기능성 제품으로의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8825호(2014.07.16. 공고).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병풀에 미네랄과 당류를 혼합하여 숙성하고 추출하여, 병풀의 유효성분들이 최대한 파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상태의 병풀 내에 존재하는 효소의 활성을 증대시켜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를 갖는 병풀 숙성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네랄과 당류를 이용해 일반추출물에 기대하기 어려운 효능 대비 생산단가를 현저히 낮추는 제조방법으로 병풀의 다양한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를 추출함으로써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우수한 병풀 숙성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병풀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에서 세척 및 물기가 제거된 병풀에 미네랄 및 당류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숙성하여 병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병풀 숙성액을 압착 여과하여 병풀 숙성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S30); 및 상기 단계(S30)의 병풀 숙성여과액을 1 내지 2주 동안 용출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당류와 병풀은 15 : 85 ~ 65 : 35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네랄은 당류, 미네랄의 혼합물 총 중량대비 0.2 내지 4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S20)의 숙성기간은 12 내지 24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당류는 설탕, 꿀, 수크로오스(sucrose), 글루코오스(glucose), 알룰로오스(Allulose), 타가토오스(Tagatose), 물엿, 올리고당, 과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당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네랄은 Ca, Mg, Cu, Zn, Na, K, Fe, P, Cl, Ge, Pt, S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물 자체인 병풀을 미네랄과 당류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촉매작용과 삼투압작용으로 식물 체내의 효소(Enzyme)를 최대한 활성화시켜 병풀이 함유한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인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식애씨드(Madecasic acid), 아시아틱애씨드(Asiatic acid)과 그 밖에 유효한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들이 숙성과정에서 원활하게 생성될 뿐만 아니라, 이를 효율적으로 용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병풀 숙성액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병풀을 미네랄과 당을 이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피부 탄력 효과,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당과 미네랄을 이용해서 병풀을 가공시키는 숙성공법은 새로운 시도이며, 본 발명의 병풀 숙성액은 본 발명의 숙성공법을 통해 기존 병풀 추출물과의 차별성으로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를 통해 수치적으로도 보다 높은 주름개선과 피부자극보호 효과를 동시에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세포안정성시험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일반 병출 추출액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일반 병풀 추출액의 MMP-1 억제효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일반 병풀 추출액의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피부 자극효과를 나타낸 임상 사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구현 예로서, 병풀(Centella asiatica) 또는 이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로서,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천연물 숙성으로써, 채집 당시 천연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효능 성분들을 보다 더 많이 생성될 수 있도록 미네랄(Mineral)과 당(糖)을 이용하여 효소(Enzyme)를 활성화시키는 숙성(Aging) 시스템을 고안하였다(MSA 공법). 상기 숙성 방법은 어떠한 유기 용매 혹은 인위적인 조작을 하지 않고 천연물 그대로의 대사를 활성화시켜 일반 용매 추출보다 효능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존 천연물에서 보여지지 않는 새로운 효과와 기능을 갖는 안전한 원료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의 원료를 수득하기 위해, 본 발명의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은 병풀에 미네랄과 당류를 혼합하고, 이를 일정기간 동안 무균 상태로 숙성하여 추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네랄과 당은 병풀에 혼합되어 효소의 활성을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병풀이 함유하고 있는 주요 생리활성물질의 수득률을 증대시킨다.
모든 생물체 내에는 생화학적 반응의 촉매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다양한 효소를 가지고 있다. 상기 효소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유기 촉매이기 때문에 단백질이 갖는 모든 특성을 나타내고, 무기촉매와는 달리 온도, pH(수소이온농도), 단백질 변성제 등 환경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입체구조가 비가역적으로 변성되면 활성을 잃기도 한다. 즉, 모든 효소는 특정한 조건에서 가장 활발하게 작용하며, 하나의 효소가 하나의 화학반응 또는 유사한 일군의 화학반응에 대하여 촉매작용을 나타내고,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부산물을 만들지 않는다.
이런 생물체 내에서의 생리활성작용으로 식물에서는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을 분비하는데, 이는 식물이 불리한 환경에 처했을 때 방어기작의 일환으로 식물 스스로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을 합성하는 것이다. 식물들은 병균에 대항하여 침략자를 격퇴시키고 그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의 중요한 수단으로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s) 이라고 불리는 항균물질을 생성함으로써 스스로 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제조 방법은 병풀에 함유된 유효한 성분을 수득하는 과정에서 물을 포함하여 어떠한 유기 용매를 첨가하거나 열을 가하지 않고, 단지 미네랄과 당류에 의한 삼투압 원리로 병풀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식애씨드(Madecasic acid),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cide), 아시아틱애씨드(Asiatic acid) 등을 생성시키는 특정 효소들을 파괴하지 않고 도리어 활성을 최대화 시킴으로 다양한 병풀의 활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생성 및 용출시켜 농축된 숙성액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은,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병풀에 의해 합성된 것으로, 상기 병풀이 스트레스 조건하에 놓여질 때, 구체적으로는 미네랄과 당류에 의한 삼투압 상황에 놓여질 때, 병풀부터 강화가 된다. 이 때, 병풀의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인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식애씨드(Madecasic acid), 아시아틱애씨드(Asiatic acid)와 그 밖에 유효한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들이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으로 강화가 되는 것이다. 상기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는 야채 및 과일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로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하여 몸속의 세포를 공격하는 프리라디칼을 억제하며 세포 내 DNA손상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병풀(Centella asiatica)은 한반도 남부 산이나 들에 자생하고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병풀은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며, 옆으로 뻗어가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비늘 같은 잎이 있으며, 상기 잎은 비늘 같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자루가 길며 타원형으로 지름 2∼5cm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병풀의 꽃은 5∼8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2∼5개의 꽃이 긴 꽃자루[花梗] 끝에 달리고 작은꽃자루[小花梗]는 거의 없으며 총포조각은 2개이다. 꽃잎은 5개로 넓은 원형이고 수술로 5개이다. 열매는 편평한 원형이고 겉에 튀어나온 그물눈이 있으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인도에서는 약용으로 사용하며, 많이 복용하면 독성이 나타난다고 한다. 또한, 호랑이가 상처가 나면 병풀밭에 둥글어 상처를 치유했다고 하여 호랑이풀 이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자는 미네랄과 당류 및 병풀을 물을 포함 어떠한 추출용매 없이 숙성과정을 거쳐 얻어진 병풀 숙성물을 효율적으로 압착 및 추출하고, 병풀 숙성액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 등의 세포 활성을 측정하여 상기 추출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Ca, Mg, Cu, Zn, Na, K, Fe, P, Cl, Ge, Pt, Se, I, G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다양한 복합 미네랄 성분들을 포함하는데, 특히 인체에 꼭 필요한 4대 미네랄인 마그네슘, 칼슘, 칼륨, 나트륨 외에 아연, 셀레늄 등을 함유하고 있음은 물론, 식물 성장에 필요한 칼륨, 인 등의 무기영양소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병풀을 안정화시키고, 각종 효소들의 활성을 촉진 시키는 촉매역할을 한다.
상기 미네랄은 병풀에 존재하는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인 파이토뉴트리언트 (phytonutrient) 성분들이 보다 많이 생성 및 용출되어 질 수 있게하는 촉매 작용을 한다. 특히 복합 미네랄에 포함될 수 있는 원소인 I는 인체에 도움이 되는 이로운 효과를 갖는 원소로서, 병풀 내의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과 반응하여 예측할 수 없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미네랄의 함량은 당류와 미네랄의 혼합물 총 중량대비 0.2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 15 중량%이다.
상기 당류는 설탕, 꿀, 수크로오스(sucrose), 글루코오스(glucose), 알룰로오스(Allulose), 타가토오스(Tagatose), 갈락토스(galactose), 물엿, 올리고당, 과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설탕, 꿀, 수크로스(sucrose) 또는 알룰로오스(Allulose) 또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류는 삼투압현상으로 상기 병풀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병풀에 함유된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인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들이 생성 및 용출되도록 할뿐만 아니라, 부패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당류와 병풀의 혼합비율은 15 : 85 ~ 65 : 35의 중량비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5 : 75 ~ 50 : 50의 중량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70 ~ 35 : 65 중량비이다.
상기 당류와 병풀의 혼합비율이 15 : 85 ~ 65 : 35의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당류의 함량이 미미하여 병풀의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이 쉽게 생성 및 용출되지 아니하거나 부패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당류가 수분 대비 25% 이상이면 멸균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에 따라 발효가 아닌 숙성이 진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당분의 비율이 낮아서 발효가 이루어지면 이는 숙성으로 진행되는 본 발명의 미네랄당을 이용한 숙성 공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어 재료를 모두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효가 아닌 숙성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당류가 수분 대비 70%를 초과하게 되면 과도한 당류에 의해 병풀에 존재하는 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어질 수 있어 병풀의 파이토뉴트리언트 (phytonutrient) 성분의 생성률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병풀 숙성액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병풀은 수분으로만 되어있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질들을 포함하여 전체 중량이 측정되기 때문에 당류와 병풀의 혼합비율은 15 : 85 ~ 65 : 35의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미네랄과 당류를 이용한 최적의 숙성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미네랄의 함량과 병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숙성 경향을 확인하였다. 숙성기간은 10주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미네랄의 함량은 당류와 미네랄의 혼합물 총 중량대비 0.01 내지 70 중량%로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숙성과정에서 미네랄의 함량이 0.2 내지 40 중량%일 때,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네랄의 함량이 5.0 내지 15 중량%일 때,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0.2 내지 40 중량%를 벗어나 0.01 중량% 혹은 70 중량%에 가까워질수록 효과가 감소했다. 따라서, 병풀과 당류를 이용한 효율성을 토대로 한 미네랄 함량은 당류와 미네랄의 혼합물 총 중량대비 0.2 내지 4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미네랄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미네랄의 함량이 미미하여 병풀 내 효소의 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병풀의 유효한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이 생성 및 용출되는 정도가 낮아져 병풀 숙성액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낮아진다.
상기 미네랄의 함량이 40 중량% 초과이면, 미네랄의 함량이 과도하여 당류의 삼투압현상에 의한 병풀의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의 생성 및 용출되는 정도가 떨어지고 병풀 숙성액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다소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병풀 숙성액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병풀 숙성액의 제조방법은
병풀을 세척 및 건조(물기제거)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에서 세척 및 물기가 제거된 병풀에 (최적 조건의)당류 및 미네랄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숙성하여 병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병풀 숙성액을 압착 여과하여 병풀 숙성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S30); 및
상기 단계(S30)의 병풀 숙성여과액을 1 내지 2주 동안 용출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먼저, 병풀을 세척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10)에서 병풀을 정제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병풀의 표면에 부착된 물기만 제거한다. 이때, 병풀에 함유된 수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열을 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10)에서 세척 및 물기가 제거된 병풀을 (최적 조건의)당류 및 미네랄과 혼합한 후 숙성하여 병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10)의 병풀과 당류를 35 : 65 ~ 80 : 20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50 : 50 ~ 75 : 25 중량비, 더 바람직하게는 65 : 35 ~ 70 : 30 중량비로 혼합함과 동시에 효소의 활성을 관장하는 미네랄을 당류와 미네랄의 혼합물 총 중량대비 0.2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0 ~ 15 중량%로 혼합한다. 이때, 상기 단계(S20)는 12 내지 24주의 숙성 기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의 함량이 70 중량% 초과일 경우 용출효과는 다소 용이할 수 있으나, 이는, 도리어 엔자임의 활성을 저하시켜 최적의 조건보다 효능이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반면, 15 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미생물에 오염되어 발효되거나 부패가 발생된다.
미네랄의 비율은 적용되는 당류 대비 0.2 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숙성과정에서 엔자임의 활성에 거의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하며, 40 중량% 초과의 과량일 경우 역시도 숙성이 원활하지 못해, 효능 및 화장품 제형으로의 응용에 원활하지 못하는 역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미네랄과 당류 및 병풀을 이용한 최적의 숙성기간을 확인하기 위해, 미네랄의 함량은 당류, 미네랄의 혼합물 총 중량대비 0.2 내지 40 중량%로 적용하고, 주 단위로 숙성상태와 병풀 숙성액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경향을 확인하였다. 총 48주, 약 1년 동안의 숙성 경향을 확인한 결과, 약 12 ~ 15주의 숙성기간만 지나면 더 많은 숙성기간과는 관계없이 효능의 차이가 크게 상승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지 병풀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도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숙성기간이 12주 미만인 경우, 숙성기간이 지나치게 짧아 병풀 숙성액에서 효소 및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성분의 용출이 적어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가 미약했고, 숙성기간이 24주를 초과하면,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의 증가폭이 미미하지만 도리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병풀 숙성액이 최적의 효과에 도달하는 시점은 12 내지 24주라 할 수 있다. 숙성과정에서의 균에 의한 오염이 없었기 때문에, 24주를 초과하여 숙성하더라도 병풀 숙성액이 변질되는 문제는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24주를 초과할 경우 효소 및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성분의 수득율이 둔화되므로 이는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상기 숙성기간이 12 내지 24주 일 때, 병풀 숙성액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다. 숙성기간이 24주를 초과하면 숙성기간의 증가대비 병풀 숙성 용출액의 수득률이 크게 증가되지 않지 않으며, 병풀 숙성액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향상되는 정도가 미미하다.
일반적으로 8 내지 48주(1년)의 숙성기간을 갖는 숙성액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8주 미만은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사용하기 어렵고, 48주(1년)를 초과하는 숙성기간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일 뿐더러,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숙성기간은 8 내지 48주, 더 적절하게는 12 내지 24주가 바람직하며, 가장 적절한 숙성기간으로는 약 100일(약 14주)이다.
상기 단계(S20)는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30℃의 온도일 때 병풀의 효소 및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이 변질되거나 파괴되지 않으면서 생성 및 용출되어 병풀 숙성액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다. 상기 단계(S20)의 온도가 30℃ 초과이면 숙성하는 동안 효소에 데미지를 주기 시작하여 활성을 저하시키며, 당류가 변질되어 병풀의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이 충분히 생성 및 용출되지 않고 병풀 숙성액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떨어진다. 상기 단계(S20)의 온도가 20℃ 미만이면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 숙성이 진행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병풀의 효소 및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성분의 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S20)에서 생성되는 액체만을 따로 취하여, 이어지는 단계(S30, S40)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S20)에서 생성되는 액체만을 이어지는 단계(S30, S40)에 이용할 경우, 병풀의 효소 및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의 숙성이 완료된 상태로만 액체화되어 나오기 때문에, 상기 효소 및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의 순도가 높아져서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에서 더 탁월한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계(S20)의 병풀 숙성액을 여과하여 병풀 숙성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30)는 가압여과기 또는 감압여과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감압여과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계(S30)의 병풀 숙성여과액을 1 내지 2주 동안 용출하는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S40)는 병풀 숙성여과액을 물,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판다이올, 에탄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화장품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들로 용출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계(S40)는 1 내지 2주 동안, 밀폐용기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40)에서 1주 미만으로 용출하면 숙성기간 동안 효소가 만들어낸 많은 효능성분들을 제대로 추출이 진행되지 않아 병풀 숙성액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떨어지며, 2주를 초과하여 숙성하면, 과도한 용출에 비해, 병풀 숙성액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증가하는 폭이 미미하여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병풀 숙성액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또는 립스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습제, 유기 또는 무기 안료,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pH 조절제, 알콜, 색소, 향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병풀 숙성액은 약제 조성물 또는 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 CA - MAG )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을 제조하였다.
S10 : 병풀을 정제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병풀의 표면에 부착된 물기만 제거했다.
S20 : 상기 S10 단계의 병풀과 설탕을 3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복합 미네랄을 설탕과 미네랄의 혼합물 총 중량대비 10 중량%로 혼합한 후, 20 내지 30℃의 상온에서 24주 숙성하여 병풀 숙성액을 제조하였다.
S30 : 상기 S20 단계의 병풀을 감압여과기로 여과하여 병풀 숙성여과액을 제조하였다.
S40 : 상기 단계(S30)의 병풀숙성액을 1주 동안 30% 부틸렌 글라이콜(나머지 물)로 용출하여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일반 병풀 추출물( CA - Ext )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을 제조하였다.
병풀을 정제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병풀의 표면에 부착된 물기만 제거한 다음, 추출 용매로 30% EtOH을 사용하고 감압여과기로 추출하여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안정성 시험
사람의 각질세포(keratinocyte)인 HaCaT에 대한 세포독성 시험(cytotoxicity test)을 수행하였다. 세포독성의 평가는 Neutral red uptake assay를 이용하였다.
사람의 각질세포(keratinocyte)인 HaCaT에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 및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을 각각 1.0%, 0.5%, 0.25%, 0.12%의 농도로 투입한 후 NRU test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는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 및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을 투입하기 전의 수치를 100%로 하여, HaCaT 세포의 생존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시료 투입 농도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의 세포생존율(%)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의 세포생존율(%)
1.0% 97.8 98.5
0.5% 100.8 104.6
0.25% 99.5 98.4
0.12% 98.9 96.9
그 결과,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은 일반 병풀 추출물(CA-Ext)과 비슷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투입 전의 세포에 비해 크게 감소한 수치를 보이지 않았다. 이로부터 상기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은 세포 독성이 없는 안전한 원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 시험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과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을 세포에 적용했을 때 안전하다는 결과를 토대로 각각의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과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의 세포의 콜라겐 생합성 기능을 확인하였다.
콜라겐 생성촉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imary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HDFN)을 사용하였다. FGM-2(LONZA) 배지로 배양한(subculture) HDFN 세포를 trypsin 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후 시험용 배지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조정한 후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를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0.2% FBS, 0.1% BSA를 함유한 DMEM 배지에 2.0 × 104 cells/mL가 되도록 HDFN을 조절한 후, 이 세포 현탁액 135㎕를 96 microplate에 분주한 다음,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overnight pre-culture하고, 동일한 media로 교체한 후, 각 농도로 희석된 시료를 첨가하여 3일간 추가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액을 이용하여 ELISA법으로 type-1 procollage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정제수에 시료가 희석된 농도 (부피%) (실시예1)
CA-MAG의 프로콜라겐 생산량(%)
(비교예1)
CA-Ext의 프로콜라겐 생산량(%)
1 147.8 106.8
0.5 137.3 111.4
0.25 122.8 100.9
0.12 115.0 100.1
그 결과,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에서 일반 병풀 추출물(CA-Ext)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콜라겐생합성 촉진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이 갖는 우수한 세포 내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병풀의 일반 용매 추출물(CA-Ext)보다 미네랄과 당을 이용하여 숙성된 병풀 숙성액(CA-MAG)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이 확인됐고, 미네랄과 당을 이용하여 숙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에는 예측할 수 없던 새로운 효과가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MMP -1 억제효과 시험
MMP-1 생성 억제효과는 세포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사용된 세포는 피부에서의 현상을 가장 잘 모방할 수 있도록 초대 배양된 인간 섬유아세포(HDFN)를 이용하였다. 또한, 세포배양 배지는 혈청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포배양에서 사용하는 통상적인 혈청 농도인 10% 대신 0.2%를 적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의 MMP-1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0.2% FBS, 0.1% BSA를 함유한 DMEM 배지에 2.0 × 104cells/ML가 되도록 HDFN을 조절한 후 이 세포액 135㎕를 96 micro-plate에 분주한 후, incubator에서 overnight pre-culture하고, 동일한 media로 교체한 후, 실시예 1의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 및 비교예 1의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을 각각 1.0%, 0.5%, 0.25%, 0.12%, 0.06%, 0.03%, 0.015%, 0.008%, 0.004%, 0.002%로 희석하여 첨가한 후 3일간 추가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액을 이용하여 ELISA법으로 pro-MMP-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농도 (실시예 1)
CA-MAG의
MMP-1 inhibitation(%)
(비교예 1)
CA-Ext의
MMP-1 inhibitation(%)
1.0% 33.34 20.04
0.5% 30.93 18.54
0.25% 28.22 15.45
0.12% 27.52 12.58
0.06% 27.54 11.46
0.03% 23.77 8.41
0.012% 18.57 7.47
0.008% 14.78 1.02
0.004% 8.53 0.85
0.002% 6.52 0.21
그 결과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은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에 비해 최대 32배 이상의 MMP-1 활성 억제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병풀의 일반 용매 추출물(CA-Ext)보다 미네랄과 당을 이용하여 숙성된 병풀 숙성액(CA-MAG)의 MMP-1 억제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이 확인됐고, 미네랄과 당을 이용하여 숙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에는 예측할 수 없던 새로운 효과가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 보호 효과 시험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의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에 자극이 주어졌을 때의 각각의 샘플들의 자극원으로부터 세포를 얼마만큼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세포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imary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HDFN)을 사용하였다. FGM-2(LONZA) 배지로 배양한(subculture) HDFN 세포를 trypsin 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후 시험용 배지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조정한 후 세포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0.2% FBS, 0.1% BSA를 함유한 DMEM 배지에 2.0 × 104 cells/mL가 되도록 HDFN을 조절한 후, 이 세포 현탁액 135㎕를 96 microplate에 분주한 다음,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overnight pre-culture하고, 동일한 media로 교체한 후, 각 농도로 희석된 시료를 첨가하여 3일간 추가 배양 후 UV를 조사하여 세포 성장에 자극을 주고난 후의 세포 성장상태를 확인하였다. 세포 성장은 neutral red uptake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제수에 시료가 희석된 샘플농도(부피%) (대조군)
control
(실시예1)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을 투입한 시험군의 세포 생존율(%)
(비교예1)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을 투입한 시험군의 세포 생존율(%)
1.0 18.4 49.68 24.52
0.5 18.4 47.32 21.45
0.25 18.4 36.58 19.6
0.125 18.4 27.15 19.4
0.0625 18.4 22.6 18.9
0.031 18.4 20.8 18.7
그 결과, UV 조사로 인해 자극이 가해진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이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에서 확인되었다. 반면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의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 보호 효과는 Control과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별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이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에 비해 최대 16배 이상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어(대조군과의 차이 기준), 미네랄과 당을 이용하여 숙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에는 예측할 수 없던 새로운 효과가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자극완화, 진정효과 간이 임상테스트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의 피부 자극완화 및 진정효과에 대한 간이 임상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이프 스크래핑법을 이용하여 20 내지 40세의 건강한 성인 남녀에 대해 피부자극을 주었다. 변수를 줄이기 위하여, 한쪽 팔목에 6군데의 부위를 정해, 13 ~ 15번 같은 부위에 테이프를 붙였다 떼어냄을 반복하여 피부에 데미지를 줌으로 통증 및 자극을 유발시켰다.
그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이 2% 함유된 가용화 제형과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이 2% 함유된 제형을 도포하여 3일 동안 그 경향을 확인하였다. 피부에 자극이 일어나 붉게 변한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매우붉음 5점, 붉음 4점, 보통 3점, 연한붉음 2점, 붉지않음 1점으로 평가하였다. 자극 직후부터 3일까지의 경과를 해당 점수에 대한 평균값으로 표 5에 나타내었다.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이 2% 함유된 제형의 자극 완화 육안 평가 평균값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이 2% 함유된 제형의 자극 완화 육안 평가 평균값
자극 직후 5점 5점
1일 경과 3.1점 3.7점
2일 경과 2.2점 2.7점
3일 경과 1.4점 2.2점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이 2% 함유된 가용화 제형은 자극을 준 후 1일 만에 붉게 변한 정도가 보통 수준으로 내려가는 경향을 보였으나,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이 2% 함유된 제형은 1일 후에도 붉음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일 차, 3일 차에도 두 제형 간 효과 차이는 완연하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결과로부터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이 미네랄과 당을 이용하여 숙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에는 예측할 수 없던 새로운 효과가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의 피부자극 완화 효과는 도 6에 임상 실험 테스트로 도시하였으며,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이 도포된 후 시간이 1일, 2일, 3일 지남에 따라 완연한 피부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미네랄을 이용한 병풀 숙성액(CA-MAG)은 일반 병풀 추출물(CA-Ext)에 비해 높은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 안정성에 있어서도 일반 병풀 추출물(CA-Ext)과 유사한 수치를 보여 안전한 약재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은 일반 병풀 추출물에 비해 콜라겐 생합성 효과, MMP-1 억제효과,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에 있어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이는 미네랄과 당을 이용하여 숙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병풀 내에 포함되어 있던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식애씨드(Madecasic acid),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아시아틱애씨드(Asiatic acid) 및 그 밖에 유효한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성분들이 Ca, Mg, Cu, Zn, Na, K, Fe, P, Cl, Ge, Pt, Se, I, Ga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복합 미네랄과 설탕, 꿀, 수크로오스(sucrose), 글루코오스(glucose), 알룰로오스(Allulose), 타가토오스(Tagatose), 갈락토스(galactose), 물엿, 올리고당, 과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당류와의 상호반응을 통해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으로 강화되면서 전에는 예측할 수 없던 새로운 효과가 나타난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높은 콜라겐 생합성 효과 및 MMP-1 억제효과로부터 피부 탄력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유추할 수 있었고, 자극원으로부터의 세포보호 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로부터 피부에 대한 보호 효과를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름개선 효과 및 피부 보호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로서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7)

  1. 병풀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에서 세척 및 물기가 제거된 병풀에 당류 및 미네랄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숙성하여 병풀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병풀 숙성액을 여과하여 병풀 숙성여과액을 제조하는 단계(S30); 및
    상기 단계(S30)의 병풀 숙성여과액을 1 내지 2주 동안 용출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와 병풀은 15 : 85 ~ 65 : 35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당류, 미네랄의 혼합물 총 중량대비 0.2 내지 4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의 숙성기간은 12 내지 24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설탕인 수크로오스(sucrose), 글루코오스(glucose), 알룰로오스(Allulose), 타가토오스(Tagatose), 꿀(Honey), 물엿, 올리고당, 과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당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Ca, Mg, Cu, Zn, Na, K, Fe, P, Cl, Ge, Pt, S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KR1020190050009A 2019-04-29 2019-04-29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009A KR102198872B1 (ko) 2019-04-29 2019-04-29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009A KR102198872B1 (ko) 2019-04-29 2019-04-29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48A true KR20200126248A (ko) 2020-11-06
KR102198872B1 KR102198872B1 (ko) 2021-01-05

Family

ID=7357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009A KR102198872B1 (ko) 2019-04-29 2019-04-29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631A (ko) * 2021-06-21 2022-12-28 주식회사 하나코스 천연소재를 이용한 피부장벽 강화 및 가려움증 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5397B1 (ko) * 2022-03-14 2023-02-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당 확산 추출공법으로 추출한 생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장벽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88046A (ko) 2021-12-10 2023-06-19 농업회사법인 조양바이오푸드 주식회사 라이조푸스를 이용한 효소빵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25B1 (ko) 2013-07-02 2014-07-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101562560B1 (ko) * 2015-04-29 2015-10-30 임정하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천연추출물 숙성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4578A (ko) * 2017-04-10 2018-10-19 주식회사 크릴랜드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25B1 (ko) 2013-07-02 2014-07-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제비집 및 병풀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101562560B1 (ko) * 2015-04-29 2015-10-30 임정하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천연추출물 숙성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4578A (ko) * 2017-04-10 2018-10-19 주식회사 크릴랜드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631A (ko) * 2021-06-21 2022-12-28 주식회사 하나코스 천연소재를 이용한 피부장벽 강화 및 가려움증 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88046A (ko) 2021-12-10 2023-06-19 농업회사법인 조양바이오푸드 주식회사 라이조푸스를 이용한 효소빵 및 그 제조방법
KR102495397B1 (ko) * 2022-03-14 2023-02-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당 확산 추출공법으로 추출한 생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장벽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3177188A1 (ko) * 2022-03-14 2023-09-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당 확산 추출공법으로 추출한 생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장벽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872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315B1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219520B1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KR102198872B1 (ko)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20130074172A (ko)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
KR101724147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20200065339A (ko) 황칠나무 및 새싹보리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 개선 화장품 제조방법
CN105853260A (zh) 一种尿布皮炎霜及其制备方法
KR102229482B1 (ko) 피부 보호효과를 갖는 비파나무 잎 미네랄당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00081A (ko)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5371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0926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381390A (zh) 一种玻尿酸亮肤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128411B1 (ko) 산양삼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9999B1 (ko)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168601B1 (ko) 홍화의 상황버섯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 조성물
KR20180050798A (ko) 생강과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무독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71028B1 (ko) 비파엽 및 가지의 혼합숙성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553B1 (ko) 붉은인삼열매 또는 황금인삼열매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0388A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3954B1 (ko) 5-아미노레불린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