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426B1 -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426B1
KR101418426B1 KR1020120031106A KR20120031106A KR101418426B1 KR 101418426 B1 KR101418426 B1 KR 101418426B1 KR 1020120031106 A KR1020120031106 A KR 1020120031106A KR 20120031106 A KR20120031106 A KR 20120031106A KR 101418426 B1 KR101418426 B1 KR 10141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ind turbine
information
control
nacel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403A (ko
Inventor
정태경
김병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42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를 활용한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풍력발전기의 타워 및 나셀에 각각 설치되는 무선랜 중계기, 현장 작업자가 소지하며 상기 풍력발전기의 외부 및 내부에서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제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풍력발전기들의 유지보수를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인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풍력발전기에 대한 현장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WIND POWER GENERA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반의 현장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를 활용한 풍력 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단지(Wind farm) 내에 설치된 복수의 풍력발전기에 대한 관리는 중앙 제어소에서 중앙 집중적인 형태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통해 시행되고 있다. 그리고,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 등을 목적으로 하는 현장 제어는 작업자가 특정 풍력발전기 내부에서 유선을 통해 모니터링 및 제어를 행하고 있다.
한편, 풍력발전기는 거대한 기계설비와 고전력 전기설비가 설치되므로 유지보수를 위해 출동한 현장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예를 들면, 현장에서 작업자가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도중에 운전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풍력발전기 밖으로 나와 상황을 관찰해야 하는데 겨울에는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빙결된 얼음 조각이 떨어지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그리고, 풍력 발전기의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작업을 처리하는 경우 현장 작업자가 해당 풍력발전기에서 작업중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시스템을 셧다운(Shutdown) 하거나 유지보수 작업중임을 반드시 등록해야 한다. 그런데 이를 행하지 않고 중앙 제어소에서 원격 제어를 통해 임의로 풍력발전기의 운전을 진행할 경우 작업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풍력발전기의 현장제어는 주로 타워와 나셀에서 이루어 지는데 상부의 나셀에서 작업을 진행키 위해서는 상부 컨트롤 박스에서 제어중지를 수동으로 차단해야 한다. 그런데, 작업자가 실수로 이를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풍력발전기 하부에서 운전을 행하는 경우 풍력발전기의 상부인 나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의 풍력발전기의 출입문은 전통적인 기계식 자물쇠를 사용하고 있으며, 편의를 위해 풍력발전단지내의 모든 풍력발전기에 공통의 열쇠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열쇠의 복제 등을 통한 악의적인 침입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악의적인 침입이 아니더라도 작업자가 임의로 풍력발전기에 출입을 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므로 풍력발전단지의 운용에 있어 체계적인 안전 관리방안이 절실하다.
한편,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6087호에는 풍력 발전 장치용 핸디 단말 및 풍력 발전 장치 및 풍력 발전 사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핸디단말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별 제어를 수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앞서 설명한 현장 작업자의 안정성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6087호 (2011.10.2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풍력발전단지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의 보안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작업자의 안정성이 향상된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를 활용한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풍력발전기의 타워 및 나셀에 각각 설치되는 무선랜 중계기; 현장 작업자가 소지하며 상기 풍력발전기의 외부 및 내부에서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제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풍력발전기들의 유지보수를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인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풍력발전기에 대한 현장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정보, 작업자 정보 및 MAC(Media Access Control) 정보를 암호화여 상기 중앙 서버로 접속인증을 요청하는 유지보수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랜 중계기는, 상기 풍력발전기의 나셀에 설치되는 제1 무선랜 중계기 및 타워에 설치되는 제2 무선랜 중계기를 포함하며, 무선랜(WIFI)를 통해 상기 풍력발전기와 중앙 서버를 연결하는 내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랜 중계기는, 상기 타워 및 나셀 중 어느 하나에서 접속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풍력발전기의 관리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각 풍력발전기의 위치 정보,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 및 작업자와 근접한 풍력발전기의 거리별 허용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외부네트워크 및 무선랜 중계기를 이용한 내부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 및 풍력발전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작업자 정보 및 MAC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풍력발전기의 제어설비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발전상황 및 기상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발전기 감시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GPS 정보에 기초한 풍력발전기 외부에서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근접한 풍력발전기와 그 거리정보를 파악하는 작업자 위치 파악부; 상기 작업자 정보를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허가된 작업자 여부를 판단하고, 허가된 작업자인 경우 MAC 정보를 등록하여 현장 작업자의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허가하는 작업자 접속 관리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근접한 풍력발전기에 출입문 개방 신호를 전달하여 전자 자물쇠 기능을 해제하는 출입문 관리부; 및 상기 작업자가 풍력발전기 내부에서 작업중인 것을 파악하면 상기 풍력발전기에 대한 외부 원격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기의 위치 정보는 단지내 설치된 각 풍력발전기의 식별정보(ID)에 매칭된 지도상의 설치좌표, 타워 및 나셀에 설치된 무선랜 중계기의 ID 중 적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는 작업자 이름, 직무정보, 설정된 접속 ID/PW, 공인인증서 및 MAC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별 허용 제어 정보는 풍력발전기의 시범운행 시 작업자 안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안전거리 별로 허용 가능한 제어 목록(종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위치 파악부는,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 및 타워측의 제2 무선랜 중계기중 어느 하나를 통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나셀 또는 타워에서 위치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를 통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정보를 확인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유사시 긴급정지를 최우선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를 통한 이동 단말기의 접속정보를 확인하면 대상 풍력발전기에 대한 외부 원격제어 및 다른 작업자의 현장 제어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풍력발전단지를 관리하는 중앙 서버가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를 활용하여 풍력발전기를 관리하는 방법은, a) 현장 작업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의 접속요청에 따른 작업자를 인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근접한 풍력발전기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풍력발전기간의 거리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풍력발전기의 타워 및 나셀에 각각 설치되는 무선랜 중계기를 통한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허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무선랜 중계기를 통해 접속하면 작업자가 상기 풍력발전기의 내부에서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풍력발전기에 대한 외부 원격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암호화된 접속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GPS), 작업자 정보 및 MAC(Media Access Contro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허용된 위치에 존재하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MAC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내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함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를 통해 접속하면, 작업자가 타워에서 나셀로 이동하여 나셀에서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나셀의 원격제어 및 다른 작업자에 의한 현장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유사시 긴급정지를 최우선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긴급 정지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를 통한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타워측의 제2 무선랜 중계기를 통해 접속하면, 나셀 제어 차단을 해제하고 상기 긴급 정지 제어권한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동 단말기 통한 현장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근접한 풍력발전기의 허용 위치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유지보수를 위한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토록 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 위치정보에 따른 현장 제어기능을 활성화하여 근접한 풍력발전기에 대한 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감시하며 현장제어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출입문개방요청에 따른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안전 혹은 보안상의 문제가 없는 경우에만 출입을 허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과 발전기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작업자의 풍력발전기의 외부 및 내부에서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풍력발전기의 내부에서 작업중인 동안에 작업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능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에서의 임의의 구동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내부 네트워크 접속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풍력발전기 현장제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풍력발전기의 출입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내부작업에 따른 작업자 보호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나셀작업 자동 등록을 통한 작업자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현장 작업자의 위치정보는 현장 작업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한 것임으로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은 중앙 서버(100), 풍력발전기(200) 및 이동 단말기(10)를 포함한다.
중앙 서버(100)는 풍력발전단지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들의 유지보수를 원격지에서 관리한다. 여기서, 중앙 서버(100)가 유지보수를 관리한다는 것은 원격지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들의 운용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 할 뿐 아니라, 보안성 및 안전성이 강화된 이동 단말기(10)를 활용한 현장 작업자의 유지보수 작업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중앙 서버(10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GPS), 작업자 정보 및 MAC(Media Access Control) 정보(주소)에 따른 작업자 인증을 수행하여 접속을 허용하고,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정보(즉,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근접한 풍력발전기에 대한 출입문 개방 및 현장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명세서에서 원격제어는 중앙 서버(100)에서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현장제어는 작업자가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현장에서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풍력발전기(200)는 풍력단지 내에서 수십 미터 내지 수 킬로미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유도전기를 전력계통으로 공급하는 풍차형 구조물로 크게 나셀 및 타워로 구분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200)는 나셀 및 타워에 각각 설치되는 무선랜 중계기(210)와 중앙 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출입문(220)을 포함한다.
무선랜 중계기(210)는 풍력발전기의 나셀에 설치되는 제1 무선랜 중계기(211) 및 타워에 설치되는 제2 무선랜 중계기(212)를 포함하며, 무선랜(예; WIFI)를 통해 풍력발전기와 중앙 서버(100)를 연결하는 내부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 때, 무선랜 중계기(210)는 내부 네트워크용으로 임의의 접속이 제한되며, 이동 단말기(10)가 통해 접속하기 위해서는 중앙 서버(100)로부터 내부네트워크 접속허가를 받아야 한다.
무선랜 중계기(210)는 풍력발전기의 내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의 접속정보를 중앙 서버(100)로 전달하여, 중앙 서버(100)가 특정 풍력발전기의 타워 및 나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타워 및 나셀은 물리적으로 전파가 차폐되어 이동 단말기(10)가 나셀에서는 제1 무선랜 중계기(211)를 통해서만 접속하고, 타워에서는 제2 무선랜 중계기(212)를 통해서만 접속하게 된다. 또한, 풍력발전기의 외부에서도 전파가 차폐되어 무선랜 중계기(210)에 접속할 수 없다.
이밖에, 풍력발전기는 풍력발전을 위해 블레이드, 회전축, 로터 등과 같은 각종 기계장치부, 발전기 및 전력 안정화 장치와 같은 전기장치부 및 피치 제어 및 요잉 제어와 같은 제어장치부를 포함하되 이는 주지의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동 단말기(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와 같은 공중망 데이터통신 모듈(예; 3G, 4G 등) 및 무선랜(802.11)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장비로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PC, PDA 등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공중망 데이터 통신을 통해 중앙 서버(100)에 접속하여 작업자 인증을 통해 위치기반 근접한 풍력발전기로의 출입 및 현장제어권한을 부여 받는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는 위치정보, 작업자 정보 및 MAC 정보를 암호화여 중앙 서버(100)로 접속인증을 요청하고, 공중 통신망 및 무선랜을 통해 중앙 서버(100) 및 특정 풍력 발전기에 접속하여 현장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유지보수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유지보수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체의 풍력발전기 상태를 표시하는 발전 단지 모니터링기능, 개별 풍력발전기의 상세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세부 기능을 제어하는 발전기 모니터링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부 제어 기능은 풍력발전기 외부에서의 현장제어기능과 풍력발전기 내부에서의 현장제어기능으로 분리되어 분리되어 중앙 서버(100)에 의해 사용권한이 관리된다.
또한, 유지보수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중앙 서버(100)에 접속시 사용자 ID/PW 및 소프트웨어적인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이 가능하며, 전송데이터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된 상태로 송수신하는 보안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부(110), 통신부(120), 데이터 분석부(130), 발전기 감시부(140), 작업자 위치 파악부(150), 작업자 접속 관리부(160), 출입문 관리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110)는 풍력발전기의 관리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풍력발전단지의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데이터베이스부(110)는 풍력발전단지 내 설치된 각 풍력발전기의 위치 정보,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 및 거리별 허용 제어 정보 등의 관련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위치 정보는 단지내 설치된 각 풍력발전기의 식별정보(ID)에 매칭된 지도상의 설치좌표, 타워 및 나셀에 설치된 무선랜 중계기(210)의 ID 등을 포함한다.
상기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는 작업자 이름, 직무정보, 설정된 접속 ID/PW, 공인인증서 및 MAC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별 허용 제어 정보는 풍력발전기의 시범운행 시 작업자 안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안전거리 별로 허용 가능한 제어 목록(종류)을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공중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 모듈(121)과 무선랜 중계기(210)를 통해 각 풍력발전기의 제어설비와 통신하는 내부 통신 모듈(122)을 포함한다.
외부 통신 모듈(121)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을 통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한다. 외부 통신 모듈(121)은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요청 및 출입문 개방 요청을 수신한다.
내부 통신 모듈(122)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풍력발전기 및 이동 단말기(10)와 통신한다. 내부 통신 모듈(122)은 이동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원격제어신호를 풍력발전기로 전달하거나, 무선랜 중계기(210)에 접속된 이동 단말기(10) 접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요청 정보 및 출입문 개방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정보, 작업자 정보 및 MAC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
발전기 감시부(140)는 내부 통신 모듈(122)을 통해 각 풍력발전기의 제어설비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풍력발전단지 전체의 발전상황 및 기상상황을 모니터링 한다. 상기 상태정보는 풍향 및 풍속 등과 같은 기상환경정보와 로터 회전수, 피치 제어 정보, 요잉 제어 정보, 발전 제어 정보, 출력전력 정보 및 오류발생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위치 파악부(150)는 이동 단말기(10)의 GPS 정보에 기초한 풍력발전기 외부에서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근접한 풍력발전기와 그 거리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위치 파악부(150)는 이동 단말기(10)가 나셀에 설치된 제1 무선랜 중계기(211) 및 타워에 설치된 제2 무선랜 중계기(212)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고, 그 접속정보에 따라 작업자가 타워 또는 나셀에 위치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작업자 접속 관리부(160)는 데이터 분석부(130)에서 추출되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정보(GPS) 및 작업자 정보를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허가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허가된 작업자인 경우 MAC 정보를 등록하여 현장 작업자의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허가한다.
출입문 관리부(170)는 풍력발전기의 출입문으로부터 설정거리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출입문 개방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풍력발전기에 출입문 개방 신호를 전달하여 전자 자물쇠 기능을 해제한다. 그리고, 출입문이 개방되었음을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현장 작업자에게 알린다.
이 때, 풍력발전기의 출입문은 상기 출입문 개방 신호에 따라 출입문 자물쇠를 해제한 이후에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폐쇄처리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풍력발전기의 관리를 위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작업자가 풍력발전기 내부에서 작업중인 것을 파악하면, 중앙 서버(100)에서 해당 작업중인 풍력발전기에 대한 원격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상부 나셀 및 하부타워에서 각각 작업 중인 경우, 나셀에서 작업중인 제1 작업자에게 위해가 가해질 수 있는 외부의 원격제어(예; 중앙 서버의 원격제어) 및 현장제어(예; 제2 작업자의 현장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현장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에 유사시 긴급정지를 최우선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긴급 정지 제어권한을 부여한다.
즉, 제어부(180)는 제1 작업자가 나셀 작업을 끝낸 후 하강하여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211)와의 접속이 해제될 때까지 중앙 서버(100) 및 타워에 있는 제2 작업자의 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하여 제1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따른 그 유지보수를 위한 풍력발전기 관리 방법을 다음의 도 3 내지 도 8을 통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중앙 서버(100)를 주체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내부 네트워크 접속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가 현장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로부터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요청을 수신하면(S101), 암호화된 접속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정보(GPS), 작업자 정보 및 MAC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S102).
중앙 서버(100)는 상기 추출되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정보(GPS) 및 작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중앙 서버(100)는 등록된 작업자인 경우(S103; 예), 상기 위치정보(GPS)에 기초하여 근접한 풍력발전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풍력발전기의 좌표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가 설정거리 이내의 허용된 위치에 존재하는지 파악한다(S104).
중앙 서버(100)는 이동 단말기(10)가 허용된 위치에 존재하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MAC 정보를 등록하여 현장 작업자의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허가하고(S105), 내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함을 이동 단말기(10)에 알린다(S106).
반면, 상기 S103 단계에서 등록된 작업자가 아니거나(S103; 아니오), 상기 S104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가 허용된 위치가 아니면(S104; 아니오),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거부한다(S107).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100)는 현장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가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위치정보(GPS)를 통해 현장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허용 위치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유지보수를 위한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토록 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풍력발전기 현장제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현장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로부터 근접 풍력발전기에 대한 현장제어요청을 수신한다(S201).
여기서, 상기 현장제어요청은 풍력발전기의 외부에서 행해지는 현장제어로 이동 단말기(10)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중앙 서버(100)를 통해 근접한 풍력발전기를 제어하게 되므로 넓은 의미에서는 현장제어와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복합제어의 성격을 가진다.
중앙 서버(100)는 암호화된 제어요청 정보를 분석하고(S202), 추출되는 작업자 정보를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중앙 서버(100)는 등록된 작업자인 경우(S203; 예),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GSP)와 제어대상인 근접 풍력발전기간의 거리를 구하고,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정의된 거리별 허용 제어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재 거리보다 허용된 거리가 작은 제어목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04).
이 때, 해당 제어목록이 존재하면(S204; 예), 해당 목록만을 선별하여 부분적으로 제어기능을 허용한다(S205).
즉,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외부에서 이동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현장제어시 풍력발전기와의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안전거리 별로 허용된 현장제어기능만을 허용하며, 예컨대,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떨어져나간 얼음조각 등이 작업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반면, 상기 S203 단계에서 등록된 작업자가 아니거나(S203; 아니오), 상기 S204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에서 허용된 제어목록이 없으면(S204; 아니오), 제어요청을 거부하고 이를 통지한다(S20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100)는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대상 풍력발전기에 접근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의 GPS를 통한 위치정보를 통해 현장 제어기능으로 분류된 기능을 활성화하여 대상 풍력발전기에 대한 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감시하며 제어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풍력발전기의 출입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현장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출입문 개방 요청을 수신한다(S301).
중앙 서버(100)는 암호화된 출입문 개방 요청 정보를 분석하고(S302), 추출되는 작업자 정보를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3).
중앙 서버(100)는 등록된 작업자인 경우(S303; 예),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GSP)와 제어대상인 근접 풍력발전기간의 거리를 구하고, 작업자의 현재위치가 출입문 개방을 위한 설정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04).
중앙 서버(100)는 작업자가 출입문 개방 설정거리 내에 존재하면(S304; 예), 출입문 개방 신호를 대상 풍력발전기로 전달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고, 작업자에게 통보한다(S305).
이 때,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중앙 서버(100)는 현재 풍력발전기의 상태가 출입 가능한 상태인지 더 고려하여 작업자가 출입하는데 안전한 경우에만 출입문을 개방할 수도 있다.
이후, 풍력발전기의 출입문은 개방된 이후에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폐쇄된다(S306).
반면, 상기 S303 단계에서 등록된 작업자가 아니거나(S303; 아니오), 상기 S304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가 출입문 개방 설정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으면(S304; 아니오), 출입문 개방 요청을 거부한다(S307).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100)는 작업자의 출입문 개방 요청에 따라 대상 풍력발전기의 타워 출입문에 장치된 전자 자물쇠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안전 혹은 보안상의 문제가 없는 경우에 출입을 허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과 발전기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풍력발전기의 내부작업에 따른 작업자 보호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현장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작업자 위치정보(GPS)를 수신한다(S401).
중앙 서버(100)는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의 출입문 개방 요청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대상 풍력발전기의 출입문을 개방한다(S402).
중앙 서버(100)는 GPS를 통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에서(S403; 아니오), 무선랜 중계기(210)에 접속된 것을 확인하면(S404; 예),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내부에서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한다(S405).
이때부터, 중앙 서버(100)는 해당 풍력발전기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유지보수중임을 표시하고, 중앙 서버(100)에서의 원격 제어기능을 강제적으로 차단한다(S406). 상기 원격 제어기능의 차단은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외부로 나올 때까지 계속된다.
이후에, 중앙 서버(100)는 출입문이 개방되고(407; 예), 이동 단말기(10)의 GPS를 통한 위치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며(S408; 예), 이동 단말기(10)가 무선랜 중계기(210)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S409; 아니오),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외부로 나온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중앙 서버(100)는 해당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 작업 완료를 표시하고, 중앙 서버(100)에서의 원격 제어기능 차단을 해제한다(S410).
반면, 중앙 서버(100)는 상기 S403 단계에서 GPS를 통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정보가 수신되거나(S403; 예), 상기 S404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가 무선랜 중계기(210)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S404; 예),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지속적으로 위치정보(GPS)를 수집한다.
또한, 중앙 서버(100)는 상기 S408 단계에서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S408; 아니오), S409 단계에서 무선랜 중계기(210)에 접속 중이면(S409; 예),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내부에서 계속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100)는 풍력발전기의 외부 및 내부에서의 현장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추적하여, 풍력발전기의 내부에서 작업중인 동안에 작업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능을 차단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나셀작업 자동 등록을 통한 작업자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는 상기 도 7의 S401 단계 내지 S405 단계를 통해 작업자가 풍력발전기의 타워 내에서 작업중임을 파악한다(S501).
이 때, 중앙 서버(100)는 이동 단말기(10)가 타워에 설치된 제2 무선랜 중계기(212)를 통해 접속된 정보를 토대로 작업자가 타워에서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한다(S502; 예).
여기서, 풍력발전기 내부에서의 작업자 위치는 이동 단말기(10)가 접속한 무선랜 중계기(210)의 네트워크 장비 식별정보(ID)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무선랜 중계기(210)설치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서버(100)는 이동 단말기(10)가 타워측의 제2 무선랜 중계기(212)를 통한접속을 해제하고(S502; 아니오),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211)를 통해 접속하면(S503; 예), 작업자가 타워에서 나셀로 이동하여 나셀에서 작업중인 것으로 파악한다(S504).
이 때, 중앙 서버(100)는 나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나셀의 원격제어 및 나셀 작업자 이외의 현장제어 등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고, 나셀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로 유사시 긴급정지를 최우선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제어권한을 부여한다(S505).
즉, 중앙 서버(100)는 나셀 작업자 이외에 풍력발전기의 외부 또는 타워 내에서 작업중인 다른 작업자가 임의로 풍력발전기를 현장제어 하는 것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고, 혹시 모를 위험상태에 대비하여 나셀 작업자에게 긴급정지 제어 권한이 부여한다.
이후, 중앙 서버(100)는 나셀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가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211)를 통한 접속을 해제하고(S506; 아니오), 타워측의 제2 무선랜 중계기(212)를 통해 접속하면(S507; 예), 상기 나셀 제어 차단을 해제하고 해당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10)에 부여되었던 긴급 정지 제어 권한을 회수한다(S508).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100)는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나셀로 진입하는 것을 무선랜 중계기(210)의 접속정보를 통해 파악하여 작업자가 나셀에서 작업중임을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나셀에서 작업하는 동안에 작업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외부의 나셀 제어를 예방하고 해당 나셀 작업자에게 긴급정지 권한을 부여하여 유사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이동 단말기 100: 중앙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부 120: 통신부
130: 데이터 분석부 140: 발전기 감시부
150: 작업자 위치 파악부 160: 작업자 접속 관리부
170: 출입문 관리부 180: 제어부
200: 풍력발전기 210: 무선랜 중계기
211: 제1 무선랜 중계기(나셀측) 212: 제2 무선랜 중계기(타워측)
220: 출입문

Claims (14)

  1. 현장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를 활용한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풍력발전단지 내 복수로 설치된 풍력발전기의 타워 및 나셀에 각각 설치되는 무선랜 중계기;
    상기 현장 작업자가 소지하며 상기 풍력발전기의 외부 및 내부에서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제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를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인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상기 현장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허용 제어 거리에 있는 풍력발전기에 대한 현장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서버는,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 및 타워측의 제2 무선랜 중계기중 어느 하나를 통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접속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현장 작업자가 상기 나셀 또는 타워에서 작업중인 것을 파악하는 작업자 위치 파악부 및 상기 현장 작업자가 풍력발전기 내부에서 작업중인 것을 파악하면 작업중인 풍력발전기에 대한 외부 원격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하고, 복수의 현장 작업자가 상기 나셀 및 타워에서 각각 작업 중인 경우, 상기 나셀에서 작업중인 제1 현장 작업자에게 위해가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원격제어 및 상기 타워에서 작업중인 제2 현장 작업자에 의한 나셀 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정보, 현장 작업자 정보 및 MAC(Media Access Control) 정보를 암호화여 상기 중앙 서버로 접속인증을 요청하는 유지보수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중계기는,
    상기 풍력발전기의 나셀에 설치되는 제1 무선랜 중계기 및 타워에 설치되는 제2 무선랜 중계기를 포함하며, 무선랜(WIFI)를 통해 상기 풍력발전기와 중앙 서버를 연결하는 내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중계기는,
    상기 타워 및 나셀 중 어느 하나에서 접속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풍력발전기의 관리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각 풍력발전기의 위치 정보,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 및 현장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허용 제어 거리에 있는 풍력발전기의 거리별 허용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외부네트워크 및 무선랜 중계기를 이용한 내부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 및 풍력발전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현장 작업자 정보 및 MAC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풍력발전기의 제어설비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발전상황 및 기상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발전기 감시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GPS 정보에 기초한 풍력발전기 외부에서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현장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허용 제어 거리에 있는 풍력발전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파악하는 작업자 위치 파악부;
    상기 현장 작업자 정보를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허가된 현장 작업자 여부를 판단하고, 허가된 현장 작업자인 경우 MAC 정보를 등록하여 현장 작업자의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허가하는 작업자 접속 관리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현장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허용 제어 거리에 있는 풍력발전기에 출입문 개방 신호를 전달하여 전자 자물쇠 기능을 해제하는 출입문 관리부
    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위치 정보는 단지내 설치된 각 풍력발전기의 식별정보(ID)에 매칭된 지도상의 설치좌표, 타워 및 나셀에 설치된 무선랜 중계기의 아이디 중 적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 작업자 등록정보는 작업자 이름, 직무정보, 설정된 접속 아이디 및 패스워드, 공인인증서 및 MAC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별 허용 제어 정보는 풍력발전기의 시범운행 시 현장 작업자 안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안전거리 별로 허용 가능한 제어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를 통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정보를 확인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유사시 긴급정지를 최우선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를 통한 이동 단말기의 접속정보를 확인하면 대상 풍력발전기에 대한 외부 원격제어 및 다른 현장 작업자의 현장 제어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10. 풍력발전단지를 관리하는 중앙 서버가 현장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를 활용하여 풍력발전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현장 작업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의 접속요청에 따른 상기 현장 작업자를 인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상기 현장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허용 제어 거리에 있는 풍력발전기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풍력발전기간의 거리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풍력발전기의 타워 및 나셀에 각각 설치되는 무선랜 중계기를 통한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허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 및 타워측의 제2 무선랜 중계기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접속하면 상기 작업자가 상기 풍력발전기의 내부에서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중인 풍력발전기에 대한 외부 원격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는, 복수의 현장 작업자가 상기 나셀 및 타워에서 각각 작업 중인 경우, 상기 나셀에서 작업중인 제1 현장 작업자에게 위해가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원격제어 및 상기 타워에서 작업중인 제2 현장 작업자에 의한 나셀 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암호화된 접속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GPS), 현장 작업자 정보 및 MAC(Media Access Contro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허용된 위치에 존재하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MAC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내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함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를 통해 접속하면, 상기 현장 작업자가 타워에서 나셀로 이동하여 나셀에서 작업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나셀의 원격제어 및 다른 현장 작업자에 의한 현장제어를 강제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유사시 긴급정지를 최우선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긴급 정지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나셀측의 제1 무선랜 중계기를 통한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타워측의 제2 무선랜 중계기를 통해 접속하면, 나셀 제어 차단을 해제하고 상기 긴급 정지 제어권한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관리 방법.
KR1020120031106A 2012-03-27 2012-03-27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06A KR101418426B1 (ko) 2012-03-27 2012-03-27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06A KR101418426B1 (ko) 2012-03-27 2012-03-27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403A KR20130109403A (ko) 2013-10-08
KR101418426B1 true KR101418426B1 (ko) 2014-07-10

Family

ID=4963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106A KR101418426B1 (ko) 2012-03-27 2012-03-27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313B1 (ko) * 2015-09-15 2016-10-04 (주)피엔에스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5388A (zh) * 2017-08-22 2017-11-03 姚静洁 一种风力发电控制系统
KR102097772B1 (ko) 2019-02-28 2020-04-07 주식회사 에이투엠 풍력발전 종합관리용 플랫폼 시스템
CN111080003B (zh) * 2019-12-10 2023-05-02 华能威宁风力发电有限公司 一种适应复杂山地风电场的测风塔规划选址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098A (ja) 2001-04-09 2002-10-23 Kyosan Electric Mfg Co Ltd 鉄道制御情報伝送装置、及びその伝送方法
JP2004005149A (ja) * 2002-05-31 2004-01-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携帯型情報端末装置、保守管理システム
KR20070068884A (ko) * 2005-12-27 2007-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제조용 장비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20120029199A (ko) * 2010-09-16 2012-03-26 에스디엔 주식회사 독립형 발전시스템의 감시?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098A (ja) 2001-04-09 2002-10-23 Kyosan Electric Mfg Co Ltd 鉄道制御情報伝送装置、及びその伝送方法
JP2004005149A (ja) * 2002-05-31 2004-01-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携帯型情報端末装置、保守管理システム
KR20070068884A (ko) * 2005-12-27 2007-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제조용 장비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20120029199A (ko) * 2010-09-16 2012-03-26 에스디엔 주식회사 독립형 발전시스템의 감시?제어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313B1 (ko) * 2015-09-15 2016-10-04 (주)피엔에스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7047871A1 (ko) *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피엔에스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80253068A1 (en) * 2015-09-15 2018-09-06 P&S Co., Lt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hazardous facility
JP2018529868A (ja) * 2015-09-15 2018-10-11 株式会社ピエンエス 危険設備制御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613486B2 (en) 2015-09-15 2020-04-07 P&S Co., Lt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hazardous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403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68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cryptographic key for a field device
KR101418426B1 (ko)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73363B2 (en) Transient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03168458B (zh) 用于防操纵的密钥管理的方法和装置
CN108230508A (zh) 一种基于物联网智能模块云门禁系统控制和管理方法
CN103489245A (zh) 一种无源智能锁系统
KR101872793B1 (ko) 발전소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원격 모니터링 서버
JP2011242988A (ja) 電子機器、および制限解除方法
CN102081815A (zh) 应用物联网技术的变电站综合安保平台
CN108063492A (zh) 一种电网防台抗台工作的集成系统及应用方法
US10559146B2 (en) Role-based locking system for plants unattended premises
CN102315563B (zh) 用于有保护地建立网络连接的插接连接系统
CN111236105B (zh) 车位锁的管理方法、装置、系统及车位锁
EP319076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alicious re-programming of a plc in scada systems using time deception
CN108449331B (zh) 一种风力发电机组多级监控联锁控制系统
CN106447880A (zh) 一种动车登顶作业安全门综合监测和卡控系统
CN105894626A (zh) 变电站门禁系统
Li et 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network security defense in power marketing industrial control system
CN104184212A (zh) 用于变电站的通讯机房的远程监控系统
CN210405367U (zh) 一种废弃矿井瓦斯电站信息网络防护系统
CN112615740A (zh) 输电网通信安全系统
CN112465159A (zh) 一种变电站移动式安全运维系统及方法
Chen et al. Safety management in substation project construction based on advanced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sensors technologies
CN104202330B (zh) 物理隔绝网络下的软件远程升级系统
KR102495955B1 (ko)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