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955B1 -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955B1
KR102495955B1 KR1020200111004A KR20200111004A KR102495955B1 KR 102495955 B1 KR102495955 B1 KR 102495955B1 KR 1020200111004 A KR1020200111004 A KR 1020200111004A KR 20200111004 A KR20200111004 A KR 20200111004A KR 102495955 B1 KR102495955 B1 KR 102495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mobile key
opening
facility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101A (ko
Inventor
신창훈
임영재
Original Assignee
(주)아임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임게이트 filed Critical (주)아임게이트
Priority to KR102020011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자에 의해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 모바일키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를 위한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모바일키 발급부,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를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로 전송하여 개폐 장치 세팅을 수행하는 모바일키 세팅부 및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 키를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작업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모바일키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managing open and shut in enclosure box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에 의해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시스템에서 망(네트워크)을 이루어 사용하거나 광범위한 사용과 데이터 수집을 위한 망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설비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장비들은 중요한 기간망을 구성하는 설비들로, 일반인들 또는 악의적인 접근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서 허용되지 않은 인적 접근을 차단하고 전문 관리자 및 운용 인력만 접근 가능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인의 접근이 가능한 시설 및 구조물에 설치가 필요한 경우 일반인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특수 목적의 건축물 또는 별도 설비가 사용되기도 하고 함체, 장비함, 허브랙, 기지국 등의 설비(이하, 함체 설비)가 사용되어 운용된다.
함체 설비는 전문 관리자가 아닌 일반인 또는 악의적인 접근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각 장비마다 보안성이 확보된 시건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방대한 수량의 함체 설비에 개별적인 시건 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것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다수의 인력이 운용 관리하는 상황에서 함체 설비마다 각기 다른 시건 장치와 해정도구의 관리는 큰 관리 손실을 유발하고 실질적으로 관리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작업자들 간에 해정 도구의 전달, 수거 과정에서 분실 우려가 있으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물리적인 시건 장치의 열쇠 등 해정 도구를 분실하면 해당 함체 설비의 잠금 장치 전체를 변경해야 한다. 특히 시건 장치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동일한 해정 도구로 여러 개의 함체 설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하나의 열쇠 등 해정 도구를 분실할 경우에는 모든 설비의 시건 장치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체형 시건 장치에 비교하여 관리가 편한 외부 노출형 개폐 장치를 사용할 경우, 다양한 설치환경에 적용할 수 있고, 장기 사용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인위적인 파손에 취약할 수 밖에 없고 노출된 개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체결 구조가 필요하다.
한편, 함체 설비 관리에 있어서 개폐 이력은 운용자의 기록을 통해 관리가 되기 때문에 실제 개폐근거를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자동 이력 관리를 위해서는 각각의 개별 함체 설비에 고가의 관리 시스템 및 설비가 적용되어야 하지만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방대한 양의 함체 설비에 개별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KR 10-1733453 B1 KR 10-1555885 B1 KR 20-0465725 Y1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복수의 관리자가 여러 지역에서 여러 개의 함체 설비를 관리, 운용함에 있어 작업자들 간에 해정 도구 인계에 따른 시간 및 절차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관리자가 분산된 지역의 다수의 함체에 접근하여 관리, 운용함에도 불구하고 해정키의 보안도를 높일 수 있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함체 설비의 개폐기록이 누적 기록되고 관리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함체 설비의 점검 여부 및 점검 시각 정보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 모바일키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를 위한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모바일키 발급부,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를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로 전송하여 개폐 장치 세팅을 수행하는 모바일키 세팅부 및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 키를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작업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모바일키 제공부를 포함한다.
한편, 모바일키 발급부, 모바일키 세팅부, 및 모바일키 제공부를 포함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모바일 키 발급부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 모바일키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를 위한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단계, 모바일키 세팅부가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를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로 전송하여 개폐 장치 세팅을 수행하는 단계 및 모바일키 제공부가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 키를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작업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관리자가 여러 지역에서 여러 개의 함체 설비를 관리, 운용함에 있어 작업자들 간에 해정 도구 인계에 따른 시간 및 절차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다수의 관리자가 분산된 지역의 다수의 함체에 접근하여 관리, 운용함에도 불구하고 해정키의 보안도를 높일 수 있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함체 설비의 개폐기록이 누적 기록되고 관리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함체 설비의 점검 여부 및 점검 시각 정보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세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키 발급 및 개폐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에 따른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관리자 단말(20) 및 작업자 단말(30)에서 설치되고 구동되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모바일키의 발급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자가 함체 설비 장치의 일정 반경 내에서 상주하지 않더라도 원거리에서 모바일 키 발급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어 오픈시 무선 신호 리딩을 원천 차단하여 금융 보안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를 개폐할 수 있는 모바일 키를 지정된 관리자에게 지정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에 따라 해정 도구 관리의 어려움과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들은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으로부터 모바일키를 실시간 전송받음으로써 복수의 관리자가 여러 지역에서 다수의 설비 기기들을 관리할 때 발생되는 운용자 간의 해정 도구 인계 상황을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명확한 보안 관리를 위해서 복수의 키를 발행하지 않고 특정 관리자에게만 해정키를 발행하되 기존에 발행된 키는 삭제하여 관리 주체를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보안이나 접근 권한에 제제가 필요한 설비 기기들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개별키 또는 특정 함체 설비 그룹의 키를 개별적으로 발행할 수 있고, 사용 기한을 구분하여 관리자 권한을 제한함으로써 설비 기기의 적절한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관리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에는 함체 설비 개폐를 위해 발급되었던 모바일 키를 삭제함으로써 즉시 사용을 정지시킬 수 있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함체 설비의 개폐 기록이 함체 설비 개폐 장치 자체에 누적 기록되고,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 개폐 시스템(10)으로 전송 기록됨으로써 실제 점검 여부 및 점검 시간, 점검 담당자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모바일키는 암호화되어 사용하고, 사용자 인증을 통해 서로 다른 좌표정보를 갖는 다수의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코드북을 사용하여 개폐시마다 다른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보안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즉, 악의적 사용을 위해 모바일 키를 캡쳐하더라도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보안을 높일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함체 설비 개폐 장치는 함체 설비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다양한 설치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동작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 함체 설비의 내부 전원을 사용한다. 이때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는 RF 안테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내의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노출부를 제거할 수 있고, 외부에서 시건 장치를 위한 설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인위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비 시스템의 관리자는 장비 운용을 담당하는 작업 담당자에게 함체 설비 개폐 시스템(10)을 이용하여 특정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를 해정할 수 있는 모바일키를 발행하고, 작업 담당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함체 설비 개폐를 위한 모바일키를 전송받는다. 작업 담당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작업자 단말(30)에서 구동되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수신한 모바일키를 이용하여 권한이 부여된 유효기간 동안 함체 설비를 개폐할 수 있다.
함체 설비에 설치된 함체 설비 개폐 장치(40)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신호를 항시 어드버타이징 하고 있으며, 작업자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폐를 시도하면 작업자 단말(30)에서 구동되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40)로 모바일키를 전송한다.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40)는 작업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되는 암호화된 모바일 키를 분석하고 미리 개폐 장치에 설치된 키와 유효성을 확인하여 함체 설비를 개방한다. 이때 함체 설비의 개폐 결과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으로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으로 업로드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 개폐 장치(40)의 설치 사양으로 사이즈는, 50mm×60mm로 구현되고, 파워오프 오픈(Power Off Open)방식의 EM Lock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Power)은 12V DC로 구현되고,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촉 부재로 함체에 부착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함체 설비 개폐 장치(40)는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 노출되지 않아 기후나 환경에 영항을 받지 않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함체 설비 개폐 장치(40)는 EM-Lock 타입, Latchbolt타입, Deadbolt 타입 중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함체 설비 개폐 장치는 2.4GHz 전송기를 포함하고 -93dBm의 감도(sensitivity)를 가지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BLE송수신기의 크기는 50mm×60mm로 구현되고, 동작거리는 실외에서 1m 내지 3m로 설정될 수 있으나, 설치 환경에 따라 변경도 가능하다. 상용의 Android, iOS Mobile 기기의 BLE 동작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비의 점검 및 수리를 마친 후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30)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기록 및 장치에 저장된 누적 이력, 기록을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은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에 저장되며 개별 장비 및 운용 구분에 따른 분석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도 1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통신부(110), 모바일키 발급부(120), 모바일키 세팅부(130), 모바일키 제공부(140), 모바일키 해제부(150),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160), 개폐 이력정보 제공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권한이 설정된 모바일 키가 함체 설비에 설치된 개폐 장치에 전송되면, 개폐 장치(40)는 암호환된 모바일키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장비를 개방하고, 개폐 결과는 모바일 앱을 통하여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으로 전달된다.
점검 및 수리를 마친 후 운용 담당자는 작업자 단말(30)의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관리 기록 및 장치에 저장된 누적 이력 기록을 중앙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자료는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중앙 관리 서버)에 저장이 되며 개별 장비 및 운용 구분에 따른 분석 자료로 활용된다.
관리자 단말(20)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며 분산된 지역의 다수의 함체를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설 관리자가 소지한다. 직접 모바일키의 발급 및 해제, 설비 개폐 이력 상황 관리가 가능한 지위를 가지는 관리자가 소지한다. 관리자 단말(20)은 관리 대상에 포함되는 함체의 모든 도어에 대응되는 모바일키 발급 및 해제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분산된 지역의 다수 함체의 개폐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도어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도어 세팅이 가능하다.
작업자 단말(30)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며 현장에서 직접 함체 설비에 접근하여 함체 설비를 점검 및 수리하는 작업자가 소지한다.
관리자 단말(20) 및 작업자 단말(30)은 관리자와 작업자가 소지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 (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로 적용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관리자 단말(20) 및 작업자 단말(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 (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 모바일키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40)를 위한 모바일 키를 발급한다. 관리자가 일일이 함체 설비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원격지에서 해당 함체 설비를 담당하는 작업자에게 모바일키를 발급할 수 있다.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함체 식별 정보, 작업자 정보, 모바일키의 유효 기간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작업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되는 작업자 정보에 기반하여 함체 설비에 접근 권한을 가지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함체 설비에 접근 권한을 가지는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한 후에 모바일키를 발급한다.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원격의 작업자 단말(30)로 모바일키를 실시간 발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함체마다 상이한 모바일키를 발급한다.
함체 설비에 접근 권한을 가지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는 작업자의 근무지 정보 및 근무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작업자 근무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개인, 그룹, 사용기간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서로 상이한 모바일키를 발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자 단말(30)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의 모바일 키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관리자 단말(20)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키발급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자가 작업자로부터의 모바일키 발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다시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키 발급부(120)로 모바일키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유효 기간 동안만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오픈이 가능하도록 유효기간이 지정된 모바일키를 발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관리자 단말(20)에서 구동되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체적으로 모바일키를 발급하고 그 결과만 수신하는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바일키 발급부(120)가 모바일키를 발급할 때 코드북을 이용하여 관리자 또는 작업자로부터 모바일키 발급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상이한 모바일키를 발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바일키를 발급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은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모바일키 세팅부(130)는 모바일키 발급부(120)에서 발급된 모바일키를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40)로 전송하여 개폐 장치 세팅을 수행한다.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40)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작업자에게 발급된 유효한 모바일키를 인식하여 함체 설비 개폐 장치(40)의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키 제공부(140)는 모바일키 발급부(120)에서 발급된 모바일 키를 통신부(110)를 통해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작업자 단말(30)로 제공해준다.
모바일키 해제부(150)는 모바일키 발급부(120)에서 발급된 모바일키에 대해 관리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되는 설정 유효 기간이 경과하면,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40)에서 모바일키 발급부(120)에서 발급된 모바일키의 개폐 기능을 해제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키 발급부(120)는 모바일키 발급시에 일정 기간 동안만 유효하도록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유효기간은 수분 내지 수개월로도 설정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키 해제부(150)는 모바일키 의 분실 상황을 대비하여 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발급받은 기존 모바일을 무효화하고 신규카드를 발급받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160)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40)의 개폐 이력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함체 설비별로 개폐 이력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이때 개폐 이력 정보라함은 함체 도어 오픈시각, 함체 도어가 닫힌 시각, 모바일키에 따른 작업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작업자 단말(30)로부터 함체 설비의 점검, 수리, 관리 정보를 입력받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개폐 이력 정보 제공부(170)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160)에서 모니터링된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개폐 이력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개폐 이력정보 제공부(170)는 지역별, 작업자별, 개폐 시각별로 개폐 이력 정보를 분류하여 소팅해서 제공해줄 수 있다.
저장부(1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80)는 모바일키 발급 관련 정보,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160)에서의 모니터링된 개폐 이력 정보들을 포함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키 발급부, 모바일키 세팅부, 및 모바일키 제공부를 포함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먼저, 모바일 키 발급부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 모바일키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S300),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를 위한 모바일키를 발급한다(S31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단계는 유효 기간 동안만 상기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오픈이 가능하도록 유효기간이 지정된 모바일키를 발급한다.
이때 모바일키 발급부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함체 식별 정보, 작업자 정보, 모바일키의 유효 기간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모바일키 세팅부는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를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로 전송하여 개폐 장치 세팅을 수행한다(S320).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세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여 개폐 장치 세팅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관리자 단말(20)에서 수행되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어락을 설치할 함체 설비를 선택받는다(S2110). 구체적으로 관리자의 관리 영역에 속하는 함체 설비가 구비되는 지역 목록을 출력하여(S2120) 지역 정보를 선택받고(S2130), 선택된 지역에 구비되는 함체 목록을 출력하여(S2140), 도어락을 설치(세팅)할 함체 정보를 선택받는다(S2150).
이 후에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도어락 설치 진입 가이드를 실행시켜서(S2160), 관리자가 선택한 함체 설비의 도어락과 연결한다(S2170). 그러면 관리자가 선택한 함체 설비 개폐 장치(40) 역시 도어락 설치 모드로 진입한다(S41). 연결 대기 시간이 초과할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도어락 검색을 실패하였다는 메시지를 출력해줄 수 있다. 그리고 함체 설비 개폐 장치는 도어락 사용 상태를 조회하여(S42), 이미 사용중이면 다른 미션에 의해 도어락 설치중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20)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한다(S2180).
그리고 함체 설비 개폐 장치(40)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의 도어락 연결 요청에 따라 도어락 설치가 완료되면 도어락 설치 완료 정보를 자체 저장부에 저장하고(S43), 관리자 단말(20)로도 전송한다(S2190). 관리자 단말(20)은 도어락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S2195),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으로 함체 설비의 도어락설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S11).
이후에 모바일키 제공부는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 키를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작업자 단말로 제공해준다(S330). 그리고 모바일키 발급부는 저장부에 모바일키 설치 정보를 저장한다(S340).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있어서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로부터 개폐 정보를 수신하여(S350),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개폐 이력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저장한다(S355).
이 후에 개폐 이력 정보 제공부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S360)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상기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개폐 이력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S365).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키 발급 및 개폐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20)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키 발급기능을 선택하면(S2210),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키를 발급할 함체 설비를 선택받는다. 구체적으로 관리자의 관리 영역에 속하는 함체 설비가 구비되는 지역 목록을 출력하여(S2220) 지역 정보를 선택받고(S2225), 선택된 지역에 구비되는 함체 목록을 출력하여(S2230), 모바일키를 발급할 함체 정보를 선택받는다(S2235).
이 후에 해당 함체에 보수, 수리, 유지, 관리에 필요한 작업을 실시할 작업자 정보를 입력받는다(S2240). 이때 작업자 정보는 작업자에게 발급되는 식별코드나 아이디, 이름, 연락처와 같은 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자를 선별할 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자 개인 뿐 아니라 그룹 단위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발급될 모바일키의 유효기간 정보를 입력받는다(S2250). 모바일키의 유효기간은 해당 모바일키로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수초 내지 수개월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관리자 단말(20)은 함체 설비 정보와 작업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키 발급 요청을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S2260).
그러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모바일키 발급이 정당한지 여부를 검증한다(S44). 정보가 부족하거나, 함체 정보 또는 작어자 정보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20)로 오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S2270), 입력 정보가 검증된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20)로 교환번호를 출력한다(S2280).
이때 교환 번호를 제공하는 것은 모바일키를 발급받기로 약속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모바일키 발급 이전에 인증 절차를 거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모바일 키 발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S45).
그리고 관리자 단말(20)은 모바일키를 발급하고 이때 오프라인 상 또는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이 참여하지 않는 경로로 작업자 단말(30)로 교환번호를 공유해야 한다(S2290).
그리고 작업자 단말(30)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개폐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업자에게 교환 번호 입력을 요청한다(S31).
교환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작업자 단말(30)은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을 통해서 또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직접 모바일키를 수령하고(S32), 이때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모바일키 수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로 저장한다(S46).
이후에 작업자 단말(30)에 발급된 모바일키를 실행시켜서 함체 도어를 오픈한 경우(S33),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함체 오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47).
관리자 단말(20)로부터 함체 오픈 이력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S2295),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함체 오픈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 단말(30)로부터 함체 로그 확인이 수신되면(S34),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10)은 함체 관리 기록을 작업자 정보와 매칭시켜서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S48). 함체 로그를 저장함으로써 함체 로그를 통한 관리 기록이 확인될 수 있다.
모바일키 해제부는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에 대해 관리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되는 설정 유효 기간이 경과하면(S370),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에서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의 개폐 기능을 해제한다(S375).
모바일키 해제부(150)는 설정 유효 기간이 도래하지 않더라도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모바일키의 해제 요청이 입력되면, 모바일키를 해제할 수도 있다. 또는 그룹으로 설정된 작업자들 그룹 중 특정 작업자에게 발급된 모바일키만 그 효력을 상실하도록 모바일키 해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관리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체 설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자에게 발급된 모바일키에 대해 개별적으로 그 유효성을 유지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20 : 관리자 단말
30 : 작업자 단말 40 : 함체 설비 개폐 장치
110 : 통신부 120 : 모바일키 발급부
130 : 모바일키 세팅부 140 : 모바일키 제공부
150 : 모바일키 해제부 160 : 개폐 이력정보 모니터링부
170 : 개폐 이력정보 제공부

Claims (10)

  1.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 모바일키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를 위한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모바일키 발급부;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를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로 전송하여 개폐 장치 세팅을 수행하는 모바일키 세팅부; 및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 키를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작업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모바일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개폐 이력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 및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상기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개폐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개폐 이력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함체 식별 정보, 작업자 정보, 모바일키의 유효 기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는 관리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키발급 요청을 전달하며,
    모바일키 발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키 발급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관리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키 발급기능이 선택되면,
    관리자의 관리 영역에 속하는 함체 설비가 구비되는 지역 목록을 출력하여 지역 정보를 선택받고, 선택된 지역에 구비되는 함체 목록을 출력하여, 모바일키를 발급할 함체 정보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해당 함체에 보수, 수리, 유지, 관리에 필요한 작업을 실시할 작업자 정보를 더 입력받으며, 발급될 모바일키의 유효기간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는,
    작업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도어 오픈시각, 함체 도어가 닫힌 시각, 함체 설비의 점검, 수리, 관리 정보, 모바일키에 따른 작업자 관리 기록 및 장치에 저장된 누적 이력 기록을 수신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는,
    유효 기간 동안만 상기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오픈이 가능하도록 유효기간이 지정된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에 대해 관리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되는 설정 유효 기간이 경과하면,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에서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의 개폐 기능을 해제하는 모바일키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모바일키 발급부, 모바일키 세팅부, 및 모바일키 제공부를 포함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키 발급부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설비 모바일키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를 위한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단계;
    모바일키 세팅부가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를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로 전송하여 개폐 장치 세팅을 수행하는 단계; 및
    모바일키 제공부가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 키를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작업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가 상기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개폐 이력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개폐 이력 정보 제공부가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상기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개폐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키 발급부는,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함체 식별 정보, 작업자 정보, 모바일키의 유효 기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는 관리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키발급 요청을 전달하며,
    모바일키 발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키 발급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관리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키 발급기능이 선택되면,
    관리자의 관리 영역에 속하는 함체 설비가 구비되는 지역 목록을 출력하여 지역 정보를 선택받고, 선택된 지역에 구비되는 함체 목록을 출력하여, 모바일키를 발급할 함체 정보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해당 함체에 보수, 수리, 유지, 관리에 필요한 작업을 실시할 작업자 정보를 더 입력받으며, 발급될 모바일키의 유효기간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개폐 이력 정보 모니터링부는,
    작업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 도어 오픈시각, 함체 도어가 닫힌 시각, 함체 설비의 점검, 수리, 관리 정보, 모바일키에 따른 작업자 관리 기록 및 장치에 저장된 누적 이력 기록을 수신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단계는,
    유효 기간 동안만 상기 함체 설비 개폐 장치의 오픈이 가능하도록 유효기간이 지정된 모바일키를 발급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모바일키 해제부가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에 대해 관리자 단말의 함체 설비 개폐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되는 설정 유효 기간이 경과하면, 해당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에서 상기 모바일키 발급부에서 발급된 모바일키의 개폐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11004A 2020-09-01 2020-09-01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9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04A KR102495955B1 (ko) 2020-09-01 2020-09-01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04A KR102495955B1 (ko) 2020-09-01 2020-09-01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01A KR20220029101A (ko) 2022-03-08
KR102495955B1 true KR102495955B1 (ko) 2023-02-06

Family

ID=8081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004A KR102495955B1 (ko) 2020-09-01 2020-09-01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9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79B1 (ko)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상 설비 외함의 전자 보안 잠금 시스템
KR101977175B1 (ko) * 2018-02-22 2019-05-10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공동주택 시설물 통합 관리 방법, 세대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서버
KR102085975B1 (ko) * 2018-12-04 2020-03-06 (주)아임게이트 도어락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25Y1 (ko) 2012-01-26 2013-03-18 유시연 보관함용 도어락 장치
KR101555885B1 (ko) 2014-07-01 2015-09-30 주식회사 엠투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920654B1 (ko) * 2016-05-03 2018-11-21 주식회사 엠플러스비전 Nfc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3453B1 (ko) 2016-09-26 2017-05-10 패스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 모바일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79B1 (ko)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상 설비 외함의 전자 보안 잠금 시스템
KR101977175B1 (ko) * 2018-02-22 2019-05-10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공동주택 시설물 통합 관리 방법, 세대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서버
KR102085975B1 (ko) * 2018-12-04 2020-03-06 (주)아임게이트 도어락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01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24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access rights and verification
CN102521704B (zh) 一种基于rfid的涉密载体智能监控方法
KR102141922B1 (ko) IoT 기반 창고 보안 관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4751545A (zh) 门锁权限处理系统和方法及装置
CN104331790A (zh) 基于射频技术的工器具智能管理系统
CN201677820U (zh) 车载式行政执法系统
CN103179130A (zh) 一种信息系统内网安全统一管理平台及管理方法
US10719806B1 (en) Self-contained, transportable and reusabl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securing and managing of tools at job sites
KR20170080739A (ko) Qr코드를 이용한 외부 출입자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555657A (zh) 一种物资管理系统、入库方法、出库方法及退库方法
US20220375292A1 (en) Situationally conditional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666531B1 (ko) 순찰 및 차량 관리 시스템
KR20180060901A (ko) 잠금 장치 제어 방법
JP2022537360A (ja) 安全管理及び建物の運用評価システムならびに複数入居建築物用の方法
KR102495955B1 (ko) 함체 설비의 개폐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200380808A1 (en) Access Control for Property Management
WO2023116250A1 (zh) 车辆检修方法及系统
KR101917381B1 (ko)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30109403A (ko)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2155B1 (ko) 잠금 장치 제어 방법
KR102225032B1 (ko) 집합건물 운영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집합건물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2785732A (zh) 车场安全管理方法及系统
KR101689623B1 (ko)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건물관리 시스템
CN111445605A (zh) 一种解锁钥匙授权解锁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20200082241A (ko) 시설물의 출입구 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