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47871A1 -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47871A1
WO2017047871A1 PCT/KR2015/013109 KR2015013109W WO2017047871A1 WO 2017047871 A1 WO2017047871 A1 WO 2017047871A1 KR 2015013109 W KR2015013109 W KR 2015013109W WO 2017047871 A1 WO2017047871 A1 WO 20170478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cility
worker
equipment
tag
hazard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1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에스
Priority to JP201853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JP6643489B2/ja
Priority to US15/756,490 priority patent/US10613486B2/en
Publication of WO20170478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478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Defini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hazardous installation control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publicly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hazardous facility control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 a method for controlling a dangerous facility by a central server may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setting a tag and a maintenance mode of a worker recognized by a safety device provided in the dangerous facility; Authenticating the worker based on the tag; Setting an operation screen of a facility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acility to a locked state to block another operator from controlling the facility; And unlocking the safety device so that the worker can access the facility, and setting the state of the facility to the maintenance mode.
  • the authenticating step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worker has access to the facility based on the tag, and authenticating the worker if the worker has access to the facility. Can be.
  • th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stopped when the maintenance mode is set.
  • the step of blocking by setting the operation screen of each of the one or more other equipment connected to the facility in a locked state, blocking the other operator to control the other equipment, the step of stopping the Each of the one or more other devices connected to the facility may be set to a minimum operation mode.
  • the operation that may affect the facility is stopped when the minimum operation mode is set, and the operation that does not affect the facility may be minimally operated in a predetermined manner.
  •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tag and maintenance completion request of a worker recognized by the safety device; Authenticating the worker based on the tag; And after checking the safety state of the facility, release the maintenance mode of the facility, change the safety device to the locked state, unlock the operation screen of each of the dangerous facility and the other facility, and each of the other facilities. Releasing the minimum mode of operation; may further includ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using a computer.
  • the central server manages the facility maintenance process of the worker, thereby ensuring safety of the worker and the facility.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zardous facilitie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hazardous equipment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of a hazardous faci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zardous facilitie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hazardous installation control system 1 includes a central server 10, a hazardous installation 20, and a worker terminal 30.
  • the central server 10 and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communicate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central server 10 receives worker tag information and a predetermined command from an operator who accesses the safety facility 2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afety facility 20, and based on this, the safety facility ( 20).
  • the central server 20 receives a maintenance mode setting command from the operator, the central server 20 creates a safe environment for the operator to repair the safety facility 2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dangerous facility contro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acilities.
  •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s can be organ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can be designed such that dangerous substances move between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s.
  • one server is displayed in FIG. 1, a plurality of servers may exist according to the amount of access or the amount of data.
  • the central server 10 collectively controls the safety of the hazardous equipment control system 1, monitors the status of all equipment included in the hazardous equipment control system 1, and checks the safety of all equipm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do.
  •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is equipped with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1 which controls a hazardous installation, and the safety device 22 which manages access to the dangerous installation 20.
  •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may include, for example, a tank for storing or transporting dangerous substan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displays an operation screen 211 in which an operator can directly control the dangerous facility 20.
  • the safety device 22 is a device capable of blocking access to the dangerous facility 20 and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a door sensor, an operator tag recognition sensor, and the like.
  • the safety device 22 is normally locked, and the lock state can be released when an operator recognizes the tag and authenticates the central server 20. On the other hand, the worker can access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without unlocking the safety device 22.
  • the worker terminal 30 may be provided in any form as long as it includes tag informa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safety device 22 provided in the dangerous facility 20.
  • the worker terminal 30 may be the portable terminal 31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a card 32 having on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portable terminal 31 may be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using a network service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 the mobile terminal 31 is illustrated as a smart phone,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server 10 through a network may be provided. It can be borrowed without limitation.
  • additional functions may be further provided as compared to the simple card 32.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worker terminal 30 is the portable terminal 3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central server 10 and the safety facility 20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 connection path for device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each other.
  • wired networks such as LANs (Local Area Networks), Wide Area Networks (WANs), Metropolitan Area Networks (MANs), 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ISDNs), or wireless networks such as wireless LANs, CDMA, Bluetooth, and satellite communications
  •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connect the central server 10 and the worker terminal 30.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hazardous equipment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azardous facilities control device 100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r more processors, or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ors. Accordingly, the hazardous installation control device 100 may be driven in a form included in other hardware devices such as microprocessors or general purpose computer systems.
  • the hazardous facilities control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entral server 10 shown in FIG. 1.
  • the hazardous facilities control device 100 shown in FIG. 2 shows 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fea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 from being blurred. Accordingl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general 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 FIG. 2 the configura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shown in FIG. 1.
  • the dangerous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n operator request receiver 110, a facility controller 120, and a safety information provider 130.
  • the worker request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various requests from the worker through the dangerous facility 20.
  • the worker request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request for setting a tag and a maintenance mode of the worker recognized by the safety device 22 provided in the dangerous facility 20.
  • the worker's tag may be obtained by the safety device 22 when the worker contacts or non-contacts the worker terminal 30 with the safety device 22.
  • the manner in which the safety device 22 acquires a worker's tag may be design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barcode method, a magnetic method, an electronic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etc.,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 the operator's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the operator's terminal 30 or through an operation screen 211 of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provided in the dangerous facility 20.
  • the worker request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a worker's tag and maintenance completion request recognized by the safety device 22 provided in the dangerous facility 20.
  • the facility controller 120 controls the dangerous facility 20 and other facilities affecting the dangerous facility 20 based on the worker tag received from the dangerous facility 20 and the operator's command.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sets the dangerous facility 20 to the maintenance mode based on the worker tag and the maintenance mode sett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dangerous facility 20.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may perform a step of authenticating the worker by using the tag of the worker before setting the dangerous facility 20 in the maintenance mode.
  • the work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hecking whether the worker has access to the dangerous equipment 20 based on the tag of the worker and authenticating the worker only when the worker has access to the dangerous equipment 20.
  • the dangerous facility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for each tag may be pre-stored in the central server 10.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may block all hazards that may pose a danger to the worker while the dangerous facility 20 is repaired before the dangerous facility 20 is set in the maintenance mode.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sets the operation screen 211 of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capable of controlling the dangerous facility 20 to a locked state, so that other workers control the dangerous facility 20. Block it.
  • the operation screen 211 is locked, a preset lock screen is displayed and no control command can be input except for an emergency control command such as an emergency stop.
  • the lock screen displays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such as which worker is currently repairing the dangerous facility 20 and how many workers are participating in the repair.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may set an operation screen of each of one or more other devices (not shown) connected to the dangerous facility 20 in a locked state, and block other operators from controlling other facilities. This is because the hazardous equipment 20 may be affected by the operation of other equipment.
  • the other equipment connected to the dangerous equipment 20, the equipment to which the dangerous substances contained in the dangerous equipment 20 can be moved, the equipment that can supply the dangerous materials to the dangerous equipment 20 and the dangerous equipment 20 Includes equipment for changing the operating state of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may set each of at least one other facility connected to the dangerous facility 20 to a minimum operation mode.
  • the operation of other equipment that may affect the hazardous equipment 20 is stopped, and the operation of other equipment that does not affect the hazardous equipment 20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manner.
  • Minimum working This i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the process of unnecessarily stopping and restarting the operation of other equipment.
  • Operations that may affect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include, for example, operations to supply dangerous materials to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operations that can change the operating state of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internal pressure of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and the like. It may include the operation that can change it.
  • the minimum operation of other installations that do not affect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may be, for example, to reduce the drive speed. If the other facility is a mobile facility, such as a robot, the other facility is blocked from accessing the hazardous facility 20 in the minimum operating mode.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unlocks the safety device 22 so that the worker can access the dangerous facility 20 after the dangerous factor that may pose a danger to the worker is blocked. 20) is set to maintenance mode. When the safety device 22 is unlocked, the worker can access the interior of the safety facility 20.
  •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is stopped so that an operator can repair the dangerous installation 20.
  • the hazardous equipment 20 is cleared by moving all the dangerous materials provided in the dangerous equipment 20 to other equipment so that an operator can repair the dangerous equipment 20. Since the maintenance mode corresponds to a mode in which the operator can safely perform the maintenance of the hazardous equipment 20, the details of the state of the hazardous equipment 20 in the maintenance mode may be set in various ways.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releases the maintenance mode of the dangerous facility 20 based on the worker tag and the repair comple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dangerous facility 20.
  • Work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checks the safety state of the dangerous facility 20 before releasing the maintenance mode of the dangerous facility 20, releases the maintenance mode of the dangerous facility 20, and locks the safety device 22. Change to and unlock the operation screen 211. On the other hand,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operation screen of the other equipment when the operation screen of the other equipment is changed to the locked state or the other equipment is set to the minimum operation mode while the operator performs the maintenance. The minimum operating mode can be released.
  •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provides safety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ngerous facility 20 in the repair process of the worker or in a situation in which the repair of the worker is completed, and the safety of the dangerous facility 20 through the reaction of the worker. Check the status.
  •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provides safety information to the worker terminal 30 or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to be understood before the operator starts repair, and confirms whether or not everything is checked from the operator. Can be input.
  •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controls the worker terminal 30 or the facility control procedure to check the safety status of the dangerous facility 20 whether the dangerous facility 20 can be operated again when the worker completes the repair.
  • the operator Provided to the device 21, the operator can receive input whether or not to confirm everything.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dangerous facility 20.
  • step by step dangerous equipment can be set to maintenance mode.
  • repair of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may be performed in several stages.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divides the maintenance of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into a plurality of steps and unlocks the safety device 22 for each step.
  • the dangerous facility 20 can be set to a maintenance mode.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first unlocks the safety device 22 in one step while the operator performs the first repair.
  • the safety device 22 After the facility 20 is set in the one-step maintenance mode, after confirming that the operator has completed the one-step maintenance, the safety device 22 is unlocked in two steps, and the dangerous equipment 20 is set in the two-step maintenance mode. After confirming that the operator has completed the two-stage repair, the lock of the safety device 22 may be released in three stages, and the dangerous equipment 20 may be set in the three-stage repair mode.
  •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When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is set to the one-step maintenance mode, risk factors that may be exerted on the operator during the one-step maintenance are blocked. When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is set in the two-stage repair mode, risk factors that may be exerted on the operator during the two-stage repair are blocked. When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is set in the three-stage repair mode, risk factors that may be exerted on the operator during the three-stage repair are blocked.
  • Shutdown of hazards includes, for example, blocking access of other workers, locking valves, shutting off power, blocking the supply of hazardous materials,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and the like.
  • Whether or not the operator completes the maintenance of the specific step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checking the repair result of the specific step received from the operator.
  •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operator that the maintenance of the specific step is completed, and then transmit the instructions for the safety work to the worker terminal 30, and determine whether the operator has performed the instructions. Received from the worker terminal 30, if it is confirmed that all the instructions have been fulfill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aintenance of the particular step is completed.
  •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receives input from the operator that the maintenance of the specific step is completed, and provides safet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step, for example, a safety check list, an example of a related accident, and the like. If the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or terminal 30 or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can be determined that the maintenance of the specific step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if the operator inputs a confirmation at an excessively high speed for a plurality of check lists and cases, it may be regarded as a false confirmation and may require re-confirmation. This is to control the likelihood that an operator will neglect to fulfill the inspection obligations.
  • the worker terminal 30 or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displays the worker tag information, the work time information, and the worker.
  • Information such as the confirmed safety information, the result of the maintenance of the operator is provided to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repair of the specific step is complet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worker's work procedure to the worker terminal 30 while the worker performs the maintenance, and if the worker inputs the result of the work procedure, the performance result is fulfilled. After confirming that the next work procedure is transmitted to the worker terminal 30, the maintenance of the worker can be assisted. This reduces risk by allowing operators to perform repairs following precisely safe work procedures.
  •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can finally check the state of the dangerous facility 20 once again. That is, the state of the hazardous equipment 20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dangerous equipment 20 is safe even if the dangerous equipment 20 is opened.
  •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for this purpose in the step immediately before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to unlock the safety device 22, for the self-check to the worker through the operator terminal 30 or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 the checklist may be provided and received via the operator terminal 30 or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that all the checklists have been confirmed from the operator. Once all the checklists are confirmed, the facility control unit 120 may unlock the safety device 22.
  • FIG. 3 is a flowchart of a hazardous faci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owchart shown in FIG. 3 consists of the steps that are processed in time series in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the central server 10 and the hazardous installation control device 100 shown in FIG. 2.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it can be seen that the above descriptions with respect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and 2 also apply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3.
  • the hazardous facility 20 recognizes a worker tag and receives a maintenance mode setting request from the worker.
  • the operator generates a maintenance mode setting request by using an operation screen or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and contacts the worker's tag to the safety device 22 provided in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Or contactlessly.
  • the worker may generate a maintenance mode setting request through the worker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worker, and directly transmit it to the central server 10.
  • step 32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transmits the operator's tag information and the maintenance mode setting request to the central server 10.
  • step 33 the central server 10 checks whether the worker has access authority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of the worker, and authenticates the worker if the worker has access authority.
  • step 34 the central server 10 sets the operation screen 211 of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of the dangerous facility 20 to the locked state.
  • step 35 the central server 10 unlocks the safety device 22 to allow the operator access to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and sets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to the maintenance mode to allow the operator to install the hazardous installation ( 20) to be repaired.
  • the dangerous facility 20 recognizes the worker's tag in step 36 and receives a repair completion request from the worker. For example, the operator generates a repair completion request by using an operation screen or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hazardous installation 20, and contacts the worker's tag to the safety device 22 provided in the dangerous installation 20. It is recognized as contactless. However, the worker may generate a repair completion request through the worker terminal 30 owned by him, and may transmit it directly to the central server 10.
  • the hazardous facility 20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and the repair completion request of the worker to the central server 10.
  • step 38 the central server 10 checks whether the worker has access authority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of the worker, and authenticates the worker if the worker has access authority.
  • step 39 the central server 10 locks the safety device 22 again, releases the maintenance mode of the hazardous equipment 20, to confirm that the repair is completed and to return the dangerous equipment 20 to normal operation.
  • the lock state of the operation screen 211 of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 is released.
  •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onents on a computer,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 the media may b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ROMs.
  •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emory,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 the medium may include an intangible medium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on a network.
  • the medium may be a form of a software or an applic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and distributed through a network.
  • the computer progra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 Examples of computer program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executable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by way of example shows a functional connection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the actual device replaceable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It may be represented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 such as "essential”, “importan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hazardous facilities control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앙 서버가 위험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설비에 구비된 안전장치에 의해 인식된 작업자의 태그 및 보수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의 조작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여 다른 작업자가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가 상기 설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설비의 상태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 설비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위험 물질을 다루는 설비는 보수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한다. 2012년 9월 27일 발생한 구미 가스 누출 사고의 경우, 작업자가 불산 가스를 설비에 주입하던 중 근로자의 실수로 탱크 밸브가 열리면서 가스가 유출되어 근로자 5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당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위험 설비의 경우, 현재는 작업자가 작업하는 동안 다른 작업자들이 망을 보며 설비 작동을 하지 못하도록 수동으로 감시하거나, 설비의 작동을 수동으로 모두 중단시킨 후 작업자가 작업을 시작하곤 한다. 그러나, 다른 작업자들의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지 못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실수도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항상 위험이 따른다. 한 순간의 실수가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앙 서버가 위험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설비에 구비된 안전장치에 의해 인식된 작업자의 태그 및 보수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의 조작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여 다른 작업자가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가 상기 설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설비의 상태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 설비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가 상기 설비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설비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작업자를 인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비는, 상기 보수 모드가 설정되면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타 설비 각각의 조작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여, 다른 작업자가 상기 타 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중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설비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타 설비 각각을 최소 작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 설비는, 상기 최소 작동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설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작동은 중지되고, 상기 설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작동은 기설정된 방식으로 최소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안전 장치에 의해 인식된 작업자의 태그 및 보수 완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의 안전 상태를 점검한 후 상기 설비의 보수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안전 장치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위험 설비 및 상기 타 설비 각각의 조작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타 설비 각각의 최소 작동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작업자의 설비 보수 과정을 중앙 서버가 관리함으로써, 작업자와 설비의 안전이 보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시스템(1)은, 중앙 서버(10), 위험 설비(20) 및 작업자 단말(30)을 포함한다. 중앙 서버(10)와 위험 설비(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10)는, 안전 설비(20)와 통신하면서 안전 설비(20)에 접근하는 작업자로부터 작업자 태그 정보와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며, 이를 바탕으로 안전 설비(20)를 제어한다. 중앙 서버(20)는 작업자로부터 보수 모드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작업자가 안전 설비(20)를 보수할 수 있도록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하나의 위험 설비(20)만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설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설비들은 서로 유기적 연결될 수 있으며, 위험 물질이 복수의 설비들 간에 이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서버를 디스플레이하였지만, 접속량 혹은 데이터 양에 따라 복수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는 위험 설비 제어 시스템(1)의 안전을 총괄적으로 통제하며, 위험 설비 제어 시스템(1)에 포함된 모든 설비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기설정된 방법에 따라 모든 설비의 안전 여부를 확인한다.
위험 설비(20)는 위험 설비를 제어하는 설비 제어 장치(21)와, 위험 설비(20)에의 접근을 관리하는 안전 장치(22)를 구비한다. 위험 설비(20)는 예를 들면, 위험 물질을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설비 제어 장치(21)는 작업자가 직접 위험 설비(20)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 화면(211)을 표시한다. 안전 장치(22)는 위험 설비(20)에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로써, 검출 센서, 도어 센서, 작업자 태그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장치(22)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태그를 인식시킴으로써 중앙 서버(20)로부터 인증을 받으면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서도 설비 제어 장치(21)에 접근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30)은, 위험 설비(20)에 구비된 안전 장치(22)가 인식할 수 있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3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31)일 수도 있지만, 단지 식별 정보만을 갖는 카드(32)여도 무방하다. 작업자 단말(30)이 휴대 단말(31)인 경우, 휴대 단말(31)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휴대 단말(31)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10)와 통신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30)이 휴대 단말(31)인 경우에는, 단순한 카드(32)에 비하여 추가 기능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2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작업자 단말(30)이 휴대 단말(31)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중앙 서버(10)와 안전 설비(2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통신망에 연결된 기기들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망은 중앙 서버(10)와 작업자 단말(3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 설비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위험 설비 제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중앙 서버(10)에 탑재된다.
도 2에 도시된 위험 설비 제어 장치(10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식별번호를 함께 인용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장치(100)는 작업자 요청 수신부(110), 설비 제어부(120) 및 안전 정보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상세히, 작업자 요청 수신부(110)는 위험 설비(20)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각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작업자 요청 수신부(110)는 위험 설비(20)에 구비된 안전 장치(22)에 의해 인식된 작업자의 태그 및 보수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한다. 작업자의 태그는,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30)을 안전 장치(22)에 접촉하거나 또는 비 접촉식으로 태깅할 때 안전 장치(22)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안전 장치(22)가 작업자의 태그를 획득하는 방식은 무선통신 방식, 바코드 방식, 마그네틱 방식, 전자지문 인식 방식 등으로 설계될 수 있지만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자의 명령은 작업자의 단말(30)을 통해 입력되거나, 또는 위험 설비(20)에 구비된 설비 제어 장치(21)의 조작 화면(211)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작업자의 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태그를 안전 장치(22)에 인식시키고 보수 완료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 요청 수신부(110)는 위험 설비(20)에 구비된 안전 장치(22)에 의해 인식된 작업자의 태그 및 보수 완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로부터 수신한 작업자 태그 및 작업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위험 설비(20) 및 위험 설비(20)에 영향을 미치는 타 설비들을 제어한다.
일 예에 따르면,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로부터 수신한 작업자 태그 및 보수 모드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위험 설비(20)를 보수 모드로 설정한다. 한편,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기 전에 작업자의 태그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 인증은, 작업자의 태그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위험 설비(20)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자가 위험 설비(20)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작업자를 인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의 태그 별 위험 설비 접근 권한 정보가 중앙 서버(1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기 전에, 작업자가 위험 설비(20)를 보수하는 동안 작업자에게 위험을 가할 수 있는 모든 위험요소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를 제어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21)의 조작 화면(211)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여, 타 작업자가 위험 설비(20)를 제어하는 것을 차단한다. 조작 화면(211)이 잠금 상태가 되면, 기설정된 잠금 화면이 표시되고, 비상정지 등의 비상 제어 명령을 제외한 어떠한 제어 명령도 입력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잠금 화면은, 현재 어느 작업자가 위험 설비(20)를 보수하고 있는지, 몇 명의 작업자자가 보수에 참여하고 있는지 등의 보수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타 설비(미도시) 각각의 조작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여, 다른 작업자가 타 설비들을 제어하는 것까지 차단할 수 있다. 이는 타 설비의 작동에 따라 위험 설비(20)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위험 설비(20)와 연결되어 있는 타 설비는, 위험 설비(20)에 포함된 위험 물질이 이동될 수 있는 설비, 위험 설비(20)에 위험 물질을 공급할 수 있는 설비 및 위험 설비(20)의 작동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설비를 포함한다.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타 설비 각각을 최소 작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타 설비가 최소 작동 모드로 설정되면, 위험 설비(2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타 설비의 작동은 중지되고, 그 외 위험 설비(2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타 설비의 작동은 기설정된 방식으로 최소 작동된다. 이는 불필요하게 타 설비의 작동을 중지 및 재가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위험 설비(2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작동은 예컨대, 위험 설비(20)에 위험 물질을 공급하는 작동, 위험 설비(20)의 작동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작동, 위험 설비(20)의 내부 압력을 변동시킬 수 있는 작동 등을 포함한다. 위험 설비(2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타 설비의 최소 작동은 예컨대, 구동 속도를 줄이는 것일 수 있다. 타 설비가 이동식 설비, 예컨대 로봇인 경우, 타 설비는 최소 작동 모드에서 위험 설비(20)로의 접근이 차단된다.
설비 제어부(12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작업자에게 위험을 가할 수 있는 위험요소가 차단된 후에, 작업자가 위험 설비(20)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해제하고, 위험 설비(20)를 보수 모드로 설정한다. 안전 장치(22)의 잠금이 해제되면 작업자는 안전 설비(20)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위험 설비(20)가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 작업자가 위험 설비(20)를 보수할 수 있도록 위험 설비(20)의 작동이 중지된다. 또는, 작업자가 위험 설비(20)를 보수할 수 있도록 위험 설비(20) 내에 구비된 위험 물질이 타 설비로 모두 이동되어 위험 설비(20)가 클리어된다. 보수 모드는 작업자가 위험 설비(20)의 보수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모드에 해당하므로, 보수 모드에서의 위험 설비(20)의 상태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로부터 수신한 작업자 태그 및 보수 완료 요청에 기초하여, 위험 설비(20)의 보수 모드를 해제한다. 작업자 인증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의 보수 모드를 해제하기 전에 위험 설비(20)의 안전 상태를 점검한 후 위험 설비(20)의 보수 모드를 해제하고, 안전 장치(22)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고, 조작 화면(211)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설비 제어부(120)는 작업자가 보수를 수행하는 동안 타 설비의 조작 화면이 잠금 상태로 변경되었거나 타 설비가 최소 작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타 설비의 조작 화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타 설비의 최소 작동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안전 정보 제공부(130)는 작업자의 보수 과정에서, 또는 작업자의 보수가 완료된 상황에서, 위험 설비(20)와 관련된 안전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작업자의 반응을 통해 위험 설비(20)의 안전 상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안전 정보 제공부(130)는 작업자가 보수에 착수하기 전에 숙지해야 할 안전사항을 작업자 단말(30) 또는 설비 제어 장치(21)에 제공하고, 작업자로부터 모든 사항에 대하여 확인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안전 정보 제공부(130)는 작업자가 보수를 완료하였을 때 다시 위험 설비(20)의 가동이 가능한지 위험 설비(20)의 안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안전 점검 절차를 작업자 단말(30) 또는 설비 제어 장치(21)에 제공하고, 작업자로부터 모든 사항에 대하여 확인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안전 정보 제공부(130)의 확인 여부에 따라, 설비 제어부(120)가 위험 설비(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비 제어부(120)는 작업자의 보수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한 후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해제할 때, 단계적으로 잠금을 해제하고, 단계적으로 위험 설비(20)를 보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설비(20)의 보수는 여러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설비 제어부(120)는 위험 설비(20)의 보수 단계를 복수로 구분하고 각 단계 별로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해제하고, 위험 설비(20)를 보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위험 설비(20)의 보수 단계가 1 내지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경우, 설비 제어부(120)는 먼저 작업자가 1 단계의 보수를 수행하는 동안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1 단계로 해제하고 위험 설비(20)를 1 단계 보수 모드로 설정하고, 작업자가 1단계 보수를 완료하였음을 확인한 후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2단계로 해제하고 위험 설비(20)를 2 단계 보수 모드로 설정하고, 작업자가 2단계 보수를 완료하였음을 확인한 후 안전장치(22)의 잠금을 3단계로 해제하고 위험 설비(20)를 3 단계 보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안전 장치(22)의 잠금이 1단계로 해제되면, 1단계의 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접근해야 하는 위험 설비(20)의 제어 장치들에의 접근이 허용된다. 안전 장치(22)의 잠금이 2단계로 해제되면, 2단계의 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접근해야 하는 위험 설비(20)의 제어 장치들에의 접근이 허용된다. 안전 장치(22)의 잠금이 3단계로 해제되면, 3단계의 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접근해야 하는 위험 설비(20)의 제어 장치들에의 접근이 허용된다.
위험 설비(20)가 1단계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 1단계의 보수를 수행하는 동안 작업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차단된다. 위험 설비(20)가 2단계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 2단계의 보수를 수행하는 동안 작업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차단된다. 위험 설비(20)가 3단계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 3단계의 보수를 수행하는 동안 작업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차단된다. 위험 요소의 차단은, 예컨대 타 작업자의 접근 차단, 밸브의 잠금, 전원의 차단, 유해 물질의 공급 차단, 기계 작동의 정지 등을 포함한다.
작업자의 특정 단계 보수 완료 여부는, 안전 정보 제공부(130)가 작업자로부터 수신한 특정 단계의 보수 결과를 점검한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안전 정보 제공부(130)는 작업자로부터 특정 단계의 보수를 완료하였다는 입력을 수신한 후, 안전 작업을 위한 지시 사항을 작업자 단말(30)에 전송할 수 있고, 작업자가 지시 사항을 이행하였는지 여부를 작업자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지시 사항이 모두 이행된 것으로 확인되면 특정 단계의 보수가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안전 정보 제공부(130)는 작업자로부터 특정 단계의 보수를 완료하였다는 입력을 수신한 후, 특정 단계와 관련된 안전 정보, 예컨대 안전 점검 리스트, 관련 사고의 사례 등을 제공하고, 작업자가 안전 정보를 모두 확인하였음을 작업자 단말(30) 또는 설비 제어 장치(21)를 통해 입력하면 특정 단계의 보수가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안전 정보 제공부(130)는 작업자가 복수의 체크 리스트와 사례에 대하여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확인을 입력하면, 이를 거짓된 확인으로 간주하고 재 확인을 요구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점검 의무 이행을 소홀히 할 가능성을 통제하기 위함이다.
작업자가 안전 정보를 모두 확인하였음을 작업자 단말(30) 또는 설비 제어 장치(21)를 통해 입력하면, 작업자 단말(30) 또는 설비 제어 장치(21)는, 작업자 태그 정보, 작업 시간 정보, 작업자가 확인한 안전 정보, 작업자의 보수 이행 결과 등의 정보를 안전 정보 제공부(130)에 제공한다. 안전 정보 제공부(130)는 수신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특정 단계의 보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비 제어부(120)는, 작업자가 보수를 수행하는 동안 작업자의 작업 절차를 작업자 단말(30)에 전송하고, 작업자가 작업 절차에 대한 이행 결과를 입력하면 이행 결과를 확인한 후 다음 작업 절차를 작업자 단말(30)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업자의 보수를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안전한 작업 절차를 정확히 따라서 보수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위험 요소가 저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비 제어부(120)는,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해제하기 직전에, 최종적으로 위험 설비(20)의 상태를 한번 더 확인할 수 있다. 즉, 위험 설비(20)가 개방되어도 안전한 상태인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가의 여부로 위험 설비(20)의 상태를 확인한다. 안전 정보 제공부(130)는 이를 위하여 설비 제어부(120)가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해제하기 직전 단계에서, 작업자 단말(30) 또는 설비 제어 장치(21)를 통해 작업자에게 자가 체크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작업자로부터 모든 체크리스트를 확인하였음을 작업자 단말(30) 또는 설비 제어 장치(2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모든 체크리스트가 확인되면 설비 제어부(120)는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위험 설비(20), 중앙 서버(10) 및 도 2에 도시된 위험 설비 제어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에서 위험 설비(20)는 작업자의 태그를 인식하고, 작업자로부터 보수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위험 설비(20)에 구비된 조작 화면 또는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보수 모드 설정 요청을 생성하고, 위험 설비(20)에 구비된 안전 장치(22)에 작업자의 태그를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인식시킨다. 다만, 작업자는 본인이 소지한 작업자 단말(30)을 통해 보수 모드 설정 요청을 생성하고, 이를 직접 중앙 서버(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32에서, 위험 설비(20)는 작업자의 태그 정보와 보수 모드 설정 요청을 중앙 서버(10)로 전송한다.
단계 33에서 중앙 서버(10)는 작업자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접근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자에게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작업자를 인증한다.
단계 34에서 중앙 서버(10)는 위험 설비(20)의 설비 제어 장치(21)의 조작 화면(211)을 잠금 상태로 설정한다.
단계 35에서 중앙 서버(10)는 안전 장치(22)의 잠금을 해제하여 작업자가 위험 설비(2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위험 설비(20)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여 작업자가 위험 설비(20)를 보수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의 보수가 완료되면, 단계 36에서 위험 설비(20)는 작업자의 태그를 인식하고, 작업자로부터 보수 완료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위험 설비(20)에 구비된 조작 화면 또는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보수 완료 요청을 생성하고, 위험 설비(20)에 구비된 안전 장치(22)에 작업자의 태그를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인식시킨다. 다만, 작업자는 본인이 소지한 작업자 단말(30)을 통해 보수 완료 요청을 생성하고, 이를 직접 중앙 서버(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37에서 위험 설비(20)는 작업자의 태그 정보와 보수 완료 요청을 중앙 서버(10)로 전송한다.
단계 38에서 중앙 서버(10)는 작업자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접근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자에게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작업자를 인증한다.
단계 39에서 중앙 서버(10)는, 보수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위험 설비(20)를 정상 가동 상태로 돌려놓기 위해, 안전 장치(22)를 다시 잠그고, 위험 설비(20)의 보수 모드를 해제하고, 설비 제어 장치(21)의 조작 화면(21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이상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되지 않은 사항이더라도, 도 2에서 위험 설비 제어 장치(100)와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들이 도 3의 흐름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중앙 서버가 위험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설비에 구비된 안전장치에 의해 인식된 작업자의 태그 및 보수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의 조작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여 다른 작업자가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가 상기 설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설비의 상태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 설비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가 상기 설비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설비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작업자를 인증하는
    위험 설비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는, 상기 보수 모드가 설정되면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설비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타 설비 각각의 조작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여, 다른 작업자가 상기 타 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중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설비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타 설비 각각을 최소 작동 모드로 설정하는
    위험 설비 제어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설비는, 상기 최소 작동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설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작동은 중지되고, 상기 설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작동은 기설정된 방식으로 최소 작동되는
    위험 설비 제어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안전 장치에 의해 인식된 작업자의 태그 및 보수 완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의 안전 상태를 점검한 후 상기 설비의 보수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안전 장치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위험 설비 및 상기 타 설비 각각의 조작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타 설비 각각의 최소 작동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험 설비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안전 장치에 의해 인식된 작업자의 태그 및 보수 완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의 안전 상태를 점검한 후 상기 설비의 보수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안전 장치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조작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험 설비 제어 방법.
  8.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5/013109 2015-09-15 2015-12-03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704787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533588A JP6643489B2 (ja) 2015-09-15 2015-12-03 危険設備制御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5/756,490 US10613486B2 (en) 2015-09-15 2015-12-03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hazardous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602A KR101661313B1 (ko) 2015-09-15 2015-09-15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30602 2015-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7871A1 true WO2017047871A1 (ko) 2017-03-23

Family

ID=5716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109 WO2017047871A1 (ko) 2015-09-15 2015-12-03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13486B2 (ko)
JP (1) JP6643489B2 (ko)
KR (1) KR101661313B1 (ko)
WO (1) WO2017047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3585B2 (en) * 2017-10-19 2021-03-09 Daring Solutions, LLC Cooking management system with wireless active voice engine server
CN109859369A (zh) * 2019-03-21 2019-06-07 深圳市城市公共安全技术研究院有限公司 有限空间智能锁及其控制方法
JP7339785B2 (ja) * 2019-06-20 2023-09-06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塵芥収集車
KR102152795B1 (ko) * 2020-04-22 2020-09-07 디엑스랩즈 주식회사 전자태그의 발행, 표시, 및 관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346331B1 (ko) * 2021-08-04 2022-01-04 필츠코리아 유한회사 안전 잠금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906A (ko) * 2002-11-12 2004-05-20 우광일 공장자동화설비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91912A (ko) * 2007-04-10 2008-10-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전자태그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시스템
JP2009032032A (ja) * 2007-07-27 2009-02-12 Hitachi Ltd 監視制御システム
KR20120029199A (ko) * 2010-09-16 2012-03-26 에스디엔 주식회사 독립형 발전시스템의 감시?제어시스템
KR101418426B1 (ko) * 2012-03-27 2014-07-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009U (ja) 1982-07-12 1984-01-26 豊国工業株式会社 警告装置
JP4325407B2 (ja) * 2004-01-08 2009-09-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ット
US7932809B2 (en) * 2006-02-23 2011-04-2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FID/biometric area protection
JP2007299228A (ja) * 2006-04-28 2007-11-15 Toshiba Corp 監視制御システム、監視制御装置及びその現場操作端末、同システムの監視方法
JP2008299734A (ja) 2007-06-01 2008-12-11 Hitachi Ltd 現場制御・監視装置
US9395702B2 (en) * 2011-07-20 2016-07-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afety cri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traction of an operator of a safety critic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906A (ko) * 2002-11-12 2004-05-20 우광일 공장자동화설비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91912A (ko) * 2007-04-10 2008-10-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전자태그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시스템
JP2009032032A (ja) * 2007-07-27 2009-02-12 Hitachi Ltd 監視制御システム
KR20120029199A (ko) * 2010-09-16 2012-03-26 에스디엔 주식회사 독립형 발전시스템의 감시?제어시스템
KR101418426B1 (ko) * 2012-03-27 2014-07-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313B1 (ko) 2016-10-04
JP2018529868A (ja) 2018-10-11
US20180253068A1 (en) 2018-09-06
JP6643489B2 (ja) 2020-02-12
US10613486B2 (en)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7871A1 (ko) 위험 설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3295263B1 (en) Method to update safety related software
US202003943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physical security access to components of a process control system
CN103964267A (zh) 用于提供电梯中入井的方法
CN105752772B (zh) 电梯控制方法、电梯控制装置和终端
CN110011848B (zh) 一种移动运维审计系统
CN103426215B (zh) 用于意外救助的门锁管控方法及系统
CN214154147U (zh) 一种倒闸操作智能防误系统
US10222763B2 (en) Remote isolation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use in the remote isolation system
CN110378803B (zh) 一种工业停送电c2c平台及方法
CN110271926A (zh) 电梯系统中的自动救援操作
CN113393600A (zh) 基于铁路电子化工单的智能开锁系统
WO2018004042A1 (ko) 상호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N110349302A (zh) 一种可程序智能门禁管控保护作业方法及其系统
CN108140090A (zh) 访问乘客运送设备控制装置
CN105374088A (zh) 变电站防主动误操作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15859249A (zh) 一种机房权限控制系统和方法
US20210171318A1 (en) Remote operation of an elevator
CN111859350B (zh) 一种远程操作hmi设备的安全处理方法及系统
US20210171315A1 (en) Remote operation of an elevator
KR20180137143A (ko) Otp를 이용한 전력설비 안전강화와 방법
KR101159984B1 (ko) 자동금전입출기를 위한 온라인 도어락 관리 시스템
US20170003663A1 (en) Equipment Isolation System
CN113727931A (zh) 经验证的对电梯设备的维护方法
JP201119009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42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56490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3358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42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