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215B1 -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및 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및 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215B1
KR101418215B1 KR1020130060831A KR20130060831A KR101418215B1 KR 101418215 B1 KR101418215 B1 KR 101418215B1 KR 1020130060831 A KR1020130060831 A KR 1020130060831A KR 20130060831 A KR20130060831 A KR 20130060831A KR 101418215 B1 KR101418215 B1 KR 10141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display portion
display part
display unit
coo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만
Original Assignee
임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만 filed Critical 임종만
Priority to KR102013006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을 조리할 때 조리용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열감응 표시부가 조리용기 손잡이에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조리용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명확하고 확실하게 표시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의 구성은, 적색잉크로 적색표시부가 형성되고, 검정색 시온안료와 투명잉크를 혼합하여 변색표시부가 형성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를 하지 않을 때 열감응 표시부를 구성하는 변색표시부에 의해서 검정색으로 표현되지만, 조리용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변색표시부가 투명으로 변하여 적색표시부가 선명하게 표현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열감응 표시부의 식별이 확실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상기와 같이 변색표시부가 적색표시부를 덮고 있다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투명으로 변하여 적색표시부를 선명하게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검정색 시온안료와 투명잉크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하고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하는 구성에 의해서 간단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및 그 형성방법{Cooking container handle's thermal display unit and the method forming}
본 발명은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을 조리할 때 조리용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열감응 표시부가 조리용기 손잡이에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조리용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명확하고 확실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종 조리용기들 중에 음식물을 기름에 살짝 튀기거나 볶고 데치기 위한 프라이팬이 있는데, 이러한 프라이팬의 구성은 프라이팬의 본체와, 여기에 금속 연결구를 통해 손잡이가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열전도율이 적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라이팬의 본체는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진 후에 음식물을 올려놓아야 조리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프라이팬 본체의 가열 정도를 감각으로 판단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경우, 음식조리에 경험이 적은 사람들은 조리용기의 가열 정도를 쉽게 알 수 없어 매우 불편하였다.
상기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조리용기의 가열된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가 선보이고 있는데, 그 예를 살펴보면, 프라이팬 본체의 바닥면 중앙부위에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 프라이팬 본체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금속 연결구에 적색잉크와 검정색 시온안료를 혼합하여 스크린 인쇄로 열감응 표시부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열감응 표시부를 스크린 인쇄하기 위한 적색잉크와 검정색 시온안료(가열시 투명으로 변하는 안료.)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스크린 인쇄로 열감응 표시부를 형성한다.
그러면, 열감응 표시부가 진한 자주색이 되는데, 이러한 색상은 조리용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조리할 때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지 않으면 진한 자주색으로 표현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진한 자주색 상태에서 조리할 때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적색잉크와 혼합되어 있는 검정색 시온안료가 투명으로 변하여 좀 더 연한 자주색으로 변하게 된다.
즉, 적색잉크와 검정색 시온안료가 혼합되어 형성된 열감응 표시부의 색상이 진한 자주색에서 연한 자주색으로 색상이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적색잉크와 검정색 시온안료의 혼합 비율을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변색의 범위가 매우 미미하여 실제 조리용기 손잡이에 열감응 표시부를 형성할 때 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아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고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 20-04305581호. 문헌 2: 등록실용신안 20-0334304호. 문헌 3:공개특허 10-2005-00465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용기 본체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금속 연결구에 소정의 모양으로 형성된 열감응 표시부가 조리할 때 명확한 적색의 색상으로 명확하게 표현될 수 있는 열감응 표시부를 제공하며,
상기와 같이 금속 연결구에 형성된 열감응 표시부가 검정색 색상으로 있다가 조리할 때 적색표시부가 명확한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검정색 시온안료와 투명잉크를 혼합하여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로 열감응 표시부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의 구성은, 적색잉크만으로 적색표시부가 형성되고, 검정색 시온안료와 투명잉크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변색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의 형성방법은, 먼저 적색잉크만으로 소정의 모양으로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를 하고, 그 위에 검정색 시온안료와 투명잉크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된 적색잉크 위에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하여 변색표시부를 형성시킨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감응 표시부가 변색표시부에 의해서 검정색으로 표현되지만, 조리용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변색표시부가 투명으로 변하여 적색표시부가 선명하게 표현되는데, 특히 적색표시부가 적색잉크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선명하고 확실하게 표현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적색잉크만으로 형성된 적색표시부 위에 검정색 시온안료와 투명잉크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하는 구성에 의해서 적색표시부가 평상시 확실하게 덮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변색표시부가 투명으로 변하면, 적색표시부가 더욱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고, 이러한 작용을 적색잉크와 검정색 시온안료와 투명잉크로 간단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감응 표시부가 형성된 조리용기 손잡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열감응 표시부가 형성된 조리용기 손잡이의 단면도
도 3은 조리용기 손잡이에 열감응 표시부를 형성하는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및 그 형성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1)는, 검정색 내열 페인트가 도포된 손잡이 연결구(2)의 상면에 1개 이상 형성되되, 상기 열감응 표시부(1)는 적색잉크로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하여 적색표시부(3)가 형성되며,
상기 적색표시부(3)가 덮어지도록 변색표시부(4)가 적색표시부(3)의 상부에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되는데, 변색표시부(4)는 검정색 시온안료(5)와 투명잉크(6)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 50은 조리용기 본체, 51은 조리용기 손잡이를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열감응 표시부(1)는 손잡이 연결구(2)의 상면에 적색잉크로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하여 표시된 적색표시부(3)가 변색표시부(4)에 의해서 덮어지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평상시 변색표시부(4)를 구성하는 검정색 시온안료(5)에 의해서 검정색으로 표현되어 있게 된다.
그러나 조리용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검정색 시온안료(5)가 열에 의해서 투명으로 변색되기 때문에 적색표시부(3)가 외부로 선명하게 표현되어 식별이 확실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열감응 표시부(1)는 손잡이 연결구(2)의 상면에 1개 이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에 가까이 있는 열감응 표시부(1)를 구성하는 적색표시부(3)가 먼저 선명하게 표현되고 조리용기가 더 가열되면 그 다음에 있는 열감응 표시부(1)를 구성하는 적색표시부(3)가 선명하게 표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의 형성방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검정색 내열 페인트가 도포된 손잡이 연결구(2)의 상면에 적색잉크로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하여 적색표시부(3)를 형성시킨 후 건조한다.
그리고, 검정색 시온안료(5)와 투명잉크(6)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 변색 안료를 적색표시부(3)의 상부에 덮어지도록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하여 변색표시부(4)를 형성한 후 건조하는 것으로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1: 열감응 표시부 2: 손잡이 연결구
3: 적색표시부 4: 변색표시부
5: 검정색 시온안료 6: 투명잉크

Claims (2)

  1. 검정색 내열 페인트가 도포된 손잡이 연결구의 상면에 열감응 표시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열감응 표시부는 검정색 내열 페인트가 도포된 손잡이 연결구의 상면에 1개 이상의 열감응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열감응 표시부는 적색잉크로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하여 적색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색표시부가 덮어지도록 변색표시부가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되고, 상기 변색표시부는 검정색 시온안료와 투명잉크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2. 검정색 내열 페인트가 도포된 손잡이 연결구의 상면에 적색잉크로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하여 적색표시부를 형성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와,
    검정색 시온안료와 투명잉크를 중량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변색 안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적색표시부가 덮어지도록 적색표시부의 상부에 변색표시부를 변색 안료를 사용하여 스탬프 또는 스크린 인쇄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형성방법.
KR1020130060831A 2013-05-29 2013-05-29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및 그 형성방법 KR10141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31A KR101418215B1 (ko) 2013-05-29 2013-05-29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및 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31A KR101418215B1 (ko) 2013-05-29 2013-05-29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및 그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215B1 true KR101418215B1 (ko) 2014-07-10

Family

ID=5174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831A KR101418215B1 (ko) 2013-05-29 2013-05-29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및 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2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849Y1 (ko) 2004-08-06 2004-10-25 (주)주용이십일 조리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KR200387108Y1 (ko) 2005-03-30 2005-06-17 이신근 가열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조리용 팬
KR20120091992A (ko) * 2011-02-10 2012-08-20 지에스더블유 간스 스타흘와렌 게엠베하 온도 디스플레이 요소가 구비된 조리기구 용기
KR101184041B1 (ko) 2012-03-06 2012-09-18 김미라 조리용기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849Y1 (ko) 2004-08-06 2004-10-25 (주)주용이십일 조리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KR200387108Y1 (ko) 2005-03-30 2005-06-17 이신근 가열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조리용 팬
KR20120091992A (ko) * 2011-02-10 2012-08-20 지에스더블유 간스 스타흘와렌 게엠베하 온도 디스플레이 요소가 구비된 조리기구 용기
KR101184041B1 (ko) 2012-03-06 2012-09-18 김미라 조리용기용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357B2 (en) Thermochromic lid for cookware
KR102328050B1 (ko) 조리 영역 식별 수단 및 온도 센서가 구비된 조리 용기
US20060081639A1 (en) Thermochromic cookware
CA2471086C (en) Food cooking vessel with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EP1726933B1 (en) Kitchen vessel having a thermochromatic sensor
KR20010088869A (ko) 색상이 변화될 수 있는 장식 요소로 코팅된 표면을구비하는 가열 기구
US11517925B2 (en) Vessel comprising a thermochromic indicator coating
KR101312139B1 (ko) 온도표시 기능을 가진 집게
RU2759597C1 (ru) Система, имеющая слой, содержащий термохромный материал
CN201069400Y (zh) 烹饪器具警示感温片
KR101418215B1 (ko) 조리용기 손잡이의 열감응 표시부 및 그 형성방법
CN208709327U (zh) 一种感温变色炊具
KR100342907B1 (ko) 후라이팬의 손잡이
CN216020411U (zh) 盖体和烹饪器具
CN203885298U (zh) 一种电水壶
KR20130081823A (ko) 열 감지 기능이 구비된 프라이팬 손잡이 및 열감지부의 제조방법
KR200266743Y1 (ko) 변색도료를 이용한 주방기구
KR200350330Y1 (ko) 가열 조리기의 손잡이
KR20160126310A (ko) 온도감지패치
JP2010169270A5 (ko)
KR200344676Y1 (ko) 조리용기의 가열온도 표시장치
JP3101563U (ja) 温度感応表示機能を有する調理容器の取っ手
CN215226721U (zh) 烹饪器具
KR20190061698A (ko) 카멜레온 종이컵
CN209269326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