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710B1 -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710B1
KR101417710B1 KR1020140010199A KR20140010199A KR101417710B1 KR 101417710 B1 KR101417710 B1 KR 101417710B1 KR 1020140010199 A KR1020140010199 A KR 1020140010199A KR 20140010199 A KR20140010199 A KR 20140010199A KR 101417710 B1 KR101417710 B1 KR 10141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hair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신
Original Assignee
(주)유포니어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포니어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유포니어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4001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 30-40 중량부, 측백엽 열수 추출액 20-30 중량부,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이 소정 비율로 배합된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 20-30 중량부 및 흰 봉숭아 꽃잎 분말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유래의 발모제 조성물 및 그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며, 모근의 성장을 유도하여 발모를 촉진하는 동시에 탈모를 억제한다.

Description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HAIR RESTORER COMPOSITION AND PRODUC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인체에 무해하여 부작용이 없는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모발은 수명이 있어서 지속적으로 빠지고 새로 생성되는데, 하루에 약 70-80개 전후의 탈모는 생리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감소하고, 휴지기 또는 퇴행기의 모발이 증가하여 모발이 비정상으로 많이 빠져 성기게 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많은 모발이 빠지는 것을 탈모증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탈모증은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탈모의 원인으로서는 대머리 유전자, 테스토스테론이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과 같은 호르몬, 이들 호르몬의 활성과 관련되어 있는 5-알파 환원효소나 아로마타아제(aromatase)와 같은 효소의 이상, 나이, 생활습관, 정신적 충격과 같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자가 면역 이상 등의 요인이 언급되고 있는데, 통상 이들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탈모 증상을 일으킨다.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비만 인구가 늘어나고, 환경오염이나 중독성 약물의 오·남용이나 파마, 염색, 무스, 스프레이 등의 사용으로 두피에 혈류 장애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남성형 탈모증은 물론이고, 젊은 층과 여성들에게도 원형 탈모증이나 비만성 탈모증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대머리가 되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는 경향이 많이 있어서, 탈모로 인하여 외모에서 자신감을 상실하는 등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원인으로 야기되는 탈모증을 예방·치료하여 발모를 유도하기 위하여 두피에 도포하는 국소 도포제 형태 또는 경구 복용제가 시판되고 있으며, 모발이식 등의 수술도 이루어지고 있다.
발모 성분의 예로는 에스트로겐 자극호로믄 등의 호르몬류, 미네랄류, 비타민B2, B6, 비오틴 등의 성분, 펩타이드 치환체인 아미노산류, 염산디펜히도라민 등의 소염제, 글리세린 등의 습윤제, 히노키티올 등의 살균제 등이 포함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발모제에 사용되는 유효 성분으로는 두피에 충분한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염화카프로니움, 미녹시딜 등의 혈관 확장제나 모발을 탈락시키는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에스트로겐, 에스트라지울, 프로게스테론 등의 여성 호르몬제 또는 펜타칸산, 피나스테라이드 등의 남성 호르몬 활성 억제제 등이 있다.
탈모의 원인이나 탈모 위치 등에 따라 적절한 발모제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발모 및 탈모에 대한 명확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탈모를 유발하는 유전자가 확인되지 않아 탈모증을 완전히 치료하기는 불가능하다. 종래의 발모제는 대부분 탈모를 예방하기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데, 종래 발모제로 사용된 화학 물질은 인체에 적지 않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며, 두피의 생성을 가속화시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현재 시판 중인 화학 합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는 대부분 모근이 활성화되어 있는 부위에서만 효과를 발휘하여 탈모를 억제하는 효과는 있지만 모근의 성장과 관련한 발모 효과는 극히 미미하였으며, 탈모가 방지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투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사용한 모발 성장 촉진제나 발모제에 대한 관심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한약재 성분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 한약재 성분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성분과 달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식물 추출물에서 유래한 상당수의 발모제는 모발의 성장이나 탈모 억제에서 기대했던 것만큼 효과가 발휘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탈모를 억제하고 모근의 성장을 유도하는 동시에 인체에 아무런 부작용이 없는 발모제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 안정성이 양호하고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효과가 우수한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모근의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창포 뿌리를 열수 가열하여 얻은 창포 뿌리 추출액 30-40 중량부; 측백엽을 열수 가열하여 얻은 측백엽 추출액 20-30 중량부;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이 5:1 ~ 10:1의 중량비로 혼합된 흰 봉숭아를 열수 가열하여 얻은 흰 봉숭아 추출액 20-30 중량부; 및 흰 봉숭아 꽃잎 분말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발모제 조성물은 토코페롤 5-20 중량부, 아스코르브산 5-15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500-2000인 키토올리고당 5-15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10000인 푸코올리고당 5-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창포 뿌리를 열수 가열하여 창포 뿌리 추출액을 얻는 단계; 측백엽을 열수 가열하여 측백엽 추출액을 얻는 단계;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이 5:1 ~ 10:1의 중량비로 배합된 흰 봉숭아를 열수 가열하여 흰 봉숭아 추출액을 얻는 단계;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을 상기 얻어진 흰 봉숭아 추출액에 대하여 1:1 ~ 1:3의 중량비의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창포 뿌리 추출액 30-40 중량부, 측백엽 추출액 20-30 중량부,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이 첨가된 상기 흰 봉숭아 추출액 30-5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토코페롤 5-20 중량부, 아스코르브산 5-15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500-2000인 키토올리고당 5-15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10000인 푸코올리고당 5-10 중량부를 상기 천연 소재 발모제 조성물에 배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소재인 식물 추출액 및 식물 유래의 분말을 적절히 배합한 발모제 조성물 및 이러한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을 두피에 투여하면, 두피의 혈액 흐름을 촉진하고 두피의 노폐물을 제거함으로써 건강하고 깨끗한 두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이 발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천연 항산화제 및 면역 증강 물질 및 항균 작용을 하는 소재를 포함하여, 발모제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발모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천연 소재로 구성되는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 발모제 조성물
본 발명은 천연 소재로서 소정 중량 비율로 배합된 식물 추출액과 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 측백엽 열수 추출액, 흰 봉숭아 뿌리와 씨앗이 소정 비율로 배합된 흰 봉숭아 추출액 및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에는 천연 항산화제인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면역 증강 물질인 키토올리고당 및 푸코올리고당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1. 창포 뿌리 추출액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창포 뿌리 추출액은 창포 뿌리를 열수 가열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창포(Acorus calamus var . angustatus)는 천남성목 천남성과에 속하며 물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창포는 굵고 긴 뿌리줄기(근경)를 가지고 있으며, 60-90㎝ 정도로 성장하는데, 6-7 월경에 잎과 비슷한 형태의 꽃대 중간에 다수의 꽃이 뭉쳐 피어나 원기둥 형태의 꽃차례가 육수화서 형태로 핀다. 창포에는 피넨(Pinen), 캄펜(Camphen), 캄퍼(Campher), 칼라메놀(Calamenol) 등을 함유한 정유와 배당체인 아코린(Akorin)이 들어 있다.
창포 뿌리는 피부궤양, 비듬, 가려움증에 효과가 있으며, 소화불량, 설사 및 기관지염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로도 활용되었다. 특히 창포 뿌리는 콜레스테롤의 생성을 억제하여 혈압강하, 말초 혈관 확장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모근 세포로의 영양 공급과 산소 공급은 물론이고 모근 세포 인근의 혈관 확장을 통해서 탈모를 억제하고 모근 세포의 성장을 유도한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서 창포 뿌리 추출액은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 중에 30-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창포 뿌리 추출액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발모 효과와 탈모 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창포 뿌리 추출액의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후술하는 다른 성분의 배합 비율이 낮아져서 다른 성분과의 배합에 따른 상승(synergy)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2. 측백엽 추출액
측백나무과의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의 어린 가지와 잎을 의미하는 측백엽은 바늘잎 모양의 소엽이 겹쳐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 나고 중엽은 능형이다. 측백나무는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의 상록 교목으로서, 모든 나무들이 태양을 향해 있는데, 측백(側柏)만 홀로 서쪽을 향하고 있다 하여 그렇게 불려지고 있는데, 측백엽의 맛은 쓰고 밋밋하다. 예로부터 측백엽은 한약재의 성분으로 활용되었다. 측백엽은 혈열을 내려 코피, 토혈, 변혈, 소변출혈, 자궁출혈에 쓰이고 해수, 천식, 가래, 탈모, 지루성피부염, 외상출혈 등에도 사용된다.
약리적으로 측백엽은 출혈 시간 단축, 진해, 거담작용이 있고 혈압강하, 항균작용, 해수, 천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측백엽은 모발을 검고 굵게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몸에 열이 올라 생기는 탈모를 예방·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측백엽은 플라보노이드, 정유, 퀘세틴(quercetin), 아로만데린(aromanderin), 유기산, 히노키플라본, 미리세틴(myricetin), 히노키티올 등이 주성분으로서 모포 부활은 물론이고, 항균 및 살균 효과를 나타내어 모발의 건강을 지켜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백엽 열수 추출액은 발모제 조성물 중에 20-30 중량부로 포함된다. 측백엽 열수 추출액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모포 부활을 통한 발모 유도 및 탈모 억제를 달성하기 곤란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모포 부활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3. 흰 봉숭아 추출액 및 흰 봉숭아 꽃잎 분말
토종 봉선화라고도 불리는 흰 봉숭아(Garden Balsam)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무환자나무목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이다. 4-5월에 씨를 뿌리면 6월 이후에 꽃이 피기 시작하는데, 꽃은 2-3개씩 잎겨드랑이 달리고 통상으로 된 꿀주머니가 밑으로 굽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에는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이 일정 중량 비율로 혼합된 흰 봉숭아의 열수 추출액과, 흰 봉숭아의 꽃잎 분말이 소정 비율로 포함되어 있다.
흰 봉숭아의 뿌리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캠페롤(kaempferol)과 퀘세틴(quercetin) 성분이 다량 포함되고 있으며 그 외에 시아니딘모노글루코시드가 포함되어 있다. 흰 봉숭아의 씨앗(종자)에는 불포화도가 높은 파리나르산이 주성분인 지방산, 지방유, 에르고스테롤, 발사미나스테롤, 사포닌, 퀘세틴과 캠페롤의 배당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흰 봉숭아의 꽃잎에는 1,2,4-트리하이드록시나프탈렌-4-글루코시드, 캠페롤, 3-아라비노사이드 등이 포함되어 있다. 흰 봉숭아는 항균 작용, 항암 작용, 여드름, 종기, 혈액 순환 촉진, 무좀, 습진, 진통 작용, 류머티즘, 관절통 등에 효과가 있고, 특히 요통, 불임증, 생리불순, 대하, 적취, 어혈, 신경통, 신장결석, 변비 등에 효과가 탁월하다.
흰 봉숭아의 열수 추출액은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이 5:1 ~ 10:1의 중량비로 혼합된 흰 봉숭아 뿌리-씨앗을 열수 추출하여 얻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소정의 중량 비율로 배합된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의 열수 추출액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중에 20-3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된다.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을 얻기 위하여 배합되는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의 중량 비율을 5:1 ~ 10:1로 하고,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의 열수 추출물의 함량을 20-30 중량부로 조절함으로써, 탈모가 발생하는 두피 조직에서의 탈모를 억제하고 발모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흰 봉숭아 꽃잎이 첨가되는데, 흰 봉숭아 꽃잎은 분말 형태로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 중에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과 관련해서 평균 입경이 0.1-1.0㎛인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크기를 갖는 흰 봉숭아 꽃잎은 전술한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의 열수 추출액에 대하여 1:1 ~ 1:3의 중량비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중에 10-2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중에 흰 봉숭아 뿌리와 씨앗의 열수 추출액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고/이거나,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탈모가 발생하는 두피 및 그 주변 조직에서 혈관 확장으로 인한 탈모 억제 및/또는 발모 촉진 효과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흰 봉숭아 뿌리와 씨앗의 열수 추출액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고/초과하거나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유효 성분의 함량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타 성분으로 인한 발모 촉진 효과가 그만큼 저하될 수 있다.
4.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창포 뿌리 추출액, 측백엽 추출액, 흰 봉숭아 뿌리/씨앗 추출액 및 흰 봉숭아 꽃잎 분말 이외에도 천연 항산화제, 면역 증강 소재, 항균 소재를 더욱 포함한다.
먼저 비타민 E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은 천연에서 얻어진 것 또는 합성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α-, β-, γ- 및 δ-토코페롤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α-토코페롤 또는 γ-토코페롤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좋다.
이들 토코페롤은 항산화제로서 세포 내에서 산화되기 쉬운 물질, 예를 들어 세포막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하여 세포막의 손상 및 조직의 손상을 막는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고 발모를 촉진한다.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토코페롤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중에 5-20 중량부로 포함된다. 만약 토코페롤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두피 조직으로의 영양 공급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영양 공급 및 발모 촉진 효과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 오히려 다른 성분의 함량이 저하되어 이들 성분의 배합에 따른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토코페롤과 병용적으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은 비타민 C로도 알려져 있는데, 하나의 이중 결합에 2개의 하이드록시기가 결합된 엔디올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서 강력한 환원 효과를 가지며, 흑갈색 색소인 멜라민의 생성을 억제하는 미백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아스코르브산은 다른 성분들과의 상승 작용에 의하여 발모 및 두피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아스코르브산은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 중에 5-15 중량부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스코르브산을 5-15 중량부의 비율로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아스코르브산의 항산화 작용에 의하여 발모제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필수 성분인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 측백엽 열수 추출액,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 등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면서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키토올리고당은 갑각류의 껍질이나 곤충의 외골격, 연체동물, 버섯이나 균류의 세포벽에 다량 존재하는 천연 다당류인 키틴을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같은 알칼리 용액에 반응시켜 키틴의 단위체인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2번 탄소의 아세틸기를 제거하는 탈아세틸화 공정을 통해서 얻어지는 키토산의 부분 분해물이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키토산을 화학적 방법 또는 효소적 방법(키토산 가수분해효소)을 이용하여 고분자 다당류 형태의 긴 사슬을 끊어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2000인 키토올리고당을 얻을 수 있다.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적절한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키토올리고당을 사용할 수 있다.
키토올리고당은 물에 잘 녹고 흡수가 용이한데,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면역 강화, 상처 치유, 세포 재생, 항균 효과, 항암 효과 등의 다양한 기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2000인 키토올리고당은 두피 세포에서의 항염증 작용, 두피 세포의 피부 진정작용, 보습 작용을 통해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키토올리고당은 발모제 조성물 중에 5-15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푸코올리고당은 다시마, 미역, 톳과 같은 갈조류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푸코이단(fucoidan)의 부분 가수분해물이다. 황을 포함하는 산성 다당인 푸코이단은 L-푸코오스(L-fucose)에 에스테르화 황산을 주성분으로 하며 소량의 D-자일로오스(D-xylose), D-갈락토오스(D-galactose), 유론산(uron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있다. 푸코이단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거대 다당류인 푸코이단을 가수분해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10000인 푸코올리고당을 얻을 수 있다.
푸코올리고당은 항암 효과, 항혈전 효과 및 면역 증진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과 관련해서는 푸코올리고당은 두피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여 다른 성분들의 배합에 따른 탈모 억제 및 발모 유도 효과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푸코올리고당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중에 5-10 중량부로 배합될 수 있다. 푸코올리고당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푸코올리고당의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푸코올리고당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푸코올리고당의 배합에 의한 발모 촉진의 상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오히려 타 성분의 배합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 탈모 방지 및 발모(양모) 촉진을 개선할 수 있는 부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성분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인삼 등의 한방 약재 추출액, 그리고 염화카프로니움, 미녹시딜, 및 파라핀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배합 성분으로는 용제(희석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향료, 방부제, 살균제, pH 조정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용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두발 및 두피에 적합한 매질을 함유하는데, 예를 들어 수성, 수성/알코올성 또는 유성 용액, 수성, 수성/알코올성 또는 유성 겔 형태,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션(O/W) 또는 그 반대(W/O), 서스펜션, 마이크로캡슐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들 용제의 종류와 양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전체 발모제 조성물 중에 1-8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는 지방산글리세릴 또는 지방산알코올과 같은 에스테르계 유지, 파라핀이나 바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실록산과 같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또는 식물에서 유래한 유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유지 성분은 통상적으로 전체 발모제 조성물 중에 1-4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보습제는 모발에 보습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글리콜류나 락트산과 같은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콜레스테롤이나 콜레스테롤에스테르와 같은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 셀룰로오스나 덱스트린과 같은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와 같은 지용성 고분자 보습제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보습제는 발모제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는 발모제 조성물에 연화 성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에몰리엔트제는 발모제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술폰산염, 알일아미드황산염, 등과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영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우릴황산나트륨, N-라우로일살코실산나트륨, N-장쇄아실글루탐산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코폴리머 등의 음이온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계면활성제 발모제 전체 중량기준으로 0.1 ~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향료는 가용화제나 에탄올 등의 용매에 용해되어 본 발명의 발모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페파민트 오일계, 멘톨, 스피아민트 오일계, 카르본, 아니스오일계, 아니톨, 유칼립투스 오일계, 유칼립톨(1,8-시네올), 클로브 오일계, 유제놀, 윈터그린 오일계, 메틸실리케이트, 신나몬 오일계, 신나믹알데히드 및 기타 향료 성분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향료는 발모제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방부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및 디엠디엠 히단토인(DMDM Hydantoin)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부제는 발모제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살균제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살균제는 발모제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는 예를 들어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및 주석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pH 조정제는 발모제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01 ~ 2.0중량% 범위에서 포함되어 pH 6 ~ 8를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화장품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를 배합하여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등과 같이 액상, 에멀션, 오일, 왁스 등 다양한 형태로 조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성분, 창포근 열수 추출액, 측백엽 열수 추출액,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이 첨가된 흰 봉숭아 뿌리/씨앗 열수 추출액,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키토올리고당 및 푸코올리고당을 소정 비율로 배합하여, 모발의 손상을 보호하고 탈모를 방지함은 물론, 두피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고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우수한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B.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창포 뿌리를 열수 추출하여 창포 뿌리 추출액을 획득하는 단계(s110), 측백엽을 열수 추출하여 측백엽 추출액을 획득하는 단계(s120), 흰 봉숭아 뿌리와 씨앗이 소정 비율로 배합된 흰 봉숭아를 열수 추출하여 흰 봉숭아 추출액을 획득하는 단계(s130),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을 획득된 흰 봉숭아 추출액에 첨가하는 단계(s140), 각각 획득된 창포 뿌리 추출액, 측백엽 추출액 및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이 첨가된 흰 봉숭아 추출액을 소정 비율로 배합하는 단계(s150)와, 선택적으로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키토올리고당 및 푸코올리고당을 배합하는 단계(s160)을 포함한다.
창포 뿌리 추출액을 얻기 위해서(s110), 8-10월경에 창포 뿌리를 굴취하여 잔뿌리는 버리고 남은 뿌리를 물로 깨끗이 세정한다. 세정한 창포 뿌리를 적절한 크기, 예를 들어 2-5㎝ 정도의 크기로 절단한다. 필요하다면, 창포 뿌리를 절단하기 전이나 절단한 후에 창포 뿌리를 음지에서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다. 세정, 절단된 창포 뿌리를 물 1L에 대하여 대략 40-50g 정도로 넣고 2-4시간 정도 80-100℃의 물에서 가열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인 창포 뿌리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열수 추출 후 감압 농축을 통하여, 예를 들어 고형분의 함량이 60 ~ 85 중량%인 창포 뿌리 추출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창포 뿌리를 열수로 추출한 뒤, 트리에탄올아민(TEA) 등의 알칼리제를 첨가한 뒤, 올레인산이나 팔미트산과 같은 지방산을 혼합하여 pH7 정도로 중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측백엽 열수 추출액을 얻기 위하여(s120), 여름부터 가을, 예를 들어 8-10월경에 채취한 측백엽을 물로 깨끗이 세정하고 0.5-1㎝로 잘게 절단한다. 필요한 경우에 절단된 측백엽을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다. 절단된 측백엽 30-70g, 바람직하게는 40-60g을 물 1L에 넣고 80-100℃에서 2-3시간 가열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측백엽 열수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창포 뿌리 추출액과 마찬가지로, 필요한 경우 측백엽 열수 추출 후 감압 농축을 통하여, 예를 들어 고형분의 함량이 60 ~ 85 중량%인 측백엽 추출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측백엽을 열수로 추출한 뒤, 트리에탄올아민(TEA) 등의 알칼리제를 첨가한 뒤, 올레인산이나 팔미트산과 같은 지방산을 혼합하여 pH7 정도로 중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흰 봉숭아 추출액을 얻기 위하여(s130), 여름부터 가을, 예를 들어 7-9월경에 채취한 흰 봉숭아에서 뿌리와 씨앗을 분리한다. 흰 봉숭아의 뿌리와 씨앗을 물로 깨끗이 세정하고, 흰 봉숭아 뿌리는 대략 1-3㎝로 절단하고, 흰 봉숭아 씨앗은 파쇄기 등을 이용하여 분말 상태로 만든다. 필요한 경우에 흰 봉숭아의 뿌리와 씨앗은 음지에서 충분히 건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된 흰 봉숭아 뿌리와 분말 상태의 흰 봉숭아 씨앗을 5:1 ~ 10:1의 중량비로 배합하고, 이와 같이 배합된 흰 봉숭아 뿌리/씨앗 30-70g, 바람직하게는 40-60g을 물 1L에 넣고 80-100℃에서 2-3 시간 정도 가열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흰 봉숭아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창포 뿌리 추출액 및 측백엽 열수 추출액과 마찬가지로, 흰 봉숭아 뿌리와 씨앗이 소정 비율로 배합된 흰 봉숭아 열수 추출 후 감압 농축을 통하여, 예를 들어 고형분의 함량이 60 ~ 85 중량%인 흰 봉숭아 열수 추출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흰 봉숭아 뿌리와 씨앗이 배합된 흰 봉숭아를 열수로 추출한 뒤, 트리에탄올아민(TEA) 등의 알칼리제를 첨가한 뒤, 올레인산이나 팔미트산과 같은 지방산을 혼합하여 pH7 정도로 중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을 위에서 얻어진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에 첨가하기 위하여(s140), 채취한 흰 봉숭아에서 분리된 흰 봉숭아 꽃잎을 물로 깨끗이 세정하고, 음지에서 충분히 건조시킨다. 건조된 흰 봉숭아 꽃잎을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평균 입경이 0.1-1.0㎛로 분말 상태의 흰 봉숭아를 얻는다. 이와 같이 얻어진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을 위에서 얻어진 흰 봉숭아 뿌리-흰 봉숭아 씨앗 열수 추출액에 대하여 1:1 ~ 1:3의 중량비로 첨가한다.
전술한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 측백엽 열수 추출액,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이 첨가된 흰 봉숭아 뿌리-흰 봉숭아 씨앗 열수 추출액을 일정 비율로 배합한다(s150). 본 발명에 따르면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 30-40 중량부, 측백엽 열수 추출액 20-30 중량부, 흰 봉숭아 분말이 첨가된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을 30-5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한다. s140 단계에서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은 흰 봉숭아 뿌리-흰 봉숭아 씨앗 열수 추출액에 1:1 ~ 1:3의 중량비로 첨가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중에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은 10-20 중량부,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이 5:1 ~ 10:1의 중량비로 배합된 상태에서 얻어지는 흰 봉숭아 뿌리-흰 봉숭아 씨앗의 열수 추출액은 20-30 중량부로 함유된다.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 측백엽 열수 추출액,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이 첨가된 흰 봉숭아 뿌리/씨앗 열수 추출액을 혼합할 때, 필요에 따라 물(증류수) 및 유기 용매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희석제가 더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물/또는 용기 용매 등의 희석제는 발모제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1 ~ 80 중량부로 포함(희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등과 같은 C 1 - C4의 저급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과 같은 알킬렌 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 모노에틸 또는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의 모노에틸 에테르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의 모노에틸에테르, 그리고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에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 30-40 중량부, 측백엽 열수 추출액 20-30 중량부, 5-15 중량부의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이 1:1 ~ 1:3의 중량비로 첨가된 흰 봉숭아 뿌리/씨앗 열수 추출액 10-30 중량부 이외에도, 토코페롤 5-20 중량부, 아스코르브산 5-15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500-2000인 키토올리고당 5-15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1000-10000인 푸코올리고당 5-10 중량부를 더욱 배합할 수 있다(s160). 선택적으로 첨가되는 이들 성분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의약품 및/또는 화장품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기타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하 실시례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례 1 :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천연 소재로 이루어진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9월에 채취한 창포 뿌리를 물로 깨끗하고 세척하고 2-5㎝ 크기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창포 뿌리 45g을 물 1리터에 넣어 80-100℃에서 3시간 정도 중탕으로 가열하여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을 얻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측백엽을 물로 깨끗이 세척하고 0.5-1㎝로 잘게 절단한 뒤, 측백엽 50g을 물 1 리터에 넣어 80-100℃에서 2시간 30분 정도 중탕으로 가열하여 측백엽 열수 추출액을 얻었다. 흰 봉숭아 뿌리와 씨앗을 물로 세척한 뒤, 흰 봉숭아 뿌리 45g, 흰 봉숭아 씨앗 5g을 물 1리터에 넣어 80-100℃에서 2시간 30분 정도 중탕으로 가열하여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을 얻었다.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을 흰 봉숭아 추출액에 첨가하여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하기 표 1에 표시된 것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샴푸 제형의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례 2 :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표시된 것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키토올리고당(중량평균분자량 1000), 푸코올리고당(중량평균분자량 500)을 더욱 첨가하여 샴푸 제형의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례 :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례 2와 비교해서 흰 봉숭아 추출액과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발모제 조성물의 성분 및 함유량
성분 실시례 1 실시례 2 비교례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 40 30 40
측백엽 열수 추출액 30 20 30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
(흰 봉숭아 꽃잎 분말)
40(10) 40(20) -
γ-토코페롤 - 10 10
아스코르브산 - 10 -
키토올리고당 - 5 5
푸코올리고당 - 5 5
에탄올 수용액(95 중량%) 50 50 50
실크아미노산 5 5 5
계면활성제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5 5 5
코코아미드 프로필베타인 10 10 10
pH 조정제 구연산 0.2 0.2 0.2
방부제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0.1 0.1
살균제 트리클로로산 - - 2.0
보습제 프로필렌 글리콜 3 3 3
점증제 젠탄검 2 2 2
향료 페퍼민트 2 2 2
정제수 100 100 100
실험례 1 : 선호도 평가
피시험자 30명을 대상으로 30회(30일간, 1일 1회)에 걸쳐 실시례 1, 2 및 비교례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을 사용하도록 하여 세정능력, 가려움증, 모발의 위생상태, 거품의 양 그리고 헹굼 후 상쾌함 정도 등의 선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이 5점 만점으로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 평가 기준 >
1점 : 매우 불량; 2점 : 불량; 3점 : 보통; 4점 : 양호; 5점 : 매우 만족
선호도 평가 결과
평가 항목 실시례 1 실시례 2 비교례
세정능력 3.4 3.6 3.2
가려움증 3.3 4.2 2.6
모발의 위생상태 3.4 3.8 2.4
거품의 양 2.8 2.6 2.8
헹굼 후 상쾌함 3.4 3.9 2.5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모두 5개의 선호도 평가에서 비교례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키토올리고당 및 푸코올리고당을 더욱 첨가한 실시례 2의 경우가 실시례 1과 비교례에 비해 가려움증, 모발의 위생상태 및 상쾌함 등의 선호도에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례 2 : 발모 및 탈모 방지 능력 평가
탈모 증상이 있는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각 실시례 및 비교례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여 양모 효과 및 탈모 방지 효과를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대상자로는 일일 평균 탈모수가 100개 이상인 40 ~ 50세의 성인 남자 20명씩을 선정하여, 각 실시례 및 비교례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였으며, 사용방법은 6개월 동안 탈모 부위에 1일 2 ~ 3회 약 3㎖ 정도를 손가락으로 고루 바른 다음 충분히 흡수되도록 문질러 도포하게 하였다. 그리고 6개월 후 양모 및 탈모 여부를 다음과 같이 3점 만점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평가 기준 >
1점 : 효과 없음; 2점 : 보통; 3점 : 양호
양모 및 탈모 방지능 평가 결과
실시례 1 실시례 2 비교례
2.5 2.8 2.1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의 경우 비교례보다 양모 및 탈모 방지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키토올리고당 및 푸코올리고당을 더욱 첨가한 실시례 2의 경우가 실시례 1과 비교례에 비하여 발모 및 탈모 방지 능력에서 우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례 3 : 저장안정성 평가
상기 각 실시례 및 비교례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을 알루미늄제 용기에 넣고 상대 습도 60%, 온도 80℃의 고온 조건 하에서 5일간 보관하고, 이후 4℃의 저온 조건에서 2일간 보관하였다. 그리고 다시 상대 습도 60%, 온도 80℃의 고온 조건하에서 3일간 더 보관한 다음, 유리판에 부어 유동성(흘러내림)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유동성은 아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평가 기준 >
+ : 눅눅하고 유동성이 없음; ++ : 유동성이 낮지만,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음; +++ : 졸졸 흘러내려 유동성이 높음
저장 안정성(유동성) 평가 결과
실시례 1 실시례 2 비교례
++ +++ +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고온/저온/고온의 가혹한 조건에서 보관된 후에도 유동성을 가져 저장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토코페롤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한 실시례 2의 경우가 실시례 1 및 비교례에 비해 저장 안정성이 매우 양호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례에 기재된 발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례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Claims (4)

  1. 창포 뿌리를 열수 가열하여 얻은 창포 뿌리 추출액 30-40 중량부; 측백엽을 열수 가열하여 얻은 측백엽 추출액 20-30 중량부;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이 5:1 ~ 10:1의 중량비로 혼합된 흰 봉숭아를 열수 가열하여 얻은 흰 봉숭아 추출액 20-30 중량부; 및 흰 봉숭아 꽃잎 분말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모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모제 조성물은 토코페롤 5-20 중량부, 아스코르브산 5-15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500-2000인 키토올리고당 5-15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10000인 푸코올리고당 5-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는 발모제 조성물.
  3. 창포 뿌리를 열수 가열하여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을 얻는 단계;
    측백엽을 열수 가열하여 측백엽 열수 추출액을 얻는 단계;
    흰 봉숭아 뿌리와 흰 봉숭아 씨앗이 5:1 ~ 10:1의 중량비로 배합된 흰 봉숭아를 열수 가열하여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을 얻는 단계;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을 상기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에 대하여 1:1 ~ 1:3의 중량비의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창포 뿌리 열수 추출액 30-40 중량부, 측백엽 열수 추출액 20-30 중량부, 흰 봉숭아 꽃잎 분말이 첨가된 상기 흰 봉숭아 열수 추출액 30-5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하는 단계 이후 토코페롤 5-20 중량부, 아스코르브산 5-15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500-2000인 키토올리고당 5-15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10000인 푸코올리고당 5-10 중량부를 상기 발모제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40010199A 2014-01-28 2014-01-28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99A KR101417710B1 (ko) 2014-01-28 2014-01-28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99A KR101417710B1 (ko) 2014-01-28 2014-01-28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710B1 true KR101417710B1 (ko) 2014-07-09

Family

ID=5174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199A KR101417710B1 (ko) 2014-01-28 2014-01-28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7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33B1 (ko) 2016-04-25 2016-08-22 문준기 천연소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9872A (ko) 2015-03-13 2016-09-21 농업법인 주식회사 미산약초농장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76603B1 (ko) 2016-06-22 2016-11-15 조은숙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9097A (ko) 2018-08-13 2020-02-21 토탈바이오 주식회사 탈모방지 및 발모제 조성물
KR20230147784A (ko) 2022-04-14 2023-10-24 문홍희 천연발효제를 이용한 발모제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936A (ja) * 1997-01-13 1998-07-28 Shinichi Konuma 育毛剤
KR20080090186A (ko) * 2007-04-04 2008-10-08 김성철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KR100948204B1 (ko) 2009-06-23 2010-03-16 주식회사지피에이코리아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좀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7709B1 (ko) 2010-04-14 2011-02-2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936A (ja) * 1997-01-13 1998-07-28 Shinichi Konuma 育毛剤
KR20080090186A (ko) * 2007-04-04 2008-10-08 김성철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KR100948204B1 (ko) 2009-06-23 2010-03-16 주식회사지피에이코리아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좀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7709B1 (ko) 2010-04-14 2011-02-2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72A (ko) 2015-03-13 2016-09-21 농업법인 주식회사 미산약초농장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49933B1 (ko) 2016-04-25 2016-08-22 문준기 천연소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603B1 (ko) 2016-06-22 2016-11-15 조은숙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9097A (ko) 2018-08-13 2020-02-21 토탈바이오 주식회사 탈모방지 및 발모제 조성물
KR20230147784A (ko) 2022-04-14 2023-10-24 문홍희 천연발효제를 이용한 발모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710B1 (ko)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017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CN108685769A (zh) 一种复方中药乌发防脱洗发水及其制备方法
JPS61291523A (ja) ▲ざ▼瘡治療用組成物
KR101407659B1 (ko)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용 조성물
CN106137875B (zh) 一种组合物及面膜
CN111973523A (zh) 一种马齿苋抗敏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891083B1 (ko) 천연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37194B1 (ko) 한방 추출물과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07842B1 (ko) 냄새 제거용 항균성 조성물
KR102039718B1 (ko)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1333B1 (ko) 모낭충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27970B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1973496A (zh) 一种海藻保湿补水面膜及其制备方法
JP2007045734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20200031430A (ko) 모발 디톡스 및 펌 염색 크리닉을 위한 샴푸 조성물 및 시술방법
KR102323659B1 (ko)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KR20050072378A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9765A (ko)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US11571382B1 (en) Herbal shampoo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