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872A -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872A
KR20160109872A KR1020150035064A KR20150035064A KR20160109872A KR 20160109872 A KR20160109872 A KR 20160109872A KR 1020150035064 A KR1020150035064 A KR 1020150035064A KR 20150035064 A KR20150035064 A KR 20150035064A KR 20160109872 A KR20160109872 A KR 20160109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leaf
dry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분
Original Assignee
농업법인 주식회사 미산약초농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법인 주식회사 미산약초농장 filed Critical 농업법인 주식회사 미산약초농장
Priority to KR102015003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872A/ko
Publication of KR2016010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어성초, 자소엽, 녹차엽, 백수오, 및 박하를 선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변질부위를 제거하는 재료선별단계와, 선별된 재료를 건조하여 건어성초엽, 건자소엽, 건녹차엽, 건백수오뿌리, 건박하를 준비해 수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재료를 자루에 담아 정제수와 함께 농축기에 투입하여 재료 농축액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추출단계를 거친 재료를 압착하여 잔존 농축액을 분리하는 압착단계와, 농축액을 100℃ 이상에서 증류한 후 냉각하여 조성물을 수득하는 증류단계와, 조성물을 용기에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천연재료에 함유된 각종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유효성분 함유량을 극대화한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MPROVEMENT MATERIAL FOR HAIR GROWTH AND WHITE HAIR PREVENTIVE}
본 발명은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약초를 재료로 사용한 제조과정 상에서 약재에 함유된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유효성분 추출을 극대화함으로써 부작용이 없고 모발 상태의 개선 효과가 탁월한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사람의 머리카락 수는 평균 5만~7만개 정도이고 대략 한달에 1cm정도 자라며 2~6년 단위로 발모와 탈모를 반복하게 되어 계속 자라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머리카락은 하루에 약 70여개 정도가 자연적으로 빠지게 되는데 이보다 더 많은 100여개 이상 빠질 경우 병적인 원인에 의한 모발약화 또는 탈모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모발이 약화되는 원인은 다양한데 유전적인 원인과 남성호르몬에 의한 대머리화, 자가 면역 질환에 따른 원형탈모증,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일시적 탈모, 환경오염에 따른 자극에 노출되는 경우 등이 있으며 노화나 영양상태의 악화에 의해서도 모발이 약화될 수 있는데 이는 머리카락을 성장시키는 모낭 내 세포의 성장 및 소멸과정에서 생성되는 케라틴의 상태에 따라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거나 탈모가 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모발약화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탈모현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백모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백모는 일반적으로 노화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탈모와 마찬가지로 유전 또는 병적원인, 정신적 쇼크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모낭에 있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의 수와 기능 감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멜라노사이트가 사멸되면 백발이 된다.
이와 같은 모발약화에 따른 탈모 또는 백모현상은 자칫 자신감을 위축시키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저해하여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모발약화를 더욱 가속화하는 악순환을 유발하므로 최근에는 피부과나 성형외과 시술 또는 약물에 의한 치료를 통해 모발개선을 시도하는 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병원 시술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비교적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에는 혈압강하제 및 호르몬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상의 주의가 요구되며 장기간 복용을 지속해야 하므로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최근에는 천연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양한 모발개선제 및 치료법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등록특허 제10-1417710호에서는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이 공지된바 있어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창포 뿌리를 열수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와, 측백엽을 열수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와, 흰봉숭아 뿌리와 씨앗을 5:1 ~ 10:1의 중량비로 배합 후 열수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와, 흰봉숭아 꽃잎 분말을 상기 흰봉숭아 추출액에 대해 1:1 ~ 1:3의 중량비로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창포 추출액 30 ~ 40중량부와측백엽 추출액 20 ~ 30중량부와 흰봉숭아 꽃잎 분말이 첨가된 추출액 30 ~ 5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토코페롤과 아스코르브산, 키토올리고당, 푸코올리고당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록특허 제 10 - 1417710 - 0000 호 등록특허 제 10 - 1243059 - 0000 호 등록특허 제 10 - 1032954 - 0000 호 등록특허 제 10 - 0348155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창포, 측백엽, 봉숭아 등 천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에 의한 방식으로 추출액을 제조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제조방법은 식물성 천연 재료를 추출함에 있어 단순히 고온의 물로 가열하여 재료에 함유된 성분을 추출하는 방식이므로 추출과정에서 수용성 비타민을 포함한 다량의 유효성분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야기하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 추출과정에서 유효성분의 함유 비율을 증대시키 위해 추출시간을 장시간 지속할 경우 함유 성분의 변질이 가속화되며 반대로 추출시간을 단축시킬 경우 추출액의 농도가 적절하지 않아 사용성을 떨어뜨리고 효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등의 비타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제조과정에서 소실된 천연재료 본연의 유효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아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개선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어성초, 자소엽, 녹차엽, 백수오, 및 박하를 선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변질부위를 제거하는 재료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된 재료를 건조하여 건어성초엽, 건자소엽, 건녹차엽, 건백수오뿌리, 건박하를 준비해 수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된 재료를 자루에 담아 정제수와 함께 농축기에 투입하여 재료 농축액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단계를 거친 재료를 압착하여 잔존 농축액을 분리하는 압착단계와;
상기 농축액을 100℃ 이상에서 증류한 후 냉각하여 조성물을 수득하는 증류단계와;
상기 조성물을 용기에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천연재료에 함유된 각종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유효성분 함유량을 극대화한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유전적, 정신적, 환경적인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모발의 약화로 유발되는 탈모 또는 백모 현상을 예방하고 모발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천연에서 얻을 수 있는 각종 약재를 사용하여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조과정에서 원재료에 함유된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유효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함으로서 탈모 및 백모 발생을 억제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가짐은 물론이고 각종 화학적 합성물의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는 천연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항균, 항염 및 면역증강에 탁월한 어성초와, 해열 및 항균에 약리작용을 하는 자소, 노화억제와 관련한 체내 항산화작용을 돕는 녹차, 백모예방에 효능을 가진 백수오, 해열 및 소염 작용과 상쾌한 향기를 가진 박하 등의 다섯가지 천연 약재를 원료로 최적의 배합을 통해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육모를 촉진하고 두피와 모발을 청결하고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 전·후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미지.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 전·후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미지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엽, 백수오, 및 박하를 선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변질부위를 제거하는 재료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된 재료를 건조하여 건어성초엽, 건자소엽, 건녹차엽, 건백수오뿌리, 건박하를 준비해 수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된 재료를 자루에 담아 정제수와 함께 농축기에 투입하여 재료 농축액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단계를 거친 재료를 압착하여 잔존 농축액을 분리하는 압착단계와, 상기 농축액을 100℃ 이상에서 증류한 후 냉각하여 조성물을 수득하는 증류단계와, 상기 조성물을 용기에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선별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육모 및 백모예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다섯가지 천연 약재를 사용에 적합한 상태의 것으로 선별하는 단계이다. 각각의 약재가 가진 효능 및 특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어성초는 후추목 삼백초과의 식물로서 울릉도 등에서 자생하며 활용도가 높아 재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잎에서 생선 비린내와 같은 향이 난다고 하여 어성초로 불리우는데 예로부터 잎을 찧어 종기 등의 피부질환에 사용하면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민간요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여드름이나 지루성피부염, 아토피 등의 개선효과를 가지는 세안제,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어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약초이다. 어성초에는 데카노일 아세트 알데히드 등 각종 정유성분과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을 통해 각종 피부질환을 개선하며 모세혈관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으로서 두피건강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게 된다. 어성초는 줄기나 꽃보다 잎에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므로 잎을 선별채취한다.
상기 자소는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로 차조기라고도 칭하며 그 잎을 건조한 것을 자소엽이라고 한다. 자소엽에는 비타민과 무기질 뿐만아니라 안토시아닌계, 베타카로틴계 색소 등의 플로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며 페릴 알데히드 등 각종 정유성분을 포함한다. 동의보감에는 자소엽이 맛이 맵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신체의 찬 기운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좋게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어성초와 마찬가지로 정유성분과 풍부한 비타민, 무기질으로 인해 항균·항염 효능이 있어 탈모 개선에 효능을 가진다. 특히 자소엽과 어성초, 녹차를 함께 이용하면 그 효능이 배가될 수 있다.
상기 녹차엽은 가장 대중적인 약재로서 우리가 흔히 마시는 녹차에 사용되는 잎이다. 녹차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이 있어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녹차의 쓴맛을 내는 카테킨 성분에 의한 것이다. 항산화 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폴리페놀의 한 종류인 카테킨은 비타민 C보다 20배 이상의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다수의 실험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카테킨은 혈관의 건강상태를 증진하여 혈류량을 늘려주므로 신체기능 활성화에도 효능을 가진다. 이외에도 녹차는 외용할 경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모공을 청결하게 해주어 화장품의 제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백수오는 산백으로도 불리우며 주로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백수오의 함유 성분에 대한 보고는 아직 크게 알려진 바가 없으나 백수오 추출물을 이용한 효능 실험에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각종 호르몬 치료제의 대체제로 주목받고 있는 식물이다. 따라서 탈모의 원인이 되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불균형을 바로 잡아주는 에스트로겐과 유사 효능을 가진 백수오는 탈모 예방에도 효능이 있고 자양, 강장, 보혈 및 피부질환에도 효능이 있어 민간요법으로 널리 이용되는 약재이다.
상기 박하는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로 특유의 향을 가지고 강한 생명력으로 재배가 용이한 식물이다. 박하의 주성분은 멘톨이며 청량감과 향을 유발한다. 약성이 비교적 차가워 열을 내리며 종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이상의 약재를 선별한 후 건조하여 건어성초엽, 건자소엽, 건녹차엽, 건백수오뿌리, 건박하로 준비하고 상기 세척단계에서 정제수를 이용해 수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추출단계에서는 다섯가지 약재를 저온진공법을 이용하여 재료 농축액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척된 약재를 건어성초엽 2 ~ 8중량%와, 건자소엽 1 ~ 4중량%와, 건녹차엽 1 ~ 4중량%와, 건백수오뿌리 1 ~ 4중량%와, 건박하 1 ~ 4중량%로 배합하고 정제수 80 ~ 92중량%를 첨가하여 추출단계를 실시한다. 아울러, 추출단계는 90℃ ~ 95℃에서 12 ~ 15시간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도록 한다.
상기 저온진공법은 용매로 사용되는 물이 진공도 및 적용되는 온도에 따라서 용질로부터 증발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진공상태에서 100℃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할 경우 물만 증발하게 되므로 용질로 사용된 상기 다섯가지 약재 성분을 농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열수 농축방식이 상압상태에서 가열하여 진행되므로 비타민 등의 영양성분 손실 및 유효성분의 활성 저하와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과 대조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추출단계에서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90℃ ~ 95℃ 온도범위에서 12 ~ 15 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최적의 결과물을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주지한다.
상기 압착단계는 추출단계를 거친 재료를 압착하여 자루내의 약재로부터 잔존 농축액을 분리하여 수득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증류단계는 압착단계를 통해 수득한 농축액을 끓여 기체화한 후 냉각하여 액상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농축액 내에 함유된 기타 불순물을 제외한 순수 농축 성분만을 분리해내기 위해 증류방식을 통해 농축액을 100℃ 이상으로 가열한 후 증발하는 기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0℃ ~ 10℃의 냉각수를 이용해 냉각시킴으로서 조성물을 생성한다. 상기 포장단계에서는 조성물을 용기에 담아 밀봉하여 포장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실시 예 구성하고 사용예를 통해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 면밀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 제조.
상기 재료선별단계를 통해 어성초, 자소엽, 녹차엽, 백수오, 및 박하를 선별 채취한후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상기 선별된 재료를 건조하여 건어성초엽, 건자소엽, 건녹차엽, 건백수오뿌리, 건박하를 준비하고 세척단계에서 정제수를 이용해 수세척한다. 세척된 다섯가지 약재는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최적의 배합비로 자루에 담아 재료 농축액을 추출한다.

재료

건어성초엽

건자소엽

건녹차엽

건백수오
뿌리

건박하

정제수

배합비
(중량%)

4

2

2

2

2

88
상기 추출단계의 실시 조건은 90℃에서 15시간 동안 진공상태로 추출하며, 추출단계를 거친 재료를 압착단계를 통해 잔존 농축액을 분리하고 증류단계를 실시한다. 증류단계에서는 농축액을 100℃ 이상으로 가열해 기체화하고 증기의 이송과정에서 10℃이하의 냉각수로 냉각하여 순수한 액상의 조성물을 수득한다. 조성물을 포장단계를 통해 포장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마친다.
<사용 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두피 상태 비교 실험.
상기 실시 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두피에 도포하고 사용전과 후의 두피 상태를 비교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낸 예시이미지와 같다. 조성물의 사용전 과도한 피지와 각질 등으로 오염된 상태를 보였으나 조성물의 사용 후 두피가 확연히 청결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 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에 걸쳐 두피에 사용한 전과 후 비교 실험.
상기 실시 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두피에 일정기간 반복하여 도포하며 구체적인 도포방법은 머리를 감은 후 물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조성물을 두피의 필요 부위에 적당량 뿌린 후 두드리거나 문질러 흡수시킨다. 사용전과 후의 두피 상태를 비교한 결과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예시이미지와 같다.
피실험자는 모두 탈모 상태가 눈에 띄게 진행된 상태로 도 3 및 도 4는 약 3개월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후 모습이며, 도 5는 약 6개월 동안의 사용 전·후 모습으로서 현저한 탈모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천연에서 얻을 수 있는 약재를 이용하여 재료에 함유된 영양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유효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하여 모발의 건강상태를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가진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항균, 항염 및 면역증강에 탁월한 어성초와, 해열 및 항균에 약리작용을 하는 자소와, 노화억제와 관련한 체내 항산화작용을 돕는 녹차와, 백모예방에 효능을 가진 백수오, 및 해열 및 소염 작용과 상쾌한 향기를 가진 박하 등의 다섯가지 천연 약재를 원료로 최적의 배합을 통해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탈모 및 백모의 발생을 억제하고 육모를 촉진하며 두피와 모발을 청결하고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해당 없음.

Claims (3)

  1. 어성초, 자소엽, 녹차엽, 백수오, 및 박하를 선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변질부위를 제거하는 재료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된 재료를 건조하여 건어성초엽, 건자소엽, 건녹차엽, 건백수오뿌리, 건박하를 준비해 수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된 재료를 자루에 담아 정제수와 함께 농축기에 투입하여 재료 농축액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단계를 거친 재료를 압착하여 잔존 농축액을 분리하는 압착단계와;
    상기 농축액을 100℃ 이상에서 증류한 후 냉각하여 조성물을 수득하는 증류단계와;
    상기 조성물을 용기에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는 건어성초엽 2 ~ 8중량%와, 건자소엽 1 ~ 4중량%와, 건녹차엽 1 ~ 4중량%와, 건백수오뿌리 1 ~ 4중량%와, 건박하 1 ~ 4중량%로 배합하고 정제수 80 ~ 92중량%를 첨가하여 추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90℃ ~ 95℃에서 12 ~ 15시간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035064A 2015-03-13 2015-03-13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109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064A KR20160109872A (ko) 2015-03-13 2015-03-13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064A KR20160109872A (ko) 2015-03-13 2015-03-13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872A true KR20160109872A (ko) 2016-09-21

Family

ID=5708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064A KR20160109872A (ko) 2015-03-13 2015-03-13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8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40A1 (ko) * 2016-10-21 2018-04-26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155B1 (ko) 2000-04-28 2002-08-09 김상묵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1032954B1 (ko) 2009-04-23 2011-05-09 최형근 천연한방 발모제 조성물
KR101243059B1 (ko) 2010-04-14 2013-03-13 김종완 발모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모제
KR101417710B1 (ko) 2014-01-28 2014-07-09 (주)유포니어스컴퍼니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155B1 (ko) 2000-04-28 2002-08-09 김상묵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1032954B1 (ko) 2009-04-23 2011-05-09 최형근 천연한방 발모제 조성물
KR101243059B1 (ko) 2010-04-14 2013-03-13 김종완 발모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모제
KR101417710B1 (ko) 2014-01-28 2014-07-09 (주)유포니어스컴퍼니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40A1 (ko) * 2016-10-21 2018-04-26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059B1 (ko)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668944B2 (en) Topical oil for treating physical ailments and method for making and applying the same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KR20080108718A (ko)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1714425B (zh) 用于改善头皮及头发状态的洗发剂组合物
CN103652203A (zh) 一种金花葵花袋泡茶及生产方法
US2017004983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KR20110060238A (ko) 잇몸에 좋은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1059B1 (ko) 삼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60710B1 (ko) 구기자, 녹차, 국화, 율무, 생강, 오미자, 감잎, 민들레, 귤피, 모과, 대추, 산수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개선 및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4491A (ko) 천연성분을 이용한 모발자극 완화 조성물
CN105495620A (zh) 一种同时具有免疫增强及降血脂功能的植物提取物组合物
JP2001322944A (ja) 漢方健康飲料およびこれに用いる抽出処理方法
CN112773748A (zh) 治疗脂溢性脱发的中药洗发水及其应用
KR20160109872A (ko)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860939B (zh) 健胸调理复方精油
KR20090123430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음료 조성물
CN107227205A (zh) 一种黄秋葵精油的制备方法
KR20110029280A (ko) 한방비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