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679B1 -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679B1
KR101417679B1 KR1020130126492A KR20130126492A KR101417679B1 KR 101417679 B1 KR101417679 B1 KR 101417679B1 KR 1020130126492 A KR1020130126492 A KR 1020130126492A KR 20130126492 A KR20130126492 A KR 20130126492A KR 101417679 B1 KR101417679 B1 KR 101417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sdt
terminal
information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에스
Priority to KR102013012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기 전, 차량이 지정 차로를 주행하지 않거나, 과속하거나, 주차 위반하거나 또는 차량이 지그재그(Zigzag) 패턴의 주행을 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보험 요율을 변경하거나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발부하며, 이를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통보함으로써 운전자가 스스로 안전운전 하도록 유도하며, 이때 차량에 탑재되는 VSDT 단말기, 보험사 서버 및 관계기관 서버 사이에서 발생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비용은 이동통신사와 배분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방지에 따른 통신비용을 배분하고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VSDT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고 방지에 대한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VSDT device for detecting lane Violation and Communication fee Pay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행 차선을 위반하는 경우, 차선 위반 여부, 지그재그(Zigzag) 패턴의 주행 차량, 주차위반 차량 및 차량 과속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사고예방정보를 작성하여 보험사 서버 또는 차량 사고처리를 담당하는 관계기관 서버로 통보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하기 이전에 차량에 대한 합리적인 보험 요율을 적용토록 함은 물론, 보험 요율의 변경과 범칙금 스티커를 차량에 발부 및 통보함으로써 차량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예방정보를 송수신할 때 발생하는 통신비용을 과금하는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사고 및 보험 처리를 위한 블랙박스는 운전석 기준으로 전방, 후방, 좌우 측방에 대해 카메라를 장착하고,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촬상하여 메모리에 저장해 두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촬상된 영상을 경찰서 또는 법원과 같은 관계기관에 제출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는 차량 운전자가 타 차량에 의해 사고를 당했을 경우에는 보험 처리를 하거나 사고 책임소재를 판별하는 데는 유효하나, 운전자의 차량이 과속하거나, 차선 위반을 하는 경우 효용성이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블랙박스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사고 책임을 따지는데 유용하나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측면에서는 효용성이 적은 것이다.
기존에 제안된 차량 사고 및 보험 처리장치는 차량에 부착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관계기관에 통보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2-0051403의 경우 블랙박스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Wi-Fi 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예컨대 CDMA 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차량용 올인원(All-In-One) 단말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공개특허 10-2012-0051403은 차량에 충격센서를 장착하고, 장착된 충격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속도 및 현재시간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Wi-Fi 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보험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10-2012-0051403은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블랙박스, 네비게이터, 및 DMB 장치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통보하는 방식이므로, 정작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사고예방정보를 보험사 서버 또는 관계기관 서버로 제공하고, 보험사 서버나 관계기관 서버로부터 보험요율 변경 및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발부토록 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송부함으로써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더하여, 차량이 주차위반을 하는 경우, 또는 차량이 과속하거나 지그재그 패턴 주행을 하는 경우에도 보험 요율을 변경하거나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차량 운전자에게 송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고 처리를 위한 것보다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데 주 요지가 있으며, 사고 방지는 법규 위반에 대해 차량 운전자에게 패널티를 통보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GPS 위치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차선 위반 또는 끼어들기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통신사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 차량에 탑재되는 VSDT(Vehicle Safe Driving Transmission)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는 VSDT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각 차량별 VSDT 단말기를 통해 차량별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각 차량의 시간대별 이동 궤적을 분석하여 끼어들기 위반 차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의 VSDT 단말기로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사고예방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고예방정보를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에 대한 보험을 처리하는 보험사 서버 또는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에 대한 사고처리 또는 범칙금을 징수하는 관계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에 의해 상기 VSDT 단말기, 상기 보험사 서버, 또는 상기 관계기관 서버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비용을 상기 이동통신사와 배분하는 통신비용 배분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차량과 제2차량에 각각 탑재되는 제1VSDT(Vehicle using Speed Data Transmission) 단말기 및 제2VSDT 단말기와 이동통신사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접속되어 차량의 차선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VSDT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VSDT 단말기와 상기 제2VSDT 단말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VSDT 단말기와 상기 제2VSDT 단말기가 도로 주행 방향 대비 주행 순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VSDT 단말기와 상기 제2VSDT 단말기의 주행 순서가 동일 차선 내에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주행 순서를 변경한 차량을 차선 위반으로 판단하고, 차선 위반으로 판단된 차량에 대한 사고처리 또는 범칙금을 징수하는 관계기관 서버 및 보험사 서버 중 적어도 일 측에 주행 위반 여부를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차선 위반으로 판단된 차량, 상기 관계기관 서버 및 상기 보험사 서버 사이에 발생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비용을 상기 이동통신사와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통신비용 배분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기 전, 차량이 지정 차로를 주행하지 않거나, 과속하거나 또는 차량이 지그재그(Zigzag) 패턴의 주행을 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보험 요율을 변경하거나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발부하며, 이를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통보함으로써 운전자가 스스로 안전운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차량에 탑재되는 VSDT 단말기, 보험사 서버 및 관계기관 서버 사이에서 발생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비용은 이동통신사와 배분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방지에 따른 통신비용을 배분하고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VSDT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고 방지에 대한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시스템 및 비용 배분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은 맵 정보 및 지형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차량의 차선 위반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은 차량의 지그재그 패턴 주행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과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VSDT 단말기(100)가 차량에 설치되는 영상장치(예컨대 네비게이터, 카메라 및 블랙박스)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VSDT 장치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사고예방정보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차량의 주차위반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차량의 끼어들기 위반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교차로에서의 끼어들기 위반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차선 위반"은 도로의 차선이 복수인 경우, 저속 주행차량이 올바르지 않은 차선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경우를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편도 4차선인 도로에서 대형 화물차는 1차선과 2차선으로 주행이 금지되며, 대한민국 도로교통법 "제20"조를 살펴보면,
"제20조(진로 양보의 의무) 모든 차(긴급자동차는 제외한다)의 운전자는 뒤에서 따라오는 차보다 느린 속도로 가려는 경우에는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로 피하여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다만, 통행 구분이 설치된 도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고 명시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 편도 4차선에서 1차선은 추월차선이고, 2차선은 승용차 및 승합차의 주행차선이고, 3차선과 4차선은 승합차, 트럭 및 건설기계 주행차로로 이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차선 위반은 화물차량이 3차선이나 4차선을 이탈하여 1차선이나 2차선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버스 전용차선을 일반 승용차나 승합차가 주행하는 경우, 이 또한 차선 위반에 해당될 수 있다.
기타, 도로교통법에서 제정한 규정에 따른 차선을 이용하지 않는 차량은 차선 위반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차선위반은,
- 도로에서의 차량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차량을 후행하는 차량이 추월하는 경우,
- 동일 차선에서 후행하는 차량이 선행하는 차량의 전방으로 끼어드는 경우,
교차로에서 차량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 기준거리(예컨대, 30미터 또는 100미터) 이내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선으로 끼어드는 경우 또한 차선 위반이라 지칭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차선위반이라 함은 도로상에서 직접적인 사고가 발생하지는 않았더라도, 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존재하는 교통 법규 위반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차선 관련 교통 법규는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차선 위반은, 대한민국 도로교통법 제20조에 따른 것만이 아니라, 복수의 차선 중 주행해서는 안되는 차선을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VSDT 단말기는, Vehicle using Speed Data Transmission의 약어로서, 차량의 GPS 위치정보, 차량의 속도,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 및 기울기 등을 검출하여 차량의 안전운전 여부를 판단하거나 차량에 대한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VSDT 단말기는 GPS 센서를 구비하며, GPS 센서에서 측정되는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올바른 차선으로 이동하는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보험사 서버 또는 차량 사고와 범칙금 발부를 처리하는 관계기관 서버로 통보할 수 있다.
그러나, VSDT 단말기는 차량에 대한 사고발생 여부를 통보하는 것을 핵심 기능으로 하지 않으며, 오히려 차량에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경우 이를 보험사 서버나 관계기관 서버로 통보하고, 보험 요율 및 범칙금 발부 내역을 VSDT 단말기나 차량 운전자에게 통보하여 차량 운전자가 스스로 과속이나 차선 위반을 더 이상 하지 않도록 유도하는데 더 큰 주안점을 둔다. 물론, VSDT 단말기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 내역을 관계기관 서버 및 보험사 서버로 통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VSDT 단말기는 아래의 각 호에 따른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1) 차량에 내장되는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와 별개의 장치로서 ECU와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한국 공개특허 10-2012-0051403에 언급되는 차량용 올인원 단말장치와 차별되는 특징 중 하나에 해당한다.
2) VSDT 단말기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이외에도, 차량의 " 사고 예방에 주안점을 두는 특징" 이 있다.
예컨대, VSDT 단말기는 차량이 과속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를 차량 사고 및 범칙금을 발부하는 경찰, 및 관계기관 서버로 제공하고, 그에 대한 처리 결과를 차량 운전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스스로 과속을 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공개특허 10-2012-0051403에 언급된 올인원 단말장치와 차별되는 특징으로서, 사고 발생 그 자체를 통보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VSDT 단말기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예방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바라보아야 하는 것이다.
3) 또한, VSDT 단말기는 차량 내부에 내장되며, 박스 형태, 또는 단말기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운전자의 손길이 잘 닿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VSDT 단말기를 운전자가 손쉽게 조작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배분금"은 이동통신사와 VSDT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이 통신비를 분배한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VSDT 단말기가 보험사 서버나 경찰청 서버와 같은 관계기관 서버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데, VSDT 단말기와 보험사 서버(또는 관계기관 서버)는 무선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통신비를 유발하게 된다. 이때, 이동통신사 측은 VSDT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에게 통신비의 일부를 피드백할 수 있으며, 이를 배분금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배분금을 통해, VSDT 서비스를 제공하는 VSDT 서비스 제공자는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VSDT 단말기를 차량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VSDT 서비스 제공자는, VSDT 단말기를 차량에 공급하는 공급업자, 유통업자, 운용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자 중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지형정보는 도로 또는 도로 주변에 가설되는 가이드 레일, 중앙분리대, 도로주변의 지표 건물(예컨대 휴게소) 및 기타 도로 구조물(예컨대 과속 감지장치, 도로 표지판, 표지(예컨대 속도제한 표지)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시스템 및 비용 배분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VSDT 단말기(100)는 차량(10)에 탑재되며, GPS 수신기를 구비하고,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10)의 GPS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GPS 위치정보를 토대로 VSDT 단말기(100)는 차량(10)이 올바른 차선으로 주행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때, VSDT 단말기(100)는 도로에서 주행 가능한 차선의 정보를 구비하는 맵 정보와, GPS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차량(10)이 현재 운행중인 도로에서 주행 가능한 차선과 주행 불가한 차선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맵 정보는 도로에서 차량(10)이 주행 가능한 차선과 주행 불가한 차선을 구분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맵 정보는 차량(10)이 주행 가능한 차선이 도로의 몇 차선인지, 도로 교통법에 따라 차량(10)이 주행해서는 안되는 차선이 몇 차선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VSDT 단말기(100)가 맵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량(10)이 주행중인 도로의 위치를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VSDT 단말기(100)는 차량의 차선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맵 정보를 내장하거나, 또는 맵 정보를 구비하는 네비게이터와 연결되어 네비게이터를 통해 맵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VSDT 단말기(100)는 차량(10)이 차선 위반을 하는 경우, 차선 위반 여부, 차선 위반이 발생한 위치의 GPS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고예방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고예방정보를 VSDT 서버(200)로 제공하거나 보험사 서버(300) 및 관계기관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VSDT 단말기(100)에서 보험사 서버(300)로 사고예방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보험사 서버(300)는 해당 차량(10)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험요율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를 차량(10) 운전자의 휴대단말기(20)로 통보할 수 있다.
만일, VSDT 단말기(100)가 관계기관 서버(400)로 사고예방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관계기관 서버(400)는 차량(10)에 대한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생성하고 이를 차량(10) 운전자의 휴대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보험사 서버(300) 및 관계기관 서버(400)에서 각각 보험 요율과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운전자의 휴대단말기(20)로 전송하면, 운전자는 휴대단말기(20)를 통해 차량(10)의 보험 요율이 상승한 것과,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는 운전자 스스로가 차량(10)의 안전 운행을 위해 차선 위반을 자제토록 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마찬가지로, 차량(10)이 주행중인 도로에서 과속을 하거나, 지그재그 패턴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VSDT 단말기(100)는 사고예방정보를 작성하여 보험사 서버(300) 또는 관계기관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보험사 서버(300)와 관계기관 서버(400)에서 각각 보험 요율 정보와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가 제공되므로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반면, 차량(10)이 끼어들기 위반을 하는 경우, 차량(10)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100)가 스스로 끼어들기를 판단하기 곤란한 측면이 있으므로, 이 경우, VSDT 서버(200)가 차량(10)으로부터 일정 주기(예컨대 수초 내지 수십 초)마다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GPS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차량(10)이 타 차량을 앞지르거나, 실선이 그어진 도로의 차선에서 차선을 변경하거나, 또는 교차로에서 사전에 차선 변경을 해 두지 않은 경우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100)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번호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관리와 식별의 용이함을 위해 별도의 무선 통신번호를 이용할 수있다. 무선 통신번호는 차량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100)에 할당되는 고유의 전화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 부여되는 것과 유사한 구조의 이동통신 번호를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에서 운용되는 휴대단말기의 번호체계는 010-XXXX-XXXX와 같은 형태이고, 차량(10)에 부여되는 무선 통신번호는 700-XXXX-XXXX와 같은 형태 또는 501-XXXX-XXXX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언급된 무선 통신번호의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일 뿐, 다양한 번호체계를 가질 수 있으며, 예시된 번호 체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사고예방정보는 무선 통신번호는 차량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100)에 할당되는 고유의 전화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 부여되는 것과 유사한 구조의 이동통신 번호를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에서 운용되는 휴대단말기의 번호체계는 010-□□□□-□□□□와 같은 형태이고 이와 구별되도록 하기 위해, 차량(10)에 부여되는 무선 통신번호는 700-□□□□-□□□□와 같은 형태 또는 501-□□□□-□□□□과 같은 형태로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기재한 무선 통신번호의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일 뿐, 다양한 번호체계가 가능할 수 있으며, 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사고예방정보를 이용하여 차선을 위반한 차량(10)의 보험 요율을 변경하고,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발부하고자 하면, 차량(10)의 소유자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차량(10)과 차량 소유자의 매칭은
1) VSDT 단말기(100)에서 작성되는 사고예방정보에 포함시켜 차량(10)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매칭하는 방법과,
2) VSDT 서버(200)에서 매칭하는 방법이 있다.
VSDT 단말기(100)에서 매칭하는 1)의 방법은, 사고예방정보에 차량 정보와 차량 소유자 정보를 함께 포함시켜 차선을 위반한 차량을 식별함과 동시에,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발부할 대상(차량 소유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VSDT 단말기(100)는 차량 정보와 차량 소유자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코드 체계가 요구되는데, 바람직하게는 QR 바코드(Quick Response bar cod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QR 바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차량 정보와 차량 소유자 정보는 하나의 QR 바코드에 포함되므로 차량 정보와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위해 별도의 데이터 필드(field)를 부여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 QR 바코드의 형태로 구현하지 않는 경우, 차량(10)에 대한 데이터 필드와 차량 소유자에 대한 데이터 필드가 따로 요구될 수 있다.
한편, 관계기관 서버(400)나 보험사 서버(300)에서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차량(10) 운전자의 휴대단말기(20)로 송부하거나 보험 요율 변경을 통지하는 경우, 차량 운전자가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 발부나 보험 요율 변경에 반발하여 차선 위반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차량(10) 운전자에게 발부하거나 보험 요율을 변경하는 근거가 요구되며, 그 근거로서 차선 위반 사실을 입증할 영상정보가 요구된다. 영상 정보는 VSDT 단말기(100) 또는 VSDT 서버(200)에서 보험사 서버(300)나 관계기관 서버(400)로 제공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3) 차량(10)이 차선 위반 시, 차량(10)의 전방이나 측방을 향하는 카메라의 영상을 사고예방정보에 결합하는 방법, 이 경우, 영상 정보는 VSDT 단말기(100)에서 생성된다.
4) 차량(10)이 차선 위반 시, VSDT 서버(200)가 GPS 위성(30)으로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GPS 위성(30)에서 영상정보를 획득한 후, VSDT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사고예방정보에 결합하는 방법, 이 경우 영상 정보는 VSDT 서버(200)에서 생성된다.
3)의 방법에 따라 영상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VSDT 단말기(100)는 차량(10)의 전방 또는 측방을 촬상하기 위한 별도의 카메라와 연결되거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블랙박스와 AV(Audio and Video) 케이블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블랙박스를 통해 차량(10)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4)의 방법에 따라 영상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VSDT 단말기(100)는 별도의 카메라가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VSDT 단말기(100)에서 작성되는 사고예방정보에도 영상정보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VSDT 서버(200)는 VSDT 단말기(100)로부터 사고예방정보를 수신한 후, GPS 위성(30)에 영상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정보를 사고예방정보에 결합한 후, 보험사 서버(300) 또는 관계기관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VSDT 서버(200)는 사고예방정보에 포함되는 GPS 위치정보를 GPS 위성(30)에 제공하고, GPS 위성(30)에 실시간 영상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여야 한다.
VSDT 서버(200)는 바람직하게는 위성영상 획득모듈(206), 사고예방정보 결합모듈(210), VSDT 식별모듈(220), VSDT 정보 분류모듈(230), 전송모듈(240), 배분모듈(25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성영상 획득모듈(206)은 차량(10)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100)에서 사고예방정보가 전송될 때, 사고예방정보에 포함되는 GPS 위치정보를 GPS 위성(30)으로 제공하여 GPS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GPS 위성(30)으로부터 GPS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만일, VSDT 단말기(100)가 차량(10)에 내장되는 영상촬상장치, 예컨대, 카메라, 캠코더 및 블랙박스로부터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경우에는 위성영상 획득모듈(206)은 불필요할 수 있다.
사고예방정보 결합모듈(210)은 위성영상 획득모듈(206)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를 사고예방정보에 결합할 수 있다. 영상정보와 결합된 사고예방정보는 전송모듈(240)을 통해 보험사 서버(300) 또는 관계기관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VSDT 분류모듈(230)은 VSDT 단말기(100)로부터 사고예방정보를 수신하며, VSDT 단말기(100)를 통해 획득한 사고예방정보를 분석하여 차량(10)의 차선 위반여부, 과속 여부, 지그재그 주행 여부, 및 기타 차량에 발생한 사고(충돌 사고, 접촉사고, 전복 사고 등)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차량(10)에 충돌사고, 과속, 및 전복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VSDT정보 분류모듈(230)은 전송모듈(240)을 통해 차량(10)에 발생한 사고 유형을 관계기관 서버(400)나 보험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차량(10)에 사고가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차량(10)이 일정 횟수(예컨대 1회 내지 20회) 이상 과속을 하는 경우(타 교통 법규는 위반하지는 않은 경우), 전송모듈(240)을 통해 보험사 서버(300)로 통보함으로써, 보험사로 하여금 해당 차량의 보험 요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VSDT 식별모듈(220)은 차량(10)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100)가 VSDT 정보 분류모듈(230)에 접속할 때의 무선통신 번호를 참조하여 VSDT 단말기(100)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VSDT 식별모듈(220)은 별도의 VSDT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는데, VSDT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고예방정보를 전송한 VSDT 단말기(100)의 차량 번호 및 차량 소유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검색된 차량 정보를 참조하여 VSDT 식별모듈(220)은 차량 번호와 사고 코드를 전송모듈(240)로 제공하고, 전송모듈(240)은 차량 번호와 사고 코드를 관계기관 서버(400)나 보험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VSDT 테이블은, 차량에 할당되는 무선 통신번호 - 차량 정보 - 차량 소유자 정보가 매칭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배분모듈(250)은 사고예방정보를 토대로 VSDT 단말기(100)에 의해 유발되는 무선 통신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무선 통신시간을 토대로 통신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통신 비용은 사전에 이동통신사와 협의된 바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시간에 단위 시간(예컨데 1초)당 통신 비용을 승산하여 전체 통신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비용은,
5) VSDT 단말기(100)에서 VSDT 서버(200)로 사고예방정보가 전송될 때,
6) VSDT 서버(200)에서 관계기관 서버(400) 또는 보험사 서버(300)로 사고예방정보가 전송될 때,
7) 관계기관 서버(400)에서 온라인 범칙금 발부 스티커(웹 페이지 형태 또는 파일 형태)가 VSDT 서버(200)로 제공되거나, 보험사 서버(300)에서 보험 요율의 조정 결과를 VSDT 서버(200)에 통보할 때, 및 이후, VSDT 서버(200)에서 이를 차량(10) 소유자의 휴대단말기(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및 PDA 등)로 전송할 때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관계기관 서버(400)에서 차량(10) 소유자의 휴대단말기(20)로 온라인 범칙금 발부 스티커를 발송할 때와, 보험사 서버(300)에서 차량(10) 소유자의 휴대단말기(30)로 보험 요율 조정결과를 통보할 때는 VSDT 서버(200)가 관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60)만이 무선 통신에 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VSDT 서버(200)는 4번의 통신 과정 중 3번의 무선 통신에만 개입할 수도 있으며, 3번의 통신 과정에 대해서만 통신 비용을 산출하여 이동통신사와 통신비를 배분할 수도 있는 것이다.
통신 비용은 매달, 매주, 또는 일일 단위로 산출되어 배분되고 배분 될때마다 VSDT 서버(200)에 대해 설정된 계좌로 이동통신사 측에서 배분금을 지급할 수도 있다. 배분금은 전술한 대로, 0.001% 내지 50% 선에서 결정될 수 있으나, 이보다 더 적은 비율이거나, 또는 더 많은 비율이 책정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10)에 내장되는 VSDT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차량(10)에 대한 사고 발생 여부를 관계기관 서버나 보험사 서버로 통보함에 따라, 도로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무인 CCTV 카메라 중 상당수는 불필요할 수 있다. 차량(10) 스스로가 차량(10)의 난폭운전 여부, 과속 여부, 및 사고발생 여부를 관계기관 서버(400)나 보험사 서버(300)로 통보하고, 관계기관 서버(400)는 사고예방정보를 토대로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 발부, 견인차량 호출 및 현장 출동 등을 할 수 있으므로 현재 도로상에 가설된 수많은 무인 CCTV 장치는 철거되거나 최소한만이 요구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VSDT 단말기(100)는 GSP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고예방정보를 관계기관 서버(400)나 보험사 서버(300)로 전송하므로 차량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CCTV가 요구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도로상에 위치하는 고가의 무인 CCTV를 가설하고 운용하는 국가 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도로의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막대한 예산을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60)는 VSDT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사고예방정보를 저장하며, 지형 정보 또는 맵 정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60)는 사고예방정보를 차량 번호 또는 VSDT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번호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끼어들기 판단모듈(270)은 차량(10)에 설치된 VSDT 단말기가 일정 주기(예컨대 수초 내지 수십 초)마다 전송하는 사고예방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고예방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이 끼어들기 위반을 하였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의 사고예방정보는 차량(10)이 타 교통법규를 준수하지 않는데 따라 전송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의 사고예방정보는 차량(10)이 일정 주기(예컨대 수초 내지 수십초) 마다 차량정보와 GPS 위치정보만을 포함하는 사고예방정보를 VSDT 서버(200)로 전송하며, VSDT 서버(200)는 차량(10)의 타 차량을 추월하기 위해 불법 끼어들기를 하는지의 여부, 도로의 실선 구간에서 차선을 변경하는지의 여부 및 교차로에서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서 차선 변경을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 도로의 교차로에서 차량(10)이 좌회전을 하거나, 우회전을 할 때, 차량은 교차로 도착 30미터 이전에 각각 1차선 또는 우측 첫번째 차선에 위치한 상태이어야 한다. 이는 차량(10)이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위해 급격히 차선을 변경함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따른다. 교차로 관련 사항은 추후 상술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은 맵 정보 및 지형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2에서는 VSDT 단말기(100)가 차량(10)의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GPS 위치정보를 도로의 차선 정보를 구비하는 맵 정보와 대조한다. VSDT 단말기(100)는 GPS 위치정보에 따른 맵 정보를 참조하여 차량(10)이 주행중인 도로를 식별하며, 주행중인 도로에서 차량(10)이 가용한 차선도 판단할 수 있다.
VSDT 단말기(100)는 맵 정보와 지형정보를 참조하여 차량(10)이 주행 가능한 차선을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맵 정보는 도로에서 차량(10)이 주행 가능한 차선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다. 맵 정보는 차량(10)에 따라 주행 가능한 차선 정보를 구비하는데, 차량(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알지 못하면 무의미한 정보가 된다. VSDT 단말기(100)가 차량(10)의 차선 위반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맵 정보에 대응할 차량(10)의 위치정보가 요구되며, VSDT 단말기(100)가 차량(10)의 차선 위반 판단을 위해서는 GPS 위치정보 및 맵 정보가 요구된다.
한편, VSDT 단말기(100)가 GPS 위치정보만을 토대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GPS 위치정보 자체가 갖는 오차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오차는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10)이 차선 위반을 한 사실이 없음에도 차량(10)에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가 발부되거나 차량(10)의 보험 요율이 부당하게 상승되도록 할 소지가 있다.
이에 대해, VSDT 단말기(100)는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지형 정보는 도로 주변의 건물, 표지판 및 중앙 분리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지형 정보는 2D 또는 3D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폴리곤 데이터로 구현되는 입체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지형 정보는 지표 건물이나 표지의 색상이나 형태, 높이에 대한 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VSDT 단말기(100)는 GPS 위치정보에 따라 판단되는 차량(10)이 주행하는 차선을 기준으로, 차량(10)에 설치되는 카메라(또는 블랙박스)가 촬상한 지형 정보를 분석하여 GPS 위치정보가 올바른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이 3차선에서 1차선으로 이동 시, 1차선의 위치에서 지형지물인 가이드 레일(5)이 촬상되는 거리(d1)와 3차선의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5)이 촬상되는 거리(d2)는 d2-d1 만큼의 편차를 발생시킨다.
또한, 거리 편차(d2-d1) 만큼 카메라(11)에서 가이드 레일(5)이 촬상되는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10)이 1차선에 위치하고 있으나, GPS 위치정보로는 차량(10)이 3차선에 있는 것으로 오판된 경우, VSDT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카메라(11)의 영상정보는 가이드 레일(5)과 d1 만큼 근거리로 촬상되어야 하나, 실제 카메라(11)에서 VSDT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영상정보는 차량(10)이 3차선에서 촬상된 것이므로, 카메라(11)의 촬상 각도와 거리(d2)가 맞지 않는다.
반대로, 차량(10)이 3차선에 있으나, GPS 위치정보로는 1차선에 있는 것으로 VSDT 단말기(100)가 오판하는 경우, 카메라(11)의 영상 정보는 d1의 근거리에서 촬상된 영상이 획득되어야 하나, 실제 VSDT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영상은 차량(10)이 3차선에서 촬상한 것이므로 카메라(11)의 촬상 각도와 거리(d1)가 맞지 않는다. 즉,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VSDT 단말기(100)가 GPS 위치정보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VSDT 단말기(100)가 지형정보와 거리정보(예컨대 d1, d2) 및 차량(10)의 진행방향을 알고 있어야 한다. 차량(10)의 진행방향에 오류가 발생 시, VSDT 단말기(100)는 지표정보의 출현 방향을 오판할 수 있다. 이는 도 4를 통해 설명될 수 있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이 A 방향으로 진행할 때, 가이드 레일(5), 표지(6) 및 도로 구조물(7)의 위치관계가 도면 기준으로 우측으로 판단될 수 있으나, 차량(10)의 진행방향이 B 방향일 때는 가이드 레일(5), 표지(6) 및 도로 구조물(7)이 촬상되는 순서와 위치관계가 A 방향일 때와는 반대로 된다. 즉, 차량(10)의 정확한 위치 판단을 위해서는 차량(10)의 진행방향이 어느 방향인가를 판단하여야 한다. 단 여기서 차량(10)은 1차선과 2차선으로 주행해서는 안되는 차량으로 가정한다.
도 5와 도 6은 차량의 지그재그 패턴 주행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5는 GPS 위성(30)에서 차량(10)에 제공되는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진행방향 변경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VSDT 서버(200)는 일정 주기(예컨대 1초) 마다 차량(10)의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차량(10)의 주행 괘적을 파악할 수 있다. 파악된 주행 괘적을 참조하여 차량이 단위 시간(예컨대 1분 내지 10분)당 진행방향을 몇 회 변경하였는가를 관측하며, 차량(10)이 난폭운전 또는 지그재그 패턴 주행을 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차량(10)에 탑재되는 VSDT 단말기(100)가 일정 주기(예컨대 수초 내지 수분) 마다 VSDT 서버(200)로 GPS 위치정보나 사고예방정보를 제공하고, VSDT 서버(200)는 VSDT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치정보 또는 사고예방정보를 토대로 차량(10)의 이동 궤적을 파악하여 차량(10)의 난폭운전 또는 차량(10)의 지그재그 패턴 주행을 판단할 수 있다.
VSDT 서버(200)가 차량(10)의 난폭운전이나 지그재그 패턴 주행을 판단하는 경우, VSDT 서버(200)는 VSDT 단말기(100)를 대신하여 차량(10)에 대한 사고예방정보를 작성하고 이를 보험사 서버(300)나 관계기관 서버(400)로 통보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VSDT 단말기(100)가 차량에 설치되는 영상장치(예컨대 네비게이터, 카메라 및 블랙박스)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터에 마련되는 프로세서(CPU)의 처리 능력을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 VSDT 단말기(100)가 차량(10)에 탑재되며, VSDT 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카메라(101)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네비게이터(70)로 제공하고, 네비게이터(70)는 내장된 맵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차선 위반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VSDT 단말기(100)로 피드백하고, VSDT 단말기(100)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통해 VSDT 서버(200)로 차선위반 사항을 통보할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터(70)는 내장된 맵 정보에 더하여 차선 정보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차선 정보의 데이터량은 맵 정보에 비해 매우 적으므로, VSDT 단말기(100)가 네비게이터(70)에 제공하거나, 네비게이터(70)가 별도의 외부 서버(예컨대, 네비게이터에 맵을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다.
네비게이터(70)와 VSDT 단말기(100)를 연결하고, 두 장치를 하나의 장치처럼 연동하기 위해서는, 네비게이터(70)의 영상입력단자(73)와 VSDT 단말기(100)의 영상출력단자(미도시)가 연결되어야 하며, 네비게이터(70)의 USB 단자(74)가 VSDT 단말기(100)의 USB 단자(미도시)와 연결되도록 하여, VSDT 단말기(100)로 처리 결과를 통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VSDT 단말기(100)와 네비게이터(70)의 연결 방법으로서, 유선 연결방법을 예시하고 있으나, VSDT 단말기(100)와 네비게이터(70)가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및 기타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에 의해 무선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터(70)는 맵 정보를 VSDT 단말기(100)로 제공하고, VSDT 단말기(100)가 내장된 차선 정보와 GPS 위치정보를 맵 정보에 대조하여 차량(10)의 차선 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VSDT 단말기(100)는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차량(10)의 현 위치를 판단 후, 맵 정보에 매핑하고, 차선 정보를 참조하여 차량(10)이 주행중인 도로가 맵 정보에서 어느 위치인가를 판단하며, 판단된 위치의 도로의 차선 수와, 주행 가능한 차선정보를 판단함으로써, 차량(10)의 차선 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VSDT 단말기(100)는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에서 지표건물이나 표지를 찾고, 이를 내장된 지형 정보와 대조하여 GPS 위치정보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VSDT 단말기(100)는 GPS 위치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매우 정확한 정도로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의 파악은 차량(10)이 주행하는 차선에 따라 범칙금을 납부하고 보험 요율이 증가하는 부담을 차량(10) 운전자에게 부가하는데 따른 것이며, GPS 장치의 성능이나 상태에 따라 차선 위반을 오판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네비게이터(70)와 VSDT 단말기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네비게이터(70)에서 VSDT 단말기로 맵 정보를 제공하면 되므로, 도 7의 실시예와는 달리 영상 입력단자(73)를 연결할 필요는 없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USB 단자(72)를 이용하여 네비게이터(70)와 VSDT 단말기(100)를 연결함으로써 두 장치(70, 100)가 연동될 수 있다. 도 8은 VSDT 단말기(100)와 네비게이터(70)를 연동하는 방법으로서 유선 연결이 예시되었으나, 도 7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지그비 통신, 적외선 통신방식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에 의해 무선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VSDT 장치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VSDT 장치는, VSDT 제어부(110), 센서모듈(120), GPS 수신부(130), 데이터 저장부(140), 무선 통신부(150), 카메라(101) 및 주차위반 판단모듈(11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속도센서(121), 충격감지 센서(122), 및 기울기 감지 센서(1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센서(121, 122, 123)는 하나의 기판에 단일 모듈처럼 집적되거나, 또는 별개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속도 정보, 충격 정보 및 기울기 정보를 각각 측정하여 VSDT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VSDT 제어부(110)는 속도 센서(121)에서 측정되는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속도가 기준 속도를 이탈하는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차량(10)의 속도가 기준 속도(예컨대 시속 100 Km)를 이탈하는 경우 사고예방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고예방정보를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보험사 서버(230)나 관계기관 서버(2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예방정보는 차량의 번호, 무선 통신모듈(130)이 이동통신 기지국(210)에 무선 접속할 때의 무선통신 번호, 사고 종류, 센서모듈(120)에서 측정되는 센서 값 및 속도를 위반한 횟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VSDT 제어부(110)는 센서모듈(120)과 유선 또는 무선 접속될 수 있다.
VSDT 제어부(110)가 센서모듈(120)과 유선 접속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속도보다는 데이터 전송 안정성이 병렬 전송방식에 비해 우수한 직렬 전송방식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VSDT 제어부(11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RS-232 및 RS-232C 중 어느 하나의 규격을 갖는 직렬 전송 방식에 따라 센서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 VSDT 제어부(110)는 센서모듈(120)과 센서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차량(10)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자체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차량(10)에 사고가 발생 시, 센서모듈(120)이 VSDT 제어부(110)와 센서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경우, 차량(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센서모듈(120)과 VSDT 제어부(110) 사이에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이 절단되더라도 센서모듈(120)과 VSDT 제어부(11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유지될 수 있다.
VSDT 제어부(110)는 속도 센서(121)를 통해 속도 정보가 전송되면, 위치별/지역별/도로별 조건에 따른 기준 속도를 참조하여 기준속도를 설정하고, 차량(10)이 설정된 기준속도를 이탈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VSDT 제어부(110)는 GPS 수신부(130)를 통해 획득되는 GPS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차량(10)이 주행하는 위치를 판단하며, 차량(10)이 주행하는 위치별 기준속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기준 속도와 속도 센서(121)의 측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차량(10)이 기준속도를 위반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VSDT 제어부(110)는 전자지도, 및 전자지도의 위치별 제한속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충격감지 센서(122)는 차량의 외측면, 또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시용 VSDT 장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충격감지 센서(122)는 가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10)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 전방, 측방, 또는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순간적으로 차량(10)의 가속도가 변동된다. VSDT 제어부(110)는 순간적으로 변동되는 가속도를 이용하여 차량(10)에 대한 충돌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 센서(123)는 차량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센서는 자이로(gyro) 센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자이로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VSDT 제어부(110)는 기울기 감지 센서(123)의 검출 결과를 통해 차량(10)의 자세가 정상인지, 측방으로 기울어졌는지 또는 전복되어 차량(10)의 위 아래가 뒤집어 졌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VSDT 제어부(110)는 기울기 감지 센서(123)를 통해 검출된 결과, 차량(10)의 자세가 기울었거나, 전복되었을 경우,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보험사 서버(230), 관계기관 서버(220) 및 견인업체 서버(미도시)로 차량(10) 전복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때, VSDT 제어부(110)는 GPS 수신부(130)를 통해 차량(10)의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GPS 위치정보에 따라 차량(10)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 견인업체 서버로 차량(10) 전복 여부를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VSDT 제어부(110)는 자세판단 모듈(111), 속도 산출모듈(112), 사고 판단모듈(113), 위반 판단모듈(114), 차선 판단모듈(115), 사고예방정보 작성모듈(116) 및 주차위반 판단모듈(1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세판단 모듈(111)은 기울기 감지 센서(123)를 통해 제공되는 센서 값을 이용하여 차량(10)의 자세가 정상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판단 모듈(111)은 차량(10)이 단순히 기울어져 있는 상태만으로는 차량(10) 전복을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경사진 노면이나 도로에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 기울기 감지 센서(123)의 센서 값 만으로는 차량(10)의 자세가 올바르지 않다고 판단할 수는 없는 것이다. 차량(10)이 고가도로에서 추락하거나, 차량 충돌에 의해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차량(10)에 외부충격이 가해질 것이므로, 자세판단 모듈(111)은 충격감지 센서(122)를 통해 획득되는 가속도 값 변동을 이용하여 차량(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가를 판단하고, 외부 충격이 가해진 상태에서 기울기가 기준 기울기(예컨대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30도 기울기)를 이탈할 때, 차량(10)에 전복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속도산출 모듈(112)은 속도 센서(121)를 통해 차량(10)의 속도를 판단하며, 순간 속도 및 평균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평균 속도는 분당 속도, 시간당 속도일 수 있다.
사고 판단모듈(113)은 차량(10)의 속도, 차량(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차량(10)이 기준 기울기 이상 기울여지는 경우, 차량(10)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사고 판단모듈(113)은 차량(10)의 기울기가 기준 기울기를 이탈하는 경우에는 차량(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는가를 추가로 고려하여 차량(10)에 대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차량(10)의 기울기가 180도, 즉 차량(10)의 위 아래가 뒤집어지는 경우에는 외부 충격을 고려하지 않고도 사고 발생이라 판단할 수 있다. 외부 충격이 고려되지 않고 차량(10)에 대한 전복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울기는 차량(10)이 도로상에서 정상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120도 내지 180도 기울었을 때, 차량(10)에 전복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수 있다.
사고 판단모듈(113)은 차량(10)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사고예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고 판단모듈(113)에서 생성되는 사고예방정보에는 차량 번호, 사고 데이터 및 차량(10)의 GPS 위치정보 및 무선 통신부(150)에 할당되는 무선 통신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데이터는 카메라(101)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 데이터 및 사고 종류(과속, 차량 전복, 충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패턴 판단모듈(114)은 기울기 감지센서(123)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행방향 변동을 판단하고, 단위 시간(예컨대 1분)당 진행방향 변동횟수(예컨대, 1회 내지 20회)를 고려하여 차량(10)의 지그재그 패턴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선 판단모듈(115)은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맵 정보 및 지형 정보에 GPS 정보를 대조하여 차량(10)의 현재 위치정보와 차량(10)이 주행중인 도로의 위치 및 주행중인 도로에서 차량이 점유하는 위치를 판단한다.
이에 더하여 차선 판단모듈(115)은 카메라(101)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지형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차량의 위치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선 판단모듈(115)은 차량(10)의 주행방향에 따라 카메라(101)에 촬상되는 지표 건물이나 표지판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 후, 카메라(101)에서 지표 건물이나 표지판이 촬상되는 각도를 참조하여 차량(10)이 도로상에서 어느 차선을 주행 중인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차선 판단모듈(115)은 GPS 정보를 참조하여 대략적인 차량(10)의 위치를 판단해 두며, 판단한 차량(10)의 위치가 올바른가를 검증하는 수단으로서 지형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반면, GPS 정보를 통해 차량(10)의 대략적인 위치를 판단 후,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차량(10)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지표정보와 GPS 정보는 상호 보완적인 것이다.
주차위반 판단모듈(117)은 GPS 수신부(130)에서 획득된 GPS 위치정보와 맵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10)의 주차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주차위반 판단모듈(117)은 차량(10)이 주차 구역이 아닌 곳에 위치하는 경우 및
- 차량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및 사전에 정해진 차량만이 주차 가능한 곳에 주차하는 경우, 차량(10)의 주차위반을 판단하고 이를 사고예방정보 작성모듈(116)에 통보할 수 있다. 주차위반 판단모듈(117)은 맵 정보와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주차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맵 정보에는 주차 영역에 대한 정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차량(10)에 할당된 주차 구역 및 기타 차량(10)이 주차 불가한 전용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사고 예방정보 작성모듈(116)은 차선 판단모듈(115), 위반 판단모듈(114) 차선 판단모듈(115) 및 주차위반 판단모듈(117)에서 판단된 결과를 모아 사고예방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사고예방정보를 무선 통신부(150)로 제공하여 VSDT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40)는 맵 정보, 지형 정보 및 VSDT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후술할 바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VSDT 단말기(100)가 도 2나 도 3과 같이 네비게이터(70)와 연동되는 경우에는 맵 정보 및 지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네비게이터가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데이터 저장부(140)는 네비게이터(70)가 저장하지 않은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사고예방정보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고예방정보는 바코드 정보, 차선 위반 정보, 차선 영상정보, GPS 위치정보, 사고 예방코드, 센서 검출값 및 주차위반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바코드 정보는 차량 번호 + 차량 소유자의 연락처, 이름 및 기타 차량(10) 소유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코드 정보는 QR (Quick Response)코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차량(10)의 소유자가 바뀌거나, 운전자 정보에 변경이 있을 경우, VSDT 서버(20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는 VSDT 서버(200)가 VSDT 테이블을 참조하여 변경하는 것으로, VSDT 서버(200)는 VSDT 단말기(100)로부터 사고예방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또는 VSDT 단말기(100)에 문의하여 바코드 정보를 획득한 후, VSDT 테이블과 비교하여 바코드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동기화된 바코드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이후, 차량(10)의 사고예방정보는 변경된 바코드 정보로 대체될 수 있다.
차선 위반 정보는 차량(10)이 주행중인 차선에 대한 정보, 맵 정보를 토대로 차량(10)의 차선 위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선 영상정보는 차량(10)이 차선을 위반한 시점, 주차 위반 시점, 및 사고가 발생한 시점에 차량(10)에 설치되는 카메라(101)에 의해 차량(10)의 주변을 촬상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카메라는 VSDT 단말기(10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 외에 블랙박스의 영상 출력단자를 통해 획득되는 것일 수도 있다. 블랙박스와 연동되는 경우, VSDT 단말기(100)는 차량(10)이 차선을 위반할 때, 블랙박스에서 전송되는 촬상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블랙박스는 영상 출력단자를 통해 지속적으로 VSDT 단말기(100)로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VSDT 단말기(100)는 차량(10)이 차선을 위반할 경우에만 영상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VSDT 단말기(100)는 차량(10)이 차선을 위반하는 시점은 물론, 해당 시점의 이전의 영상정보를 블랙박스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번호는 차량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100)에 할당되는 고유의 전화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 부여되는 것과 유사한 구조의 이동통신 번호를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에서 운용되는 휴대단말기의 번호체계는 010-XXXX-XXXX와 같은 형태이므로, 차량(10)에 부여되는 무선 통신번호는 700-XXXX-XXXX와 같은 형태 또는 501-XXXX-XXXX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기재한 무선 통신번호의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일 뿐, 다양한 번호체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사고예방정보는 차량(10)의 차선 위반 여부, 과속 여부 및 주차위반 여부 이외에도 차량 사고에 대해 종류별로 부여되는 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센서 검출값은 센서 1, 센서 2 및 센서 3를 예시하고 있는데, 이들 센서들이 각각 충돌센서, 기울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인 경우, 센서 1 내지 센서 3에 의해 차량(10)의 충돌 여부, 차량의 전복 여부 및 차량의 과속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센서 1 내지 센서 3에 의해 검출된 센서값은 차량(10)에 대한 사고 발생 여부를 알리는 정보로서, 관계기관 서버(300)나 보험사 서버(400)로 통보 시, 관계기관은 차량 사고 처리를 위해 현장으로 출동하고, 보험사 또한 현장으로 관련 직원을 파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주 목적이나, 차량(10)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사고 예방정보는, 디지털 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과속, 충돌, 전복과 같은 사고 종류를 표현할 수 있다. 사고 코드는 사고의 종류에 대응하는 2진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과속은 "00", 충돌사고는 "01" 및 전복사고는 "10"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1은 차량의 주차위반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과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VSDT 단말기(100)는 GPS 위성(3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맵 정보를 통해 차량(10)이 정당한 위치에 주차중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맵 정보에는 차량(10)이 주차 가능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데, 주차위반 판단모듈(117)은 차량이 일정 시간(예컨대 5분) 이상 GPS 위치정보가 변경되지 않으면 차량(10)이 주차(또는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GPS 위치정보와 맵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차량(10)에 주차가 허여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하면, 주차위반 판단모듈(117)은 사고예방정보 작성모듈(116)에 통보하고, 사고예방정보 작성모듈(116)은 주차위반 여부, 주차 위반이 발생한 차량(10)의 GPS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고예방정보를 작성하게 된다.
도 12는 차량의 끼어들기 위반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VSDT 단말기(100)는 차량(10, 14)에 마련되는 각각의 VSDT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GPS 위치정보를 동일 시간대별로 분석하여 각 차량(10, 14)의 이동 궤적을 파악할 수 있다. 이동 궤적은 차선에 대해 파악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동일 시간대(예컨대 10초 내지 1분의 주기) 마다 차량(10, 14)의 이동 궤적을 파악하며, 차량(10, 14)을 파악한 결과, 차량(10, 14)이 도로상에서 주행하는 순서가 바뀌는 경우, 후행하는 차량(14)이 선행하는 차량(10)에 대해 불법적인 끼어들기를 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2에서, 후행하는 차량(14)은 선행하는 차량(10)을 추월하기 위해, 차선(L2)에서 차선(L1)으로 차선을 변경 후, 다시 차선(L1)으로 차선을 변경하고 있다. 이러한 차선 변경은 차량(14)에 내장되는 VSDT 단말기가 사고예방정보의 형태로 VSDT 서버(200)로 통보하며, VSDT 서버(200)는 차량(14)의 이동 궤적이 L2 -> L1 -> L2로 변경될 때, 차량(14)이 차량(1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관계가 역전되면, 차량(14)이 끼어들기 위반을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끼어들기는 대한민국 도로교통법 제23조에 정의된 것으로서, 교통 범칙금 발부대상에 해당하고, 이러한 끼어들기는 차량(10, 14)에 사고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바, 마땅히 보험요율을 증가시킬 이유가 된다.
이때, 차량(14)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에서 VSDT 서버(200)로 제공되는 사고예방정보에는 차량정보와 GPS 위치정보만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차량(10, 14)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는 일정 주기(예컨대 수초)마다 VSDT 서버(200)로 사고예방정보(차량정보와 GPS 위치정보만을 포함하는 사고예방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로에 표시된 차선이 실선인 경우, 차선 변경이 불가하며, 이를 위반하는 차량 또한 사고발생 위험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VSDT 서버(200)는 차량(10)에 설치되는 VSDT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사고예방정보(차량정보 및 GPS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고예방정보)를 참조하여 차량(10)이 실선 구간에서 차선 변경을 하였는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보험사 서버(300) 또는 관계기관 서버(400)로 차선 위반 여부를 통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차량(10) 운전자의 휴대단말기(20)로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가 발부되며, 보험사 서버(300)로부터는 보험요율 변경에 대한 안내 메시지가 운전자의 휴대단말기(20)로 통보될 수 있다.
도 13은 교차로에서의 끼어들기 위반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로는 두 개의 직선 도로가 십자 형태로 교차하는 도로를 나타내는데, 교차로에서는 우회전 시, 적어도 30미터 전방에서 차선을 변경해 두어야 하며, 고속도로의 경우 100미터 전방에서 차선을 변경해 두어야 한다. 도 13에서, 차량(10)이 일반도로의 교차로에서 우회전을 하고자 할 때, 거리(d3)는 최소한 30미터는 되어야 한다. 만일 d3가 30m 이내인 경우 차량(10)은 끼어들기 위반으로 판단된다. 도시된 교차로가 고속도로에 형성된 것이라면 거리(d3)는 100미터가 되며, 차량(10) 및 주변의 타 차량의 안전을 위해, 우회전을 하기 전 미리 차량(10)의 차선은 2차선으로 변경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위반사항은 차량(10)에 탑재되는 VSDT 단말기(100) 및 VSDT 단말기(1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VSDT 서버(200)를 통해 구현되는데, VSDT 서버(200)는 VSDT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GPS 위치정보를 통해 차량(10)의 현재 위치, 차량(10)의 차선 위치 및 교차로와의 거리(d3)를 참조하여 차량(10)의 끼어들기 위반을 판단할 수 있다.
100 : VSDT 단말기 200 : VSDT 서버
300 : 보험사 서버 400 : 관계기관 서버

Claims (21)

  1. GPS 위치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차선 위반 또는 끼어들기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통신사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 차량에 탑재되는 VSDT(Vehicle using Speed Data Transmission)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는 VSDT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각 차량별 VSDT 단말기를 통해 차량별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각 차량의 시간대별 이동 궤적을 분석하여 끼어들기 위반 차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의 VSDT 단말기로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사고예방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고예방정보를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에 대한 보험을 처리하는 보험사 서버 또는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에 대한 사고처리 또는 범칙금을 징수하는 관계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에 의해 상기 VSDT 단말기, 상기 보험사 서버, 또는 상기 관계기관 서버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비용을 상기 이동통신사와 배분하는 통신비용 배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예방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인공위성으로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의 GPS 위치정보에 대해 위성영상 촬상을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성영상은 상기 사고예방정보가 발생 시,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의 GPS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예방정보는,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기 이전에 작성되어 상기 관계기관 서버 또는 상기 보험사 서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예방정보는,
    상기 차량의 과속 여부에 대한 과속정보, 상기 과속정보가 발생한 지역의 GPS 위치정보 및 상기 GPS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인공위성의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예방정보는,
    상기 차량 식별을 위해 부여되는 QR 바코드(Quick response bar cod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QR 바코드는,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 운전자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구비하며,
    상기 VSDT 서버에서 갱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예방정보는,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휴대단말기 연락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사 서버는,
    상기 사고예방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이 차선위반을 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 연락번호로 보험료 요율의 변경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기관 서버는,
    상기 사고예방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이 차선위반을 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 연락번호로 온라인 범칙금 스티커를 발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각 차량별 GPS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선행하는 차량의 주행도로로 후행하는 차량이 끼어드는 경우, 교차로와 제1거리 이내에서 차선을 바꾸는 경우 및 실선이 그어진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위반한 차량을 상기 끼어들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12. 제1차량과 제2차량에 각각 탑재되는 제1VSDT(Vehicle using Speed Data Transmission) 단말기 및 제2VSDT 단말기와 이동통신사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접속되어 차량의 차선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VSDT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VSDT 단말기와 상기 제2VSDT 단말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VSDT 단말기와 상기 제2VSDT 단말기가 도로 주행 방향 대비 주행 순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VSDT 단말기와 상기 제2VSDT 단말기의 주행 순서가 동일 차선 내에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주행 순서를 변경한 차량을 차선 위반으로 판단하고, 차선 위반으로 판단된 차량에 대한 사고처리 또는 범칙금을 징수하는 관계기관 서버 및 보험사 서버 중 적어도 일 측에 주행 위반 여부를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차선 위반으로 판단된 차량, 상기 관계기관 서버 및 상기 보험사 서버 사이에 발생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비용을 상기 이동통신사와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통신비용 배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30126492A 2013-10-23 2013-10-23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KR101417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492A KR101417679B1 (ko) 2013-10-23 2013-10-23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492A KR101417679B1 (ko) 2013-10-23 2013-10-23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679B1 true KR101417679B1 (ko) 2014-07-09

Family

ID=5174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492A KR101417679B1 (ko) 2013-10-23 2013-10-23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6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79B1 (ko) * 2013-09-30 2015-10-06 윤근진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4141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케이티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및 스마트 후측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는 보험 요율 산정 장치, 보험 요율 산정 시스템 및 보험 요율 산정 방법
KR101714489B1 (ko) 2016-08-09 2017-03-09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Cctv를 이용한 휴게소 우회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12116048A (zh) * 2020-09-02 2020-12-22 燕山大学 用于动力电池溯源管理的改进Lorenz与Zigzag变换的加密方法
US11010623B2 (en) 2019-05-08 2021-05-18 Mitac 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arking vio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879A (ja) * 2002-09-03 2004-03-25 Mitsui Sumitomo Insurance Co Ltd 事故状況記録装置、過失診断システム、事故情報記録方法、過失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47724A (ja) * 2006-12-06 2008-06-26 Hitachi Systems & Services Ltd 海外ローミング端末国際通信通話通知システム
KR20130102263A (ko) * 2012-03-07 2013-09-17 한국과학기술원 자동차 등급 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879A (ja) * 2002-09-03 2004-03-25 Mitsui Sumitomo Insurance Co Ltd 事故状況記録装置、過失診断システム、事故情報記録方法、過失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47724A (ja) * 2006-12-06 2008-06-26 Hitachi Systems & Services Ltd 海外ローミング端末国際通信通話通知システム
KR20130102263A (ko) * 2012-03-07 2013-09-17 한국과학기술원 자동차 등급 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79B1 (ko) * 2013-09-30 2015-10-06 윤근진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4141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케이티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및 스마트 후측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는 보험 요율 산정 장치, 보험 요율 산정 시스템 및 보험 요율 산정 방법
KR101714489B1 (ko) 2016-08-09 2017-03-09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Cctv를 이용한 휴게소 우회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US11010623B2 (en) 2019-05-08 2021-05-18 Mitac 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arking violation
CN112116048A (zh) * 2020-09-02 2020-12-22 燕山大学 用于动力电池溯源管理的改进Lorenz与Zigzag变换的加密方法
CN112116048B (zh) * 2020-09-02 2021-08-31 燕山大学 用于动力电池溯源管理的改进Lorenz与Zigzag变换的加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556B1 (en) Traffic risk a avoidance for a route selection system
US11727495B1 (en) Collision risk-based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autonomous control of a vehicle
JP4941273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
US9604648B2 (en) Driver performance determination based on geolocation
JP4941274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
US201902715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Updating, and Using Maps Generated by Probe Vehicles
CN104340152B (zh) 在避免碰撞任务中用于情形评估和决策的动态安全防护罩
KR101417679B1 (ko)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 방법
CN101082503B (zh) 描画系统
CN102903254B (zh) 先进安全车辆中的学校区域安全装置及其方法
CN104812645A (zh) 基于车辆行为确定驾驶环境的改变
CN107305129B (zh) 用于生成导航数据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导航装置
JP6094181B2 (ja) 運転評価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運転評価用車載機
US20210270620A1 (en) Traffic Risk Notification System
JP5362225B2 (ja) 運行記録機器及び運行状況記録方法
JP2017033370A (ja) 車載器、通信装置およびこれらを備えた車両管理システム
JP2016153738A (ja) 車両走行案内装置、車両走行案内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車両走行案内方法
KR101556979B1 (ko)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20150001869A (ko) 도로표지판을 활용한 안전운전 유도시스템 및 안전운전 유도방법
KR101353047B1 (ko) 차량 감시용 vsdt 장치
JP6524846B2 (ja) 車両特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特定システム
JP6418100B2 (ja) 車載器、通信装置および車両管理システム
JP6515726B2 (ja) 車両特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特定システム
JP2008234337A (ja) 自動車の自動支払い装置
KR20210082929A (ko) 운전자 행동 분석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