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468B1 - 기어 포지션 스위치 - Google Patents

기어 포지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468B1
KR101417468B1 KR1020120144878A KR20120144878A KR101417468B1 KR 101417468 B1 KR101417468 B1 KR 101417468B1 KR 1020120144878 A KR1020120144878 A KR 1020120144878A KR 20120144878 A KR20120144878 A KR 20120144878A KR 101417468 B1 KR101417468 B1 KR 101417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sition switch
gear position
base plat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398A (ko
Inventor
정상현
공승기
안철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4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기의 기어 레버의 작동에 따라 기어 포지션을 감지하는 기어 포지션 스위치로서, 상면에 접점홈이 형성되고, 접점홈의 내벽에 P, R, N 및 D접점단자가 각각 구비되는 포지션 스위치 본체; 및 상기 접점홈에 구비되고, 기어 레버의 작동에 따라 좌 또는 우로 회전하며, 측부에 P, R, N 및 D접점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점단자에 접점되는 접점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어 포지션 스위치{GEAR POSITION SWITCH}
본 발명은 기어 포지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지션 스위치의 접점부 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인 접점을 유지할 수 있는 포지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기어레버를 작동하면, 이를 포지션 센서 스위치가 기어 포지션을 감지한 후 변속기 제어기(TCU)에 전달하고, 변속기 제어기는 이를 바탕으로 유압제어를 통해 변속 제어를 수행한다.
즉, 운전석 내의 기어레버의 수평적 작동에 따라 기어레버에 연결된 TGS 케이블이 수평적 이동하며, 이에 기어 포지션 스위치의 회전각도가 변하면서 P-R-N-D의 기어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접점되고 스프링(32)에 의해 지지되는 접점단자(31)가 구비되는 회전부(30), 회전부(30) 상부를 통해 본체(10)에 결합되는 커버(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는 접점단자(31)와 베이스 플레이트(20) 간의 접점을 통하여 전기적 폐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는 커버의 열변형에 의한 들뜸발생시 접점단자(31)와 베이스 플레이트(20) 간의 접점부가 이탈되면서 전기적 출력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버의 열변형에 의한 전기적 접점불량을 해소하고자 측면 슬라이드 방식의 접점부를 적용하며, 이에 안정적 접점을 유지할 수 있는 기어 포지션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기어 포지션 스위치는 변속기의 기어 레버의 작동에 따라 기어 포지션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면에 접점홈이 형성되고, 접점홈의 내벽에 P, R, N 및 D접점단자가 각각 구비되는 포지션 스위치 본체; 및 상기 접점홈에 구비되고, 기어 레버의 작동에 따라 좌 또는 우로 회전하며, 측부에 P, R, N 및 D접점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점단자에 접점되는 접점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점홈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베이스 플레이트 회전시 상기 접점홈에 밀착된 상태로 좌 또는 우로 이동하면서 P, R, N 및 D접점단자와 순차적으로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지션 스위치 본체의 상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을 보호하는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 R, N 및 D접점단자는 접점홈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 R, N 및 D접점단자는 접점홈의 내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에는 P, R, N 및 D접점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점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슬라이드 방식으로 접점부를 형성함으로써 열변형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접점을 유지하며, 이에 기어 포지션 스위치를 불량 발생을 방지 및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를 도시한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P, R, N D접점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점단자와 접점되게 구성하며, 이에 외부의 환경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안정된 접점을 유지시키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의 기어 레버의 작동에 따라 기어 포지션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면에 접점홈(110)이 형성되고, 접점홈(120)의 내벽에 P, R, N 및 D접점단자(111)(112)(113)(114)가 각각 순차적이고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포지션 스위치 본체(100), 상기 접점홈(110)에 구비되고, 기어 레버(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좌 또는 우로 회전하며, 측부에 P, R, N 및 D접점단자(111)(112)(113)(114) 중 어느 하나의 접점단자에 접점되는 접점부(210)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내장하여 포지션 스위치 본체(100)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300)를 포함한다.
포지션 스위치 본체(100)는 상면에 원형의 접점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접점홈(110)의 내벽에 P접점단자(111),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가 내벽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내장되며, 이때 P접점단자(111),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의 정면은 접점홈(110)의 내벽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접점홈(110)에 좌 또는 우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측부에는 호형태로 이루어진 접점부(210)가 형성되고, 이 접점부(2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 회전시 P접점단자(111),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 중 어느 하나에 접점되면서 해당하는 단자의 신호를 감지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회전 중심부에 'ㄴ'자 형태를 가지는 메뉴얼레버(미도시)가 결합되고, 이 메뉴얼레버의 하나의 단부가 기어레버와 연결되는데, 이때 기어레버가 당겨지면, 이와 연동하며 메뉴얼레버가 회전하고, 메뉴얼레버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접점부(210)가 P접점단자(111),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 중 어느 하나의 접점단자와 접점하게 된다.
커버(3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을 통해 기어 포지션 본체(100) 상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어 포지션 스위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회전하면서 P접점단자(111),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와 접점함으로써 커버(300)의 열변형에 의해 들뜸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안정된 접점을 유지시키며, 이에 차량의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접점단자(111'),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를 포지션 스위치 본체(100)의 접점홈(110) 내벽으로부터 일부 돌출되게 형성하며, 이에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접점부(210)와 P접점단자(111'),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와의 접점력 증대와 걸림 또는 접점부의 들림감으로 접점 상태임을 손쉽게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어 포지션 스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접점단자(111'),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를 포지션 스위치 본체(100)의 접점홈(110) 내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홈(120)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가이드홈(120)에는 P접점단자(111'),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0)을 구비한다.
이에,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접점부(210)가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 중 어느 하나에 접점되면, 접점부(210)의 눌림에 의해 R접점단자(112"), N접점단자(113") 및 D접점단자(114") 중 어느 하나의 접점단자가 가이드홈(120) 내부로 인입되면서 마찰력 및 마모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이후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접점부(210)가 이동하면 접점부(210)의 눌림이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130)에 의해 접점단자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접점부(210)와 접점단자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현저히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안정된 접점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어 포지션 본체 200: 베이스 플레이트
300: 커버

Claims (5)

  1. 변속기의 기어 레버의 작동에 따라 기어 포지션을 감지하는 기어 포지션 스위치로서,
    상면에 접점홈이 형성되고, 접점홈의 내벽에 P, R, N 및 D접점단자가 각각 구비되는 포지션 스위치 본체; 및
    상기 접점홈에 구비되고, 기어 레버의 작동에 따라 좌 또는 우로 회전하며, 측부에 P, R, N 및 D접점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점단자에 접점되는 접점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포지션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홈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베이스 플레이트 회전시 상기 접점홈에 밀착된 상태로 좌 또는 우로 이동하면서 P, R, N 및 D접점단자와 순차적으로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포지션 스위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스위치 본체의 상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을 보호하는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포지션 스위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 R, N 및 D접점단자는 접점홈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포지션 스위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 R, N 및 D접점단자는 접점홈의 내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에는 P, R, N 및 D접점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점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포지션 스위치.
KR1020120144878A 2012-12-12 2012-12-12 기어 포지션 스위치 KR101417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878A KR101417468B1 (ko) 2012-12-12 2012-12-12 기어 포지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878A KR101417468B1 (ko) 2012-12-12 2012-12-12 기어 포지션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98A KR20140076398A (ko) 2014-06-20
KR101417468B1 true KR101417468B1 (ko) 2014-07-08

Family

ID=5112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878A KR101417468B1 (ko) 2012-12-12 2012-12-12 기어 포지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52B1 (ko) * 2018-08-21 2020-03-12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다이얼 변속 레버 장치
CN109139900B (zh) * 2018-08-24 2020-08-04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换挡控制方法及系统、车辆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06Y1 (ko) * 1993-10-15 1998-10-01 전성원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H1178577A (ja) * 1997-09-08 1999-03-23 Sansha Electric Mfg Co Ltd 自転車の変速モード切換スイッチ
JP2007085429A (ja) 2005-09-21 2007-04-05 Tokai Rika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位置検出装置
JP2007186118A (ja) 2006-01-13 2007-07-26 Tokai Rika Co Ltd シフ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06Y1 (ko) * 1993-10-15 1998-10-01 전성원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H1178577A (ja) * 1997-09-08 1999-03-23 Sansha Electric Mfg Co Ltd 自転車の変速モード切換スイッチ
JP2007085429A (ja) 2005-09-21 2007-04-05 Tokai Rika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位置検出装置
JP2007186118A (ja) 2006-01-13 2007-07-26 Tokai Rika Co Ltd シ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98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245B2 (en) Shift lever apparatus
US10768658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101417468B1 (ko) 기어 포지션 스위치
WO2015159494A1 (ja) 入力装置
JP6302805B2 (ja) 位置検出装置
WO2017217027A1 (ja) 車両用入力装置
JP6209575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336612B1 (ko) 비접촉식 변속제어모듈 및 이것이 적용된 변속시스템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US10444784B2 (en) Electric lever device
KR101520192B1 (ko) 변속제어모듈
JP6054787B2 (ja) 変速操作装置
JP5137197B2 (ja) ポジションスイッチ装置
KR101827057B1 (ko) 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JP4921398B2 (ja) 操作位置検出装置及びシフト装置
JP2008137440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554975B1 (ko) 차량용 인히비터 스위치
KR101589377B1 (ko) 미끄럼 이동형 스위치
CN103879380A (zh) 具有取决于位置的用于对下降的信号进行信号分析的切换装置的驱动装置
KR102378389B1 (ko)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JP5671532B2 (ja) センサ
JP2010232140A (ja) 多方向操作部品
KR20080044399A (ko) 자동변속기의 스포츠 모드 업/다운 스위치
JP6204232B2 (ja) 入力装置
JP6518568B2 (ja) 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