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464B1 -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 - Google Patents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464B1
KR101417464B1 KR1020120144402A KR20120144402A KR101417464B1 KR 101417464 B1 KR101417464 B1 KR 101417464B1 KR 1020120144402 A KR1020120144402 A KR 1020120144402A KR 20120144402 A KR20120144402 A KR 20120144402A KR 101417464 B1 KR101417464 B1 KR 10141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outer cover
inner case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166A (ko
Inventor
문지현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갑을오토텍(주)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오토텍(주),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갑을오토텍(주)
Priority to KR102012014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4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의 거주성이 좋지 못한 종래의 온수식(강제 송풍식) 히터와 초기 난방 성능이 좋지 못한 종래의 자연 방열식 히터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할 수 있는 버스 승객용 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방향의 길이가 길고 좌우방향의 폭이 작은 슬림형 외관을 가지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림형 외부 커버와; 외부 커버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에 전후로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블로워 어셈블리 및 히터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코어는 내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송풍실과 토출실로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실은 블로워 어셈블리의 토출구와, 그리고 상기 토출실은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커버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Slim type heater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의 거주성이 좋지 못한 종래의 온수식(강제 송풍식) 히터와 초기 난방 성능이 좋지 못한 종래의 자연 방열식 히터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할 수 있는 버스 승객용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장치는 환기장치와 냉/난방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환기 및 냉/난방을 통해 여러 주행조건이나 기후조건에서도 탑승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유리창의 흐림과 서리를 제거하여 시계를 확보해주는 등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최근 버스가 주요 운송수단으로 자리 잡으면서 객실 공간의 안락함과 쾌적한 환경에 대해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바, 운송업체와 자동차 제조사 모두에게 쾌적한 버스 객실 공간의 창출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버스의 경우 실내가 크고 차체가 전후로 길기 때문에 실내 전체를 고르게 난방하는 것이 쉽지 않고, 난방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같은 실내공간에서도 위치에 따라 승객이 덥거나 추울 수 있다.
또한 각 승객석의 공간이 좁으면서 다수의 승객이 한정된 실내공간에 탑승해야므로 난방을 위한 히터는 가급적 실내로 돌출되거나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아야 승객들이 불편하지 않게 된다.
버스용 히터로는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하는 온수식 히터, 연료를 사용하여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연소식 히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온수식 히터는 엔진에서 나오는 고온의 냉각수를 열원으로 이용하며, 냉각수가 히터코어를 지나 엔진으로 귀환하는 순환 과정 동안 공기를 히터코어에 통과시켜 히터코어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와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공급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용 온수식 히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가 전후로 긴 차량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내 복수 위치에 히터(3)를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온수식 히터는 강제 송풍식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각 히터(3)는 엔진(1)에서 가열된 고온의 냉각수가 통과하도록 배관(2)을 통해 연결된 히터코어와, 공기를 흡입, 송풍하기 위한 블로워를 일체로 내장한 유닛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온수식 히터(3)는 히터코어와 블로워를 가지는 대략 정육면체의 유닛 형상(차량 실내쪽으로의 돌출량이 크고 점유 공간이 큼)을 가지므로 실내로 돌출되거나 부피를 차지하지 않도록 시트(4) 하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히터(3)가 위치한 승객석에서는 승객의 발이 걸리는 등 거주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히터 위치가 시트 배열 상태에 따라 이동 및 변경되어야 하므로 배관 사양 및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아지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강제 송풍식 타입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방향이 최적화되어 있지 못하고 단순히 실내쪽(히터 측면쪽)으로만 공기가 토출되는 구조이므로 토출된 온풍이 차량 승객석 전체 공간에 고르게 분배되지 못하여 온도분포성이 좋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차량 플로어 하부에 히터코어를 배치하고 플로어 상면과 차체 측벽(side wall)이 만나는 코너부를 따라 덕트를 설치한 히터가 적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히터는 차량의 측벽 및 시트 하부에 위치되는 타입이므로 차량 실내에 과도하게 돌출되거나 승객의 거주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며, 온풍을 배출하는 덕트가 차량 실내 전후를 따라 시트 하측으로 길게 배치되므로 온풍을 덕트를 통해 차량 실내에 고르게 공급할 수 있는바, 도 1과 같은 개별식 히터에 비해 온도분포성에 있어서는 유리한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강제 송풍식과 같은 블로워가 없는 자연 방열식 타입이므로 초기 실내 난방 성능에 있어서 불리한 단점을 가지며, 덕트 설치 등으로 인해 설치 비용 및 중량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승객의 거주성이 좋지 못한 종래의 온수식(강제 송풍식) 히터와 초기 난방 성능이 좋지 못한 종래의 자연 방열식 히터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버스 승객용 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방향의 길이가 길고 좌우방향의 폭이 작은 슬림형 외관을 가지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림형 외부 커버와; 외부 커버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에 전후로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블로워 어셈블리 및 히터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코어는 내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송풍실과 토출실로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실은 블로워 어셈블리의 토출구와, 그리고 상기 토출실은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커버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승객석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차체 측벽 하부와 플로어가 만나는 코너부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커버에는 블로워 어셈블리가 구동될 때 공기가 흡입되는 단부의 공기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토출실과 연통되는 전, 후방의 토출구와 전후 중간에 위치되는 측면의 토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커버의 공기흡입구는 전후방향 끝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와, 측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코어는 내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측의 송풍실과 하측의 토출실로 구획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실의 내부에는 블로워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하측의 히터코어쪽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히터코어 전 영역에 고르게 배분해주는 분배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가이드는 내부 케이스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 분배가이드는 블로워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진 곡면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분배가이드는 상단 높이가 각각 다르게 설정되고, 블로워 어셈블리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는 상류측 분배가이드일수록 상단 높이가 낮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의 토출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하부에는 토출실의 전, 후측과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 후측의 토출구는 각각 덕트를 통해 외부 커버의 전, 후방 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측면 토출구는 외부 커버의 측면 토출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실의 내측면에는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전, 후측 토출구와 측면 토출구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내부 케이스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실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하부는 좌우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곡면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슬림형 히터는 전후방향의 길이가 길고 좌우방향의 폭이 작은 슬림형 외관을 가짐으로써 차량 실내 측으로의 돌출량이 최소화될 수 있고, 승객 거주성의 문제가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림형 내부 커버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로워 어셈블리와 히터코어가 장착됨으로써 종래의 자연 방열식 히터에 비해 초기 실내 난방 성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의 위치 및 공기 흐름 경로의 최적화, 그리고 공기 흐름을 고르게 분배하는 분배가이드 및 격벽의 설치로 인해 공기가 고르게 흡입되고 공기 토출 방향이 최적화되는바, 토출된 온풍이 차량 승객석 전체 공간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고, 차량 실내의 온도분포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용 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히터가 버스 승객석 공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히터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히터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에서 내부 케이스의 토출실 및 덕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객의 거주성이 좋지 못한 종래의 온수식(강제 송풍식) 히터와 초기 난방 성능이 좋지 못한 종래의 자연 방열식 히터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히터가 버스의 승객석 공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히터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4는 히터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복수개의 히터(100)가 승객석 공간의 전측 및 후측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히터(100)가 승객석 공간의 전후 각 위치에서 해당 공간의 난방을 담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히터(100)는 버스 차체의 측벽(side wall)(5)과 플로어(6) 사이에 설치되는데, 플로어(6) 위에서 차체 측벽(5) 하부에 마운팅되며, 히터(100)의 일 측면이 측벽(5) 하부 내측면에 마운팅된 상태에서 히터(100)의 반대쪽 측면이 차량 실내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히터(100), 즉 승객석 공간의 전측과 후측으로 두 곳에 히터(100)가 설치되고 있으나, 히터의 수나 위치는 실시예로부터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각 히터(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객석 시트(4)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차체 측벽(5) 하부와 플로어(6)가 만나는 코너부에 장착되지만, 도 3에서와 같이 차량 실내 측으로의 돌출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의 길이가 길고 좌우방향의 폭이 작은 슬림형 외관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히터(100)는 승객석 공간 내에서 차체 측벽(5) 하부에 차체 전후방향(차체 종방향)으로 길게 장착될 수 있고, 이때 전후 길이가 좌우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슬림형 구조이므로 히터(100)가 실내 측으로 돌출되는 양이 적다.
결국, 차체 종방향으로 슬림하게 장착된 히터(100)가 시트(4) 하부에 위치하더라도 일부 공간만을 점유하게 되므로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발이 히터에 걸리면서 나타나는 승객 거주성 저하의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 측벽(5)에 마운팅되는 측벽 마운팅 방식의 히터이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로워 어셈블리와 히터를 일체로 내장한 강제 송풍 방식의 구성을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술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사시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측면도이며, 도 9는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히터에서 내부 케이스의 토출실 및 덕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터(100)는 상면 및 전, 후면, 그리고 실내쪽 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외부 커버(110)와,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 내부 케이스(120)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에 전후방향(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일체로 장착되는 블로워 어셈블리(130) 및 히터코어(14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커버(110)는 히터(100)의 구성품들을 보호하면서 외관 커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블로워 어셈블리(130)가 구동될 때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11,112)(버스 실내의 내기 흡입)와, 히터코어(14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3,114,115)(온풍 토출)를 가진다.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도록 히터(100)가 일 방향으로 긴 슬림형 외관(전후 길이가 길고 좌우 폭이 작음)을 가지므로 히터 외관 부분을 형성하는 외부 커버(110) 역시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진다.
또한 블로워 어셈블리(130)가 위치되는 외부 커버(110)의 단부, 즉 예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110)의 후단부에 공기흡입구(111,112)가 형성되고, 이때 공기흡입구(111,112)는 외부 커버(110)의 후단부에서 후면(전후방향의 끝면)과 실내쪽 측면(전후방향의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버(110)에 히터코어(140)를 통과한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13,114,115)가 형성되는데, 이때 외부 커버(1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온풍을 히터 전방과 후방으로 토출하기 위한 전, 후방 토출구(113,115)가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커버(110)의 실내쪽 측면 중앙에는 온풍을 중앙으로 토출하기 위한 전후 중간의 측면 토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부 케이스(120)는 외부 커버(110) 내측에 위치되어 히터(100)의 주요 구성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일단부에는 블로워 어셈블리(130)가 내장되고, 타측에는 블로워 어셈블리(130)와 전후방향(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히터코어(140)가 일체로 내장된다.
도 5의 실시예는 전후로 긴 슬림형 히터(100)의 내부 케이스(120)에서 블로워 어셈블리(130)가 후방에, 히터코어(140)가 전방에 배치되는 실시예이다(도 4 참조).
이하, 본 발명의 히터(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후방향은 차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이때 블로워 어셈블리(130)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120)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실시예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이때, 내부 케이스에서 히터코어가 블로워 어셈블리 전방으로 배치됨), 블로워 어셈블리(130)가 내부 케이스(120)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이 경우 히터코어가 블로워 어셈블리의 후방으로 배치됨),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블로워 어셈블리(130)가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120)의 일단부 양 측면에는 블로워 어셈블리(130)의 구동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는바, 블로워 어셈블리(130)의 구동(블로워 팬 및 모터의 구동)에 의해 외부 커버(110)의 공기흡입구(111,11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내기 흡입), 흡입된 공기가 내부 케이스(120)의 흡입구(121)를 통해 흡입되어 블로워 어셈블리(130)를 거친 뒤 내부 케이스(120)의 내부에 장착된 히터코어(140)로 송풍되게 된다.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130)는 블로워 팬과 모터를 포함하는 통상의 구성을 가지며,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의 모터는 외부의 차량 전원으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130)의 모터가 구동하여 블로워 팬이 회전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12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며, 이때 흡입된 공기가 히터코어(140)로 송풍되게 된다.
도 9에서 도면부호 131과 132는 차량 전원과의 전기 접속을 위한 커넥터 및 풍량 조절을 위한 통상의 레지스터를 나타낸다.
상기 히터코어(140)는 내부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을 상측의 송풍실(122)과 하측의 토출실(123)로 구획하도록 상하 중간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때 블로워 어셈블리(130)와는 전후로 배치된다.
이때, 내부 케이스(120)의 송풍실(122)은 블로워 어셈블리(130)의 토출구쪽과 연통되고, 내부 케이스(120)의 토출실(123)은 외부 커버(110)의 각 토출구(113,114,115)와 연통되는바, 블로워 어셈블리(130)에 의해 송풍실(122)로 공급된 공기가 히터코어(140)를 통과하여 승온된 뒤 토출실(123)을 경유하여 외부 커버(110)의 각 토출구(전, 후방 토출구 및 중앙 토출구)(113,114,115)를 통해 차량 실내로 최종 토출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120)의 토출실(123)을 형성하는 케이스 하부에는 토출실의 전, 후측과 실내쪽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개의 토출구(124,125,126)가 형성되는데, 히터코어(140)를 통과한 뒤 토출실(123)로 이동된 온풍이 각 토출구(124,125,126)를 통해 내부 케이스(1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전, 후측 토출구(124,126)는 각각 덕트(127,128)를 통해 외부 커버(110)의 전, 후방 토출구(113,115)와 연결되며, 측면 토출구(125)는 외부 커버(110)의 중앙 토출구(114)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히터코어(140)는 엔진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141), 및 내부를 통과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포트(142)를 가지며, 이 유입포트(141)와 배출포트(142)는 엔진 냉각수가 히터코어(140)를 통과하여 순환할 수 있도록 배관을 통해 엔진 냉각수 라인과 연결된다.
물론, 버스 승객석 공간에 복수개의 히터(100)가 설치될 경우 각 히터의 히터코어(140) 모두가 배관을 통해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 라인에 연결되며, 이때 히터코어(140)들이 배관을 통해 직렬 형태(냉각수가 히터코어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함)로 연결되거나, 또는 병렬 형태(냉각수가 각 히터코어를 독립적으로 통과함)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로워 어셈블리(130)의 토출구 측이 내부 케이스(120)의 상부 공간인 송풍실(122)과 연통되어 있음을 볼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워 어셈블리(130)의 구동시에 송풍되는 공기가 내부 케이스(120)의 송풍실(122)로 유입된 뒤 히터코어(140)를 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히터코어(140)를 통과하는 동안 승온된 공기, 즉 난방용 온풍이 하측의 토출실(123)로 이동함을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실(122)의 내부에는 블로워 어셈블리(1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하측의 히터코어(140)쪽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히터코어 전 영역에 고르게 배분해주는 분배가이드(122a)가 설치된다.
상기 분배가이드(122a)는 내부 케이스(120)의 내측면에 일체 형성되는 판상 구조물로서, 내부 케이스(12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각 분배가이드(122a)는 블로워 어셈블리(13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부딪힌 뒤 하방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경사진 곡면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로워 어셈블리(13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전방부로 쏠리는 것을 막고 히터코어(140)의 전 부분에 고르게 송풍될 수 있도록 각 분배가이드(122a)의 상단 높이가 다르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블로워 어셈블리(130)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는 분배가이드(122a)의 상단 높이를 가장 낮게 설정하여,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상류측)에 위치되는 분배가이드의 상단 높이를 그 후방(하류측)에 위치되는 분배가이드의 상단 높이에 비해 낮게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블로워 어셈블리(130)에 의해 송풍된 공기 중 일부가 상류측에 위치되는 분배가이드(122a)에 의해 히터코어(140)로 분배되어 흐르는 동시에, 그 나머지 공기가 상류측 분배가이드의 상측을 지나게 된다.
또한 상류측 분배가이드(122a) 상측을 지난 공기 중 또 일부가 그 하류측 분배가이드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어 히터코어(140)로 분배된 뒤 토출실(123)로 흐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나머지 공기가 상기 하류측 분배가이드의 상측을 지난 뒤 또 다른 하류측 분배가이드에 의해 히터코어(140)로 분배되어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상단 높이가 다른 각 분배가이드(122a)에 의해 송풍 공기가 히터코어(140)의 전 부분에 고르게 분배되어 통과한 뒤 토출실(123)로 흐르게 되며, 이로써 공기 승온을 위해 히터코어(140)의 전 부분을 고르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히터코어(140) 하측의 토출실(123)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120)의 하부는 좌우방향으로 경사진 곡면판 구조, 특히 토출구(125)가 형성된 내부 케이스(120)의 측면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진 형상의 곡면판 구조로 형성되며, 이로써 토출실(123)로 이동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측면의 토출구(125) 및 외부 커버(110)의 토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 케이스(120)의 하부에서 측면의 토출구(1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커버(110)의 중앙 토출구(114)에 직접 연결되고, 내부 케이스(120)의 전, 후측 토출구(124,126)는 외부 커버(110)의 전, 후방 토출구(113,115)와 덕트(127,128)를 통해 연결되는바, 토출실(123)의 온풍이 각 토출구(113,114,115)를 통해 외부 커버(110)의 전, 후방, 그리고 중앙으로 고르게 분배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실(123) 내측면에는 내부 케이스(12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격벽(123a)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격벽(123a)에 의해 토출실(123) 내 온풍이 토출실 측면의 토출구(125)와 토출실에 연결된 덕트(127,128)에 고르게 분배되어 흐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히터코어(100)에서 승온된 온풍이 토출실(123)에서 히터의 전, 후방 및 중앙의 각 토출구(113,114,115)를 통해 실내로 최종 토출될 수 있는바, 온풍이 히터 주변으로 전, 후, 중앙으로 고르게 배분 및 토출될 수 있게 되면서 승객석 공간을 고르게 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히터(100)의 중앙부를 통해서만 온풍이 토출되도록 하면 히터가 장착된 공간만 주로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승객석 전 공간의 균일한 난방이 힘들게 되고, 온도분포성 측면에서 불리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터(100)에서는 전, 후방 및 중앙의 토출구(113,114,115)를 통해 고르게 온풍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석 전 공간에서 균일한 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히터
110 : 외부 커버
120 : 내부 케이스
130 : 블로워 어셈블리
140 : 히터코어

Claims (12)

  1. 전후방향의 길이가 길고 좌우방향의 폭이 작은 슬림형 외관을 가지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림형 외부 커버와;
    외부 커버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에 전후로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블로워 어셈블리 및 히터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코어는 내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송풍실과 토출실로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실은 블로워 어셈블리의 토출구와, 그리고 상기 토출실은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커버의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토출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하부에는 토출실의 전, 후측과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객석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차체 측벽 하부와 플로어가 만나는 코너부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에는 블로워 어셈블리가 구동될 때 공기가 흡입되는 단부의 공기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토출실과 연통되는 전, 후방의 토출구와 전후 중간에 위치되는 측면의 토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의 공기흡입구는 전후방향 끝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와, 측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코어는 내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측의 송풍실과 하측의 토출실로 구획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풍실의 내부에는 블로워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하측의 히터코어쪽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히터코어 전 영역에 고르게 배분해주는 분배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배가이드는 내부 케이스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 분배가이드는 블로워 어셈블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진 곡면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배가이드는 상단 높이가 각각 다르게 설정되고, 블로워 어셈블리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는 상류측 분배가이드일수록 상단 높이가 낮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 후측의 토출구는 각각 덕트를 통해 외부 커버의 전, 후방 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측면 토출구는 외부 커버의 측면 토출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의 내측면에는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전, 후측 토출구와 측면 토출구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내부 케이스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12.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하부는 좌우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곡면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석용 슬림형 히터.
KR1020120144402A 2012-12-12 2012-12-12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 KR10141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02A KR101417464B1 (ko) 2012-12-12 2012-12-12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02A KR101417464B1 (ko) 2012-12-12 2012-12-12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66A KR20140076166A (ko) 2014-06-20
KR101417464B1 true KR101417464B1 (ko) 2014-07-08

Family

ID=5112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402A KR101417464B1 (ko) 2012-12-12 2012-12-12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4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9205Y1 (en) * 1995-11-01 1997-06-18 Ssang Yong Motor Co Ltd Air conducting apparatus of bus heater
KR0143595B1 (ko) * 1995-12-27 1998-08-01 정몽원 대형버스용 공기조화장치
KR100656627B1 (ko) 2005-10-11 2006-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히터 시스템
KR20120124679A (ko) * 2011-05-04 201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버스의 승객석용 히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9205Y1 (en) * 1995-11-01 1997-06-18 Ssang Yong Motor Co Ltd Air conducting apparatus of bus heater
KR0143595B1 (ko) * 1995-12-27 1998-08-01 정몽원 대형버스용 공기조화장치
KR100656627B1 (ko) 2005-10-11 2006-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히터 시스템
KR20120124679A (ko) * 2011-05-04 201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버스의 승객석용 히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66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6922B2 (ja) 自動車用暖房又は空調装置
US8443873B2 (en) Heat exchanger for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7491119B2 (en)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6149866B2 (ja) 乗物用暖房装置および暖房付き乗物用シート
KR1019981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1002787B (zh) 带贯通孔的部件及具备该部件的车辆用空调装置
CN104640721B (zh) 用于控制车辆的乘客舱的温度的设备,特别是机动车辆
KR101417464B1 (ko) 버스 승객용 슬림형 히터
JP2014156154A (ja) 車両用暖房装置及び暖房付き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
KR20200101744A (ko) 관통홀을 갖는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US20070079952A1 (en) Bus heater system
KR10129713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6339575B2 (ja) 自動車両用のコンパクトな冷暖房ユニット
CN115284814A (zh) 具有由前排座椅承载的吹风器的交通工具
KR2021010915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23222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9856735U (zh) 一种新型hvac出风结构
KR102527166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공조장치
KR1026351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6527130A (ja) 空調設備のための構造配置
JP4677204B2 (ja) 自動車用の小型の暖房換気または空調装置
JP693427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247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410783B1 (ko) 버스 후방 승객석 난방장치
KR100715342B1 (ko) 자동차용 듀얼 공조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