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210B1 -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210B1
KR101417210B1 KR1020110080339A KR20110080339A KR101417210B1 KR 101417210 B1 KR101417210 B1 KR 101417210B1 KR 1020110080339 A KR1020110080339 A KR 1020110080339A KR 20110080339 A KR20110080339 A KR 20110080339A KR 101417210 B1 KR101417210 B1 KR 101417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resin
absorbing sheet
sound absorption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732A (ko
Inventor
강길호
강헌성
정승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1008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2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18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성능과 표면장식효과가 뛰어난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흡음시트는 기재와,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적층구조의 흡음시트로서, 기재에 수지조성물을 함침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기재에 인쇄무늬를 부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또한 기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재에 인쇄무늬를 부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층의 통기도 및 기공도를 조절함으로써, 흡음시트가 얇음에도 불구하고 최대의 흡음성능을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표면 장식에 매우 우수한 효능을 보인다.

Description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 {SOUND ABSORP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의 통기도 및 기공도를 조절하여 최대의 흡음 성능과 표면 장식효과를 갖는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 특허공보 10-2008-0040078에는 표면층에 직물층을 포함하며, 직물층이 섬유를 수지로 피복 코팅시킨 원사를 사용하여 제작된 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방식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주로 방음 또는 보온효과 등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흡음성능 측면이나 표면 장식 효과의 기능은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캘린더 가공에 의한 PVC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표면 내구성이 아주 우수하고, 진공 엠보싱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시공성이 뛰어나게 하는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표면 내구성 및 두께 대비 경량화에 한계가 있고, 뛰어난 흡음성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대한의 흡음 성능과 표면장식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의 흡음 성능과 표면 장식효과를 갖는 흡음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재 또는 PVC졸 함침한 기재에 인쇄무늬를 부여하는 단계를 통한 흡음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이 함침된 기재가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평균흡음률 측정값이 0.4 이상인 흡음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재에 수지 조성물을 함침하는 단계; (b) 상기 수지 조성물이 함침된 기재에 인쇄무늬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 조성물이 함침된 기재가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평균흡음률 측정값이 0.4이상인 흡음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재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기재에 인쇄무늬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된 기재가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평균흡음률 측정값이 0.4 이상인 흡음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시트는 흡음 성능과 표면 장식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흡음시트는 흡차음 자재 및 시스템 구성시 구성자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서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평균흡음률 측정값이 0.4 이상인 흡음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흡음시트
본 발명은 수지조성물이 함침된 기재가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평균흡음률 측정값이 0.4 이상인 흡음성능을 갖는 흡음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기재는 유리섬유,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를 용융, 가공하여 섬유 모양으로 가공한 것으로서, 제법 및 용도에 따라 장섬유와 단섬유로 나눈다. 섬유의 지름은 가늘수록 인장강도 및 열전도율 면에서 우수하다. 보온·흡음용으로는 5~20㎛의 것, 여과용으로는 40~150㎛의 것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통상 천연섬유와 이를 원료로 만든 섬유로서, 이들의 대표적인 예로는 목섬유, 면섬유, 마섬유, 레이온 등이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통상 사(絲) 직물 또는 편물의 형태를 이룬다. 또한 셀룰로오스 섬유는 다른 합성섬유와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섬유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에 합성섬유를 혼합한 즉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제품으로는 이들의 혼방사, 혼방직물, 교직 또는 교편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기재는 유리섬유 40~9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10~6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리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 흡음성능 향상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의 섬유 구성 범위 내가 아닌 경우는 흡음성능 저하의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의 기재는 유기합성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기합성섬유는 2중량부~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ES), 싸이클로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PET), 폴리비닐알콜(PV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설폰, 폴리이미드(PI),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폴리우레탄 (PU)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리합성섬유가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4이상의 탄소수를 가진 α-올레핀 단위 및 C 1내지 4 알킬비닐에테르 단위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을 함유하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는 40~100g/m2의 평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기재층의 평량이 40g/m2의 미만이면, 흡음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0g/m2을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0.1~0.7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재의 공극률(Porosity)이 너무 낮거나 높아 흡음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재의 두께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재의 종류, 형태, 수지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상기 두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인 것이 균일한 액체상을 이룰 수 있는 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수지, 폴리비닐알코올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보행감, 보온효과, 시공의 편의성, 쿠션감, 방음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흡음시트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 역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흡음성능 및 장식효과 등으로 고려하여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시트는 120~260g/m2의 평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흡음시트의 평량이 120g/m2의 미만이면, 흡음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60g/m2를 초과하면, 중량이 커지고 흡음성능 또한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흡음시트는 200Pa 압력에서 100~1000L/m2/s의 통기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200Pa 압력에서, 흡음시트의 통기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흡음시트의 공극률(Porosity)이 너무 낮거나 높아서 흡음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흡음시트는 10~50㎛의 평균 기공도(Pore size)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흡음시트의 평균기공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흡음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흡음시트 제조방법
한편, 본 발명은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평균흡음률 측정값이 0.4 이상인 흡음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흡음시트 제조방법은
1) 기재에 수지 조성물을 함침하는 단계; 및
2) 상기 수지 조성물이 함침된 기재에 인쇄무늬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계1)의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적인 직조 또는 제지 공정 등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조 또는 제지 공정으로 제조된 직포, 부직포 등을 수지 조성물로 함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함침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3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이하의 가소제, 및 130 중량부 이하의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등의 부가적인 성분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나 필터 등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흡음 시트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함침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캐스팅 방식 또는 립 라미네이팅(lip laminating) 방식 등의 통상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각 방식 중에서, 사용되는 수지조성물의 물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재에 수지 조성물을 함침하기 위한 조건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의 조성이나 함침 방식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스팅 방식은 수지 조성물이 아크릴 수지나 비닐계 수지를 포함 하는 경우에 유리하고, 롤 코터 등을 통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직포 또는 부직포 등에 함침하고, 겔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캐스팅 방식을 사용할 경우, 용제 또는 휘발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일정한 두께의 제품을 1회 제조에 의하여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스팅 방식으로 수지 조성물이 함침되는 흡음시트는 3차원 망상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저경도이면서 동시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스팅 방식을 연속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흡음시트를 롤 형태로 대량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지 조성물의 비닐계 수지 중에서 염화비닐수지(PVC)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염화비닐수지(PVC)는 중합도 1000범위의 수지로, 가소제에 용해시 페이스트 형상이 되어 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염화비닐수지(PVC) 졸은 교반 용해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소제는 염화비닐수지(PVC)를 용해시키고 유연화 시키는 화합물로서, 가소제의 함량은 PVC졸을 형성하기 위함이고, 섬유구성에 따라 PVC졸 성분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수지조성물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립 라미네이팅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우레탄 수지를 소정 온도(ex. 150℃ 내지 250℃)에서 압출하고, T-다이(die) 등을 이용하여 섬유에 함침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활한 함침 가공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우레탄 수지의 용융지수(melt index)를 40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레탄 수지인 경우, 상기 수지의 열분해 방지의 관점에서, 가공 온도를 24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단계2)는 인쇄무늬를 부여하는 것으로, 직물 자체의 외관과 인쇄무늬가 조화되어 자연스런 외관을 표현하기 위해 그라이바인쇄, 전사인쇄, 프래소 인쇄, 로터리 인쇄 등의 인쇄방식을 적용하여 인쇄무늬를 부여한다. 특히 로터리 스크린 인쇄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로터리 스크리 인쇄방식(Rotary Screen Printing)은 일 면상에 점상 도포한 뒤 150℃에서 2분간 열풍 건조함으로써 자동스크린 날염의 평판 스크린 틀을 원통형 금속 스크린 틀로 대체한 것을 말한다. 스크린 틀이 회전하고 있고 벨트에 부착된 원단은 계속 이동하므로 무늬가 프린트되는 방식이고, 롤러날염기와 오토 스크린 날염기를 결합시켜 개량한 기계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인쇄무늬를 부여된 흡음시트는 각종 섬유보드 등의 다공성 보드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오버레이 라미네이션하거나 래핑(Wrapping) 공정을 통하여 인테리어 장식용 표면 마감재로 적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본 실험에서는 유리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하여 부직포를 제작하였다.
섬유 직경 섬유길이
유리섬유
(90중량부 이상)
5~20㎛ 1~50mm
셀룰로오스 섬유
(90중량부 이상)
5~100㎛
상기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부직포를 두께, 섬유구성비, 수지 종류 또는 부직포의 평량을 조절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구성하였다. (표2, 표3)
1. 실시예 1 내지 5
부직포두께
(mm)
수지
종류
부직포
섬유구성비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 유리섬유)
부직포
섬유구성비
(중량%)
(셀룰로오스 섬유 :
유리섬유 :
유기합성섬유)
부직포
평량
(g/m2)
실시예1 0.25 PVC 2 : 8 - 50
실시예2 0.26 PVC 2 : 8 - 70
실시예3 0.25 PVC 3 : 7 - 50
실시예4 0.25 PU 2 : 8 - 50
실시예5 0.25 PVC - 4 : 5 : 1 50
2. 비교예 1 내지 10
부직포두께
(mm)
수지
종류
부직포
섬유구성비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 유리섬유)
부직포
섬유구성비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
유리섬유 :
유기합성섬유)
부직포
평량
(g/m2)
비교예1 0.05 PVC 2 : 8 - 50
비교예2 0.9 PVC 2 : 8 - 50
비교예3 0.25 PVC 1 : 9 - 50
비교예4 0.25 PVC 7 : 3 - 50
비교예5 0.25 PVC 2 : 8 - 10
비교예6 0.25 PVC 2 : 8 - 170
비교예7 0.25 EP 2 : 8 - 50
비교예8 0.25 PE 2 : 8 - 50
비교예9 0.25 PVC - 3 : 4 : 3 50
비교예10 0.25 PVC - 2 : 4 : 4 50
<평가> 통기도 및 기공도 조절에 따른 흡음성능
Ⅰ. 시험방법
1. 시험법
관내법(KS F 2814)
2. 측정 장비 (장비명 : 모델명(제조회사/제조국))
관내법 : HM-02 I/O(Scein/S.KOREA)
3. 측정 온/습도 : (19.4 오차범위 0.3)℃/(59.4 오차범위 1.9)% R.H
상기 관내법은 흡음물질의 흡음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일정한 방향에서 평면파가 수직으로 입사될 때 정재파를 측정하여 구하는 것이다. 또한 시편을 확보하기 어려울 때 시도할 수 있는 간이방법으로 시편의 크기를 정확히 제작한 후 반복 시험하여 측정오차를 최소화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식>
NRC = (a250+a500+a1,000+a2,000)/4
aX : X(Hz)의 흡음률 (X는 숫자)
여기서, NRC(Noise Reduction Coefficient)라 함은 흡음재의 흡음률은 각 주파수마다 다르므로 어떤 재료의 흡음성능을 말할 때 그 재료를 대표하는 흡음률의 단일지수가 필요한데, 이와 같이 어떤 재료의 흡음률을 하나의 단일지수로 표현한 것을 NRC라고 한다.
Ⅱ. 시험결과
1. 관내법에 의한 수직입사흡음률 시험결과(배후공간 50mm)
상기의 시험방법에 의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실험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5의 주파수에 대한 흡음률
주파수
(Hz)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000 1250 1600 2000
실시예1 0.08 0.11 0.14 0.19 0.26 0.41 0.57 0.72 0.77 0.77 0.79
실시예2 0.09 0.1 0.11 0.18 0.39 0.45 0.59 0.81 0.91 0.92 0.5
실시예3 0.10 0.12 0.13 0.18 0.26 0.39 0.58 0.71 0.79 0.79 0.83
실시예4 0.09 0.12 0.15 0.20 0.27 0.42 0.58 0.62 0.64 0.64 0.63
실시예5 0.08 0.11 0.14 0.20 0.27 0.42 0.53 0.70 0.72 0.75 0.56
비교예 1 내지 10의 주파수에 대한 흡음률
주파수
(Hz)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000 1250 1600 2000
비교예1 0 0 0 0.10 0.13 0.19 0.21 0.24 0.30 0.33 0.38
비교예2 0 0 0 0.09 0.12 0.15 0.19 0.24 0.28 0.32 0.37
비교예3 0 0 0 0.11 0.17 0.16 0.20 0.22 0.25 0.25 0.30
비교예4 0.08 0.07 0.09 0.13 0.15 0.18 0.22 0.23 0.23 0.24 0.29
비교예5 0.09 0.06 0.09 0.12 0.14 0.17 0.21 0.25 0.29 0.33 0.37
비교예6 0 0 0 0.08 0.16 0.16 0.18 0.26 0.28 0.32 0.37
비교예7 0.05 0 0.07 0.11 0.14 0.15 0.17 0.22 0.29 0.34 0.38
비교예8 0.04 0.06 0.08 0.10 0.13 0.17 0.20 0.23 0.31 0.37 0.42
비교예9 0.06 0.05 0.06 0.12 0.15 0.17 0.21 0.24 0.30 0.36 0.41
비교예10 0 0 0 0.10 0.14 0.18 0.26 0.31 0.35 0.40 0.45
2. 통기도 및 평균 Pore size에 따른 평균 흡음률
(1) 부직포의 두께에 따른 통기도 및 평균 Pore size
통기도 및 평균Pore size에 따른 평균 흡음률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6, 7과 같이, 상기 흡음시트는 부직포의 두께가 0.1 내지 0.7mm 이내의 경우, 부직포의 통기도가 200Pa의 압력에서 100~1000L/m2/s의 범위를 갖고, 평균 Pore size가 10~50㎛의 범위를 가졌다. 또한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흡음시트의 평균흡음률이 0.4 이상의 흡음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부직포의 섬유구성(셀룰로오스 섬유 : 유리섬유)에 따른 통기도 및 평균 Pore size
통기도 및 평균 Pore size에 따른 평균 흡음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직포의 섬유구성이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은 경우, 부직포의 통기도가 200Pa의 압력에서 100~1000L/m2/s의 범위를 갖고, 평균 Pore size가 10~60㎛ 범위를 가졌다. 또한 표 6을 통해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흡음시트의 평균 흡음률이 0.4 이상의 흡음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부직포의 평량에 따른 통기도 및 평균 Pore size
통기도 및 평균 Pore size에 따른 평균 흡음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6을 통해 부직포의 평량이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은 경우,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흡음시트의 평균 흡음률(NRC)이 0.4 이상이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7의 비교예5 및 비교예6과의 평균 흡음률의 비교를 통해서 부직포의 평량 조절이 탁월한 흡음성능을 보이는데 있어 필수 구성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4) 수지종류 및 유기합성섬유를 포함한 섬유 구성에 따른 통기도 및 평균 Pore size
통기도 및 평균Pore size에 따른 평균 흡음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6의 실시예3 및 실시예4를 통해,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흡음시트의 평균 흡음률(NRC)이 0.4 이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표7의 비교예7 및 비교예8을 통하여 비닐계의 수지를 사용한 경우 흡음시트의 흡음성능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기합성섬유를 하기 표6의 실시예 5와 같은 비율로 포함하는 경우도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흡음시트의 평균흡음률이 0.4이상으로 우수한 흡음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5의 통기도 및 평균 Pore size
통기도(L/m2/s)
at 200Pa
평균 Pore size
(Capillary Flow Porometer/Model: CFP-1200 AEIL)
(㎛)
흡음시트
평량(g/m2)
평균 흡음률(NRC)
실시예1 866.7 43 167 0.47
실시예2 686.7 42 174 0.45
실시예3 385.9 12 177 0.48
실시예4 689.1 11 192 0.41
실시예5 874.5 13 284 0.41
비교예 1 내지 10의 통기도 및 평균 Pore size
통기도(L/m2/s)
at 200Pa
평균 Pore size
(㎛)
흡음시트
평량(g/m2)
평균 흡음률(NRC)
비교예1 120.6 13 143 0.1875
비교예2 95.8 11 113 0.1825
비교예3 71.6 9 97 0.1725
비교예4 106.7 18 137 0.185
비교예5 88.5 6 101 0.205
비교예6 72.4 9 98 0.1975
비교예7 51.3 8 76 0.185
비교예8 68.4 7 82 0.21
비교예9 79.2 5 85 0.2125
비교예10 94.4 12 121 0.225

Claims (14)

  1. 수지 조성물이 함침되고, 유리섬유 40~9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10~60중량부 및 유리합성섬유 2~20중량부로 형성된 기재가 200~2000Hz 주파수 범위에서 평균흡음률 측정값이 0.4 이상인 흡음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수지, 폴리비닐알코올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40~100g/m2의 평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0.1~0.7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시트는 120~260g/m2의 평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시트는 200Pa 압력에서 100~1000L/m2/s의 통기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시트는 10~50㎛의 평균 기공도(Pore siz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시트.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80339A 2011-08-11 2011-08-11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17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39A KR101417210B1 (ko) 2011-08-11 2011-08-11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39A KR101417210B1 (ko) 2011-08-11 2011-08-11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32A KR20130017732A (ko) 2013-02-20
KR101417210B1 true KR101417210B1 (ko) 2014-07-08

Family

ID=4789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339A KR101417210B1 (ko) 2011-08-11 2011-08-11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2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308A (en) * 1978-06-16 1979-12-27 Tadashige Mazaki Sound insulat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KR0173072B1 (en) * 1996-12-03 1999-03-30 F M Korea Co Ltd Non-woven fabric for resist and sound absorption
KR20070025490A (ko) * 2005-09-02 2007-03-08 오은영 다기공성 및 유연성의 방음재가 적층된 피착체의 방음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308A (en) * 1978-06-16 1979-12-27 Tadashige Mazaki Sound insulat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KR0173072B1 (en) * 1996-12-03 1999-03-30 F M Korea Co Ltd Non-woven fabric for resist and sound absorption
KR20070025490A (ko) * 2005-09-02 2007-03-08 오은영 다기공성 및 유연성의 방음재가 적층된 피착체의 방음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32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1638B1 (en) Interior sound absorption sheet and sound absorbing sound-proofing panel containing same
CN104945642B (zh) 透气膜的制造方法
US5364681A (en) Acoustic lamina wall covering
JP6251392B2 (ja) 難燃性シート材料
KR100812748B1 (ko) 난연성 및 통기성을 갖는 환경친화적 패블릭 섬유소재 및그 제조방법
WO2017073555A1 (ja) 積層シート及び積層体
KR20160067124A (ko) 열 교환용 원지 및 그것을 사용한 전열 교환 소자
KR101391098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유리섬유계 흡음시트
KR101477861B1 (ko) 흡음성능이 향상된 흡음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23618B1 (ko) 에어로겔 코팅액, 이로 코팅된 에어로겔 시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에어로겔 시트
WO2008066314A1 (en) Laminated acoustic absorption sheet with frame retardant
JP2022523108A (ja) 二成分繊維を使用するロフト剤の保持力を改善する方法
KR101417210B1 (ko) 흡음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46736B1 (ko) 수성발포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4123A (ko) 수분흡착성능이 우수한 벽지
JP2017222786A (ja) 繊維−樹脂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774462A (zh) 一种新型半透膜支撑体
CN108085979A (zh) 一种抗静电织物及抗静电膜布复合材料
KR102100668B1 (ko)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KR20210063500A (ko) 흡차음성 복합층 내장재
JP2015193954A (ja) 薬液含浸基材
KR100982359B1 (ko) 천연 또는 합성 섬유와 발포층이 조화된 바닥재
KR200445802Y1 (ko) 이면지가 부착된 자동차 내장재용 압출시트
KR20210026266A (ko) 실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651419A (zh) 一种高吸附容量的无纺布基吸附材料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