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765B1 -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765B1
KR101416765B1 KR1020080118942A KR20080118942A KR101416765B1 KR 101416765 B1 KR101416765 B1 KR 101416765B1 KR 1020080118942 A KR1020080118942 A KR 1020080118942A KR 20080118942 A KR20080118942 A KR 20080118942A KR 101416765 B1 KR101416765 B1 KR 101416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emperature
cellulose acylate
tenter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367A (ko
Inventor
김기엽
손성호
조용균
정광진
최준태
이철호
황유석
김혁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7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2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08J2301/12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용액필름형성법에 의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텐터에서 예열공정, 연신공정 및 열고정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공정은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필름의 폭 방향으로 기계적 물성, 광학 특성 및 기타 물성이 균일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 Tg+10℃≤T1≤Tg+30℃
ii) 95%≤F≤150%
iii) Tg≤T2≤Tm
iv) T2c≤T2e, 상기 식에서 Tg는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이고, Tm은 필름의 융점이며, T1은 예열공정 온도(℃)이고, F는 연신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일축 또는 이축의 연신배율(%)이고, T2는 열고정공정 온도(℃)이고, T2e는 열고정공정에 있어서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TD)에 대하여 양쪽 변부(edge)의 온도(℃)이고, T2c는 폭방향에 대하여 중앙부(center)의 온도(℃)이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 텐터, 변부, 폭방향, 용액필름형성법

Description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A method of fabricating cellulose acylate film}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으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름의 폭 방향으로 기계적 물성, 광학 특성 및 기타 물성이 균일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의 편광자 보호필름, 광보상 필름으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수지 필름의 제조는 크게 용액 필름 형성법과 용융 필름 형성법으로 분류한다. 용액필름형성법은 용매에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수지를 용해시켜서 제조된 도프를 다이로부터 냉각 드럼과 같은 지지체 상에 도포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용융 필름 형성법은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수지를 냉각 드럼과 같은 지지체 상에 압출함으로써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들 방법에 의해 형성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수지 필름은 일반적으로 세로(길이) 방향(Machine Direction;MD) 및 가로(폭) 방향(Transverse Direction;TD)으로 연신하여 평면내 리타데이션(Re)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를 발현시킨다. 따라서 연신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소자에서 시야각을 확대시킬 목 적으로 각종 형태의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연신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온도가 높은 열고정 공정(heat-set zone)에서 연신에 의해서 발생한 응력이 작용하면서 연신된 필름의 보잉(bow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의 응력은 중심(center) 부분이 가장 크며 변부(edge)로 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보잉(bowing)에 의하여 필름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으며, 특히 광학 필름에서는 광학 특성의 폭 방향에 따른 불균일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필름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물성이 균일하지 않으면 편광판의 뒤틀림, 빛샘 현상과 같은 불량의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으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 시에 연신 공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물성의 불균일 현상을 개선하여 폭 방향으로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액 필름 형성법에 의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텐터에서 예열공정, 연신공정 및 열고정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공정은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 Tg+10℃≤T1≤Tg+30℃
ii) 95%≤F≤150%
iii) Tg≤T2≤Tm
iv) T2c≤T2e
상기 식에서 Tg는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이고, Tm은 필름의 융점이며,T1은 예열공정 온도(℃)이고, F는 연신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일축 또는 이축의 연신배율(%)이고, T2는 열고정공정 온도(℃)이고, T2e는 열고정공정에 있어서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TD)에 대하여 양쪽 변부(edge)의 온도(℃)이고, T2c는 폭방향에 대하여 중앙부(center)의 온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고정공정에서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양쪽 변부에 가열기를 설치하여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v) T2c+5℃≤T2e≤T2c+25℃
상기 식에서 T2e는 열고정공정에 있어서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양쪽 변부(edge)의 온도(℃)이고, T2c는 폭방향에 대하여 중앙부(center)의 온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열기로 적외선 히터 또는 열풍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어느 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용액 필름 형성법에 의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텐터에서 예열공정, 연신공정 및 열고정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공정은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 Tg+10℃≤T1≤Tg+30℃
ii) 95%≤F≤150%
iii) Tg≤T2≤Tm
iv) T2c≤T2e
상기 식에서 Tg는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이고, Tm은 필름의 융점이며,T1은 예열공정 온도(℃)이고, F는 연신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일축 또는 이축의 연신배율(%)이고, T2는 열고정공정 온도(℃)이고, T2e는 열고정공정에 있어서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TD)에 대하여 양쪽 변부(edge)의 온도(℃)이고, T2c는 폭방향에 대하여 중앙부(center)의 온도(℃)이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은 용액필름형성법(Solvent cast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용액필름형성법은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를 가소제, UV 흡수제, 매트제 등의 첨가제와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메탄올 등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교반기에서 용해시켜 도프를 제조하고,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와 아세트산의 에스테르로서,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글루코오스 단위의 2위, 3위 및 6위에 존재하는 수산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세틸기로 치환되어 있다. 그 치환기는 아실기의 탄소원자수가 2∼20 인 아세틸기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치환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2.50~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75~3.00이다. 상기 치환도는 ASTM 의 D-817-91 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분자량 범위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350,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용액(도프)의 점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여 용액 유연법에 의한 필름 제작이 용이해진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분자량분포도 Mw/Mn(Mw는 중량평균분자량, Mn은 수평균분자량)가 1.4 ~ 1.8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1.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액 필름 형성법(또는 솔벤트 캐스팅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조성물(도프)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는 유기용매가 바람직하다. 유기용매로는 할로겐화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할로겐화탄화수소로는 염소화 탄화수소,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클로로포름이 있으며, 이 중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할로겐화탄화수소 이외의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로겐화탄화수소 이외의 유기용매로는 에스테르, 케톤, 에테르, 알코올 및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에스테르로는 메틸포르메이트, 에틸포르메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 펜틸포르메이트, 메틸아실레이트, 에틸아실레이트, 펜틸아세테 등이 사용 가능하며, 케톤으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논 등이 사용가능하고, 에테르로는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메톡시메탄, 디메톡시에탄, 1,4-디옥산, 1,3-디옥솔란, 테트라히드로푸란, 아니솔, 페네톨 등이 사용가능하고,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t-부탄올, 1-펜탄올, 2-메틸-2-부탄올, 시클로헥산올, 2-플루오로에탄올,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2,2,3,3-테트라플루 오로-1-프로판올 등을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주용매로 사용하고, 알코올을 부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알코올을 80: 20 ~ 95 : 5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조성물은 상온, 고온 또는 저온 용해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름 제조 시에 사용되는 첨가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액 유연법에 사용하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용액(도프)에는, 각 조제공정에서 용도에 따른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가소제, 열화방지제, 매트제 미립자, 박리제, 자외선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적외선흡수제 등의 파장분산조정제, 광학이방성 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의 구체적인 종류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필름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를 첨가하는 시기는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결정한다. 도프 조제의 마지막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은 장파장에서의 리타데이션(retardation) 값이 단파장에서의 리타데이션(retardation) 값보다 큰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200~400nm의 흡수대 범위를 가지는 첨가제를 첨가하여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파장 분산 특성을 보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파장분산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옥시 벤조페논계 화합물,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시아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화합물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매트제 미립자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에는 필름 제조 시에 필름의 컬 억제, 반송성, 롤 형태에서의 접착방지 또는 내상성(耐傷性)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매트제를 첨가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매트제로는 무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들 들면, 무기 화합물로는 규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이산화규소,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바륨, 산화지르코늄, 산화스트론튬,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주석ㆍ안티몬,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소성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수화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 등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규소를 함유하는 무기 화합물이나 산화지르코늄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미립자는 평균 1차 입경이 8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 8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50㎚ 이다. 평균 1차 입경이 80㎚를 초과하면, 필름의 표면평활성이 손상된다. 상기 미립자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에서 응집체로서 존재하며, 필름 표면에 요철을 생성시킨다. 미립자가 응집된 상태의 평균 2차 입경은 0.01 ~ 10㎛ 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큰 것은 매트 효과가 크고, 평균 입경이 작은 것은 투명성이 우수하다.
또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은 기계적 강도 향상, 양호한 캐스팅성 및 내흡수성 부여, 수분 투과율의 감소 등을 위해 가소제를 함유한다. 가소제로는 통 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산에스테르 및 프탈산에스테르 또는 시트르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카복실산에스테르 등이 있다. 인산에스테르의 예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등을 들 수 있다. 프탈산에스테르의 예로는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및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등을 들 수 있다. 시트르산에스테르의 예로는 o-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OACTE) 및 o-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OACTB)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카복실산에스테르의 예로는 부틸올레이트, 메틸아세틸리신올레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및 각종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2종류 이상의 가소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가소제의 함량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부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용액을 캐스팅 다이를 통해 지지체 상에 캐스팅하여 상기 용액의 잔류용매량이 20~40중량%가 되도록 박리하여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시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시트를 텐터 내에서 연신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텐터에서는 예열공정, 연신공정 및 열고정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예열공정은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보다 10~30℃ 높게 설정하여 필름을 이완시키는 것이 좋다.
연신공정은 필름의 일축 또는 이축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95~150%로 연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름의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MD)길이에 대하여 99~105%,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TD) 길이에 대하여 100~125%로 이축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고정공정은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와 융점(Tm) 사이의 온도에서 진행하되, 필름의 폭방향(TD)에 대하여 양쪽 변부(edge)의 온도를 중앙부(center)보다 높게 조절하여 진행시키는 것이 좋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텐터 내 변부와 중앙부 사이에 차폐판을 설치하고 텐터 내 필름의 변부에 적외선 히터 또는 열풍장치 등의 가열기를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각 공정은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 Tg+10℃≤T1≤Tg+30℃
ii) 95%≤F≤150%
iii) Tg≤T2≤Tm
iv) T2c≤T2e
상기 식에서 Tg는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이고, Tm은 필름의 융점이며, T1은 예열공정 온도(℃)이고, F는 연신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일축 또는 이축의 연신배율(%)이고, T2는 열고정공정 온도(℃)이고, T2e는 열고정공정에 있어서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TD)에 대하여 양쪽 변부(edge)의 온도(℃)이고, T2c는 폭방향에 대하여 중앙부(center)의 온도(℃)이다.
상기 열고정공정은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양쪽 변부에 가열기를 설치하여 중앙부 온도에 비해 5~25℃ 더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v) T2c+5℃≤T2e≤T2c+25℃
상기 식에서 T2e는 열고정공정에 있어서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양쪽 변부(edge)의 온도(℃)이고, T2c는 폭방향에 대하여 중앙부(center)의 온도(℃)이다. 또한, 상기 가열기는 적외선 히터 또는 중앙부와는 분리된 열풍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고정공정을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양쪽 변부의 온도를 중앙부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열고정 공정(heat-set zone)에서 연신에 의해서 발생한 응력이 작용하면서 연신된 필름의 보잉(bowing)에 의하여 필름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으며, 특히 광학 필름에서는 광학 특성의 폭 방향에 따른 불균일성을 초래하는 문제가 개선되어 필름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물성이 균일해진다. 따라서 필름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물성 불균일에 의해 발생하는 편광판의 뒤틀림, 빛샘 현상과 같은 불량이 나타나지 않으며, 균일한 광학특성을 지니는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은 상기의 조건으로 텐터에서 연신단계를 거친 후, 텐터의 클립 또는 핀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된 필름의 좌우측 말단을 제거한 후 건조기에서의 건조단계를 거쳐 필름이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은 필름의 폭 방향으로 기계적 물성 및 광학 특성이 균일하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치환도 2.87인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수지(중량평균분자량 250,000) 100중량부, 가소제로 트리페틸포스페이트 12중량부, 파장분산조정제(UV흡수제)로 Tinuvin 328(Ciba Chemical) 2중량부, 매트제로 평균입경 30nm인 이산화규소(SiO2) 0.5중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440중량부 와 메탄올 50중량부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교반기에서 용해시켜 도프를 제조하고,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 공정을 통해 얻어진 도프를 캐스팅 다이를 통해서 경면 스테인리스 지지체 상에 캐스팅하고 박리하였다. 박리 후, 텐터에 연결 된 필름은 텐터의 예열공정을 110℃에서 실시하고, 연신공정에서 기계방향으로 100%, 폭 방향으로 105% 연신 하고 이어서 130℃로 조절된 열고정공정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열고정공정의 양 변부에 적외선히트(IR heater)를 설치하여 변부의 온도가 중앙부의 온도보다 10℃높아지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텐터 내의 공정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텐터의 열고정공정에서 필름이 나온 후 필름의 좌우측 말단을 150mm씩 제거하였다. 말단이 제거된 필름을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시키고, 건조기에서 나온 필름의 양단을 3cm 재단하고, 다시 끝으로부터 2mm 부분에 높이 10㎛의 너링 가공을 실시하여, 롤 형상으 로 권취하였다. 권취한 필름의 중앙부 한 곳과 양 주변부 각 2곳의 배향각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배향각은 복굴절 측정기(KOBRA-WPR, 상품명, Oji Scientific Instrument 제조)에서 파장 589nm의 빛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텐터의 열고정공정에서 변부의 온도가 중앙부의 온도보다 15℃높아지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텐터의 연신공정에서 기계방향으로 100%, 폭 방향으로 110% 연신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텐터의 연신공정에서 기계방향으로 100%, 폭 방향으로 110% 연신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텐터의 열고정공정에서 변부의 온도와 중앙부의 온도를 동일하게 설정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텐터의 열고정공정에서 변부의 온도와 중앙부의 온도를 동일하게 설정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표 1]
구분
최종필름의 두께
(㎛)
기계방향
(MD)연신률
(%)
폭방향(TD)
연신률
(%)
열고정공정의 온도(℃)
우측변부 중앙부 좌측변부
실시예 1 80 100 105 140 130 140
실시예 2 80 100 105 145 130 145
실시예 3 80 100 110 140 130 140
실시예 4 80 100 110 145 130 145
비교예 1 80 100 105 130 130 130
비교예 2 80 100 110 130 130 130
[표 2]
구분
배향각
C+400 C+200 C1) C-200 C-400
실시예 1 12.4 7.1 1.8 -6.4 -10.7
실시예 2 9.2 5.3 0.7 -6.1 -8.5
실시예 3 22.7 18.4 1.7 -16.7 -21.3
실시예 4 19.8 15.3 2.0 -14.1 -18.8
비교예 1 20.5 16.3 1.5 -14.8 -19.3
비교예 2 62.4 53.6 -1.2 -55.2 -64.9
1): C는 필름의 폭 방향의 중앙부.
C+200은 필름의 중앙에서 우측 방향으로 200mm 떨어진 부분.
C-200은 필름의 중앙에서 좌측 방향으로 200mm 떨어진 부분.
표 2의 결과로 보아, 텐터의 열고정공정에서 중앙부보다 양 변부의 온도를 높게 하였을 때, 필름의 폭 방향으로의 광학이방성의 불균일성이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변부의 온도가 중앙부의 온도보다 높을수록 불균일성의 감소 효과는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용액필름형성법에 의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텐터에서 예열공정, 연신공정 및 열고정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공정은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i) Tg+10℃≤T1≤Tg+30℃
    ii) 95%≤F≤150%
    iii) Tg≤T2≤Tm
    iv) T2c < T2e
    상기 식에서 Tg는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이고,
    Tm은 필름의 융점이며,
    T1은 예열공정 온도(℃)이고,
    F는 연신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일축 또는 이축의 연신배율(%)이고,
    T2는 열고정공정 온도(℃)이고,
    T2e는 열고정공정에 있어서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TD)에 대하여 양쪽 변부(edge)의 온도(℃)이고, T2c는 폭방향에 대하여 중앙부(center)의 온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고정공정은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양쪽 변부에 가열기를 설치하여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v) T2c+5℃≤T2e≤T2c+25℃
    상기 식에서 T2e는 열고정공정에 있어서 텐터 내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양쪽 변부(edge)의 온도(℃)이고, T2c는 폭방향에 대하여 중앙부(center)의 온도(℃)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적외선 히터 또는 열풍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
KR1020080118942A 2008-11-27 2008-11-27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KR10141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942A KR101416765B1 (ko) 2008-11-27 2008-11-27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942A KR101416765B1 (ko) 2008-11-27 2008-11-27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367A KR20100060367A (ko) 2010-06-07
KR101416765B1 true KR101416765B1 (ko) 2014-07-21

Family

ID=4236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942A KR101416765B1 (ko) 2008-11-27 2008-11-27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193B1 (ko) * 2010-11-18 2014-04-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403A (ko) * 2003-12-19 2005-06-23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44770B1 (ko) 2003-12-31 2006-01-23 주식회사 효성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의 제조 방법
KR20070007949A (ko) * 2004-04-26 2007-01-16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 및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펠릿의 제조방법
KR20080019607A (ko) * 2005-06-10 2008-03-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편광판,위상차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반사 방지 필름, 그리고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403A (ko) * 2003-12-19 2005-06-23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44770B1 (ko) 2003-12-31 2006-01-23 주식회사 효성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의 제조 방법
KR20070007949A (ko) * 2004-04-26 2007-01-16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 및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펠릿의 제조방법
KR20080019607A (ko) * 2005-06-10 2008-03-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편광판,위상차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반사 방지 필름, 그리고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367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4134B2 (en) Cellulose ester compositions having low birefringence and films made therefrom comprising a plasticizer
KR101419086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그의 제조 방법,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4517881B2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表示装置
KR101352529B1 (ko)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
US8597551B2 (en) Optical film
KR101416765B1 (ko)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CN113056370B (zh) 纤维素酯相位差膜
KR101144595B1 (ko)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
KR101144597B1 (ko)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
TW201335254A (zh) 延伸光學補償薄膜
KR101705651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US20170174853A1 (en) Cellulose triacetate films with low birefringence
KR102134148B1 (ko) +c 플레이트 광학 특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KR102265239B1 (ko) +c 플레이트 광학 특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KR102134149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다층 위상차 필름
KR101716122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101716121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102156198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다층 위상차 필름
KR101716123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101716118B1 (ko) 광학 신뢰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101716117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101787482B1 (ko) 액정 위상차 기재 필름용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KR101779006B1 (ko) 이축 연신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150134574A (ko)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
KR20160095326A (ko)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