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602B1 - 치실케이스 - Google Patents

치실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602B1
KR101416602B1 KR1020140034068A KR20140034068A KR101416602B1 KR 101416602 B1 KR101416602 B1 KR 101416602B1 KR 1020140034068 A KR1020140034068 A KR 1020140034068A KR 20140034068 A KR20140034068 A KR 20140034068A KR 101416602 B1 KR101416602 B1 KR 10141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casing
case
present
fron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352A (ko
Inventor
김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넷
Priority to KR102014003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6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치실케이스에 있어서,상부 일측에 치실커터가 형성되고 정면에 원형거울이 장착되는 전면케이싱;상기 전면케이싱과 제1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케이싱과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면케이싱;상기 후면케이싱의 상단과 제2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정면에 개폐부재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상기 전면케이싱의 상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싱의 상부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절단부가 형성 되도록 하고 상기 치실커터는 상기 전면케이싱에 형성된 치실커터홈에 분리 및 결합 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상기 커버의 상부에는 고리연결부재가 더 형성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치실케이스{Dental Floss Case}
본 발명은 치실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케이스를 과일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에 고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치실케이스의 휴대성과 활용도를 높이도록 한 치실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세정과 치간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아 청결용 기구에는 칫솔과 치간칫솔 및 치실등이 있다. 이중 치실은 치간에 낀 작은 이물질 및 플러그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고, 치간칫솔에 비해 위생적이며 간편하게 사용가능하여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치실케이스는 휴대가 간편하고 휴대하여 다니는 상황에서도 치실케이스가 분리되거나 치실이 엉키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치실케이스의 경우, 그 크기가 비교적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하여 치실의 사용빈도가 낮았고, 대부분이 직사각형의 형상 등의 투박한 디자인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치실을 사용시 별도의 거울을 이용하여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했고 , 치실의 교체 및 치실을 절단하는 커터의 교체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KR 20-0346030 Y1 KR 20-0458515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치실케이스를 과일형상으로 형성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고, 크기를 소형화하고 상부에 열쇠고리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휴대성과 활용도를 높인 치실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치실을 절단하는 치실커터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치실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치실케이스의 일측에 거울을 더 형성하여 치실케이스를 치실케이스를 단순히 치실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미용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치실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는,과일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치실케이스에 있어서,상부 일측에 치실커터가 형성되고 정면에 원형거울이 장착되는 전면케이싱;상기 전면케이싱과 제1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케이싱과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면케이싱;상기 후면케이싱의 상단과 제2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정면에 개폐부재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상기 전면케이싱의 상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싱의 상부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절단부가 형성 되도록 하고 상기 치실커터는 상기 전면케이싱에 형성된 치실커터홈에 분리 및 결합 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상기 커버의 상부에는 고리연결부재를 더 형성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에 의하면, 치실케이스를 과일형상으로 형성하는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치실케이스를 유아들에게도 친근감 있게 다가가도록 하여, 치실의 사용빈도를 높여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치실케이스에 고리등을 장착하도록 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악세사리등의 용도로 사용할 있도록 하여, 치실케이스의 활용범위를 넓히고 치실케이스의 일측에 거울을 더 형성하여 상기 치실케이스를 미용의 목적으로도 사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치실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치실과 치실을 절단하는 치실커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치실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에 치실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면케이싱과 치실커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면케이싱과 후면케이싱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에 고리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실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는 사과형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과일 또는 동물형상으로도 이루어져 사용자들에게 친근감을 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과형상은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실케이스의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실케이스를 악세사리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는 전면케이싱(10)과 후면케이싱(20)이 결합하여 과일형상의 케이싱(1)을 이루고, 상기 케이싱(1)의 상부에 커버(3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정면에는 원형거울(14)이 장착되어 상기 원형거울(14)을 이용하여 치실 사용 후 치아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원형거울(14)은 상기 후면케이싱(20)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싱(1)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이나 별모양 또는 하트모양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의 상부를 덮는 상기 커버(30)의 상부에는 고리연결부재(32)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고리연결부재(3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과꼭지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30)의 정면하부에는 개폐부재(31)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3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에 치실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케이싱(10)과 상기 후면케이싱(20)은 제1연결부재(50)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케이싱(10)과 상기 후면케이싱(20)이 전개되거나 결합 되도록 하였고, 상기 후면케이싱(20)과 상기 커버(30)는 제2연결부재(51)로 연결되어 상기 후면케이싱(20)과 상기 커버(30)가 전개되거나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전면케이싱(10)과 상기 후면케이싱(20)에는 각각 결합돌기(12)와 결합구멍(23)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결합돌기(12)와 상기 결합구멍(23)이 끼움결합 되도록 하여 상기 전면케이싱(10)과 상기 후면케이싱(20)이 안정적으로 결합 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상부에는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싱(20)의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11)와 맞닿아 결합되는 절단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케이싱(10)과 상기 후면케이싱(20)이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을 이룰때 상기 케이싱(1)의 상부면을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돌출부(11)는 일측이 상기 전면케이싱(10)의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게 형상하여 인출된 치실을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돌출부(11)의 타측에는 치실커터(40)가 삽입되는 치실커터홈(13)이 형성되어 상기 치실커터홈(13)에 상기 치실커터(40)가 장착되어 인출된 치실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후면케이싱(20)의 중앙에는 치실이 장착되는 치실장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21)의 일측에는 치실이 인출되는 치실인출홈(24)이 형성된다.상기 치실인출홈(24)은 상기 절단부(21)의 좌측 또는 우측 어느 곳에나 형성할 수 있되, 상기 치실인출홈(24)의 형성위치에 따라 치실(60)이 감긴 방향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실인출홈(24)이 상기 절단부(21)의 좌측에 형성된 경우, 상기 치실장착부(22)에 장착되는 상기 치실(60)은 시계방향으로 감아진 것을 사용하여 감아진 상기 치실(60)이 상기 치실인출홈(24)으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케이싱(20)과 제2연결부재(51)로 이어진 상기 커버(30)는 상기 전면케이싱(10)과 상기 후면케이싱(20)이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을 이루면, 상기 케이싱(1)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커버(30)의 상기 개폐부재(31)를 이용해 상기 커버(30)를 용이하게 개폐하고, 상기 커버(30)의 상부에 고리연결부재(32)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연결부재(32)에 열쇠고리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면케이싱과 치실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치실커터(40)는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치실커터홈(13)에 끼움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치실커터(40)가 상기 치실커터홈(13)과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치실커터(40)는 오염에 노출되기 쉽고 마모가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를 하여 절삭력을 높이고 청결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면케이싱과 후면케이싱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케이싱(1)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치실(60)은 상기 치실인출홈(24)을 통해 인출되고, 상기 돌출부(11)와 상기 절단부(21)가 맞물려 형성되는 상기 케이싱(1)의 상부를 지나 상기 치실커터(40)가 위치한 곳으로 빠져나간다.
상기 치실(60)을 절단할 때에는 상기 돌출부(11)의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을 손가락으로 눌러 상기 치실(60)을 고정한 후 상기 치실커터(40)를 이용해 절단하여 상기 치실(60)을 사용한다.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정면에는 원형거울(14)이 장착되어 치아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도록 하여 청결한 치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에 고리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리연결부재(32)에 고리(70)를 연결하여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고리연결부재(32)는 치실케이스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30)에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고리의 사용을 원치 않는 사용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치실케이스는 과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등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고, 3~5cm의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였고, 치실을 보관할 때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용 거울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등의 미용목적으로도 사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고리연결부재(32)를 더 형성하여 치실케이스를 악세사리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넓히고, 사용자들이 치실케이스를 더욱 생활화할 수 있도록 하는 치실케이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실케이스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케이싱 10 :전면케이싱
11 : 돌출부 12 :결합돌기
13 : 치실커터홈 14 : 원형거울
20 : 후면케이싱 21 : 절단부
22 : 치실장착부 23 : 결합구멍
24 : 치실인출홈 30 : 커버
31 : 개폐부재 32 : 고리연결부재
40 : 치실커터 50 : 제1연결부재
51 : 제2연결부재 60 : 치실
70 : 고리

Claims (4)

  1. 과일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치실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치실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치실커터홈이 형성되고 정면에 원형거울이 장착되며 내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전면케이싱;
    상기 전면케이싱과 제1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상부 일측에 치실인출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상부에 절단부가 형성되는 후면케이싱;
    상기 후면케이싱의 상단과 제2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정면에 개폐부재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전면케이싱의 상기 치실커터홈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치실커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부에는 고리연결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케이스.
KR1020140034068A 2014-03-24 2014-03-24 치실케이스 KR10141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068A KR101416602B1 (ko) 2014-03-24 2014-03-24 치실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068A KR101416602B1 (ko) 2014-03-24 2014-03-24 치실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352A KR20140044352A (ko) 2014-04-14
KR101416602B1 true KR101416602B1 (ko) 2014-07-09

Family

ID=5065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068A KR101416602B1 (ko) 2014-03-24 2014-03-24 치실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6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429B1 (ko) 2015-06-19 2016-09-29 주식회사 상아이크린 원터치형 치실 홀더
KR20160004501U (ko)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상아이크린 길이확인이 가능한 치실이 구비된 치실공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422842B2 (en) * 2016-09-06 2019-11-14 Colgate-Palmolive Company Case for dental treatmen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431A (ja) 2000-03-10 2003-09-09 スマイリー トゥース フロ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デンタルフロスの使用を奨励する方法と装置
KR200346030Y1 (ko) 2003-12-10 2004-03-26 장지일 치실케이스
KR20040103138A (ko) * 2003-05-31 2004-12-08 김주양 휴대용 치실 보관케이스
KR20110010857U (ko) * 2010-05-14 2011-11-22 정영걸 휴대폰 액세서리용 치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431A (ja) 2000-03-10 2003-09-09 スマイリー トゥース フロ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デンタルフロスの使用を奨励する方法と装置
KR20040103138A (ko) * 2003-05-31 2004-12-08 김주양 휴대용 치실 보관케이스
KR200346030Y1 (ko) 2003-12-10 2004-03-26 장지일 치실케이스
KR20110010857U (ko) * 2010-05-14 2011-11-22 정영걸 휴대폰 액세서리용 치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429B1 (ko) 2015-06-19 2016-09-29 주식회사 상아이크린 원터치형 치실 홀더
KR20160004501U (ko)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상아이크린 길이확인이 가능한 치실이 구비된 치실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352A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96210S1 (en) Combined hair brush and comb
USD932117S1 (en) Cosmetic brush cleaning machine
USD796209S1 (en) Combined hair brush and comb
USD855996S1 (en) Hair brush
USD812816S1 (en) Disposable dental floss and toothpick dental accessory
USD811657S1 (en) Headband and ponytail hair accessory
USD847514S1 (en) Hair brush
USD679543S1 (en) Mixer/cutter pitcher
KR101416602B1 (ko) 치실케이스
US9724178B2 (en) Water flosser tip having a container for treatment tablets
JP2017535389A (ja) 爪切り
US20140041233A1 (en) Small-sized hair trimming device
US8479749B2 (en) Hair debraider
USD612667S1 (en) Garlic slicer
USD943831S1 (en) Combined dental floss and brush device
WO2005020625A3 (en) Ear warmer having a membrane forming a receptacle
JP2006204556A (ja) デンタルフロスケース
KR101275011B1 (ko) 위생마스크
USD493745S1 (en) Pear-shaped faceted gemstone crown
KR200346030Y1 (ko) 치실케이스
USD923871S1 (en) Cosmetic skin care device
USD872978S1 (en) Shower hair wrap
USD485072S1 (en) Finger-mounted dental cloth and floss
KR200406846Y1 (ko) 미장용 머리카락 소제구
KR100489365B1 (ko) 치실과 절단기가 구비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