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429B1 - 원터치형 치실 홀더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치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429B1
KR101661429B1 KR1020150087714A KR20150087714A KR101661429B1 KR 101661429 B1 KR101661429 B1 KR 101661429B1 KR 1020150087714 A KR1020150087714 A KR 1020150087714A KR 20150087714 A KR20150087714 A KR 20150087714A KR 101661429 B1 KR101661429 B1 KR 10166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sing
floss
dental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아이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아이크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아이크린
Priority to KR102015008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형 치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의 인출 및 정지가 원터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양손 중 한 손으로 케이싱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치실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을 입에 넣지 않고 치아를 세정함과 함께 치아 사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므로 인해 편리한 사용과 함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원터치형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치실 홀더{ONE TOUCH TYPE DENTAL FLOSS HOLDER}
본 발명은 원터치형 치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의 인출 및 정지가 원터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양손 중 한 손으로 케이싱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치실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을 입에 넣지 않고 치아를 세정함과 함께 치아 사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므로 인해 편리한 사용과 함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원터치형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치실은 치아의 세정과 함께 치아 사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청결용 기구로서, 치과병원에서 환자의 치아치료시 사용되거나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식사 후에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치실은 개인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치실공급기에 내장되며, 사용시 전단부를 그 치실공급기의 외부로 잡아당겨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한 후 그 치실공급기에 구비된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치실은 사용시 치실공급기로부터 절단된 후,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 등이 입으로 인입되는 등 사용이 불편하고,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된 치실의 양단부를 양손 손가락에 감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치실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6602호(2014.07.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실의 인출 및 정지가 원터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양손 중 한 손으로 케이싱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치실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을 입에 넣지 않고 치아를 세정함과 함께 치아 사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므로 인해 편리한 사용과 함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원터치형 치실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실이 권취되는 보빈; 전,후면부, 상,하부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전면부에 상기 치실이 인출되는 치실인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및 상기 보빈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여 상기 치실이 인출되도록 하거나, 그 치실의 인출이 정지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치실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면은, 일단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과의 사이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전방하부면; 상기 보빈의 하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후면부에 연결되며, 일단부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방하부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양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는 후방하부면; 및 일단부가 상기 전방하부면의 타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후방하부면의 일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그 양단부 사이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는 중앙하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전방부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캡; 상기 치실인출구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치실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 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연결되며, 상기 치실인출구와 상기 보빈 사이에 위치되어 그 치실인출구로 인출되는 상기 치실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캡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후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보호캡의 후단부가 접하면서 그 보호캡의 진행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상부면에 매립되어 그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빈은,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양측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치실이 권취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양측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양측단부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거나, 그 양측단부가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빈은,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싱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스위치; 및 일단부가 상기 조절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그 조절스위치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다수의 돌기 중 서로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돌기 간으로 인입되거나 그 돌기 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조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스위치는, 상기 지지축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플랜지는, 각각 외주면에 상기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바는, 타단부가 한 쌍으로 분기되어 상기 조절스위치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플랜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돌기 중 어느 하나의 돌기 간으로 인입되거나, 그 돌기 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스위치를 가압한 후, 그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원위치로 회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가 상기 조절바에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며, 상기 조절바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치실의 인출 및 정지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사용이 용이한 것은 물론, 치실을 절단함이 없이 양손 중 한 손으로 케이싱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치실을 잡은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손가락 등을 입에 넣지 않고 치아를 세정함과 함께 치아 사이의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치실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치실 홀더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치실 홀더에서 보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치실 홀더에서 조절부와 케이싱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치실 홀더(1)는 치실(10)이 권취되는 보빈(20), 내측으로 공간부(31)가 형성되어 상기 보빈(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치실(10)이 인출되는 치실인출구(32)가 형성되는 케이싱(30) 및 상기 보빈(20)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여 상기 치실(10)이 인출되도록 하거나, 그 치실(10)의 인출이 정지되도록 하는 조절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치실(10)은 양단부를 가지며, 후단부가 상기 보빈(20)에 권취되고, 전단부가 상기 치실인출구(3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케이싱(30)은 전,후면부(33,34)를 가지며, 그 전면부(33)에 상기 공간부(31)와 연통되도록 상기 치실인출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30)은 종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부면(35,36) 및 양측면(37)을 갖는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면(35)은 양단부 사이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면(36)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전면부(3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방하부면(36a), 타단부가 상기 후면부(34) 하측에 연결되고 일단부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빈(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후방하부면(36b) 및 상기 전,후방하부면(36a,36b)을 일체로 연결하는 중앙하부면(36c)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하부면(36a)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상부면(35)과의 사이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빈(20)의 교체에 따라 상기 치실(10)의 전단부가 상기 공간부(31)로부터 상기 치실인출구(32)를 통해 외측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보빈(20)의 교체는 상기 치실(10)의 소모에 따른 치실이 권취된 상태의 다른 보빈으로 리필하는 경우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싱(30)은 정면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기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후방하부면(36b)은 상기 전방하부면(36a) 및 상기 중앙하부면(36c)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양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하부면(36c)은 일단부가 상기 전방하부면(36a)의 타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후방하부면(36b)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양단부 사이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싱(3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짐과 함께 손으로의 파지가 용이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양손 중 한 손으로 상기 케이싱(30)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치실인출구(32)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치실(10)을 잡음으로써 치실 사용시 손가락 등을 입에 넣지 않고 치아를 세정함과 함께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 등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터치형 치실 홀더(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의 전방부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캡(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50)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후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30)의 전면부(33)로부터 후면부(34)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케이싱(30)에는 상기 보호캡(50)의 후단부가 접하면서 그 보호캡(50)의 진행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턱(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터치형 치실 홀더(1)는 상기 치실인출구(32)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치실(10)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절단수단(60)은 상기 상부면(35)에 구비되는 절단날(61)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날(61)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절단 등에 사용되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며, 상기 상부면(35)과 동일면을 이룰 수 있도록 그 상부면(35)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절단날(61)이 상기 케이싱(30)으로부터 돌출되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손가락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원터치형 치실 홀더(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의 내측에 연결되며, 상기 치실인출구(32)와 상기 보빈(20) 사이에 위치되어 그 치실인출구(32)로 인출되는 상기 치실(10)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70)는 전,후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전,후단부가 상기 원터치형 치실 홀더(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싱(30)의 내측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70)는 후단부가 하방향으로 벤딩되어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2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양측면(37)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치실(10)이 권취되는 지지축(21), 상기 지지축(21)의 양측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21)은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종단면이 원형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양측단부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거나, 그 양측단부가 개방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플랜지(22)는 상기 지지축(21)이 가지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그 지지축(21)에 권취되는 상기 치실(10)이 그 지지축(21)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원터치형 치실 홀더(1)는 상기 양측면(37)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21)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바(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홀더바(80)는 양측단부가 상기 지지축(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30)이 양측으로 분기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축(21)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그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보빈(20)이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빈(20)은 상기 한 쌍의 플랜지(22) 중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21)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돌기(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돌기(23)는 상기 플랜지(22)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4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스위치(41) 및 일단부가 상기 조절스위치(4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조절스위치(41)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돌기(23) 간으로 인입되거나 그 돌기(23) 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조절바(42)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스위치(41) 및 상기 조절바(42)는 상기 지지축(21)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30)은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면(36)에 중공(39)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스위치(41)는 양측에 가이드홈(41a)이 형성되면서 그 중공(39)을 이루는 양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상기 중공(39)은 상기 중앙하부면(36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절스위치(41)는 그 중앙하부면(36c)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싱(30)의 파지에 따른 엄지손가락 등으로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바(42)는 상기 조절스위치(41)의 전후 이동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돌기(23) 중 서로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돌기(23) 간으로 인입되거나 그 돌기(23) 간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보빈(20)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한다.
즉, 상기 보빈(20)의 잠금해제시, 상기 치실(10)의 전단부를 전방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보빈(20)이 상기 홀더바(8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치실(10)이 연속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20)의 잠금에 따라 인출된 상기 치실(10)을 당기더라도 그 치실(10)의 인출이 정지되며, 그 정지된 상태에서 치아를 세정함과 함께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원터치형 치실 홀더(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기 케이싱(30)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치실인출구(32)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치실(10)을 잡음으로써 양손으로 치실을 감아 잡을 때보다 치실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사용된 치실은 상기 절단수단(60)을 사용하여 버림으로써 위생적인 관리와 함께 재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다.
상기 보빈(20)은 상기 한 쌍의 플랜지(22)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에 상기 다수의 돌기(23)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한 쌍의 플랜지(22)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22)가 상기 지지축(2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보빈(20)의 분리, 교체에 따른 잘못된 결합과 함께 방향확인의 불편함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의, 상기 조절바(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한 쌍으로 분기되면서 상기 한 쌍의 플랜지(22)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돌기(23) 중 어느 하나의 돌기(23) 간으로 인입되거나 그 돌기(23) 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조절스위치(41)를 가압한 후, 그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원위치로 회귀되도록 하는 스프링(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3)은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가 상기 조절바(42)에 연결된다.
상기 원터치형 치실 홀더(1)는 상기 공간부(31)에 위치되고, 상기 조절바(4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중앙하부면(36c)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43)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3)은 평상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조절바(42)를 상기 플랜지(22)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인해 그 조절바(42)의 타단부가 상기 돌기(23) 간으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의, 상기 보빈(20)은 잠금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치실인출구(32)로 인출된 치실(10)을 전방으로 당기더라도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조절스위치(41)를 전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조절바(42)가 그 조절스위치(41)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며, 그 조절바(42)의 타단부는 상기 돌기(23) 간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스프링(43)은 그 조절바(42)에 의해 가압되며 수축된다.
이때의, 상기 보빈(20)은 잠금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치실인출구(32)로 인출된 치실(10)을 전방으로 당김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보빈(20)에 권취된 치실(10)이 풀림되면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스위치(41)로의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수축된 상기 스프링(43)이 이완되면서 상기 조절바(42)를 가압하여 원위치로 회귀되도록 한다.
이때의, 상기 보빈(20)은 다시 잠금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치실인출구(32)로 인출된 치실(10)을 전방으로 당기더라도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 원터치형 치실 홀더(1)는 상기 조절스위치(41)의 조작에 따라 간편하게 상기 치실(10)의 인출 및 정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치실 사용시 손가락 등을 입에 넣지 않고 치아를 세정함과 함께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 등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치실 홀더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원터치형 치실 홀더 10 : 치실
20 : 보빈 21 : 지지축
22 : 플랜지 23 : 돌기
30 : 케이싱 31 : 공간부
32 : 치실인출구 33 : 전면부
34 : 후면부 35 : 상부면
36 : 하부면 36a : 전방하부면
36b : 후방하부면 36c : 중앙하부면
37 : 측면 38 : 단턱
39 : 중공 40 : 조절부
41 : 조절스위치 42 : 조절바
43 : 스프링 50 : 보호캡
60 : 절단수단 61 : 절단날
70 : 지지플레이트 80 : 홀더바
90 : 연결바

Claims (7)

  1. 치실이 권취되는 보빈;
    전,후면부, 상,하부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전면부에 상기 치실이 인출되는 치실인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보빈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여 상기 치실이 인출되도록 하거나, 그 치실의 인출이 정지되도록 하는 조절부;
    상기 케이싱의 전방부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캡;
    상기 치실인출구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치실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 및
    전,후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전,후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이 그 케이싱의 내부 일측면에 연결되며, 후단부 하방향으로 벤딩되고, 상기 치실인출구와 상기 보빈 사이에 위치되어 그 치실인출구로 인출되는 상기 치실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캡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후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보호캡의 후단부가 접하면서 그 보호캡의 진행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상부면에 매립되어 그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상기 보빈은,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양측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치실이 권취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양측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양측단부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거나, 그 양측단부가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바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한 쌍의 플랜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축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스위치; 및
    일단부가 상기 조절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한 쌍으로 분기되어 상기 조절스위치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플랜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돌기 중 어느 하나의 돌기 간으로 인입되거나, 그 돌기 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조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치실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은,
    일단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과의 사이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전방하부면;
    상기 보빈의 하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후면부에 연결되며, 일단부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방하부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양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는 후방하부면; 및
    일단부가 상기 전방하부면의 타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후방하부면의 일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그 양단부 사이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는 중앙하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치실 홀더.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스위치를 가압한 후, 그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원위치로 회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가 상기 조절바에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며, 상기 조절바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치실 홀더.
KR1020150087714A 2015-06-19 2015-06-19 원터치형 치실 홀더 KR10166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714A KR101661429B1 (ko) 2015-06-19 2015-06-19 원터치형 치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714A KR101661429B1 (ko) 2015-06-19 2015-06-19 원터치형 치실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429B1 true KR101661429B1 (ko) 2016-09-29

Family

ID=5707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714A KR101661429B1 (ko) 2015-06-19 2015-06-19 원터치형 치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4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712B2 (ja) * 1989-01-18 1997-01-16 株式会社 フジタ 2段階開閉式ドーム屋根
US20050092347A1 (en) * 2003-11-04 2005-05-05 Sheng-Fa Fan Handy dental flosser
KR100910900B1 (ko) * 2008-01-07 2009-08-05 이상숙 치간청소구
KR100992629B1 (ko) * 2010-05-26 2010-11-05 이상숙 치간 청소구
KR101416602B1 (ko) 2014-03-24 2014-07-09 주식회사 태영넷 치실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712B2 (ja) * 1989-01-18 1997-01-16 株式会社 フジタ 2段階開閉式ドーム屋根
US20050092347A1 (en) * 2003-11-04 2005-05-05 Sheng-Fa Fan Handy dental flosser
KR100910900B1 (ko) * 2008-01-07 2009-08-05 이상숙 치간청소구
KR100992629B1 (ko) * 2010-05-26 2010-11-05 이상숙 치간 청소구
KR101416602B1 (ko) 2014-03-24 2014-07-09 주식회사 태영넷 치실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3840B2 (ja) フロッシングシステム
US5056540A (en) Tooth flosser
WO1999063903A1 (en) Active dental floss container
KR101661429B1 (ko) 원터치형 치실 홀더
KR200482253Y1 (ko) 길이확인이 가능한 치실이 구비된 치실공급기
KR101760437B1 (ko)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CN116490148A (zh) 牙线夹取器
KR200489501Y1 (ko) 치아위생기구가 구비된 치실구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JP2016150246A (ja) 両手で使用する歯間洗浄器
US6895977B2 (en) Dental flossing tool
KR101622340B1 (ko) 치실기
KR20120081530A (ko) 절단 부재가 구성된 인출용 치간 칫솔
KR101215579B1 (ko)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KR101290297B1 (ko) 안전 치실대
KR200474006Y1 (ko) 치실 케이스
JP3158023U (ja) フロス握り構造
KR101313058B1 (ko) 치과용 스트립 롤 절단기구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US20210000578A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KR200494722Y1 (ko) 구강 관리 장치
CN215228676U (zh) 一种洗牙器的喷嘴塞及洗牙器
CN211722200U (zh) 一种基于人机工程的旅行牙刷
CN207745215U (zh) 一种可反复使用的牙线棒
KR102661828B1 (ko) 치실 내장형 치간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