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979B1 -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979B1
KR101415979B1 KR1020120130899A KR20120130899A KR101415979B1 KR 101415979 B1 KR101415979 B1 KR 101415979B1 KR 1020120130899 A KR1020120130899 A KR 1020120130899A KR 20120130899 A KR20120130899 A KR 20120130899A KR 101415979 B1 KR101415979 B1 KR 101415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emergency call
telephone numbe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030A (ko
Inventor
한창호
Original Assignee
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호 filed Critical 한창호
Priority to KR102012013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97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12 자동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표면 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 SAW) 공진기를 이용한 진폭 위상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의 유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112 자동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선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외부 제어 딥 스위치를 구비하며, 범죄 발생시 사용자가 상기 외부 제어 딥 스위치를 조작하면 자신의 고유 신호인 비상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다수의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비상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서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인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로 판단되면 기입력되어 저장된 비상 호출 전화 번호들 중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에 대응하는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고 일정 시간 후 마이크를 통해 범죄 현장의 소리를 전화선을 통해 상기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송하는 단일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자동 신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점포 내에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송신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단일 수신기를 포함하되, 각각의 송신기에 고유의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동일한 RF 수신 영역 내에서 송신기에서 송출되는 RF 신호 간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112 AUTOMATIC REPOR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112 자동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표면 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 SAW) 공진기를 이용한 진폭 위상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의 유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112 자동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 개발 연구 학술지 2009년 Ⅱ호 "외환 위기 이후 흉악 범죄의 증가와 정부의 범죄 억지 정책"(저자 : 김두얼/김지은, 발행일 : 2009. 12. 31)」에 따르면,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지난 10년 동안 살인, 강도, 강간, 방화 등 신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흉악 범죄가 두 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세계 경제 위기와 맞물려 흉악 범죄율은 감소하지 않고 지금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흉악 범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크게 경제 위기로 인한 생계형 범죄의 급증과 더불어, 경제·사회의 양극화 심화 및 신용 불량, 그리고 개인 파산 등 경제적 갈등과 인륜 경시 풍조가 사회 및 부유층에 대한 적대감으로 표출되는 등 경제·사회적 갈등이 범죄 현상으로 표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흉악 범죄를 예방 및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양한 무인 경비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의 무인 경비 시스템들은 은행, 사무실 또는 일반 가정 등 통상의 건물 내부에 외부적인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침입 여부를 사설 경비 업체로 제공하는 자동화된 무인 경비 시스템으로 진화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사설 경비 업체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사설 경비 직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설 경비 업체에서 운영하는 이동 차량 한 대당 관할하는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범죄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편의점과 같이 범죄에 취약한 업소를 상대로 전화기를 이용한 무다이얼 직통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손쉽게 신고할 수 있는 '한달음 시스템'이 개발되어 범인을 검거하고 범죄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무다이얼 직통 전화 서비스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수화기를 7초 이상 들고 있다던가 잘못 내려놓은 것 등에 의한 오작동 신고 접수가 많이 발생되어 경찰관의 불필요한 출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빈번한 허탕과 이에 따른 부족한 인력으로 인하여 실제 범죄가 이루어지는 현장으로의 출동이 늦어져 정작 위급한 상황에 있는 사람을 도울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4271호(등록일 : 2009. 04. 16)에서는 '단말기와 오작동이 없는 스위치를 이용한 비상 신고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서는 비상시 사용자가 사전에 저장한 번호로 신고자의 위치를 녹취한 음성을 송신하여 위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오작동이 없는 스위치를 통해 오작동에 따른 인력과 시간 낭비를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104995호(공개일 : 2001. 11. 28)에서는 '무선 원터치 112 자동 신고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경찰에 112 전화 신고를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드러내놓고 신고하기가 곤란한 경우 범인 몰래 무선 리모콘을 원터치하면 자동으로 경찰 112 지령실에 전화를 걸어 긴급 상황을 알려주고, 신고한 위치를 경찰 112 지령실 모니터에 띄워 줌으로써 범죄 발생 신고 지연을 해소하고 정확하게 경찰 출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유선 단말기가 제공됨에 따라 범죄 발생시 신고자가 단말기에 근접하여 위치하지 않는 경우 범죄 신고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고자가 항상 단말기 주변에 머물러야 하는 등의 사용상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리모콘의 무선 송출 영역 내에서 다른 매장에 동일 제품의 자동 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다른 매장의 리모콘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를 잘못 인식하여 오작동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20-0444271 Y1, 2009. 04. 16. KR 10-2001-0104995 A, 2001. 11. 28.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동일 점포 내에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송신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단일 수신기를 포함하되, 각각의 송신기에 고유의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동일한 RF 수신 영역 내에서 송신기에서 송출되는 RF 신호 간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는 유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범죄 취약 점포 내에서 사용자의 업무 동선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다수의 송신기를 각각 설치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는 유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현재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는 한달음 시스템과 유무선 송수신기를 연계시켜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범죄 발생시 신고 효율성 향상 및 오작동으로 인한 인력 및 시간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선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외부 제어 딥 스위치를 구비하며, 범죄 발생시 사용자가 상기 외부 제어 딥 스위치를 조작하면 자신의 고유 신호인 비상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다수의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비상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서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인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로 판단되면 기입력되어 저장된 비상 호출 전화 번호들 중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에 대응하는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고 일정 시간 후 마이크를 통해 범죄 현장의 소리를 전화선을 통해 상기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송하는 단일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자동 신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기는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송신기로 전달하는 택 스위치와, 상기 외부 제어 딥 스위치로 기능하는 코드 발생부 및 혼선 방지부와, 오실레이터로부터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입력받고 상기 코드 발생부와 상기 혼선 방지부의 설정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인 고유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로부터 출력된 고유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고유 신호와 표면 탄성파 공진기를 통해 생성된 변조 신호를 상호 혼합 발진하여 출력하는 제1 발진부와, 상기 제1 발진부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안정적인 주파수로 변조하는 RF 필터부와, 상기 RF 필터부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1 RF 증폭부와, 상기 제1 RF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를 제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수신기로 송출하는 제1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일 수신기는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 RF 신호를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2 임피던스 매칭부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2 RF 증폭부와, 표면 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RF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를 복조하는 제2 발진부와, 상기 제2 RF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와 상기 제2 발진부를 통해 발진된 신호를 혼합하여 증폭하는 믹싱 증폭부와, 상기 믹싱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필터부와, 상기 노이즈 제거 필터부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증폭하는 연산 증폭기와, 외부 제어 딥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기입력되어 저장된 설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연산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서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인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로 판단되면 기입력되어 저장된 비상 호출 전화 번호들 중 상기 연산 증폭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일 수신기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비상 호출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발생부와, 상기 DTMF 발생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DTMF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제어 릴레이와, 상기 제어 릴레이로부터 상기 DTMF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처리부에 입력하는 전화 번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일 수신기는 상기 중앙 처리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를 증폭하여 상기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송하는 소리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일 수신기의 전화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락하고 상기 단일 수신기의 단말 정보를 토대로 기저장된 상기 단일 수신기의 단말 정보를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112 지령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범죄 발생시 송신기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비상 호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단일 수신기를 통해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비상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서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단일 수신기에 기입력되어 저장된 비상 호출 전화 번호들 중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에 대응하는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마이크를 통해 범죄 현장의 소리를 전화선을 통해 상기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자동 신고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점포 내에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송신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단일 수신기를 포함하되, 각각의 송신기에 고유의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동일한 RF 수신 영역 내에서 송신기에서 송출되는 RF 신호 간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범죄 취약 점포 내에서 사용자의 업무 동선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다수의 송신기를 각각 설치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는 한달음 시스템과 유무선 송수신기를 연계시켜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범죄 발생시 신고 효율성 향상 및 오작동으로 인한 인력 및 시간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12 자동 신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수신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12 자동 신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12 자동 신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12 자동 신고 시스템은 동일 점포 내에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송신기(10)와, 송신기(10)로부터 송출된 RF 신호에 응답하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 번호로 자동 연결하는 단일 수신기(3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송신기(10)는 코드 발생부(11), 혼선 방지부(12), 엔코더(13), 오실레이터(14), 제1 발진부(15), RF 필터부(16), 제1 RF 증폭부(17), 제1 임피던스 매칭부(18), 제1 안테나(19), 전원부(20) 및 발광 다이오드(21)를 포함한다.
외부 제어 딥 스위치(SW1)에 대응하는 코드 발생부(11)와 외부 제어 딥 스위치(SW2)에 대응하는 혼선 방지부(12)는 일례로 7개의 코드 어드레스(code0~code6)와 5개의 데이터 어드레스(ch0~ch4)를 갖는 PTC사에서 제조된 CMOS IC인 PT62262를 사용할 수 있다.
엔코더(13)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오실레이터(14)로부터 발진 주파수를 제공받아 외부 제어 딥 스위치(SW1)인 코드 발생부(11)와 외부 제어 딥 스위치(SW2)인 혼선 방지부(12)에 의한 설정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인 고유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오실레이터(14)는 예를 들어 15Khz의 전송 캐리어를 발진하는 수정 발진기(X1)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발진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3), 코일(L1), 트랜지스터(Q1), 콘덴서(C2) 및 표면 탄성파 공진기(X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발진부(15)는 엔코더(13)로부터 출력된 고유 신호와 표면 탄성파 공진기(X2)로부터 발생된 공진 주파수, 예를 들면 345MHz를 혼합하여 발진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트랜지스터(Q1)는 코드 발생부(11)를 통해 생성된 15KHz의 고유 신호와 표면 탄성파 공진기(X2)로부터 발생된 345MHz를 혼합하여 RF 필터부(16)로 출력한다.
제1 발진부(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탄성파 공진기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의 R, L, C 공진기의 단점인 온도와 습도에 기인한 공진 주파수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RF 필터부(16)는 제1 발진부(15)를 통해 혼합 발진된 RF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로우 필터(L2, C4)로 이루어진다. 제1 발진부(15)를 통해 혼합 발진된 주파수는 외부의 노이즈에 의해 여러 가지 신호가 혼합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자기의 고유 주파수 이외에 다른 주파수로 인해 다른 주변 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RF 필터부(16)를 통해 필터링된다.
제1 RF 증폭부(17)는 RF 필터부(16)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최대 출력이 5mW인 RF 증폭 트랜지스터 TR-2SC3356(Q2, Q3)를 사용한다. RF 필터부(16)를 통과한 신호는 미약한 신호이기 때문에 비교적 원거리에 위치될 수 있는 수신기(30)로 송출하기 위해서는 증폭이 필요하다.
제1 RF 증폭부(17)를 통해 일정 크기로 증폭된 RF 신호는 제1 임피던스 매칭부(18)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 후 제1 안테나(19)를 통해 수신기(30)로 송출된다.
한편, 송신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 스위치(2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21)는 택 스위치(22)의 동작에 따라 송신기(10)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10)는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에서 변조 신호에 의해 반송파를 LC 발진 방식으로 진폭 변조하는 진폭 위상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표면 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진폭 위상 변조 방식으로 개선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10)는 외부 제어 딥 스위치 대신에 스위치로 기능하는 감지 센서(열 센서, 적외선 센서 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이에 응답하여 RF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기(30)로 송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수신기(3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일 수신기(30)는 제2 안테나(31), 제2 임피던스 매칭부(32), 제2 RF 증폭부(33), 제2 발진부(34), 믹싱 증폭부(35), 노이즈 제거 필터부(36), AD(Analog/Digital) 변환부(37), 연산 증폭기(38), 중앙 처리부(39),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발생부(40), 제어 릴레이(41), 전화 입력부(42), 마이크(43), 소리 증폭부(44), 정전압 회로부(45) 및 외부 제어 딥 스위치(46)를 포함한다.
제2 임피던스 매칭부(32)는 임피던스 매칭 작업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송신기(10)들 중 어느 하나의 송신기를 통해 송출된 RF 신호를 제2 안테나(31)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제2 RF 증폭부(33)는 제2 임피던스 매칭부(32)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를 증폭한다. 일례로, 제2 RF 증폭부(33)는 트랜지스터 TR-2SC1674Y를 사용하여 10dB 정도로 증폭한다.
제2 발진부(34)는 제2 RF 증폭부(33)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를 복조하기 위하여 공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2 발진부(34)는 345MHz의 주파수와 혼합하여 10.7MHz의 주파수를 출력하기 위해 304.3MHz의 주파수를 발진한다. 이를 위해, 제2 발진부(34)는 표면 탄성파 공진기, 트랜지스터 TR-2SC3356 및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믹싱 증폭부(35)는 제2 발진부(34)에서 발진된 304.3MHz의 공진 주파수와 제2 RF 증폭부(33)로부터 입력된 345MHz 주파수를 혼합하고 증폭하여 10.7MHz의 주파수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믹싱 증폭부(35)는 트랜지스터 TR-2SC1674Y를 사용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 필터부(36)는 믹싱 증폭부(35)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10.7MHz의 주파수 대역만이 요구됨에 따라 노이즈 제거 필터부(36)는 10.7MHz의 주파수 대역은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는 차단한다.
AD 변환부(37)는 노이즈 제거 필터부(36)를 통해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AD 변환부(37)로는 IC KA358을 사용하여 10.7MHz의 아날로그 신호를 안정된 15KHz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AD 변환부(37)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연산 증폭기(38)로 입력되고, 연산 증폭기(38)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증폭하여 출력한다.
연산 증폭기(38)를 통해 증폭된 신호는 중앙 처리부(39)로 전송된다. 중앙 처리부(39)는 외부 제어 딥 스위치(46)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전화 번호를 입력받거나 연산 증폭기(3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로 연결을 수행한다.
중앙 처리부(39)는 외부 제어 딥 스위치(46)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화 번호를 입력받는 전화 번호 입력 모드로 진입하거나, 혹은 전화선을 통해 기입력된 전화 번호로 연결을 수행하는 호출 모드로 진입하여 각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중앙 처리부(39)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방식을 이용하여 전화 번호 입력 모드에서는 전화 번호를 입력받고, 호출 모드에서는 기입력된 전화 번호 중에서 연산 증폭기(3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한다.
DTMF 방식이라 함은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해 전화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방식의 하나로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각 버튼에 해당하는 2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을 발생한다. 이 방식은 단순히 전화기 내부의 기계 장치에 의해서 전화국과 직접 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소리만을 발생하여 이를 전화선으로 통해 전화국에 전달한다.
중앙 처리부(39)가 전화 번호 입력 모드시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여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여 DTMF 발생부(40)는 DTMF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 릴레이(41)로 전송하고, 제어 릴레이(41)는 DTMF 신호를 전화 입력부(42)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화 입력부(42)는 제어 릴레이(41)로부터 전송된 DTMF 신호를 중앙 처리부(39)로 전송하고, 중앙 처리부(39)는 전화 입력부(42)로부터 입력된 DTMF 신호를 저장한다.
중앙 처리부(39)는 호출 모드시 연산 증폭기(38)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와 전화 입력부(42)를 통해 입력되어 저장된 DTMF 신호를 비교한 후 이들이 일치하는 경우 DTMF 발생부(40)를 통해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발생하고, DTMF 발생부(40)를 통해 발생된 신호는 제어 릴레이(41)를 통해 전화선으로 전송되게 된다.
중앙 처리부(39)는 전화선을 통해 기입력된 112 지령실, 파출소(지구대) 또는 지인의 전화 번호를 호출하여 이들 전화기와 호(呼)가 설정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초 후에 마이크(43)를 구동시킨다. 마이크(43)는 주변에서 발생된 소리(음성)를 소리 증폭부(44)를 통해 일정 크기로 증폭한 후 전화선을 통해 호가 설정된 전화기로 전송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30)로부터 112 지령실로 전화가 연결되면 한달음 시스템과 연계되어 112 지령실 서버(50)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기(30)에서 전송된 전화 번호와 대응되는 범죄 취약 점포에 대한 정보(점포명, 위치, 전화 번호 등)가 표시된다.
한편, 수신기(30)는 정전압 회로부(45)와 표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전압 회로부(45)는 중앙 처리부(39)와 전화 입력부(42)와 같이 안정적인 동작이 요구되는 구성부에 일정한 정전압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는 수신기(30)로 비상 호출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10)를 표시하거나, 혹은 송신기(10)의 비상 호출 신호에 대응하여 호가 설정된 지정된 전화 번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12 자동 신고 시스템은 하나의 수신기(30)로 최대 128개의 송신기(10)를 운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접하게 위치한 서로 다른 점포 내에서 송수신기 간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점포 내에 설치되는 송신기의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 즉, 코드 발생부(11)를 통해 서로 다른 점포 내에서 설치된 각 송신기에서 발생되는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이와 대응하여 수신기(30)에서는 해당 점포 내에서 설치된 송신기의 코드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후 설정되지 않은 코드를 갖는 송신기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호출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송신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제어 딥 스위치가 장착된 비상 벨, 리모콘 또는 사용자가 착용이 용이하면서 실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액세서리(목걸이, 시계, 팔찌 등)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외에도, 범죄자가 인지하지 못하도록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거나 실생활에 사용되는 물건과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12 자동 신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동일 점포 내에서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송신기(10)가 설치되고, 범죄 발생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송신기의 외부 제어 딥 스위치(SW1, SW2)를 조작하면, 엔코더(13)는 코드 발생부(11)와 혼선 방지부(12)의 설정에 대응하는 고유 신호인 비상 호출 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비상 호출 신호는 제1 발진부(15), RF 필터부(16), 제1 RF 증폭부(17)를 통해 신호 처리된 후 제1 임피던스 매칭부(18) 및 제1 안테나(19)를 통해 수신기(32)로 송출된다(S51).
수신기(30)는 송신기(10)의 제1 안테나(19)로부터 송출된 비상 호출 신호를 제2 안테나(31)와 제2 임피던스 매칭부(32)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는 제2 RF 증폭부(33), 제2 발진부(34), 믹싱 증폭부(35), 노이즈 제거 필터(36), AD 변환부(37), 연산 증폭기(38)를 통해 신호 처리된 후 중앙 처리부(39)로 수신된다(S52).
중앙 처리부(39)는 송신기(10)로부터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53). 이때, 판단 여부는 송신기(10)로부터 송출된 비상 호출 신호와 중앙 처리부(39)에 기설정된 설정 값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동일 점퍼 내에 설치된 송신기(10)로부터 송출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중앙 처리부(39)에 기입력된 비상 호출 전화 번호들 중 해당 비상 호출 신호에 대응하는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DTMF 발생부(40) 및 제어 릴레이(41)를 통해 전화를 연결한다(S54, S55).
이후, 중앙 처리부(39)는 지정된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PSTN(1)을 통해 전화 연결이 완료되면, 일정 시간 후 마이크(43)와 소리 증폭부(44)를 통해 범죄 현장에서 발생되는 소리(음성)를 실시간으로 전화선을 통해 전화 연결 중인 전화기로 전송한다(S56).
한편, 112 지령실 서버(50)는 수신기(30)의 전화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락하고, 수신기(30)의 단말 정보(전화 번호)를 토대로 기저장된 수신기(30)의 단말 정보(점포명, 위치, 전화 번호 등)를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112 지령실 담당자는 모니터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범죄가 발생된 점포에 가까운 파출서(지구대) 또는 근처를 순찰 중인 경찰차에 연락하여 범죄 발생을 통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PSTN 10 : 송신기
30 : 단일 수신기 50 : 112 지령실 서버
11 : 코드 발생부 12 : 혼선 방지부
13 : 엔코더 14 : 오실레이터
15 : 제1 발진부 16 : RF 필터부
17 : 제1 RF 증폭부 18 : 제1 임피던스 매칭부
19 : 제1 안테나 20 : 전원부
21 : 발광 다이오드 22 : 택 스위치
31 : 제2 안테나 32 : 제2 임피던스 매칭부
33 : 제2 증폭부 34 : 제2 발진부
35 : 믹싱 증폭부 36 : 노이즈 제거 필터부
37 : AD 변환부 38 : 연산 증폭기
39 : 중앙 처리부 40 : DTMF 발생부
41 : 제어 릴레이 42 : 전화 번호 입력부
43 : 마이크 44 : 소리 증폭부
45 : 정전압 회로부 46 : 외부 제어 딥 스위치

Claims (7)

  1. 삭제
  2. 사용자의 동선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외부 제어 딥 스위치를 구비하며, 범죄 발생시 사용자가 상기 외부 제어 딥 스위치를 조작하면 자신의 고유 신호인 비상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다수의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비상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서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인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로 판단되면 기입력되어 저장된 비상 호출 전화 번호들 중 수신된 비상 호출 신호에 대응하는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고 일정 시간 후 마이크를 통해 범죄 현장의 소리를 전화선을 통해 상기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송하는 단일 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송신기로 전달하는 택 스위치;
    상기 외부 제어 딥 스위치로 기능하는 코드 발생부 및 혼선 방지부;
    오실레이터로부터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입력받고 상기 코드 발생부와 상기 혼선 방지부의 설정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인 고유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로부터 출력된 고유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고유 신호와 표면 탄성파 공진기를 통해 생성된 변조 신호를 상호 혼합 발진하여 출력하는 제1 발진부;
    상기 제1 발진부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안정적인 주파수로 변조하는 RF 필터부;
    상기 RF 필터부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1 RF 증폭부; 및
    상기 제1 RF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를 제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수신기로 송출하는 제1 임피던스 매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자동 신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수신기는,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 RF 신호를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제2 임피던스 매칭부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2 RF 증폭부;
    표면 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RF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를 복조하는 제2 발진부;
    상기 제2 RF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와 상기 제2 발진부를 통해 발진된 신호를 혼합하여 증폭하는 믹싱 증폭부;
    상기 믹싱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필터부;
    상기 노이즈 제거 필터부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증폭하는 연산 증폭기;
    외부 제어 딥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기입력되어 저장된 설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연산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동일 점포 내에서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인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로 판단되면 기입력되어 저장된 비상 호출 전화 번호들 중 상기 연산 증폭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는 중앙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자동 신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수신기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비상 호출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발생부;
    상기 DTMF 발생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DTMF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제어 릴레이;
    상기 제어 릴레이로부터 상기 DTMF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처리부에 입력하는 전화 번호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자동 신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수신기는,
    상기 중앙 처리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를 증폭하여 상기 비상 호출 전화 번호로 전송하는 소리 증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112 자동 신고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수신기의 전화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전화 연결을 수락하고 상기 단일 수신기의 단말 정보를 토대로 기저장된 상기 단일 수신기의 단말 정보를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112 지령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자동 신고 시스템.
  7. 삭제
KR1020120130899A 2012-11-19 2012-11-19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5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99A KR101415979B1 (ko) 2012-11-19 2012-11-19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99A KR101415979B1 (ko) 2012-11-19 2012-11-19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030A KR20140064030A (ko) 2014-05-28
KR101415979B1 true KR101415979B1 (ko) 2014-07-07

Family

ID=5089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899A KR101415979B1 (ko) 2012-11-19 2012-11-19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9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487U (ko) * 1990-02-05 1991-10-28
KR960016606A (ko) * 1994-10-10 1996-05-22 신동율 비상 호출용 송신기능이 부가된 페이저 수신장치
KR101063915B1 (ko) * 2009-06-02 2011-09-14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사고예방 시스템 및 사고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120103214A (ko) * 2011-03-10 2012-09-19 남상갑 비상콜 서비스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487U (ko) * 1990-02-05 1991-10-28
KR960016606A (ko) * 1994-10-10 1996-05-22 신동율 비상 호출용 송신기능이 부가된 페이저 수신장치
KR101063915B1 (ko) * 2009-06-02 2011-09-14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사고예방 시스템 및 사고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120103214A (ko) * 2011-03-10 2012-09-19 남상갑 비상콜 서비스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030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3598B2 (en) Remote control of a speaker phone device as a standalone device or as part of a security system
US6104785A (en) Subscriber control unit for united home security system
US20120002792A1 (en) Wireless intercom emergency assistance system
US8330589B2 (en) Dog bark door bell notification and personal protection system
CN101595712B (zh) 使用无线通信阻止紧急呼叫错误使用的系统和方法
JP200720853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70024318A (ko)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그서비스 방법
CN103325202A (zh) 一种防盗报警系统
CN100382599C (zh) 联络方法和联络装置
KR101415979B1 (ko) 112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1507B1 (ko)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JP2004304690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情報受信装置
KR200465686Y1 (ko) 112 자동 신고 시스템
CN201654977U (zh) 建筑空间无线防盗消防传讯系统结构
JP5307906B2 (ja) 無線通報システム
JP4982647B2 (ja) 無線通報システム
KR20040083655A (ko) 비상통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휴대형 무선 단말기 및비상통보 방법
KR200334398Y1 (ko) 전자 벽시계 겸용 업소용 무선호출 시스템
KR200268441Y1 (ko)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KR100196788B1 (ko) 무선 방범 경보시스템
JP2002312872A (ja) 警備装置
JP3066114U (ja) 警報装置並びに同装置に使用される異常検知器又は異常情報中継器
KR200362189Y1 (ko) 휴대전화기의 수신상태 알림시스템
KR100807814B1 (ko) 협력 방범 시스템
RU99639U1 (ru) Автономная система gsm-сигн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