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847B1 -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847B1
KR101413847B1 KR1020130103087A KR20130103087A KR101413847B1 KR 101413847 B1 KR101413847 B1 KR 101413847B1 KR 1020130103087 A KR1020130103087 A KR 1020130103087A KR 20130103087 A KR20130103087 A KR 20130103087A KR 101413847 B1 KR101413847 B1 KR 10141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scaffold
girder
sub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224A (ko
Inventor
김종규
허주호
김호경
박금기
강진일
임성현
강호석
정준식
이상호
남권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84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2Pillars; Deck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신축 가능한 비계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판의 운용 단위를 세분화 하여 작업 공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발판을 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코너부의 발판을 독립적으로 운용하여 발판에서 작업지점까지의 거리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 운용에 소요되는 시수를 절감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operating method of scaffolding device of corner part}
본 발명은, 특히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축 가능한 비계 시스템과 관련한 것으로, 발판의 운용 단위를 세분화 하여 작업 공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발판을 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코너부의 발판을 독립적으로 운용하여 발판에서 작업지점까지의 거리를 최적화 할 수 있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비계 일반
비계(scaffolding, 飛階)란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쓰는 가설 발판구조를 말하는 것으로, 건설, 보수공사, 건물이나 기계를 청소할 때 작업인부와 자재를 들어올리고 받쳐주기 위해 쓰며 알맞은 크기, 길이의 발판재를 하나 또는 여러 개를 모양과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받쳐서 만든다.
목재비계는 건축현장에서 골격을 조립하고 세워 발판널을 받치는데, 골격은 수직기둥과 수평으로 긴 통나무 부재,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긴 부재, 세로와 가로로 교차하는 버팀대 등으로 이루어지며 비계장선 위에 발판널을 얹는다.
트레슬 비계(도 1)는 방 천장에 미장공사를 할 때처럼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전혀 없거나 거의 없는 넓은 구역에서 작업할 때 쓰인다. 특별히 고안한 것일 수도 있고 목수가 쓰는 단순한 목조 톱질대 모양의 것일 수도 있는데, 특별히 고안한 트레슬 비계는 2~5m 범위 안에서 작업 높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대부분의 건설공사에서는 목재비계 대신 철이나 알루미늄으로 만든 강관비계가 널리 쓰이고 있다. 강관비계는 어떤 형태, 길이, 높이로도 손쉽게 세울 수 있으며 바퀴를 달아 쉽게 옮길 수 있도록 만들기도 한다. 비계에 천막이나 차양을 쳐서 햇빛과 비바람을 막는 경우도 있다. 승강용 강관탑은 지름 8㎝ 정도의 강관이나 파이프를 표준 접속방식으로 연결하여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달비계는 짧은 각목으로 된 가로받침대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각각은 권양기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블은 각 권양기에서 건물 골조에 높이 부착된 돌출보로 이어져 있다. 권양기 표면에 래칫 장치가 달려 있어 가로받침대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그 두 받침대에 발판재를 걸치면 작업대가 된다. 동력비계는 작업자가 비계 위에서 전기 원동기를 작동시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2. 선박의 화물창에 적용되는 비계와 관련한 종래의 특허기술
한편, 선박의 화물창에 적용되는 비계와 관련한 종래의 특허기술로는 특허출원 제10-1994-0703369호의 “비계”(이하, ‘제1 종래기술’이라고 함)와 특허출원 제10-2008-0121340호의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이하, ‘제2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
제1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도 2는 제1 종래기술의 실시 예에 따라 탱크 내에 설치된 비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 종래기술의 실시 예에 따른 비계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제1 종래기술의 실시 예에 따른 비계의 운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 종래기술은 탱크나 사각타일(quarries)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중공형 부재(1)의 내부에서의 작업에 특히 적합한 비계를 제공한다. 제1 종래기술의 비계는 바닥을 형성하여서 전체 비계를 보강시키는 적어도 2개의 가로봉(4, 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지주(3)로 이루어진 지지구조물과, 이 지주(3)의 외부면으로부터 가변의 높이로 돌출하여 있는 플랫포옴(6)과, 그리고 지주(3)의 내부에 혹은 그에 인접하게 플랫포옴을 배열시키는 부재(7)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종래기술의 비계는 메탄용 탱크 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한편, 제2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도 5는 제2 종래기술의 기술적 배경이 된 멤브레인 LNG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판 설치 작업을 위한 스카폴딩의 설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제2 종래기술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를 사용하여 스카폴딩 브래킷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제2 종래기술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를 사용하여 스카폴딩 브래킷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종래기술의 기술적 배경과 관련하여(도 5), 일반적으로 멤브레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2)의 내부면에는 화물창(2)의 단열을 위하여 단열판(도시되지 않음) 설치작업을 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화물창(2) 내부면에 단열판 설치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화물창(2) 내부에 스카폴딩(1)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화물창(2) 내부면에 단열판 설치작업을 위해 화물창(2) 내부에 설치되는 스카폴딩(1)은 다수 개의 수직부재(14)와 수평부재(15)가 격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수평부재(15) 중 가장 바깥 부분에 설치된 수평부재 즉, 화물창(2)과 가장 가까운 수평부재(15)를 브래킷(16)이라 하며, 브래킷(16) 위에서는 화물창(2)의 단열판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화물창(2)의 형상이 변경되어 기존 스카폴딩 부재를 설치하게 되었을 때, 브래킷(16)과 화물창(2) 벽과의 거리가 기존 대비 100mm 이상 늘어날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브래킷(16)은 사용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브래킷(16) 보다 100mm 더 긴 신규 브래킷을 제작하여 설치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화물창(2) 형상 변경에 따른 신규 브래킷의 별도 제작에 따른 제작비와 물류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2 종래기술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카폴딩 브래킷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창의 형상이 변경될 경우에도 신규 스카폴딩 브래킷의 제작 없이 기존의 스카폴딩 브래킷을 사용하여 화물창 형상 변경에 따른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제2 종래기술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는(도 6), 스카폴딩 조인트 프레임(20)에 일측 끝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스카폴딩 브래킷(30)과 상기 스카폴딩 조인트 프레임(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스카폴딩 브래킷(3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어댑터(10)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프레임(20)의 일측에 부착된 고정 브래킷(200`)에 다수개의 고정부재(101)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다수 개의 고정 홀이 천공 형성된 한 쌍의 제 1 고정 브래킷(100); 상기 한 쌍의 제 1 고정 브래킷(100)에 일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부재(102a)(102b);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102a)(102b)의 양측 끝단부와 상, 하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03a)(103b); 및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102a)(102b)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카폴딩 브래킷(30)의 일측 끝단부에 부착된 고정 브래킷(300`)에 다수개의 고정 부재(101)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 홀이 천공 형성된 한 쌍의 제 2 고정 브래킷(104);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종래기술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는(도 7), 스카폴딩의 조인트 프레임(20)과 스카폴딩 브래킷(30)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스카폴딩 브래킷(3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어댑터(10)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프레임(20)의 일측에 부착된 고정 턱(200a)이 돌출 형성된 환형 플랜지(200)에 연결 고정되는 한 쌍의 웨지 고정수단(105); 상기 한 쌍의 웨지 고정수단(105)에 일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부재(102a)(102b);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102a)(102b)의 양측 끝단부와 상, 하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03a)(103b);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03a)(103b) 중 수평부재(102a)(102b)의 타측 끝단부에 위치한 수직부재(103b)의 상,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카폴딩 브래킷(30)의 일측 끝단부에 부착된 한 쌍의 웨지 고정수단(300)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 턱(106a)이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환형 플랜지(106);로 구성된다.
제2 종래기술은, 스카폴딩 조인트 프레임과 스카폴딩 브래킷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스카폴딩 브래킷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창의 형상이 변경되어 기존 스카폴딩 부재를 설치하게 될 경우에도 브래킷과 화물창 벽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물창의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상기 화물창의 형상 변경에 따른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신규 스카폴딩 브래킷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신규 스카폴딩 브래킷의 별도 제작에 따른 제작비와 물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3. 여전히 존재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종래기술 및 제2 종래기술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1)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 공사에서 수행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작업에 과다한 시수가 소모됨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하, ‘LNG선’이라 함)은 화물창 내부에서 1, 2차 단열박스 설치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신축이 가능한 비계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의 비계 시스템은 작업자가 밟고 작업하는 발판(도 9의 301)과 이를 지지하는 철 구조물(도 9의 302)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비계 시스템의 신축(伸縮) 방법은 발판(301)을 추가로 부착(伸)하거나 제거(縮)하고 이에 따라 철 구조물을 다시 부착(伸)하거나 제거(縮)하는 방식에 따라 이루어진다(도 9 참조).
도 8은 종래의 비계 시스템 코너부의 철 구조물(302)을 도시한 것이다. LNG선 화물창 내부의 1, 2차 단열박스 설치 작업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비계 시스템 코너부의 철 구조물(302)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A, B 등의 부재를 순차적으로 제거하면서 작업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 때, A, B 등의 부재는 그 크기와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투입되지만, 발판(도 9의 301)이 제거된 상태에서 철 구조물(302)을 분리 및 제거하는 작업 도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등 작업 효율이 낮은 문제가 발생한다.
(2) 비계 시스템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코너부 조절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움
도 9는 종래의 비계 시스템 코너부를 위(top view), 아래(bottom view)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작업 공정에 따른 종래의 비계 시스템 코너부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비계 시스템 코너부의 경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밟게 되는 발판(301)은 이를 지지하는 철 구조물(302)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각각의 개체로 세분화 하여 독립적으로 분리하지 못하고 반드시 ①, ②, ③의 3영역으로 그룹을 나누어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것만 가능하며, 이에 따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작업 여유 공간(빈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301)이 ①, ②, ③의 3영역으로 그룹을 나누어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인해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발판(301)과 작업지점 사이의 간격(L1, L2)이 급격하고도 과도하게 발생하여 용접 등과 같은 코너부 작업 및 검사를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이 때 발생하는 과도한 간격(L1, L2)은 통상 발판 설치 안전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며, 작업자의 낙상사고와 작업도구의 낙하로 인한 탱크 내부재 손상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특히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신축 가능한 비계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판의 운용 단위를 세분화 하여 작업 공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발판을 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코너부의 발판을 독립적으로 운용하여 발판에서 작업지점까지의 거리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창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칼럼의 상부에 위치하는 칼럼 조인트;
상기 칼럼 조인트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일 끝단이 상기 칼럼 조인트와 연결되는 한 쌍의 메인 거더;
상기 칼럼 조인트 및 상기 메인 거더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일 끝단은 상기 메인 거더 각각의 타 끝단과 연결되고 각각의 타 끝단은 상호간에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거더와 더불어 하나의 사각형 틀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서브 거더;
상기 메인 거더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거더를 타고 상기 메인 거더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랫 서포트 레그;
상기 서브 거더에 설치되되 상기 서브 거더를 타고 상기 서브 거더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코너 서포트 레그;
상기 칼럼 조인트, 상기 메인 거더 및 상기 서브 거더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일 끝단은 상기 칼럼 조인트와 연결되고 타 끝단은 상기 서브 거더 각각의 타 끝단과 동시에 연결되는 코너 거더 및;
일 끝단은 상기 메인 거더에 연결되고 타 끝단은 상기 서브 거더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빔;
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부와,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지 않고, 상기 메인 거더 및 상기 서브 거더의 지지를 받아 상기 메인 거더 및 상기 서브 거더가 이루는 사각형 틀의 내부 영역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 발판 및;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고, 상기 플랫 서포트 레그 및 상기 코너 서포트 레그의 지지를 받아 상기 메인 거더 및 상기 서브 거더가 이루는 사각형 틀의 외부 영역에 가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코너 발판과, 상기 코너 발판의 양 쪽에 설치되며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벽면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변 발판;
을 포함하는 발판부
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을,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로 구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을,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로 구분하고, 이들 중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만이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신축 가능한 비계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판의 운용 단위를 세분화 하여 작업 공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발판을 운용할 수 있고, 특히 코너부의 발판을 독립적으로 운용하여 발판에서 작업지점까지의 거리를 최적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판 운용에 소요되는 시수를 절감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트레슬 비계의 일반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종래기술의 실시 예에 따라 탱크 내에 설치된 비계의 사시도.
도 3은 제1 종래기술의 실시 예에 따른 비계의 횡단면도.
도 4는 제1 종래기술의 실시 예에 따른 비계의 운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2 종래기술의 기술적 배경이 된 멤브레인 LNG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판 설치 작업을 위한 스카폴딩의 설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를 사용하여 스카폴딩 브래킷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2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를 사용하여 스카폴딩 브래킷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비계 시스템 코너부의 철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의 비계 시스템 코너부를 위(top view), 아래(bottom view)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작업 공정에 따른 종래의 비계 시스템 코너부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서포트 레그와 코너 서포트 레그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발판과 벽면 발판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링크, 커넥터 핀 및 커넥터 핀 홀더 상호간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서포트 레그와 코너 서포트 레그의 이동 및 고정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전반적인 다양한 운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각 케이스별 운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
본 발명은, 특히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신축 가능한 비계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판의 운용 단위를 세분화 하여 작업 공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발판을 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코너부의 발판을 독립적으로 운용하여 발판에서 작업지점까지의 거리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이하, ‘본 발명’이라 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게 지지 구조부와 발판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서포트 레그(306)와 코너 서포트 레그(307)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지지 구조부는 발판부의 다양한 운용 형태에 맞도록 그 전체적인 형상이 변화하는 한편 발판부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바, 이러한 지지 구조부는, 칼럼 조인트(303), 메인 거더(304), 서브 거더(305), 플랫 서포트 레그(306) 및 코너 서포트 레그(3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칼럼 조인트(column joint)(303)는 화물창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칼럼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메인 거더(304), 서브 거더(305), 플랫 서포트 레그(306) 및 코너 서포트 레그(307) 등이 칼럼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작용을 한다.
메인 거더(main girder)(304)는 한 쌍이 칼럼 조인트(303)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일 끝단(304a)이 칼럼 조인트(303)와 핀이나 볼트 등으로 연결되어 발판부의 하중을 분산 및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서브 거더(sub girder)(305)는 한 쌍이 칼럼 조인트(303) 및 메인 거더(304)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일 끝단(305a)은 메인 거더(304) 각각의 타 끝단(304b)과 연결되고 각각의 타 끝단(305b)은 상호간에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거더(304)와 더불어 하나의 사각형 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서브 거더(305)는 메인 거더(304)와 더불어 발판부의 하중을 분산 및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플랫 서포트 레그(flat support leg)(306)는 각각의 메인 거더(304)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플랫 서포트 레그(306)는 메인 거더(304)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거더(304)를 타고 메인 거더(304)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플랫 서포트 레그(306)의 이동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코너 서포트 레그(corner support leg)(307)는 서브 거더(305)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코너 서포트 레그(307)는 서브 거더(305)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브 거더(305)를 타고 서브 거더(305)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코너 서포트 레그(307)는 한 쌍의 서브 거더(305)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거나 각각의 서브 거더(305) 모두에 설치될 수 있는바, 도 11의 실시 예에서는 코너 서포트 레그(307)가 각각의 서브 거더(305) 모두에 설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도 11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코너 서포트 레그(307)가 상하로 거리차를 두고 서로 가로지르도록 구성함으로써 코너 서포트 레그(307)의 이동 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코너 서포트 레그(307)의 이동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지지 구조부는 상술한 칼럼 조인트(303), 메인 거더(304), 서브 거더(305), 플랫 서포트 레그(306) 및 코너 서포트 레그(307)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그 요구되는 기능 및 작용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나, 보다 안정적인 구조 체계를 갖추기 위하여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너 거더(308)와 빔(3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 거더(corner girder)(308)는 칼럼 조인트(303), 메인 거더(304) 및 서브 거더(305)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일 끝단(308a)은 칼럼 조인트(303)와 연결되고 타 끝단(308b)은 서브 거더(305) 각각의 타 끝단(305b)과 동시에 연결되어 서브 거더(305) 및 코너 서포트 레그(307)의 하중을 칼럼 조인트(303)까지 전달해 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빔(beam)(309)은 하나 이상의 개체가 일 끝단(309a)은 메인 거더(304)에 연결되고 타 끝단(309b)은 서브 거더(305)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고정 발판(310)의 하중을 분산 및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발판(320)과 벽면 발판(330)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발판부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 작업 시 작업자가 밟고서 몸을 지탱하게 되는 부분으로 작업 공정에 따라 그 운용 단위를 세분화 하여 적합한 형태로 변화하는 작용을 하는바, 이러한 발판부는, 고정 발판(310) 및 가변 발판(P)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 발판(310)은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상술한 메인 거더(304) 및 서브 거더(305)의 지지를 받아 메인 거더(304) 및 서브 거더(305)가 이루는 사각형 틀의 내부 영역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함은 고정 발판(310)이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지 않고 작업 시점의 처음부터 끝까지 항상 그 설치된 상태를 유지함을 의미한다(도 20 참조). 이러한 고정 발판(31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평판(34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도 13).
가변 발판(P)은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상술한 플랫 서포트 레그(306) 및 코너 서포트 레그(307)의 지지를 받아 메인 거더(304) 및 서브 거더(305)가 이루는 사각형 틀의 외부 영역에 가변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가변적으로 설치된다’ 함은 가변 발판(P)이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기 위하여 작업 중 설치, 분리 또는 교체되는 방식을 통하여 그 전체적인 형태가 변화(신축)함을 의미한다(도 20 참조).
이 경우, 상술한 플랫 서포트 레그(306)와 코너 서포트 레그(307)는 이러한 가변 발판(P)의 설치 형태에 맞게 그 이동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매번 변화하는 형태의 가변 발판(P)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된다(도 12 참조).
이 때, 상술한 메인 거더(304)는 플랫 서포트 레그(306)가 정지 또는 이동 중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지지 고리(34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9). 이 경우 플랫 서포트 레그(306)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하여, 지지 고리(346)는 적어도 둘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메인 거더(304)는 이러한 지지 고리(346)와 결합하여 작업 중 플랫 서포트 레그(306)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 수단(예를 들면, 고정 키 또는 고정 홈)(미도시)을 더욱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내용은 서브 거더(305)에도 동일하게 요청되는 것으로, 서브 거더(305)는 코너 서포트 레그(307)가 정지 또는 이동 중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지지 고리(34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코너 서포트 레그(307)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하여, 지지 고리(346)는 적어도 둘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서브 거더(305)는 이러한 지지 고리(346)와 결합하여 작업 중 코너 서포트 레그(307)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 수단(예를 들면, 고정 키 또는 고정 홈)(미도시)을 더욱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변 발판(P)은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코너 발판(320)과, 상기 코너 발판(320)의 양 쪽에 설치되며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벽면 발판(330)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코너 발판(320)은 도 14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321)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322)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3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합되는 것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벽면 발판(330)은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331)가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는 것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벽면 발판요소(331)는 비계 시스템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신축 작업을 위하여 그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제1 코너 발판요소(321), 제2 코너 발판요소(322) 및 제3 코너 발판요소(323)는 개개의 요소가 상호간에 조합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코너 발판(320)을 구성하게 되며, 상술한 벽면 발판요소(331) 역시 상호간에 조합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벽면 발판(330)을 구성하게 되는바, 이러한 코너 발판(320) 및 벽면 발판(330)의 결합 양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변 발판(P)이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이 곧 작업 공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변화한 비계 시스템의 신축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 코너 발판요소(321), 제2 코너 발판요소(322) 및 제3 코너 발판요소(323)와 벽면 발판요소(331)는 상호간에 조합을 이루기 위한 소정의 결합 구조를 갖는바,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코너 발판요소(321), 제2 코너 발판요소(322) 및 제3 코너 발판요소(323)와 벽면 발판요소(331)는 각각,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 작업 시 작업자가 밟고서 몸을 지탱하게 되는 부분인 평판(341)과, 상기 평판(341)의 하부에 상기 평판(341)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프레임(342)과, 상기 평판(3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넥터 링크(3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커넥터 링크(343)는 특히 평판(341) 상호간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작용을 하는바,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 링크(34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소정의 홈이 상기 커넥터 링크(343)의 외부로 돌출하는 커넥터 핀(344)과, 상기 커넥터 핀(344)의 홈에 결속하여 고정되는 커넥터 핀 홀더(345)를 더욱 포함한다. 도 17 및 도 18은 제1 코너 발판요소(321), 제2 코너 발판요소(322) 및 제3 코너 발판요소(323)와 벽면 발판요소(331)의 평판(341)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링크(343)에 커넥터 핀(344)을 삽입하고 다시 커넥터 핀 홀더(345)를 이용하여 양 측의 커넥터 핀(344)을 연결 및 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이 과정에 따라 제1 코너 발판요소(321), 제2 코너 발판요소(322) 및 제3 코너 발판요소(323)와 벽면 발판요소(331)는 상호간에 공고히 결합 및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 링크(343), 커넥터 핀(344) 및 커넥터 핀 홀더(345)는 그 결합에 의하여 평판(341) 위로 돌출한 형태의 테두리를 구성하므로 작업 중 공구나 기타 치구들이 평판(341) 밖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342)은 특히 이들 상호간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한 자체 결합 구조를 갖는바, 상기 프레임(342)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이 암수의 끼워 맞춤 형태(350)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듯 제1 코너 발판요소(321), 제2 코너 발판요소(322) 및 제3 코너 발판요소(323)와 벽면 발판요소(331)는 상술한 커넥터 링크(343), 커넥터 핀(344) 및 커넥터 핀 홀더(345)와 프레임(342)의 자체 결합 구조에 의하여 상호간에 결합이 공고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결합 및 분리 과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도 20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다양한 운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1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각 케이스별 운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의 운용 단위를 세분화 하여 작업 공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발판을 운용할 수 있는바(도 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케이스별 운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의 운용 방법은, 화물창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칼럼의 상부에 위치하는 칼럼 조인트(303); 상기 칼럼 조인트(303)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일 끝단이 상기 칼럼 조인트(303)와 연결되는 한 쌍의 메인 거더(304); 상기 칼럼 조인트(303) 및 상기 메인 거더(304)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일 끝단은 상기 메인 거더(304) 각각의 타 끝단과 연결되고 각각의 타 끝단은 상호간에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거더(304)와 더불어 하나의 사각형 틀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서브 거더(305); 상기 메인 거더(304)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거더(304)를 타고 상기 메인 거더(304)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랫 서포트 레그(306) 및; 상기 서브 거더(305)에 설치되되 상기 서브 거더(305)를 타고 상기 서브 거더(305)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코너 서포트 레그(307);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부와,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지 않고, 상기 메인 거더(304) 및 상기 서브 거더(305)의 지지를 받아 상기 메인 거더(304) 및 상기 서브 거더(305)가 이루는 사각형 틀의 내부 영역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 발판(310) 및;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고, 상기 플랫 서포트 레그(306) 및 상기 코너 서포트 레그(307)의 지지를 받아 상기 메인 거더(304) 및 상기 서브 거더(305)가 이루는 사각형 틀의 외부 영역에 가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코너 발판(320)과, 상기 코너 발판(320)의 양 쪽에 설치되며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벽면 발판(330)으로 이루어지는 가변 발판(P);을 포함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임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제 1 케이스(도 21): 우선 본 발명은, 상기 벽면 발판(330)을,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331)로 구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320)을,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321)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322)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323)로 구분하고, 이들 중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 및 상기 제3 코너 발판요소(323)가 모두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제 2-1 케이스(도 2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 또 다른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330)을,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331)로 구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320)을,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321)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322)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323)로 구분하고, 이들 중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 및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만이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제 2-2 케이스(도 2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 또 다른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330)을,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331)로 구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320)을,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321)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322)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323)로 구분하고, 이들 중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 및 상기 제3 코너 발판요소(323)만이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제 2-3 케이스(도 2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 또 다른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330)을,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331)로 구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320)을,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321)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322)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323)로 구분하고, 이들 중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 및 상기 제3 코너 발판요소(323)만이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제 3-1 케이스(도 25):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 또 다른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330)을,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331)로 구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320)을,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321)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322)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323)로 구분하고, 이들 중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만이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제 3-2 케이스(도 26):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 또 다른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330)을,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331)로 구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320)을,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321)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322)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323)로 구분하고, 이들 중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만이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제 3-3 케이스(도 2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 또 다른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330)을,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331)로 구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320)을,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321)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321)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322)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322)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323)로 구분하고, 이들 중 상기 제3 코너 발판요소(323)만이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제 4-1 케이스(도 28):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 또 다른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330)을,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331)로 구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320)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제 4-2 케이스(도 29):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 또 다른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330)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코너 발판(320)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신축 가능한 비계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판의 운용 단위를 세분화 하여 작업 공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발판을 운용할 수 있고, 특히 코너부의 발판을 독립적으로 운용하여 발판에서 작업지점까지의 거리를 최적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판 운용에 소요되는 시수를 절감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1 : 발판 302 : 철 구조물
303 : 칼럼 조인트 304 : 메인 거더
305 : 서브 거더 306 : 플랫 서포트 레그
307 : 코너 서포트 레그 308 : 코너 거더
309 : 빔 310 : 고정 발판
320 : 코너 발판 321 : 제1 코너 발판요소
322 : 제2 코너 발판요소 323 : 제3 코너 발판요소
330 : 벽면 발판 331 : 벽면 발판요소
341 : 평판 342 : 프레임
343 : 커넥터 링크 344 : 커넥터 핀
345 : 커넥터 핀 홀더 346 : 지지 고리
P : 가변 발판

Claims (4)

  1. 화물창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칼럼의 상부에 위치하는 칼럼 조인트;
    상기 칼럼 조인트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일 끝단이 상기 칼럼 조인트와 연결되는 한 쌍의 메인 거더;
    상기 칼럼 조인트 및 상기 메인 거더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일 끝단은 상기 메인 거더 각각의 타 끝단과 연결되고 각각의 타 끝단은 상호간에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거더와 더불어 하나의 사각형 틀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서브 거더;
    상기 메인 거더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거더를 타고 상기 메인 거더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랫 서포트 레그;
    상기 서브 거더에 설치되되 상기 서브 거더를 타고 상기 서브 거더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코너 서포트 레그;
    상기 칼럼 조인트, 상기 메인 거더 및 상기 서브 거더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일 끝단은 상기 칼럼 조인트와 연결되고 타 끝단은 상기 서브 거더 각각의 타 끝단과 동시에 연결되는 코너 거더 및;
    일 끝단은 상기 메인 거더에 연결되고 타 끝단은 상기 서브 거더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빔;
    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부와,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지 않고, 상기 메인 거더 및 상기 서브 거더의 지지를 받아 상기 메인 거더 및 상기 서브 거더가 이루는 사각형 틀의 내부 영역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 발판 및;
    비계 시스템의 신축 과정에 관여하고, 상기 플랫 서포트 레그 및 상기 코너 서포트 레그의 지지를 받아 상기 메인 거더 및 상기 서브 거더가 이루는 사각형 틀의 외부 영역에 가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코너 발판과, 상기 코너 발판의 양 쪽에 설치되며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벽면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변 발판;
    을 포함하는 발판부로 이루어지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로서,
    상기 코너 발판은 ㄱ자 형상으로 된 제1 코너 발판요소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보다 작은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된 제2 코너 발판요소와,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3 코너 발판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합되는 것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벽면 발판은 사각형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벽면 발판요소가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는 것으로써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 상기 제3 코너 발판요소 및 상기 벽면 발판요소는,
    평판;
    상기 평판의 하부에 상기 평판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한편, 서로 인접하는 부분이 암수의 끼워 맞춤 형태로 제작되는 프레임;
    상기 평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넥터 링크;
    상기 커넥터 링크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소정의 홈이 상기 커넥터 링크의 외부로 돌출하는 커넥터 핀 및;
    상기 커넥터 핀의 홈에 결속하여 고정되는 커넥터 핀 홀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 상기 제2 코너 발판요소 및 상기 제3 코너 발판요소가 상호간에 조합됨에 따라 상기 코너 발판의 형태를 가변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벽면 발판요소가 상호간에 조합됨에 따라 상기 벽면 발판의 형태를 가변적으로 구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코너 발판과 상기 벽면 발판이 상기 가변 발판의 형태를 가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비계 시스템의 신축 형태가 가변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발판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화물창 내 벽면 구역에서 상호간에 측면으로 병렬하여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코너 발판요소만이 화물창 내 코너 구역에서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서포트 레그는 상기 가변 발판의 설치 형태에 맞게 그 이동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서포트 레그는 상기 가변 발판의 설치 형태에 맞게 그 이동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발판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평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1020130103087A 2013-08-29 2013-08-29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101413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087A KR101413847B1 (ko) 2013-08-29 2013-08-29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087A KR101413847B1 (ko) 2013-08-29 2013-08-29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908A Division KR101354851B1 (ko) 2012-04-12 2012-04-12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224A KR20130116224A (ko) 2013-10-23
KR101413847B1 true KR101413847B1 (ko) 2014-07-02

Family

ID=4963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087A KR101413847B1 (ko) 2013-08-29 2013-08-29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8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47Y1 (ko) * 2006-03-28 2006-06-08 (주) 건창테크 건축용 비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47Y1 (ko) * 2006-03-28 2006-06-08 (주) 건창테크 건축용 비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224A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860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CN105003090B (zh) 装配式钢结构安装用临时支撑架
CN204163364U (zh) 一种电梯井支模和操作钢平台
CN105298107B (zh) 一种高空大悬挑结构的高支撑架
KR101412379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CN108277994B (zh) 上跨高铁营运线安全防护棚快速拆除方法
KR101413805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101412853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101413909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20150082331A (ko) 집합형 굴뚝 해체를 위한 발판 장치 및 그 발판 장치를 이용한 집합형 굴뚝 해체 방법
CN116397876A (zh) 一种模板支架系统的施工方法
CN106894625B (zh) 模块化外挂式脚手架
KR101354851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
CN204876631U (zh) 装配式钢结构安装用临时支撑架
KR101413847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101413834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101400574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101413865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20130104923A (ko) 조립식 갱폼
KR20020028984A (ko) 안전작업대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219826061U (zh) 索穹顶中央支撑塔架及作业平台综合体系
KR101808296B1 (ko) 해양플랜트용 비계 설치방법
CN204535833U (zh) 一种带接头箱的单节分体汽车衡
CN109577650B (zh) 施工现场辅助预制大型钢筋骨架用的装配式型钢挂架及其辅助预制大型钢筋骨架的施工方法
CN220487057U (zh) 一种用于钢巨柱对接的提篮式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